이집트 제3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제3왕조는 기원전 27세기부터 기원전 26세기까지 약 75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한 왕조이다. 사나크트를 시작으로 조세르, 세켐케트, 카바, 후니 등의 파라오들이 있었으며, 조세르는 최초의 석조 건축물인 계단식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조세르의 재상 임호테프는 의술과 건축에 능했으며, 조세르의 피라미드를 설계했다. 제3왕조는 왕권 강화와 건축 기술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후 이집트 제4왕조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7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2왕조
이집트 제2왕조는 기록이 부족하여 정확한 역사 파악이 어렵지만, 마네토의 기록과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일부 파라오의 이름과 재위 기간, 왕권 변화와 상·하 이집트 통일 시도, 그리고 마지막 왕 카세켐위 시대에 왕권 안정화 후 제3왕조로의 전환을 확인할 수 있는 고대 이집트 왕조이다. - 기원전 27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4왕조
이집트 제4왕조는 기원전 2613년부터 2498년까지 존속한 고왕국 시대의 왕조로, 스네프루 왕을 시작으로 쿠푸, 카프레, 멘카우레 등 유명한 파라오들이 기자의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건설을 주도하며 태양신 라 숭배 강화, 사후 세계관 변화 등의 종교적 변화를 이끌었다. - 고대 이집트의 왕조 - 이집트 제10왕조
이집트 제10왕조는 헤라클레오폴리스를 중심으로 성립되었으며, 제11왕조와의 갈등 속에서 이집트 일부를 지배하다가 멘투호테프 2세에게 멸망했고, 케티 3세와 메리카레 외 파라오 존재가 불확실하며, 당시 문서는 왕조 이해에 중요한 사료이다. - 고대 이집트의 왕조 - 이집트 제11왕조
이집트 제11왕조는 기원전 21세기 초 테베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멘투호테프 2세의 통치 하에 이집트를 재통일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며 활발한 대외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문화적 번영을 이룩했으나, 멘투호테프 4세 이후 아멘엠하트 1세에 의해 멸망하고 제12왕조로 이어졌다. - 이집트의 역사 - 아랍 연합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은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의 합의로 수립되어 카이로를 수도로 하였으나, 이집트의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리아가 반발하여 1961년 해체되었고, 이후 이집트는 1971년까지 국호를 유지했다. - 이집트의 역사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에는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집트 제3왕조 | |
---|---|
개요 | |
![]() | |
존속 기간 | 기원전 2686년 ~ 기원전 2613년 (약 73년) |
이전 왕조 | 이집트 제2왕조 |
다음 왕조 | 이집트 제4왕조 |
수도 | 멤피스 |
통치자 | |
주요 인물 | 사나크테 조세르 세켐케트 카바 후니 |
역사 | |
특징 | 거대한 계단식 피라미드 건설 시작 국가 행정 시스템 강화 대규모 건축 프로젝트 추진 |
문화 | |
특징 | 예술 및 공예 발전 종교적 신앙 체계 강화 마스타바에서 피라미드로의 변화 |
기타 | |
관련 유적지 | 사카라 메이둠 |
중요 인물 | 임호텝 |
2. 역대 파라오
사나크테(기원전 2686년 ~ 기원전 2668년)
조세르(기원전 2668년 ~ 기원전 2649년): 거대한 석조 건축물인 계단형 피라미드를 남겼다.
