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캡틴 아메리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캡틴 아메리카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슈퍼히어로로, 1941년 3월에 처음 등장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에 대항하기 위해 초인 병사 계획으로 탄생했으며, 둥근 방패를 사용하여 싸운다. 캡틴 아메리카는 여러 차례 부활과 설정을 거쳤으며, 어벤져스의 리더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는 미국의 가치를 대표하는 인물로, 사회 문제와 정치적 변화를 반영하는 스토리로 전개되었다. 캡틴 아메리카는 뛰어난 신체 능력과 격투 기술을 갖추었으며, 방패는 그의 주요 장비이다. 주요 조력자로는 버키 반스, 팔콘 등이 있으며, 숙적은 레드 스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미국 군인 - 하프색 엡스
  • 조 사이먼이 창작한 등장인물 - 비전 (마블 코믹스)
    마블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비전은 울트론에 의해 창조된 안드로이드로, 어벤져스에 합류하여 스칼렛 위치와의 로맨스를 통해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며 다양한 미디어에 등장한다.
  • 조 사이먼이 창작한 등장인물 - 레드 스컬
    레드 스컬은 캡틴 아메리카의 숙적으로, 나치 소속 요한 슈미트가 초인 혈청 부작용으로 붉은 해골 외모를 갖게 되었으며, 다양한 무기를 사용하고 마블 코믹스 및 여러 미디어에 등장한다.
  • 스탠 리의 만화 - 엑스맨
    엑스맨은 스탠 리와 잭 커비가 창조한 마블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으로, 타고난 초능력을 가진 돌연변이들로 구성되어 인종차별, 편견, 사회적 소외 등 현실 사회 문제를 반영한 스토리텔링과 다양한 캐릭터들의 복잡한 관계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영화,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로 확장되어 마블 코믹스의 대표적인 프랜차이즈로 성장했다.
  • 스탠 리의 만화 -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은 스탠 리와 스티브 딧코가 창조한 스파이더맨을 주인공으로 하는 마블 코믹스 만화 시리즈이며, 1963년 3월부터 단독 시리즈로 출판되어 50년 이상 이어져 오고 있다.
캡틴 아메리카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담 휴즈의 《캡틴 아메리카》 #1 (2018) 배리언트 커버. 캡틴 아메리카가 미국 국기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아담 휴즈의 《캡틴 아메리카》 #1 (2018) 배리언트 커버
본명스티븐 로저스
출판사마블 코믹스
첫 등장《Captain America Comics》 #1 (1940년 12월 20일)
창작자조 사이먼
잭 커비
소속어벤저스
올-위너스 스쿼드
일루미나티
인베이더스
S.H.I.E.L.D.
미국 육군
시크릿 어벤저스
다른 이름
윙헤드
노마드
더 캡틴
브렛 헨드릭
로저 스티븐스
스티븐 그랜트 로저스
요먼 아메리카
고향뉴욕 시
협력자버키 반스
샘 윌슨
샤론 카터
능력슈퍼 솔저 혈청으로 강화된 신체 능력 (인간의 한계 이상)
무술 및 백병전의 달인
전술 및 전략의 달인
파괴 불가능한 방패 사용
담당 배우
영화크리스 에반스(MCU)
MCU앤서니 매키

2. 역사

캡틴 아메리카는 1941년 3월 마블 코믹스의 전신인 타임리 코믹스에서 발간한 《캡틴 아메리카 코믹스》 #1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조 사이먼잭 커비에 의해 만들어졌다.[7] 성조기를 모티프로 한 코스튬을 입고 무기로서 던질 수 있는 파괴되지 않는 방패로 무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타임리 코믹스의 가장 인기 있는 캐릭터였다.[7] 2007년까지 75개국에서 약 2억 1천만 부가 팔렸다.

