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니아이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우니아이넨은 핀란드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스웨덴어 이름은 그란쿨라(Grankulla)이며, 핀란드어 이름은 카우니아넨(Kauniainen)이다. 마지막 빙하기 이후 욜디아 해의 섬에서 시작되어, 1906년 헬싱키 부유층을 위한 별장 지역으로 개발되었다. 1920년 시장 도시가 되었고, 1972년 도시 지위를 얻었다. 스웨덴계가 다수인 지역이었으나, 현재는 핀란드어가 다수 언어이다. 카우니아이넨은 헬싱키와의 접근성이 좋으며, 다양한 스포츠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시마 지역의 지자체 - 에스포
에스포는 핀란드 우시마 지역의 헬싱키 인근 도시로, 8000년의 역사를 지녔으며 중세 스웨덴 마을에서 유래, 20세기 중반 이후 급격한 도시화와 함께 핀란드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경제 및 교육 중심지로 성장했고, 헬싱키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 우시마 지역의 지자체 - 헬싱키
헬싱키는 핀란드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발트 해 연안의 반도와 315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812년 핀란드 수도 지정 이후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어 발전했고, 현재는 국제적인 도시이자 문화 중심지로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다문화 사회이다. - 핀란드의 도시 - 라흐티
라흐티는 핀란드 남부 패이얘트헤메 지역의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베시예르비 호 남쪽 끝에 위치하며 헬싱키에서 북동쪽으로 약 100km 떨어져 있고,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동계 스포츠와 문화 활동이 활발하여 2021년 유럽 그린 캐피탈로 선정되었다. - 핀란드의 도시 - 에스포
에스포는 핀란드 우시마 지역의 헬싱키 인근 도시로, 8000년의 역사를 지녔으며 중세 스웨덴 마을에서 유래, 20세기 중반 이후 급격한 도시화와 함께 핀란드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경제 및 교육 중심지로 성장했고, 헬싱키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카우니아이넨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
지리적 위치 | [[File:Kauniainen sijainti Suomi.svg|위치]] |
![]() | |
문장 | [[File:Kauniainen.vaakuna.svg|문장]] |
일반 정보 | |
도시 종류 | 도시 |
위치 | 핀란드 우시마 지역 헬싱키 하위 지역 헬싱키 수도권 |
시장 | 크리스토퍼 마사르 |
설립 | 1920년 |
시 승격 | 1972년 |
지리 | |
면적 | 6.00 km² |
육지 면적 | 5.89 km² |
수면 면적 | 0.11 km² |
인구 | |
인구 (2023년 12월 31일) | 10,062명 |
인구 밀도 | 1,708.32명/km² |
모국어 | 핀란드어: 60.8% 스웨덴어: 32.2% (공식) 기타: 7.0% |
기타 정보 | |
시간대 | EET (UTC+2) |
서머 타임 | EEST (UTC+3) |
우편 번호 | 02700 |
지역 번호 | 09 |
기후 | 냉대 습윤 기후 (Dfb)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어원
스웨덴어 이름인 그란쿨라(Grankulla)는 스웨덴어 단어 "gran"(가문비나무)과 "kulle"(언덕)로 구성되어 있으며, 1900년대 초부터 이 형태로 사용되었다. 이전에는 이 지역이 방언 형태인 '그렌쿨'(Gränkull)로 알려져 있었다.[4] 그렌쿨(Gränkull)이라는 이름은 카우니아넨의 물탱크가 위치한 언덕의 이름으로 현대 지도에서 발견된다. 이 도시의 핀란드어 이름인 카우니아넨(Kauniainen)은 카우니아넨에 위치한 '카우니아이스'(Kauniais)라는 농가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이 이름은 탐페레 근처의 저택에서 따온 것이다.[1] 핀란드어 이름은 1930년대에 사용되었으며, 1949년에는 스웨덴어 이름과 함께 도시의 공식 이름이 되었다.[4]
빙하기 이후 욜디아 해에서 몇 개의 작은 섬들이 보이다가, 약 4,000년 전 내륙 군도의 일부가 되었고, 이 시기의 도자기 조각 형태로 이 지역에서 인간 활동의 증거가 있다. 하지만 이 지역의 첫 번째 영구적인 정착지는 19세기에 세워졌다. 20세기 초 에스포의 더 큰 농장 외곽에 있는 몇 채의 소작농 가옥으로만 구성되어 있었고, 1903년에 개통된 철도는 이 지역의 개발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3. 역사
현대 카우니아이넨의 역사는 1906년 AB 그란쿨라(AB Grankulla)라는 회사가 토지를 매입하여 헬싱키에서 이주할 사람들에게 판매하면서 시작되었다. 카우니아이넨이 속한 에스포 시는 새로운 공동체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회사가 개발을 책임졌고, 1915년 카우니아이넨은 에스포로부터 제한적인 자치를 받았다. 1920년 카우니아이넨은 시장 도시가 되었고 완전한 자치권을 얻었으며, 1936년부터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를 사용해 왔으며, 1949년 시장 도시 의회에서 스웨덴어 이름 그란쿨라와 함께 핀란드어 이름 ''카우니아이넨''이 공식화되었다.