세켐케트(기원전 2649년 ~ 기원전 2643년)
카바(기원전 2643년 ~ 기원전 2637년)
후니(기원전 2637년 ~ 기원전 2613년): 최초의 정방형 피라미드를 남겼다.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들은 약 75년 동안 통치했다. 최근 아비도스에서 제2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카세켐위를 조세르가 묻었다는 고고학적 발견으로 인해 조세르는 카세켐위의 직계 후계자이자 그의 무덤을 완성한 사람으로서 제3왕조의 창시자로 널리 여겨지고 있다.[6] 이러한 발견은 네브카/사나크트가 왕조의 창시자라고 제안한 윌킨슨 1999와 같은 초기 기록과 모순된다. 하지만 둘은 시간적으로 그다지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았으며, 세켐케트와 함께 니마아트하프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다.[7][8]
개인 이름 | 호루스 이름 | 재위 기간 | 매장지 | 배우자 | |
---|---|---|---|---|---|
조세르 | 네체리케트 | ![]() | 19년 또는 28년 | 사카라: 조세르의 피라미드 | 헤테페르네브티 |
조세르티 | 세켐케트 | ![]() | 6–7년 | 사카라: 매장 피라미드 | 제세레트네브티 |
네브카 | 사나크트 | ![]() | 식별에 따라 6–28년; 6년, 18년 또는 19년일 가능성이 높음 | 아마도 베이트 할라프의 마스타바 K2 | |
(미상) | 카바 | ![]() | 6 ? 24년, 후니와 동일할 경우 | 자위예트 엘 아리안: 층상 피라미드 | |
후니 | 불확실, 카헤제트 ? | ![]() | 24년 | 메이둠 ? | 제파트네브티 메레산크 1세 |
마네토는 네체로페스를, 토리노 왕 목록은 네브카(일명 사나크트)를 제3왕조의 첫 번째 파라오로 지목했지만,[2] 많은 동시대 이집트학자들은 조세르가 이 왕조의 첫 번째 왕이라고 믿고 있으며, 웨스트카 파피루스에서 쿠푸의 일부 선왕들이 언급된 순서가 네브카가 조세르와 후니 사이에 위치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지적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아비도스에 있는 카세켐위의 무덤 입구에서 조세르의 이름이 새겨진 봉인이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제2왕조의 마지막 왕인 카세켐위를 묻고 그 뒤를 이은 사람이 사나크트가 아닌 조세르임을 보여준다.[2] 토리노 왕 목록 필사자는 조세르의 이름을 붉은 잉크로 적었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이 왕의 역사적 중요성을 인식했음을 나타낸다. 어쨌든 조세르는 그의 재상 임호테프에게 최초의 현존하는 피라미드인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이 왕조에서 가장 잘 알려진 왕이다.
네브카가 사나크트와 동일인이라는 점은 불확실하다. 많은 이집트학자들이 두 왕이 동일 인물이라는 이론을 지지하지만, 이 의견은 존 가스탕이 1903년에 발견한 단편적인 점토 봉인 하나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반대 의견도 존재한다. 훼손되었지만, 그 봉인은 사나크트의 ''세레크''와 "카" 기호의 형태를 포함하는 카르투슈를 보여주며, "네브" 기호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 네브카의 재위 기간은 마네토와 토리노 목록 모두 18년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이 자료들은 그의 생애 이후 2,300년 이상, 1,400년 이상 후에 작성되었으므로 그 정확성은 불확실하다. 조세르와 대조적으로 사나크트와 네브카는 거의 20년에 달하는 통치자에 비해 유물이 상당히 적게 확인된다. 토리노 목록은 후니의 직전 왕의 재위 기간을 6년으로 기록하는데, 이 왕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다. 토비 윌킨슨은 이 숫자가 (그가 네브카와 동일 인물이라고 구체적으로 식별하는) 사나크트에게 적합하다고 제안하는데, 이는 그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이지만, 카바 또는 심지어 신원이 불확실한 왕인 카헤제트의 재위 기간일 수도 있다. (윌킨슨은 네브카를 후니 이전의 제3왕조의 두 번째 마지막 왕으로 배치하지만, 이것은 확실하게 알려진 것도 아니고 이집트학자들 사이에서 압도적으로 지지되는 것도 아니다.)
일부 학자들은 임호테프가 파라오 후니의 통치 시대까지 살았다고 믿는다. 세켐케트에 대해 확실히 알려진 것은 거의 없지만, 토리노 목록과 팔레르모 석비에 따르면 그의 재위 기간은 각각 6년 또는 7년으로 여겨진다. 마네토가 19년을 부여한 왕인 ''토세르타시스''와 세켐케트를 동일시하려는 시도는 그의 무덤인 매장 피라미드가 미완성 상태라는 점 때문에 거의 지지를 얻지 못한다. 카바가 자위예트 엘 아리안에 있는 층상 피라미드를 건설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그 피라미드는 원래 의도했던 것보다 훨씬 작지만, 이것이 자연 침식 때문인지, 아니면 세켐케트의 무덤처럼 처음부터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어쨌든, 카바의 재위 기간은 불확실하다. 몇몇 이집트학자들은 카바가 후니와 동일 인물이라고 믿지만, 카바가 람세스 시대의 이름인 ''후드제타 2세''와 ''세드네스''와 동일 인물이라면, 그는 6년 동안 통치했을 수도 있다.
