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로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로리는 일반적으로 물 1g의 온도를 1°C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정의되지만, 물의 비열이 온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확한 정의는 1기압 하에서 14.5°C의 물 1g을 15.5°C까지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다. 칼로리는 열화학 칼로리, 4도 칼로리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1948년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줄(J)의 사용을 권장했다. 영양학에서 칼로리는 음식 에너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지방은 1g당 9kcal,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4kcal/g, 알코올은 7kcal/g을 함유한다. 한국의 계량법에서는 열량 단위로 줄(J)을 사용하며, 칼로리는 영양학적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너지의 단위 - 전자볼트
    전자볼트는 전자가 1볼트의 전위차를 통과할 때 얻거나 잃는 에너지 단위로, 1.602 × 10⁻¹⁹ 줄과 같으며, 다양한 물리학 분야와 공학에서 에너지, 질량, 운동량, 온도, 거리 등을 표현하는 데 널리 활용된다.
  • 에너지의 단위 - 메가톤
    메가톤은 백만 톤을 의미하는 질량의 단위로, 전 세계 인구의 총 질량과 같이 매우 큰 질량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 영양 - 지방산
    지방산은 탄소 원자와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진 카르복실산으로, 탄소 사슬 길이, 이중 결합 유무 및 위치, 기하 이성질체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에너지 저장 및 세포막 구성 성분으로서 생체 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영양 -
    물은 산소 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두 개로 이루어진 무기 화합물로, 지구 표면의 약 70%를 차지하며 고체, 액체, 기체 상태로 존재하고 생명체의 필수 구성 요소이자 문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물 부족과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칼로리
개요
칼로리 정의
칼로리의 정의
종류작은 칼로리 (cal)
큰 칼로리 (kcal) 또는 킬로칼로리 (Cal)
정의물 1g의 온도를 1°C 올리는 데 필요한 에너지
사용 분야열화학
영양학
단위
기호cal
단위계비SI 단위
물리량열량
SI4.184 J (정확히, 계량법에 따름)
유래물 1 g의 온도를 표준 대기압 하에서 1 °C 올리는 열량
어원라틴어: calor (열)
환산
1 cal4.184 J (정확히)
3.9656668 × 10^-3 BTU
1.1622222 × 10^-6 kW⋅h
1 kcal (킬로칼로리)1,000 cal
4,184 J (정확히)
3.968 BTU
1.162 와트시 (W⋅h)
참고1 kcal = 1 Cal (식품 칼로리)

2. 정의

일반적으로 칼로리는 " 1그램을 1°C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물의 비열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더 정확한 정의는 "1기압 하에서 14.5°C의 물 1그램을 15.5°C까지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다. 1칼로리(cal)는 4.184J(줄)이다.[24] 물의 비열이 온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몇 도의 물을 기준으로 정의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칼로리가 존재한다.

2. 1. 종류

이름기호환산값 (J/cal)비고
0도 칼로리cal0≈4.219
4도 칼로리cal4≈4.204 5
평균 칼로리calmean≈4.190 02NIST 기준
구 국제 증기표 칼로리≈4.186 84폐지됨
I.T. 칼로리calIT4.186 8정의값, IAPWS 채택[20]
구 계량법 칼로리4.186 05정의값, 폐지됨
15도 칼로리cal15≈4.185 80[19]
15도 칼로리cal154.185 5CIPM 1950년 기준, 0.000 5 J 불확실성[20]
열화학 칼로리calth4.184정의값
IUNS 칼로리4.182정의값, 국제영양과학연합
20도 칼로리cal20≈4.181 90[19]


  • I.T. 칼로리는 '국제 증기표 칼로리'라고도 하며, 1956년 제5회 국제 증기 성질 회의에서 채택되었다.[20]
  • 물의 비열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몇 도의 물을 기준으로 정의하는지에 따라 여러 종류의 칼로리가 존재한다.
  • 일반적으로 물 1g의 온도를 *t*-0.5°C에서 *t*+0.5°C로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t''도 칼로리(cal*t*)라고 한다. (단, 0도 칼로리는 0°C에서 1°C)
  • 15도 칼로리(cal15)는 물 1g의 온도를 14.5°C에서 15.5°C로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며, 표준 칼로리라고도 한다.
  • 과거에는 실험값에 기반한 다양한 칼로리 정의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정의가 명확한 을 사용한다.
  • 현재 일본에서는 열화학 칼로리(calth)를 사용하며, 1 calth = 4.184 J로 정의된다.

3. 역사

"칼로리"라는 용어는 calor|열la에서 유래되었다.[1] 1819년부터 1824년까지 열량 측정법에 대한 강의에서 니콜라 클레망이 처음으로 칼로리를 소개했는데, 이는 "큰" 칼로리였다. 1841년과 1867년 사이에 프랑스어와 영어 사전에 이 용어가 등재되었다.