카우니아이넨의 자치 도시로서의 독립은 시의 의무와 적은 수의 주민으로 위협받았다. 1950년대에 시장 도시는 에스포에서 몇 개의 주변 지역을 합병하려고 했지만, 1953년에 신청이 거부되었다. 대신 시장 도시가 매입한 카사부오리 지역이 1957년에 합병되었다. 오토-이바리 메우르만(Otto-Iivari Meurman)에게 새로운 도시 계획을 세우는 임무가 주어졌으며, 이후 인구가 급증하여 1972년 카우니아이넨은 도시 지위를 얻었고, 2020년 말에는 10,177명이 거주하였다.
3. 1. 초기 역사
최후 빙하기 이후, 약 10,000년 전에는 오늘날 카우니아이넨 지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들만이 욜디아 해에 작은 섬들로 보였다. 땅이 점차 융기하면서 약 4,000년 전에는 카우니아이넨이 내륙 군도의 일부가 되었고, 이 시기에 만들어진 도자기 조각 형태로 인간 활동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지역에 사람이 본격적으로 정착한 것은 19세기에 이르러서였다. 오늘날 카우니아이넨은 바다에서 수 킬로미터 떨어진 내륙에 위치해 있다.
20세기 초, 카우니아이넨은 에스포의 큰 농장 외곽에 있는 몇 채의 소작농 가옥으로만 이루어져 있었다. 이 지역은 방언으로 '그렌쿨'(Gränkull)이라고 불렸으며, 헬싱키와 투르쿠를 잇는 주요 도로가 카우니아이넨 북쪽을 지나갔지만, 1903년 개통된 철도가 이 지역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AB 그란쿨라(AB Grankulla)라는 회사가 1906년 토지를 매입하여 헬싱키의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별장을 소유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판매하면서 현대 카우니아이넨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쿨로사리, 하아가, 레패바라, 푸이 stol라 등 헬싱키 주변에 이와 비슷한 공동체들이 동시에 설립되었다. 얀네 서먼(Janne Thurman)을 포함한 주주들은 1년 만에 투자금을 회수할 정도로 성공적이었다. 하지만 엘리아 헤이켈(Elia Heikel)과 에밀 린드스테트(Emil Lindstedt)가 갈트래스크 호수 주변 땅을 매입하여 최초의 별장을 지으면서 별장 시대는 이미 몇 년 전에 시작되었다. 판매된 토지는 3,000제곱미터 이상이었다.
카우니아이넨이 속한 에스포 시는 새로운 공동체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회사가 도로 건설, 학교 설립, 전기 공급, 철도역(1908년 개통) 및 경찰서 설립 로비 등 개발을 주도했다. 1915년 카우니아이넨은 에스포로부터 제한적인 자치권을 얻었고 회사의 역할은 줄어들었다.
1917년 최초의 인구 통계에 따르면 당시 공동체에는 1,647명의 주민이 거주했다. 1920년 카우니아이넨은 시장 도시가 되면서 완전한 자치권을 얻었다. 카우니아이넨은 도시 계획, 도로망, 별장, 전기 시설 등을 갖추어 에스포의 시골 환경과 차별화되었다. 산업 시설 건설을 금지하고 녹지, 목가적, 시골 공동체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대부분의 별장은 신고전주의 양식이나 1920년대 후반의 기능주의 양식으로 지어졌다. 1920년대 후반에 새로운 도시 계획이 시작되었지만, 주민들은 도로가 너무 넓다고 반발했다. 건축가가 사망하면서 1937년에야 타협안이 마련되었다. 1917년부터 1939년까지 인구는 10%만 증가했지만, 시장 도시 경계 바로 바깥의 인구는 크게 증가했다.