왕명 (아프리카누스의 인용에 따름) | 마네토에 따른 비고 |
---|---|
네케로페스 | 그의 시대에 리비아인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달이 이상하게 찼다는 것에 공포하여 항복했다. |
토솔트로스 | 그의 시대에 임호테프가 있었고, 이집트인으로부터 아스클레피오스 신으로 여겨졌다. 깎은 돌로 집을 짓는 방법을 만들어내고, 서자에도 뛰어났다. |
튀리스 | |
메소크리스 | |
소이피스 | |
토세르타시스 | |
아케스 | |
세프리스 | |
케르페레스 |
호루스 이름 | 개인 이름[18] | 비고 |
---|---|---|
사나크트 | 네브카 | 현재 알려진 제3왕조 최초의 파라오. 사카라 왕명표에는 등장하지 않음 |
네체리케트 | 조세르 | 조세르라는 이름은 후대의 사료에만 나타난다[19].제2왕조의 카세켐위의 아들일 가능성이 높다[20] |
세켐케트 | 조세르 테티 | |
카바 | 테티 | |
카헤제트 | 후니 |
2. 1. 주요 파라오
사나크테(기원전 2686년 ~ 기원전 2668년)와 네브카는 동일인으로 추정되며, 현재 알려진 제3왕조 최초의 파라오이다.[18] 조세르(기원전 2668년 ~ 기원전 2649년)는 제2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카세켐위의 아들일 가능성이 높으며,[20] 카세켐위를 묻고 그 뒤를 이은 직계 후계자로 널리 여겨지고 있다.[6] 조세르는 재상 임호테프에게 최초의 현존하는 피라미드인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하도록 지시하였다. 세켐케트(기원전 2649년 ~ 기원전 2643년)의 재위 기간은 6년 또는 7년으로 여겨지며, 그의 무덤인 매장 피라미드는 미완성 상태이다. 카바(기원전 2643년 ~ 기원전 2637년)는 자위예트 엘 아리안에 있는 층상 피라미드를 건설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나, 그의 재위 기간은 불확실하다. 후니(기원전 2637년 ~ 기원전 2613년)는 최초의 정방형 피라미드를 남겼다.개인 이름 | 호루스 이름 | 재위 기간 | 매장지 | 배우자 |
---|---|---|
조세르 | 네체리케트 | |70px]]|| 19년 또는 28년 || 사카라: 조세르의 피라미드 || 헤테페르네브티 |
조세르티 | 세켐케트 | |70px]] || 6–7년 || 사카라: 매장 피라미드 || 제세레트네브티 |
네브카 | 사나크트 | |70px]]|| 식별에 따라 6–28년; 6년, 18년 또는 19년일 가능성이 높음 || 아마도 베이트 할라프의 마스타바 K2 || |
(미상) | 카바 | |70px]]|| 6 ? 24년, 후니와 동일할 경우 || 자위예트 엘 아리안: 층상 피라미드 || |
후니 | 불확실, 카헤제트 ? | |70px]]|| 24년 || 메이둠 ? || 제파트네브티 메레산크 1세 |
호루스 이름 | 개인 이름[18] | 비고 |
---|---|---|
사나크트 | 네브카 | 현재 알려진 제3왕조 최초의 파라오. 사카라 왕명표에는 등장하지 않음 |
네체리케트 | 조세르 | 조세르라는 이름은 후대의 사료에만 나타난다[19].제2왕조의 카세켐위의 아들일 가능성이 높다[20] |
세켐케트 | 조세르 테티 | |
카바 | 테티 | |
카헤제트 | 후니 |
2. 2. 파라오 목록 (논란)