1964년 3월, 슈퍼 히어로 팀 어벤저스는 《어벤저스》 #4에서 가사 상태의 캡틴 아메리카를 소생시켰고, 이후 그는 어벤저스의 리더를 맡았다.[2]

2007년 3월, 스티브 로저스는 《캡틴 아메리카》 vol.5 #25에서 암살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나중에 살아있음이 드러났다.[13]

2004년, 에드 부르베이커의 캡틴 아메리카 시리즈는 제2차 세계 대전 시절 캡틴 아메리카의 사이드킥이었던 버키 반즈 (윈터 솔져)의 부활을 다룬다. 버키는 전쟁 당시 물에 빠져 죽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러시아 장군 카르포프와 그의 수하들에 의해 구출되어 기억을 잃고 팔 하나를 잃은 채 KGB에 의해 강철 의수를 받고 냉전 시대 동안 미국의 주요 인사들을 암살하는 암살자로 활동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윈터 솔져는 냉동인간 상태가 되었다가, 루킨 장군에 의해 레드 스컬을 죽이고 코스믹 큐브를 탈환하는 데 이용된다. 캡틴 아메리카는 팔콘, 샤론 카터(에이전트 13)와의 전투 끝에 코스믹 큐브를 빼앗아 버키의 기억을 되찾게 한다.

캡틴 아메리카는 1944년 영화 《캡틴 아메리카》를 시작으로, 2011년 크리스 에반스 주연의 《퍼스트 어벤져》, 2012년 《어벤져스》 등 여러 영화와 TV 시리즈에 출연했다.

2011년, 캡틴 아메리카는 IGN이 선정한 만화 주인공 100인 중 6위에 올랐다.

2. 1. 탄생과 초기 (1940년대)

1940년대 마블 코믹스의 전신인 타임리 코믹스에서 조 사이먼잭 커비1941년 3월에 발간한 《캡틴 아메리카 코믹스》 #1을 통해 캡틴 아메리카를 처음으로 세상에 선보였다.[7] 당시 유럽을 장악하고 있던 아돌프 히틀러에 대항하는 미국의 애국적인 분위기를 반영하여 탄생했다.

첫 번째 캡틴 아메리카 코믹스의 표지는 캡틴 아메리카가 <a href=아돌프 히틀러의 턱을 날리는 모습을 담고 있다. 나치 군인의 총알이 캡틴 아메리카의 방패에 튕겨 나가고, 아돌프 히틀러는 미국 지도와 '미국 파괴 계획'이라는 문서를 향해 쓰러진다.">
''캡틴 아메리카 코믹스'' #1 (1940년 12월 20일, 표지 날짜 1941년 3월) 표지. 조 사이먼잭 커비의 그림.


약한 청년 '''스티브 로저스'''('''Steve Rogers''')가 실험용 혈청을 맞고 완벽한 인간이 되는 설정이었다.[7] 캡틴 아메리카는 미국 국기인 성조기를 본떠 만든 옷을 입고, 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튼튼한 방패를 들고 다녔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는 애국적인 캐릭터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전쟁 기간 동안 타임리 코믹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캐릭터였다. 2007년까지 캡틴 아메리카 만화책은 75개국에서 약 2억 1천만 부가 팔렸다.

2. 2. 인기 하락과 재등장 (1950년대 ~ 1960년대)

전쟁이 끝난 후, 캡틴 아메리카의 인기는 떨어졌고 1950년대에는 잠시 사라졌다.[1] 1953년 "캡틴 아메리카, 공산주의자 격퇴자"라는 슬로건과 함께 잠시 복귀했지만, 한국 전쟁에 대한 대중의 반대로 인해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1964년 3월, 마블 코믹스는 실버 에이지 시대에 캡틴 아메리카를 재등장시켰다. 슈퍼히어로 팀 어벤저스는 《어벤져스》 #4에서 가사 상태에 있던 캡틴 아메리카를 소생시켰다.[2] 이후 캡틴 아메리카는 자신의 스토리에 출연하는 것 외에도 어벤저스에서 주로 리더를 맡으며 다시 인기를 얻게 되었다.[2]

《어벤져스》 #4는 소급 설정을 통해 캡틴 아메리카가 제2차 세계 대전 말에 대서양에 빠져 수십 년 동안 동면 상태로 얼음 속에 갇혀 있다가 발견되어 구조되었다고 설정했다.[2]

1964년 12월부터는 닉 퓨리, 페기 카터, 샤론 카터를 포함하여 캡틴 아메리카의 새로운 동료들을 소개하고 소급 설정하였다.