1936년 카우니아이넨은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 도시가 되었고, 1949년 시장 도시 의회는 스웨덴어 이름 그란쿨라와 함께 핀란드어 이름 '카우니아이넨'을 공식화했다. 이미 1930년대부터 철도와 우체국에서 카우니아이넨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별장 시대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끝나고, 재건과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가 이어졌다.
3. 2. 별장 시대 (1906-1940년대)
현대 카우니아이넨의 역사는 1906년 AB 그란쿨라(AB Grankulla)라는 회사가 토지를 매입하여 헬싱키의 건강하지 못한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별장을 소유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판매하면서 시작되었다.[1] 쿨로사리, 하아가, 레패바라 및 푸이 stol라 등 헬싱키 주변에서 다른 여러 유사한 공동체가 동시에 설립되었다.[1] 그중 시의 "아버지"인 얀네 서먼(Janne Thurman)을 포함한 주주들은 투자에 만족할 수 있었고, 1년 만에 투자한 돈을 되찾았다.[1] 그러나 별장 시대는 엘리아 헤이켈(Elia Heikel)과 에밀 린드스테트(Emil Lindstedt)가 갈트래스크 호수 주변 지역을 매입하여 최초의 별장을 지었을 때 몇 년 전에 시작되었다.[1] 판매된 재산은 3,000제곱미터보다 작지 않았다.[1]
카우니아이넨 지역이 속한 에스포 시가 새로운 공동체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회사가 개발을 책임졌다.[2] 도로가 건설되었고, 학교가 설립되었으며, 전기가 마련되었고, 회사는 철도역 (1908년 개통)과 경찰서를 위해 로비를 벌였다.[2] 1915년 카우니아이넨은 에스포로부터 제한적인 자치를 받았고 회사의 역할은 감소했다.[2]
최초의 정확한 인구 통계는 1917년으로, 당시 이 공동체에는 1,647명의 주민이 있었다.[3] 1920년 카우니아이넨은 시장 도시가 되었고 완전한 자치권을 얻었다.[3] 카우니아이넨은 도시 계획, 도로 네트워크, 별장 및 전기를 갖춘 에스포의 시골 환경과 달랐다.[3] 카우니아이넨을 녹지, 목가적, 시골 공동체로 유지하기로 결정하고 산업 건물의 건설을 금지했다.[3] 대부분의 별장은 신고전주의 양식 또는 1920년대 후반의 기능주의 양식으로 지어졌다.[3] 새로운 도시 계획에 대한 작업은 192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지만 제안에 이의가 제기되었다.[3] 주민(및 재산 소유자)들은 도로가 너무 넓다고 생각했다.[3] 건축가 또한 과정 중간에 사망하여 1937년에야 타협을 이룰 수 있었다.[3] 1917년부터 1939년까지 인구는 10%만 증가한 반면, 시장 도시의 경계 바로 바깥의 인구는 상당히 증가했다.[3]
카우니아이넨은 1936년부터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를 사용해 왔으며, 1949년 시장 도시 의회에서 스웨덴어 이름 그란쿨라와 함께 핀란드어 이름 ''카우니아이넨''이 공식화되었다.[4] 이미 1930년대부터 철도와 우체국에서 카우니아이넨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4] 별장 시대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끝나고 재건과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대로 대체되었다.[4]
3. 3. 발전과 변화 (1950년대-현재)
카우니아이넨은 자치 도시로서 독립해야 했으나, 시의 의무와 적은 수의 주민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950년대에 시장 도시는 에스포에서 몇 개의 주변 지역을 합병하려고 했지만, 1953년에 신청이 거부되었다. 대신 시장 도시가 매입한 카사부오리 지역이 1957년에 합병되었다. 오토-이바리 메우르만(Otto-Iivari Meurman)에게 새로운 도시 계획을 세우는 임무가 주어졌는데, 그는 별장 환경을 유지하되 인구 수를 2,500명에서 10,000명으로 대폭 늘리고 현대적이지 않은 별장을 새로운 별장으로 교체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아파트 건물을 지어야 했다. 스톡홀름의 밸링비를 모델로 철도역 옆에 새로운 상업 중심지를 계획했다. 카사부오리에 대한 계획은 1959년에 승인되었고, 나머지 시장 도시에 대한 계획은 1961년과 1963년에 승인되었다. 상업 중심지는 1966년에 개관했다. 이 도시 계획은 나중에 독특한 별장 환경이 파괴되고 많은 아름다운 별장이 철거되었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았다. 오슬로의 홀멘콜렌 스키 아레나와 같은 유형의 스키 센터가 카사부오리에 계획되었지만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 오늘날 이 지역은 보호받고 있다.