사나크테(기원전 2686년 ~ 기원전 2668년)와 조세르(기원전 2668년 ~ 기원전 2649년)를 시작으로, 세켐케트(기원전 2649년 ~ 기원전 2643년), 카바(기원전 2643년 ~ 기원전 2637년), 후니(기원전 2637년 ~ 기원전 2613년)까지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들은 약 75년 동안 통치했다.[6]최근 아비도스에서 제2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카세켐위를 조세르가 묻었다는 고고학적 발견으로 인해 조세르는 카세켐위의 직계 후계자이자 그의 무덤을 완성한 사람으로서 제3왕조의 창시자로 널리 여겨지고 있다.[6] 이는 네브카/사나크트가 왕조의 창시자라고 제안한 초기 기록과 모순된다.[6][7][8]
마네토는 네체로페스를, 토리노 왕 목록은 네브카(일명 사나크트)를 제3왕조의 첫 번째 파라오로 지목했지만,[2] 많은 동시대 이집트학자들은 조세르가 이 왕조의 첫 번째 왕이라고 믿고 있으며, 웨스트카 파피루스에서 쿠푸의 일부 선왕들이 언급된 순서가 네브카가 조세르와 후니 사이에 위치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지적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아비도스에 있는 카세켐위의 무덤 입구에서 조세르의 이름이 새겨진 봉인이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제2왕조의 마지막 왕인 카세켐위를 묻고 그 뒤를 이은 사람이 사나크트가 아닌 조세르임을 보여준다.[2] 토리노 왕 목록 필사자는 조세르의 이름을 붉은 잉크로 적었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이 왕의 역사적 중요성을 인식했음을 나타낸다.
개인 이름 | 호루스 이름 | 재위 기간 | 매장지 | 배우자 | |
---|---|---|---|---|---|
조세르 | 네체리케트 | 19년 또는 28년 | 사카라: 조세르의 피라미드 | 헤테페르네브티 | |
조세르티 | 세켐케트 | 6–7년 | 사카라: 매장 피라미드 | 제세레트네브티 | |
네브카 | 사나크트 | 식별에 따라 6–28년; 6년, 18년 또는 19년일 가능성이 높음 | 아마도 베이트 할라프의 마스타바 K2 | ||
(미상) | 카바 | 6 ? 24년, 후니와 동일할 경우 | 자위예트 엘 아리안: 층상 피라미드 | ||
후니 | 불확실, 카헤제트 ? | 24년 | 메이둠 ? | 제파트네브티 메레산크 1세 |
네브카가 사나크트와 동일인이라는 점은 불확실하다. 많은 이집트학자들이 두 왕이 동일 인물이라는 이론을 지지하지만, 이 의견은 존 가스탕이 1903년에 발견한 단편적인 점토 봉인 하나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반대 의견도 존재한다. 훼손되었지만, 그 봉인은 사나크트의 ''세레크''와 "카" 기호의 형태를 포함하는 카르투슈를 보여주며, "네브" 기호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 네브카의 재위 기간은 마네토와 토리노 목록 모두 18년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이 자료들은 그의 생애 이후 2,300년 이상, 1,400년 이상 후에 작성되었으므로 그 정확성은 불확실하다.