2. 3. 정치적 변화와 새로운 정체성 (1970년대)

1970년대 캡틴 아메리카는 빈곤, 인종 차별, 환경 오염, 정치 부패 등 미국의 국내 정치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이는 1971년 코믹스 코드 당국 규정 변경으로 가능해졌다. 이전에는 "존경받는 기관"이 "기존 권위에 대한 불신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제시되는 것을 금지했지만, 책임자가 "법적 대가를 치르고" 해당 행위 자체가 "예외적인 경우로 선언"되는 한 이러한 기관의 불법 행위를 묘사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개정되었다.

''캡틴 아메리카'' #117 (1969년 9월)에서 주류 만화책 최초의 흑인 슈퍼히어로인 팰컨이 소개되었고, 캡틴 아메리카의 파트너가 되었다. 1971년 2월부터 이 시리즈는 ''캡틴 아메리카와 팰컨''이라는 표지로 7년 반 동안 유지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변화는 1972년 시리즈에 합류한 작가 스티브 잉글하트와 화가 샐 부세마의 만화에 의해 크게 형성되었다.

1974년 스토리라인에서 잉글하트는 워터게이트 사건에서 영감을 받아 캡틴 아메리카가 파시스트 시크릿 엠파이어에 의해 살인 누명을 쓰게 한다. 시크릿 엠파이어의 지도자는 미국의 대통령으로 밝혀진다. 이 사건으로 환멸을 느낀 스티브 로저스는 잠시 캡틴 아메리카라는 이름을 버리고 "노마드, 조국 없는 남자"가 되었지만, 이후 "지도자들이 짓밟은 미국의 이상을 되찾겠다"고 맹세하며 다시 캡틴 아메리카의 역할을 맡았다.

잉글하트와 부세마의 연재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캡틴 아메리카''를 마블의 판매 부진 작품에서 최고 판매 만화로 끌어올렸다. 이상적인 모습과 현실의 미국 간 갈등은 그 후 수십 년 동안 ''캡틴 아메리카'' 만화의 주제로 자주 등장한다.

2. 4. 베트남 전쟁 이후와 "히어로즈 리본"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부터 1981년까지 ''캡틴 아메리카''의 편집자 로저 스턴과 작가 존 번이 시리즈를 집필했다. 이들의 집필 기간 동안 캡틴 아메리카가 미국 대통령 출마 제안을 거절하는 내용의 스토리가 있었다. 스턴과 번에 이어, 1981년부터 1984년까지 작가 J.M. 데마테이스와 마이크 제크가 ''캡틴 아메리카''를 집필했다.

1982년부터 1985년까지 ''캡틴 아메리카''의 편집자였던 마크 그루엔월드는 1985년부터 1995년까지 이 시리즈의 작가로 활동했다. 그루엔월드의 10년간의 집필 기간 동안 폴 니어리 (1985년부터 1987년까지)와 키어런 드와이어 (1988년부터 1990년까지)를 포함한 다양한 작가들이 시리즈의 그림을 그렸다. 그루엔월드의 집필 기간 동안 등장한 가장 중요한 스토리라인 중 하나는 1987년의 "선택"으로, 미국 정부가 캡틴 아메리카에게 정부의 통제하에 직접적인 슈퍼히어로 활동을 계속하도록 명령한 후 스티브 로저스는 잠시 "캡틴"이 되기 위해 캡틴 아메리카의 정체성을 버린다.