인구는 급증했으며, 1967년에는 25%나 증가했다. 1972년 카우니아이넨은 도시(fi. ''kaupunki'') 지위를 얻었고, 그 다음 해 핀란드어가 주민들의 다수 언어가 되었고 스웨덴어는 소수 언어가 되었다. 당시 이 도시에는 6,400명의 주민이 있었다. 상업 중심지는 20년 이상 흉하고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졌으며 새로운 도심 개발 계획은 2006년 5월에 승인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006년 12월 첫 번째 건물이 철거되면서 시작되었다.
2020년 말에는 10,177명이 이 도시에 거주하면서 인구는 10,000명을 넘어섰다.
4. 지리
카우니아이넨은 핀란드 남부 우시마 지역에 있는 도시이다. 헬싱키 대도시권에 속하며, 에스포 시에 둘러싸여 있다.
4. 1. 행정 구역
카우니아이넨에는 I, II, III 구역의 세 구역이 있다. 도시의 작은 규모 때문에 구역 이름은 지정되지 않았다. 명칭이 있는 구역으로 간주되는 유일한 지역은 도시 서부에 있는 카사부오리(Kasabergetsv)이다.5. 교통
카우니아이넨은 여러 방향으로 연결되는 도로망을 갖추고 있다. 동서 방향으로는 1번 국도(헬싱키-투르쿠 고속도로)가 카우니아이넨 남쪽을 지나고, 110번 지방도(헬싱키-투르쿠 구 주요 도로)가 도시 북쪽을 통과한다. 1960년대 고속도로 건설은 헬싱키 도심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해 주어 새로운 주민들이 카우니아이넨으로 이주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남북 방향의 케하 II(순환도로 2)는 카우니아이넨의 동쪽 모퉁이를 지난다.
카우니아이넨에는 통근 열차 란타라타 선의 카우니아이넨과 코이부호비 두 곳의 기차역이 있다. 이 철도는 카우니아이넨이 헬싱키의 교외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열차는 대략 15분 간격으로 출발하며, 헬싱키 중앙역까지 약 20분이 소요된다. 헬싱키로 연결되는 2개의 지역 버스 노선과 에스포의 여러 지역으로 연결되는 지역 버스 노선도 있다.
5. 1. 도로
카우니아이넨은 대부분의 방향으로 훌륭한 도로 연결망을 갖추고 있다. 동서 방향의 헬싱키-투르쿠 고속도로(1번 국도)가 카우니아이넨 남쪽을 지나가며, 헬싱키-투르쿠 구 주요 도로(110번 지방도)가 도시 북쪽을 통과한다. 1960년대 고속도로 건설은 새로운 주민들이 카우니아이넨으로 이주하는 데 큰 역할을 했는데, 이는 고속도로를 따라 헬싱키 도심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남북 방향의 케하 II(순환도로 2)는 카우니아이넨의 동쪽 모퉁이를 지난다.5. 2. 대중교통
카우니아이넨에는 1903년에 개통된 통근 열차 란타라타 선에 있는 카우니아이넨과 코이부호비 두 곳의 기차역이 있다. 이 철도는 카우니아이넨이 헬싱키의 교외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열차는 대략 15분 간격으로 출발하며, 헬싱키 중앙역까지 약 20분이 소요된다.헬싱키로 연결되는 2개의 지역 버스 노선이 있다. 또한 에스포의 다양한 지역으로 연결되는 지역 버스 노선도 있다.