왕명 (아프리카누스의 인용에 따름) | 마네토에 따른 비고 |
---|---|
네케로페스 | 그의 시대에 리비아인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달이 이상하게 찼다는 것에 공포하여 항복했다. |
토솔트로스 | 그의 시대에 임호테프가 있었고, 이집트인으로부터 아스클레피오스 신으로 여겨졌다. 깎은 돌로 집을 짓는 방법을 만들어내고, 서자에도 뛰어났다. |
튀리스 | |
메소크리스 | |
소이피스 | |
토세르타시스 | |
아케스 | |
세프리스 | |
케르페레스 |
호루스 이름 | 개인 이름[18] | 비고 |
---|---|---|
사나크트 | 네브카 | 현재 알려진 제3왕조 최초의 파라오. 사카라 왕명표에는 등장하지 않음 |
네체리케트 | 조세르 | 조세르라는 이름은 후대의 사료에만 나타난다[19].제2왕조의 카세켐위의 아들일 가능성이 높다[20] |
세켐케트 | 조세르 테티 | |
카바 | 테티 | |
카헤제트 | 후니 |
가 인용한 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제3왕조의 파라오는 9명이며, 그들은 멘피스를 거점으로 했다. 그 중 처음 2명만 사적이 기록되어 있다. 초대 파라오 네케로페스 시대에는 리비아인의 반란에 직면했고, 2대 토솔트로스 치세에는 신하 중 한 명이 의술에 능했기 때문에 아스클레피오스 신의 화신이라는 평판을 받았다. 그는 돌을 깎아 집을 짓는 것을 발명하고, 문자를 마음에 새겼다고 기록하고 있다.[9]
3. 제3왕조의 역사
제3왕조가 되면서 동시대 왕 비문 등이 다수 발견되면서 그 왕조는 어느 정도 복원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알려진 제3왕조의 첫 번째 파라오와 마네토의 기록, 다른 왕명표 기록은 거의 일치하지 않는다[9]。고고학적으로 알려진 첫 번째 파라오는 사나크트이다. 사나크트에 관한 유물은 적고 즉위의 경위나 그 통치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그는 이집트 제2왕조의 카세켐위의 딸과 결혼함으로써 파라오가 될 만한 지위를 얻었다[10]。
그 다음 파라오는 조세르이다. 마네토가 기록한 왕조는 그다지 정확하지 않지만 토솔트로스에 관한 기록은 분명히 제세르에 해당한다[11]。 제세르는 이 왕조에서 가장 유명한 파라오이며, 그에게는 의술, 건축, 문자로 명성이 높은 측근 임호테프가 있었다. 임호테프는 후세에 신격화되어 신전까지 건조된 인물이다. 제세르 시대, 나일강이 7년 동안 범람하지 않아 심각한 기근이 발생했다. 그래서 제세르는 토트 신의 신관이며, 제사문 낭독 신관장의 지위에 있던 임호테프에게 묻자, 나일강의 수원 주인 크눔의 신전에 토지를 기증하면 다시 나일강이 범람할 것이라고 대답했다는 고대 문서가 발견되었다[12]。 임호테프는 또한 후세 고대 이집트에서 학문, 의술의 소양을 갖춘 자로 숭배되었다.
제세르 시대가 되면서 초기 왕조 시대 이래 왕들이 추구해 온 왕권 확립이 결실을 맺어, 바로 신인 파라오에 어울리는 지위를 손에 넣고 있었다. 그것을 보여주는 위대한 기념비가 사카라에 세워졌다. 그것은 사상 최초의 피라미드라고도 하는 제세르 왕의 피라미드이다. 이것은 높이 약 62미터, 동서 125미터, 남북 109미터의 건조물이었다. 이 독특한 묘의 형식을 설계한 것도 임호테프였다. 또한 제세르 이후 파라오의 공식 명칭에 제4의 이름인 호르-네부우 명 (황금의 호루스 명)이 더해졌다[13]。 이 왕명이 무엇 때문에 도입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일설에는 네부우(황금)는 아마 세트 신의 도시 옴보스(나카다)를 나타내며, 이 이름의 사용은 세트 신앙에 대한 호루스 신앙의 승리를 거두고, 호루스 신의 화신으로서의 파라오의 권위를 확립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생각하기도 한다[14][15]。
제세르는 또한 소형 계단 피라미드(묘실을 갖지 않음)를 영내 각지에 건조하여 파라오의 권위로서의 새로운 묘 형식을 알렸다. 제세르 사후 후계자가 된 세켐케트 이후 피라미드 건설이 계승되었다. 그러나 그들에 대한 사료는 모두 빈약하여 상세한 역사는 알 수 없게 된다. 마네토에 따르면 제세르(토솔트로스) 이후 6명의 파라오에 의한 157년의 치세가 있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3명이 36년 동안의 치세를 가졌을 뿐이라고 생각되고 있다[16]
세켐케트의 통치의 흔적은 미완성 피라미드나 시나이 반도에서 발견된 릴리프 등이 있지만, 구체적인 모습은 확실하지 않다. 다음 카바도 중층 피라미드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 피라미드는 모두 미완성인 채 끝나고, 그 이유에 대해서도 자세한 내용은 불명이다.