1852년, 피에르 앙투안 파브르와 요한 T. 질버만은 "작은" 단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같은 용어를 사용했다.

1879년, 마르셀랭 베르텔로는 그램 칼로리와 킬로그램 칼로리를 구분하고, 큰 단위를 위해 대문자 "C"를 사용하여 "칼로리"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1887년 윌버 올린 앳워터가 음식의 에너지 함량에 관한 논문에서 이 사용법을 채택했다.

1894년 미국 의사 조셉 하워드 레이먼드는 ''인체 생리학 매뉴얼''에서 작은 단위를 사용했다. 그는 "큰" 단위를 "킬로칼로리"라고 부를 것을 제안했지만, 이 용어는 몇 년 후에야 널리 사용되었다.

작은 칼로리(cal)는 1896년에 이미 존재하던 에너지의 CGS 단위인 에르그와 함께 CGS 단위계의 단위로 인정되었다.

1928년에는 칼로리의 두 가지 주요 정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과 대문자를 사용하여 이를 구별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었다.

은 1948년 제9차 국제 도량형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된 에너지의 SI 단위였다. 칼로리는 SI 팜플렛의 제7판에서 비 SI 단위의 예로 언급되었다.

1824년 프랑스의 니콜라 클레망이 "물 1 kg의 온도를 0 °C|°C영어에서 1 °C|°C영어로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칼로리라고 명명했다.[14] 이 클레망의 칼로리는 현재 칼로리의 정의에서 1000 cal = 1 kcal에 해당한다.

1888년, 영국 과학 협회가 "물 1 '''g'''의 온도를 1 °C|°C영어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썸(therm|썸영어)이라고 명명하고, 1896년에 칼로리로 개칭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이 대칼로리(kg-calorie = 1000 cal)를 의미하거나 소칼로리(g-calorie = 1 cal)를 의미하는 이른바 "칼로리 혼동(Calorie Confusion)"의 기원이다.

4. 영양학

영양학에서 칼로리는 음식의 에너지 함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지방은 1g당 9kcal, 탄수화물단백질은 1g당 4kcal, 알코올은 1g당 7kcal를 제공한다.[5] 대한민국에서는 킬로칼로리(kcal)가 주로 사용되며, "칼로리"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의 계량법에서는 칼로리 사용을 영양학 및 생물학에 관한 사항으로 한정하고 있다.

식품 라벨에는 에너지 함량이 킬로줄(kJ)과 킬로칼로리(kcal)로 함께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유럽 연합에서는 영양 성분표에 에너지가 킬로줄과 킬로칼로리 둘 다 표시되며, 각각 "kJ"와 "kcal"로 약칭된다.[3] 미국에서는 킬로칼로리("calorie")가 주로 사용되지만, 국제단위계 (SI) 단위인 킬로줄(kJ)이 과학적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중국에서는 킬로줄만 사용된다.[4]

식이 요법은 체중 조절, 당뇨병 및 비만과 같은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칼로리 섭취를 조절하는 방법이다.[6] 하루 에너지 필요량은 신체 활동 수준에 따라 기초대사량의 1.5~2배 정도이다.

4. 1. 하루 필요 섭취 칼로리

사람의 하루 권장 섭취 열량은 표준 몸무게를 기준으로 할 때, 여러 전문가들은 다음의 칼로리(Kcal)량을 제안한다.[25][26]

육체 활동 수준하루 필요 섭취 칼로리 (표준 몸무게 기준)
육체 활동이 낮음표준 몸무게(kg) × 25 ~ 30
육체 활동이 보통표준 몸무게(kg) × 30 ~ 35
육체 활동이 높음표준 몸무게(kg) × 35 ~ 40



WHO는 자신의 표준 몸무게를 BMI(체질량 지수)로 산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 키가 t 미터, 체중이 w 킬로그램일 때, BMI는 다음과 같다.


::\mathrm{BMI} = {w \over t^2}

  • 정상적인 BMI 범주는 18.5~24.9이다.

  • BMI를 21로 설정하고 키가 165cm인 경우 표준 몸무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1 \times 1.65^2 = w

::w = 57.1725kg

DSM-5에서는 BMI 17.5 이하를 임상적 심리적 조건 중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5. 인체와 칼로리

인체의 지방 조직은 87%가 지질이며, 1kg의 지방 조직은 대략 870g의 순수한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어 약 7800kcal에 해당한다. 지방 조직 1kg을 없애려면 7800kcal를 소모해야 한다. 하지만 인체는 에너지를 100% 활용할 수 없으므로 실제로는 지방 조직 1kg이 가진 에너지의 1/3 이하만 소모해도 체중은 1kg 이상 감소한다.[5]

6. 한국의 법적 정의

한국의 계량법에서는 열량의 단위로 (J), 와트 초(Ws), 와트시(Wh)를 사용한다.[9] 칼로리는 "사람 또는 동물이 섭취하는 물건의 열량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이 대사에 의해 소비하는 열량의 계량"에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10] 1 cal = 4.184 J (열화학 칼로리)[11]이며, 킬로칼로리(kcal), 메가칼로리(Mcal), 기가칼로리(Gcal)도 사용 가능하다.