그루엔월드가 시리즈를 떠난 후, 1995년에 작가 마크 웨이드와 작가 론 가니가 ''캡틴 아메리카''를 집필하기 시작했다. 캡틴 아메리카의 연애 상대인 샤론 카터의 재등장을 포함한 초기의 찬사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집필은 1996년 마블의 "히어로즈 리본" 리브랜딩으로 인해 10호 이후 종료되었다. 이 리브랜딩으로 인해 1990년대 초에 회사를 떠나 이미지 코믹스를 설립했던 작가 짐 리와 롭 리필드가 마블로 돌아와 회사의 여러 캐릭터를 재창조했다. 마블은 1990년대에 다양한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고, 결국 1996년에 회사가 챕터 11 파산 보호를 신청했으며, "히어로즈 리본"은 판매 증가 노력의 일환으로 도입되었다. 리브랜딩의 일환으로, 리필드는 제프 로브와 함께 ''캡틴 아메리카''를 그림과 공동 집필했는데, 결국 6호 만에 취소되었다. 마블은 시리즈가 저조한 판매로 인해 취소되었다고 밝혔으며, 리필드는 마블의 파산 절차 중에 더 낮은 임금을 받기를 거부한 후 해고되었다고 주장했다. 웨이드는 1998년에 다시 ''캡틴 아메리카''로 돌아왔으며, 처음에는 가니가 그림을 그렸고 나중에는 앤디 쿠버트가 그림을 그렸다.

2. 5. 현대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 캡틴 아메리카는 9.11 테러 이후 변화된 세계관을 반영하여 테러리스트와 싸우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2005년 "윈터 솔져" 스토리라인에서 캡틴 아메리카의 죽은 줄 알았던 파트너 버키 반즈가 세뇌된 암살자로 돌아온다.[9] 2007년 "캡틴 아메리카의 죽음" 스토리라인에서 스티브 로저스는 암살당하고, 버키 반즈가 새로운 캡틴 아메리카가 된다.[13][16] 2009년 "캡틴 아메리카: 리본"에서 스티브 로저스는 부활하여 다시 캡틴 아메리카로 활동한다.[19]

2004년 시작된 에드 부르베이커의 캡틴 아메리카 시리즈는 2차 세계대전 시절 캡틴 아메리카의 사이드킥이었던 제임스 뷰캐넌 반즈(버키 반즈)의 부활을 그린다. 이 시리즈에서 버키는 러시아 소속 암살자 '윈터 솔져'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는 전쟁 당시 물에 빠져 죽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사실은 캡틴 아메리카와 함께 싸운 적 있는 러시아 장군 카르포프와 그의 수하들에 의해 구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버키의 기억은 모두 사라졌고 팔 하나를 잃게 되었는데, KGB는 첨단 로봇 외지 장착 기술(Advanced Robotic Appendages and Attachment)을 이용하여 버키에게 강철 의수를 붙여주었다. 이후 냉전 시대 동안 버키는 러시아에 의해 세뇌되어 미국의 주요 인사들을 암살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카르포프의 명령에 따라 윈터 솔져는 냉동인간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루킨 장군은 캡틴 아메리카에게 최대의 고통을 주기 위해 윈터 솔져를 이용하기 시작한다. 2004년, 윈터 솔져는 루킨의 명에 따라 레드 스컬을 죽였으며, 레드 스컬이 가지고 있던 코스믹 큐브도 탈환했다. 코스믹 큐브는 사용자에게 현실 조작의 힘을 주는 무기다. 루킨은 이것을 이용해 캡틴 아메리카의 기억을 마구 바꾸며 그를 고통스럽게 했다.

하지만 코스믹 큐브가 루킨의 정신에도 악영향을 미치면서 루킨은 그것을 창고에 넣어두고 다시 꺼내지 않으려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캡틴 아메리카와 팔콘, 그리고 샤론 카터(에이전트 13)가 난입하면서 윈터 솔져가 그들을 막기 위해 투입되었다. 전투 끝에 캡틴 아메리카는 코스믹 큐브를 다시 빼앗아 버키에게 자신이 누구인지 기억하게 한다.

2016년 "시크릿 엠파이어" 스토리라인에서는 캡틴 아메리카가 히드라의 비밀 요원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었다.

