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OMZ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COMZ (Korean Communications Zone)는 1952년 7월 11일 대구에서 창설된 미국 육군의 전구 지원 사령부로, 한국 전쟁 중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제2군수사령부와 제3군수사령부의 기능을 통합하여 설립되었으며, 토머스 W. 헤렌 소장이 초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KCOMZ는 한국기지구역, 제8군 지원사령부, 제7군수사령부 등으로 개편되었으며, 다양한 예하 부대와 배속 부대를 통해 군수, 통신, 헌병, 의무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했다. 한국 전쟁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25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3원정지원사령부
제3원정지원사령부는 1950년 한국 전쟁에서 창설되어 냉전 시대 서유럽 방어, 21세기 테러와의 전쟁, 이라크 자유 작전, 아프가니스탄 비전투원 대피 작전 등 다양한 군사 및 인도적 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육군의 핵심적인 군수지원 사령부이다. - 6.25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2군수사령부
제2군수사령부는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참전 기간 동안 후방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파병 부대에 대한 보급, 수송, 정비 지원과 참전 장병 귀국 후 복귀를 지원한 부대이다. - 1956년 폐지 - 프랑스령 튀니지
프랑스령 튀니지는 1881년부터 1956년까지 프랑스의 보호령이었던 튀니지 시대로, 프랑스가 군사적 개입과 바르도 조약을 통해 보호령을 선포한 후 튀니지의 각 분야를 통치하며 튀니지인들의 민족주의 운동 끝에 독립을 맞이했다. - 1956년 폐지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이 핀란드 영토를 기반으로 카렐리야 지역에 수립한 공화국이며,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이 설립 기반을 마련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핀란드에 점령당했다가 재점령되어 러시아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 미국 육군의 지원사령부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제19원정지원사령부는 1966년 창설되어 주한 미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미국 육군의 지원사령부 - 제9전구지원사령부
제9전구지원사령부는 1960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을 지원하고 1970년 해체되었다가 1994년 재편성되어 주일 미군을 지원한 미국 육군의 군수지원 사령부이다.
KCOMZ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한국 통신대 (韓國通信隊) |
영문 명칭 | Korean Communication Zone (KComZ) |
별칭 | 제8006부대 후방기지사령부 후방관구사령부 한국병참지대사령부 한국병참관구 |
약칭 | KComZ |
소속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역할 | 통신대 |
규모 | 34,280명 (1953년) |
본부 | 부산 캠프 하야리아 |
활동 기간 | 1952년 8월 21일 - 1956년 7월 |
참전 | 한국 전쟁 |
표어 | (없음) |
지휘 | |
주요 지휘관 | 토마스 W. 헤렌 소장 |
수훈 | |
훈장 |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1954년) |
2. 역사
1952년, 미국 육군은 제2군수사령부와 제3군수사령부의 임무와 기능을 합쳐 한반도 안에서 통합된 지원을 위한 사령부를 설립할 계획을 세웠다. 토머스 W. 헤렌을 사령관으로 임명하고, 7월 11일에 대구에 KCOMZ를 창설하였고, 7월 21일부터 정상 운영을 시작하였다.[1] 8월 1일, 제2군수사령부는 ''한국기지구역''(Korean Base Section영어)으로 이름이 바뀌고 제8군 병참사령부에 예속되었다.[1]
Thomas W. Herren|토머스 W. 헤렌영어 소장은 1952년 7월 11일부터 1953년까지 KCOMZ의 초대 사령관이었다. 1953년부터 1955년 6월 30일까지의 지휘관은 알려지지 않았다.