마지막 파라오 후니는 24년 동안의 치세를 가지지만 역시 그 통치의 실태가 잘 알려져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는 메이둠에 피라미드를 건설했지만, 이것은 현재 표면이 붕괴되어 무너진 피라미드라고도 한다. 후니의 아들이자 하급 왕비 메르산크 1세의 아들로 보이는 스네프루는 이집트 제4왕조의 초대 파라오로 여겨진다. 또한 후니와 다른 왕비 사이의 딸, 헤테프헤레스 1세는 스네프루의 정비라고 생각된다[17]。 후니의 죽음으로 이집트 제3왕조는 종료되었다.
ImageSize = width:800 height:auto barincrement:12
PlotArea = top:10 bottom:30 right:130 left:3
AlignBars = justify
DateFormat = yyyy
Period = from:-2690 till:-2590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ScaleMajor = unit:year increment:10 start:-2680
ScaleMinor = unit:year increment:5 start:-2680
Colors =
id:canvas value:rgb(0.97,0.97,0.97)
id:PA value:green
id:GP value:red
id:eon value:rgb(1,0.7,1) # light purple
Backgroundcolors = canvas:canvas
BarData =
barset:Rulers
PlotData=
width:5 align:left fontsize:S shift:(5,-4) anchor:till
barset:Rulers
from: -2686 till: -2648 color:PA text:"조세르"
from: -2648 till: -2642 color:PA text:"세켐케트"
from: -2642 till: -2626 color:PA text:"사나크트"
from: -2626 till: -2619 color:PA text:"카바"
from: -2619 till: -2595 color:PA text:"후니"
barset:skip
3. 1. 중앙 집권화와 왕권 강화
제3왕조 시대에는 초기 왕조 시대부터 이어져 온 왕권 확립 노력이 결실을 맺어 파라오의 권위가 강화되었다.[13] 이는 사카라에 건설된 제세르 왕의 피라미드와 같은 거대한 기념물을 통해 나타난다. 제세르 왕의 피라미드는 높이 약 62미터, 동서 125미터, 남북 109미터에 달하는 최초의 피라미드이다.[13] 이 피라미드는 제세르의 측근 임호테프가 설계했다.[13] 제세르 이후 파라오의 공식 명칭에는 '호르-네부우 명'(황금의 호루스 명)이 추가되었다.[13] 이는 세트 신앙에 대한 호루스 신앙의 승리를 상징하며, 파라오의 권위를 더욱 확립하는 역할을 했다.[14][15]
제세르는 또한 소형 계단 피라미드를 영내 각지에 건설하여 새로운 묘 형식을 널리 알렸다. 제세르 사후, 세켐케트를 비롯한 후대 파라오들도 피라미드 건설을 이어갔다. 그러나 이들의 피라미드는 대부분 미완성으로 끝나,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3. 2. 건축 기술의 발전
제세르 시대에는 초기 왕조 시대부터 이어져 온 왕권 확립이 결실을 맺어, 파라오의 권위가 강화되었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이 사카라에 세워진 제세르 왕의 피라미드이다.[13] 이 피라미드는 높이 약 62미터, 동서 125미터, 남북 109미터 규모의 건축물로,임호테프가 설계하였다.[13] 제세르 이후의 파라오들도 피라미드 건설을 이어갔지만, 세케메트의 미완성 피라미드, 카바의 중층 피라미드 등은 미완성으로 남아있으며,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마지막 파라오 후니는 메이둠에 피라미드를 건설했지만, 현재는 표면이 붕괴된 상태이다.[17]
3. 3. 임호테프와 지식의 발전
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제3왕조의 파라오들은 멘피스를 거점으로 통치했다. 초대 파라오 네케로페스는 리비아인의 반란에 직면했고, 2대 토솔트로스(]조세르) 치세에는 신하 임호테프가 의술에 능하여 아스클레피오스 신의 화신이라는 평판을 받았다. 임호테프는 돌을 깎아 집을 짓는 것을 발명하고 문자를 마음에 새겼다고도 전해진다.[9]