3. 능력 및 장비

캡틴 아메리카는 초인 병사 혈청을 통해 인간 신체 능력의 정점에 도달했다. 힘, 속도, 민첩성, 지구력, 반사 신경, 반응 속도, 자연 치유 능력이 강화되었다.[2] 그의 신체 조건은 올림픽 선수보다 뛰어나며, 약 498.95kg를 벤치 프레스로 들어올리고, 약 1.61km를 1분 안에 달릴 수 있다.[22][23] 초인 병사 혈청은 신진대사 기능을 강화하여 피로 물질 증가를 막고, 알코올 중독 및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제공한다.[24]

뛰어난 전술가이자 야전 지휘관인 그는 권투, 유도 등 다양한 격투 스타일을 마스터했다. 원형 방패를 이용한 격투술에 능숙하며, 여러 무술(복싱, 유술, 합기도, 유도)을 습득하여 자신만의 전투 스타일을 만들었다. 마블 유니버스에서 최고의 근접 전투 전문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25][26] 또한, 토르의 망치 묠니르를 들어올려 정신의 고결함을 증명했다.

주요 장비는 비브라늄과 아다만티움 합금으로 만들어져 파괴가 거의 불가능한 원형 방패이다. 이 방패는 방어 및 공격 무기로 사용되며, 던져졌을 때 여러 표면에서 튕겨 나와 원래 던진 사람에게 되돌아온다.

조 사이먼이 디자인한 캡틴 아메리카의 의상은 미국 국기를 기반으로 하며, 사슬 갑옷과 날개 달린 헬멧을 착용한다. 스티브 로저스는 노마드(Nomad)나 캡틴(The Captain)과 같은 다른 슈퍼히어로 별칭을 사용할 때 다른 의상을 착용했다.

3. 1. 능력

슈퍼 솔져 혈청은 캡틴 아메리카의 힘, 속도, 민첩성, 지구력, 반사 신경, 반응 속도, 그리고 자연적인 자기 치유 능력을 인간 신체의 완벽함의 정점으로 향상시켰다.[2] 그의 신체적 조건은 경쟁했던 어떤 올림픽 선수보다도 우월하다. 벤치 프레스로 보조 없이 약 498.95kg를 기록했으며, 약 1.61km를 1분 이내로 달린 적이 있다.[22][23]

초인 병사 혈청은 그의 모든 신진대사 기능을 강화하고, 근육 내 피로 물질의 증가를 막으며, 알코올로 취할 수 없으며 많은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갖게 한다. "Streets of Poison"이라는 이야기에서는 그의 육체가 규칙적으로 초인 병사 혈청을 생성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준다.[24]

그는 추가적으로 뛰어난 전술가이자 야전 지휘관이며, 권투, 유도를 포함한 다양한 격투 스타일을 마스터했다. 캡틴 아메리카의 신체적 능력의 정확한 매개변수는 작가의 편집 지침과 예술적 허가에 따라 이야기마다 다르다.

캡틴 아메리카는 자신의 전용 무기인 원형의 대형 방패를 이용한 격투술에 능숙하며, 여러 무술(복싱, 유술, 합기도, 유도)을 습득하여, 자신만의 체술과 결합한 전투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때로는 힘과 크기, 다른 능력으로 그를 훨씬 능가하는 적과 맞서 싸워 이기기도 한다. 코믹스에서 그는 다른 숙련된 전사들로부터 마블 유니버스에서 가장 뛰어난 근접 전투의 달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25][26]

토르의 선택받은 자만이 들 수 있는 망치 "묠니르"를 여러 번 들어올린 적이 있으며, 이는 정신의 고결함을 증명한다.

3. 2. 장비

캡틴 아메리카의 주요 장비는 원형 방패이다. 파란색 원 안에 흰색 별이 있고 빨간색과 흰색 링으로 둘러싸인 디자인이다. 처음에는 ''Captain America Comics'' #1에서 삼각형 히터 실드로 등장했지만, ''Captain America Comics'' #2부터 MLJ 코믹스가 원래 디자인이 자사의 슈퍼히어로 더 쉴드의 가슴 엠블럼과 너무 유사하다는 불만을 제기하여 현재의 원형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이 방패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가공의 금속인 비브라늄과 아다만티움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묘사된다. 이 방패는 사실상 파괴할 수 없는 방어용 물체이자 고도로 공기역학적인 공격 무기로, 던져졌을 때 여러 표면에서 튕겨 나가 원래 던진 사람에게 되돌아올 수 있다.