KCOMZ는 군수 지원 임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부대를 예하에 두었다. 주요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1953년 4월까지 제1기병사단 연대가, 그 후로는 제24보병사단 연대가 순환 배속되었다.[1]
1953년 1월 16일, 극동사령부에서 극동육군으로 예속이 바뀌었다.[1]
이후 1955년 7월 1일에 ''제8군 지원사령부'', 1956년에 주한 미국 육군 지역사령부(U.S. Army Area Command, Korea영어), 1957년에 ''제7군수사령부''로 대체되었다.[1]
3. 지휘관
4. 예하 부대
4. 1. 배속 부대
KCOMZ에는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부대가 배속되었다. 주요 배속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비고 |
---|---|
본부 및 본부중대 | |
제2군수사령부 | 1952년 6월 11일 ~ 8월 1일 |
제3군수사령부 | 1952년 6월 11일 ~ 1953년 3월 20일 |
무덤등록사령부 | 임시 |
한국기지구역(Korean Base Section영어) | |
제3군사철도근무대 | |
제8007부대, 복구사령부 | 대구 |
제8077부대, 증강본부 | |
제8092부대, 대구 군사우편 본부 | |
제8201부대 | UN 한국민간원조사령부(UNCACK) (1952년 7월 11일 ~ 1953년), 한국민간원조사령부(KCAC) (1953년 ~ 1955년 12월 1일) |
제8203부대, 유엔 전쟁포로사령부 | 1952년 7월 ~ 1953년 9월 |
제8113부대, 제1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119부대, 제2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120부대, 제3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121부대, 제4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135부대, 제5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146부대, 제6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163부대, 제7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179부대, 제8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205부대, 제9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209부대, 제10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216부대, 제11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225부대, 제12전쟁포로근무부대 | |
제8228부대, 제13전쟁포로근무부대 | |
육군 보안국 | |
제352교신정찰중대, 5파견대 | |
제8240부대, 극동사령부 주한 연락파견대 | |
부관대 | |
제110보충대대, 본부 및 본부파견대 | |
제510보충중대 | |
제8057부대, 인천 보충창, 본부 및 본부파견대 | |
제34보충중대 | |
제52보충중대 | |
제55보충중대 | |
제369보충중대 | |
제509보충중대 | |
제8069부대, 부산 보충창, 본부 및 본부파견대 | |
A~D중대 | |
제15군사우편부대 | |
포병 | |
제24반항공기포병대대 | |
제30반항공기포병자동무기대대 (AAAWB) | |
제52야전포병대대 | |
제75반항공기단 | |
제227반항공기단 | |
첩보대 | |
제166군사정보근무소대 | |
제511정보근무중대 | |
방첩대 | |
제704방첩파견대 | |
제801방첩파견대 | |
공병대 | |
제3공병전투대대 | |
제8공병전투대대 | |
제80공병제제소파견대 | |
제417공병항공여단 | |
의무대 | |
제14야전병원 | |
제8037부대, 의무Holding파견대 | 임시 |
제8229부대, 의무관리파견대 | |
헌병대 | |
제2헌병범죄조사파견대 | |
제3헌병범죄조사파견대 | |
제20헌병범죄조사파견대 | |
제21헌병범죄조사파견대 | |
제24헌병중대 | |
제24헌병대대 | |
제1,2 소대 | |
제142헌병중대, 파견대 | 호송 경호 |
제728헌병대대, B중대 | |
제772헌병대대 | |
특별헌병호송파견대 | 임시 |
기타 | |
제8076부대, 민간 정보교육파견대 | |
제8112부대, 육군추락구조단 | |
제8157부대, 미국 극동 육군, 항공배송및 교신파견대 | |
제8214부대, 국군 라디오근무대 | |
제8240부대, 주한 유엔 유격군 (UNPIK) | |
제8242부대, 연합사령부 한국 정찰활동처 (CCRAK) | |
문산리 Holding 파견대 | 임시 |
군수 | |
병기대 | |
제833병기중대 | 보급중대, 옛 제833병기보급창중대 (COMZ) |
병참대 | |
제148병참무덤등록중대 | |
제819병참욕조중대 | 반기동 |
수송대 | |
제8103부대, 육군소형땟목이동통제단 | |
제425수송교통정규화단 | |
특별근무 | |
제10특별근무중대 | |
제8043부대, 주일 중앙PX파견대 춘천배급창 | |
통신 | |
제8226부대, KCOMZ 장거리 통신단 | |
제1통신근무중대 | |
제2통신근무중대 | |
제3통신근무중대 | |
보병 | |
제5기병연대 전투대 | |
A중대 | |
제8공병전투대대 | |
제6전차대대, C중대 | |
제7연대 전투단 | |
제7기병연대, 중전차중대 | |
제8공병전투대대, B중대 | |
제8연대 전투단 | |
제8기병연대, 중전차중대 | |
제8공병전투대대, C중대 | |
제17보병연대 | |
제23보병연대 | |
제24보병사단 | |
제27보병연대, M중대 | |
제34보병연대 | |
3대대 | |
근무중대 | |
의무중대, 3소대 | |
제35보병연대 | |
제160보병연대 | |
제224보병연대 | |
제279보병연대 |
5. 훈장
한국 전쟁 기간 중 1952년 7월 11일부터 1953년 10월 1일까지의 공로로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5]
참조
[1]
서적
US Army Forces in the Korean War 1950-5
Osprey
[2]
간행물
General Orders No. 24
http://armypubs.army[...]
1954-03-31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Korean War
Greenwood Press
[4]
서적
US Army Forces in the Korean War 1950-53
Osprey
[5]
저널
GENERAL ORDERS NO. 24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United States Army
1954-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