고고학적으로 알려진 첫 파라오는 사나크트인데, 그는 이집트 제2왕조 카세켐위의 딸과 결혼하여 파라오 지위를 얻었다.[10] 그 뒤를 이은 제세르는 임호테프를 등용하여 의술, 건축, 문자 등 다방면에서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임호테프는 제세르 왕의 피라미드를 설계하여 이집트 최초의 피라미드 건축을 주도했다.[11] 그는 후세에 신격화되어 신전까지 건조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에서 학문과 의술의 소양을 갖춘 인물로 숭배되었다. 제세르 시대에는 나일강이 7년 동안 범람하지 않아 기근이 발생했는데, 임호테프가 크눔 신전에 토지를 기증하면 해결될 것이라고 조언했다는 기록이 있다.[12]
제세르 시대에 왕권이 확립되어 파라오는 신과 같은 지위를 얻게 되었고, 제세르 왕의 피라미드는 이를 상징하는 기념비이다. 제세르 이후 파라오의 공식 명칭에 '호르-네부우 명'이 추가되었는데,[13] 이는 세트 신앙에 대한 호루스 신앙의 승리를 나타낸다는 설이 있다.[14][15]
4. 제3왕조의 중요성
이집트 제3왕조는 고고학적 유물과 기록을 통해 그 중요성이 드러난다. 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제3왕조는 멘피스를 중심으로 9명의 파라오가 통치했다. 그러나 초기 파라오들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며, 동시대 왕의 비문 등이 발견되면서 점차 복원되었다.
사나크트는 고고학적으로 알려진 첫 파라오로, 이집트 제2왕조의 카세켐위의 딸과 결혼하여 왕위를 계승했다. 그의 뒤를 이은 조세르는 제3왕조에서 가장 유명한 파라오로, 그의 신하 임호테프는 의술, 건축, 문자에 능통하여 후대에 신격화되었다. 제세르 왕의 피라미드는 임호테프가 설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높이 약 62미터, 동서 125미터, 남북 109미터의 거대한 건축물이다. 이는 초기 왕조 시대부터 이어진 왕권 확립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조세르 시대부터 파라오의 공식 명칭에 호르-네부우 명(황금의 호루스 명)이 추가되었는데, 이는 세트 신앙에 대한 호루스 신앙의 승리를 상징한다는 해석이 있다.
조세르 이후 세켐케트, 카바 등의 파라오들이 피라미드를 건설했지만, 대부분 미완성으로 남아 그 이유는 불분명하다. 마지막 파라오 후니는 메이둠에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나 현재는 붕괴된 상태다. 후니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스네프루가 이집트 제4왕조를 열었다.
참조
[1]
서적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2004
[2]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2001
[3]
간행물
The Layer Pyramid of Zawiyet el-Aryan: Its Layout and Context.
American Research Center (Hg.), Eisenbrauns, Winona Lake/Bristol
2000
[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
학술지
Further studies of crania from ancient Northern Africa: An analysis of crania from First Dynasty Egyptian tombs, using 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s
https://onlinelibrar[...]
1992-03
[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15
[7]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
2001
[8]
서적
Die Königsmütter des Alten Ägypten von der Frühzeit bis zum Ende der 12. Dynastie
Harrassowitz, Wiesbaden
2001
[9]
문서
高宮 2006
[10]
문서
クレイトン 1999
[11]
문서
フィネガン 1983
[12]
문서
フィネガン 1983
[13]
문서
ホルス名、ネブティ名(二女神名)、ネスウト・ビティ名(上下エジプト王名、即位名)に続く四つ目の名前。実際に表記される時には三番目に書かれる。
[14]
문서
ホルス信仰とセト信仰の対立についてはエジプト初期王朝時代、及びエジプト第2王朝を参照。
[15]
문서
大城 2009
[16]
문서
クレイトン 1999
[17]
문서
クレイトン 1999
[18]
문서
個人名という列タイトルは英語版の"Personal Name"に依ったが、各王の名前の位置付けは明瞭ではない。
[19]
문서
クレイトン 1999
[20]
문서
高宮 2006
[21]
문서
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