캡틴 아메리카 의상의 기본적인 디자인은 1940년대의 초기 모습과 거의 일치한다. 조 사이먼이 디자인한 이 의상은 미국 국기를 기반으로 하며, 사이먼은 이 캐릭터의 외모를 "현대의 십자군"에 비유했다. 사슬 갑옷과 로마 신 머큐리를 참고하여 날개가 장식된 헬멧을 착용했다. 스티브 로저스는 다른 슈퍼히어로의 별칭을 사용했을 때 다른 의상을 착용했다. 노마드(Nomad)일 때는 도미노 마스크와 가슴과 배가 드러나는 검은색과 금색 수트를 입었고, 캡틴(The Captain)일 때는 캡틴 아메리카 수트를 변형하여 빨간색, 흰색, 검은색 디자인을 사용했다.

4. 조력자 및 파트너

캡틴 아메리카는 여러 조력자 및 파트너와 함께 활동해 왔다.


  • '''제임스 뷰캐넌 "버키" 반즈'''
  • 초대 버키. 캡틴 아메리카의 사이드킥(파트너)으로 활약했다. 스티브가 옷을 갈아입는 중에 우연히 텐트에 들어가 그의 정체를 알게 된 후, 캡틴 아메리카에게 직접 훈련을 받고 사이드킥 활동을 시작했다.
  • 1945년 캡틴 아메리카와 마찬가지로 북대서양에서 실종되었으나, 냉전 시대의 러시아 잠수함에 의해 발견되었다.
  • 기억을 잃은 채 서방을 증오하도록 세뇌되어 암살자 '''윈터 솔져'''로 암약했다. 이후 현실 개변 능력을 가진 아이템인 코즈믹 큐브에 의해 기억을 회복했다.
  • 2008년 『CAPTAIN AMERICA#34』에서 캡틴 아메리카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 '''리처드 "릭" 존스'''
  • 헐크의 초기 에피소드에 등장했다. 헐크가 유일하게 마음을 연 소년이었다.
  • 캡틴 아메리카가 헐크와 대치했을 때, 헐크를 진정시키기 위해 끼어들지만 위험한 순간에 캡틴 아메리카에게 구출되었다. 이를 계기로 버키로서 활동했다.
  • 레드 스컬로 변장한 가짜 캡틴 아메리카의 소행을 진짜 캡틴 아메리카의 행동으로 오해하여, 자신은 그에게 필요 없다고 생각하고 캡틴 아메리카 곁을 떠났다.
  • '''프레드 데이비스'''
  • 스피릿 오브 '76, 그리고 패트리어트가 캡틴 아메리카였던 시기의 버키. 원래는 뉴욕 양키스의 배트 보이였다.
  • '''잭 먼로'''
  • 1950년대의 캡틴 아메리카와 함께 활동한 버키. 후에 히어로 노마드(Nomad)로 독립했다.
  • '''샘 윌슨'''
  • 1969년 슈퍼히어로 팔콘으로 소개되어 캡틴 아메리카의 파트너가 되었다. 이로써 이들은 미국 코믹스에서 최초의 인종 간 슈퍼히어로 듀오가 되었다.[9]
  • 새와 소통하는 능력을 가졌다. 처음에는 할렘에 거주하는 전 사회복지사로 묘사되지만, 이 정체성은 레드 스컬에 의해 심어진 기억으로 밝혀졌다.
  • 이후 슈퍼히어로 블랙 팬서로부터 날 수 있게 해주는 날개 달린 슈트를 받았다.
  • '''골든 걸''' (베치 로스)
  • '''데몰리션 맨''' (데니스 던피)
  • '''잭 플래그''' (잭 해리슨)
  • '''프리 스피릿''' (캐시 웹스터)

5. 적

조 사이먼잭 커비가 창조한 캡틴 아메리카의 주된 숙적은 레드 스컬이다.[3] 레드 스컬은 나치즘을 대표하는 악당으로 묘사된다.[3] 캡틴 아메리카는 이념이나 정치적 형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슈퍼 빌런들과 대적해왔다.[3]

캡틴 아메리카의 적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왔다.