7. 기타

영양학 분야에서는 킬로칼로리(kcal = 1000 cal)가 자주 사용된다. 큰 열량을 나타낼 때에는 메가칼로리(Mcal = 106 cal)나 기가칼로리(Gcal = 109 cal)도 드물게 사용된다.

106 칼로리(15도 칼로리)를 '''테르미''' 또는 '''서미'''(thermie|테르미프랑스어, 기호: th)라고 한다. 1 th = 1000000 cal15 ≒ 4.1855 MJ이다. 원래는 1 t의 물에 대해 정의된, MTS 단위계의 단위이다.

109 칼로리(열화학 칼로리[19])를 1TNT톤이라고 하며, 핵무기 등의 에너지에 사용된다. 1 tTNT = 109 calth = 4.184 GJ이다.

참조

[1] 백과사전 Calorie. https://www.merriam-[...] 2024-03-20
[2] 학술지 Changes to the Nutrition Facts Label https://www.fda.gov/[...] 2022-03-07
[3] 웹사이트 EU Regulation No 1169/2011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5 October 2011 on the provision of food information to consumers https://eur-lex.euro[...] 2022-04-18
[4] 웹사이트 China, General Rules for Nutrition Labeling of Prepackaged Foods https://apps.fas.usd[...] 2013
[5] 웹사이트 Calories - Fat, Protein, Carbohydrates, Alcohol. Calories per gram http://www.nutristra[...]
[6] 학술지 Diet in the management of weight loss 2006-01-03
[7] 문서 "[https://laws.e-gov.go.jp/law/404CO0000000357_20190520_501CO0000000006&keyword=%E8%A8%88%E9%87%8F%E5%8D%98%E4%BD%8D%E4%BB%A4 計量単位令] 別表第6、項番13" https://laws.e-gov.g[...]
[8] 서적 平凡社大百科事典 第3巻(カウ-キス)、p.827、「カロリー」、執筆者は高田誠二
[9] 문서 "[https://laws.e-gov.go.jp/law/404AC0000000051&keyword=%E8%A8%88%E9%87%8F%E6%B3%95 計量法] 別表第1、「熱量」の欄" https://laws.e-gov.g[...]
[10] 문서 計量単位令第5条、[https://laws.e-gov.go.jp/law/404CO0000000357&openerCode=1#82 別表第6 項番13] https://laws.e-gov.g[...]
[11] 서적 平凡社大百科事典 第3巻(カウ-キス)、p.827、「カロリー」、熱化学カロリー({{math|cal{{sub|th}}}} )は、4.184 J と評価される。(執筆者は高田誠二)
[12] 웹사이트 calorie https://goldbook.iup[...] IUPAC, Gold Book
[13] 웹사이트 THE ADOPTION OF JOULES AS UNITS OF ENERGY http://www.fao.org/3[...] FAO
[14] 학술지 Does the history of food energy units suggest a solution to "Calorie confusion"? https://www.ncbi.nlm[...] Nutrition Journal 2007
[15]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16] 문서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第1章 説明 https://www.mext.go.[...]
[17] 문서 第 9 回 CGPM, 1948 年 決議 3 https://unit.aist.go[...] SI文書第 9 版 (2019) 国際単位系(SI)日本語版
[18] 문서 日本工業規格JIS Z8202-4:2000(ISO 31-4:1992) 量及び単位−第4部:熱 http://kikakurui.com[...]
[19] 웹사이트 NIST Guide for SI: Factors for Units Listed Alphabetically http://physics.nist.[...]
[20] 문서 日本工業規格JIS Z8202-4:2000(ISO 31-4:1992) 量及び単位−第4部:熱 http://kikakurui.com[...]
[21] 웹사이트 世界食料機関 (FAO)「The Adoption of Joules as Units of Energy」 http://www.fao.org/d[...]
[22] 웹사이트 CJK Compatibility https://www.unicode.[...] 2015
[23] 웹사이트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8.0.0 http://www.unicode.o[...] The Unicode Consortium 2015
[24] 간행물 International Standard ISO 80000-5:2019 국제 표준화 기구 2019
[25] 참고자료 삼성병원 임상영양팀 , 내 몸 바로 알기- 체중을 줄이고 싶은데, 얼마만큼 먹어야 할까요? http://www.samsungho[...]
[26] 참고자료 대한당뇨병학회-하루필요열량알아보기 https://www.diabe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