6. 서비스
카우니아이넨은 도시 규모에 비해 매우 다양한 서비스를 주민들에게 제공한다. 카우니아이넨에는 6개의 학교가 있으며, 3단계로 나뉘어 있고 핀란드어와 스웨덴어 두 언어로 운영된다. 카우니아이넨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다.
7. 정치
2021년 지방 선거 이후 카우니아이넨 시의회 구성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7]
7. 1. 시의회

2021년 지방 선거 이후 카우니아이넨 시의회 의석을 확보한 정당은 다음과 같다.[7]
정당 | 의석 |
---|---|
스웨덴 인민당 | 15 |
국민 연합당* | 12 |
녹색 연맹 | 4 |
기독교 민주당* | 1 |
사회 민주당 | 1 |
핀란드인 정당 | 2 |
합계 | 35 |
- 국민 연합당과 기독교 민주당은 선거 연합을 구성했다.
7. 2. 국회의원 선거
2011년 핀란드 총선에서 카우니아이넨의 정당별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
8. 스포츠
카우니아이넨에는 다양한 스포츠 시설이 있으며 시의회는 스포츠 후원에 적극적이다.[1] 가장 큰 협회인 그란쿨라 IFK(GrIFK)를 중심으로 대부분의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진다.[1] GrIFK는 1925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아이스하키, 축구, 핸드볼, 플로어볼, 알파인 스키 종목에서 활동하고 있다.[1]
9. 문장
카우니아이넨의 문장은 "파란 접시 위에 앉아 있는 금색 붉은다람쥐가 검은색 가문비나무 솔방울을 앞발로 들고 있으며, 그 위에는 금색 장미 세 송이가 나란히 놓여 있다"는 것이다. 문장에 등장하는 솔방울을 들고 있는 다람쥐는 카우니아이넨의 스웨덴어 이름(''Grankulla'')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장미는 지역의 빌라 정착지를 묘사한다. 이 문장은 아토 누미넨(Ahto Numminen)이 디자인했으며, 1951년 6월 5일과 1952년 1월 10일에 열린 카우니아이넨 상공회의소 회의에서 승인되었다. 핀란드 내무부는 같은 해 3월 11일에 문장의 사용을 승인했다.[2][3]
10. 저명한 출신 인물
- 이사크 엘리엇, 가수
- 마르쿠스 그뢰홀름, 세계 랠리 챔피언십 레이서
- 니클라스 그뢰홀름, 레이싱 드라이버 (마르쿠스 그뢰홀름의 아들)
- 피아 율린, 스포츠 사격 선수
- 이르외 쿡카푸로, 건축가
- 페테르 메이어, 축구 선수
- 알렉산드라 올손, 핸드볼 선수
- 야르모 사리, 기타리스트,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 토니 쇠데르홀름, 아이스하키 선수
- 파시 소르무넨, 아이스하키 선수
- 에멜리에 세데르홀름, 스톡홀름 기반 싱어송라이터
- 몬티 비데니우스, MySQL 및 MariaDB 개발자
참조
[1]
웹사이트
Finlandssvenska bebyggelsenamn – Grankulla
http://bebyggelsenam[...]
[2]
서적
Suomen kunnallisvaakunat
Suomen Kunnallisliitto
[3]
웹사이트
Sisäasiainministeriön vahvistamat kaupunkien, kauppaloiden ja kuntien vaakunat 1949-1995 I:9 Kauniainen
http://digi.narc.fi/[...]
[4]
서적
Grankulla 1906–2006 Kauniainen – Den sista i sitt slag
Gummerus, Jyväskylä
[5]
뉴스
550-vuotias Espoo on kasvanut aikuiseksi
https://www.hs.fi/pa[...]
Helsingin Sanomat
[6]
웹사이트
Väestörakenteen ennakkotiedot muuttujina Kuukausi, Alue, Sukupuoli, Ikä ja Tiedot
https://web.archive.[...]
2021-02-02
[7]
웹사이트
Yle - Result service - Kauniainen - Uudenmaan vaalipiiri - Municipal Elections 2021 - Yle.fi
https://vaalit.yle.f[...]
2021-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