시기주요 적
1950년대공산주의 관련 적[3]
1960년대 중반나치 관련 적[3]
9/11 이후테러리스트 악당[3]



다음은 캡틴 아메리카와 대립하는 주요 악당들이다.


  • 서펀트 소사이어티: 노동 조합주의를 상징한다.[3]
  • 플래그 스매셔: 반민족주의를 상징한다.[3]
  • 바론 제모
  • 아르님 졸라
  • 바이퍼
  • 크로스본즈
  • 정복자 캉
  • 모독

6. 한국의 관점

캡틴 아메리카는 미국의 상징적인 영웅이지만, 한국의 독자들에게는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를 거치며 미국의 가치를 대표하는 인물로 인식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캡틴 아메리카의 애국심과 정의로움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미국의 패권주의나 일방주의적인 외교 정책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다.

진보 진영에서는 캡틴 아메리카가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불의에 맞서 싸우는 모습을 지지하지만, 보수 진영에서는 캡틴 아메리카가 미국의 국익을 우선시하는 모습을 강조할 수 있다. 캡틴 아메리카의 스토리는 미국의 역사와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화해왔기 때문에, 한국의 독자들은 이러한 맥락을 이해하고 캡틴 아메리카를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캡틴 아메리카가 히드라의 비밀 요원이었다는 설정은 한국의 독자들에게 큰 충격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판적인 해석이 필요할 수 있다.

캡틴 아메리카의 영화는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으며, 한국 영화 시장에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aptain America: J. Michael Straczynski Returns to Marvel For New Monthly Series https://www.ign.com/[...] 2023-06-06
[2] 서적 The Avengers, Vol 3. (Marvel Masterworks) Marvel Comics 2011
[3] 서적 Mark Gruenwald and the Star Spangled Symbolism of Captain America, 1985-1995 McFarland & Company 2021
[4] 뉴스 Chris Evans to play 'Captain America' https://variety.com/[...] 2011-04-25
[5] 웹사이트 Chris Evans To Helm '1:30 Train' Before Reprising Captain America In 'Avengers 2' https://deadline.com[...] 2013-08-01
[6] 웹사이트 Chris Hemsworth Reveals the 3 Marvel Movies Left on His Contract https://collider.com[...] 2015-04-14
[7] 웹사이트 カウボーイズとスーパーヒーローのコラボ商品登場 http://www.nfljapan.[...] NFL JAPAN 2011-07-22
[8] 간행물 Captain America vol. 2, #1-7 2002-06-01
[9] 만화 Captain America Marvel Comics 2004-11-01
[10] 만화
[11] 만화 2007-02-01
[12] 만화 2007-01-01
[13] 만화 Marvel Comics 2007-03-01
[14] 간행물 Punisher War Journal vol. 2, #11 2007-11-01
[15] 간행물 Fallen Son: The Death of Captain America #1-5 2007-06-01
[16] 간행물 Captain America vol. 5, #30 2007-09-01
[17] 간행물 Captain America vol. 5, #34 2008-01-01
[18] 간행물 Thor vol. 3, #11 2008-10-01
[19] 만화 2009-11-01
[20] 만화 2009-12-01
[21] 웹사이트 Storming Heaven: 'Siege' #4 http://www.comicbook[...] 2010-05-18
[22] 간행물 Captain America Vol. 1 #402 1992-07-01
[23] 간행물 Captain America 65th Anniversary Special 2006-05-01
[24] 간행물 Captain America #372-#378 1990-05-01
[25] 간행물 Captain America #302 1985-02-01
[26] 간행물 Captain America #375 1990-08-01
[27] 간행물 Captain America #303-304 1985-03-01
[28] 서적 Stan Lee's Amazing Marvel Universe Sterling Publishing, New York 2006
[29] 간행물 Cable and Deadpool #25
[30] 간행물 Captain America #255 1981-03-01
[31] 서적 비주얼 디렉셔너리 2019
[32] 서적 비주얼 디렉셔너리 2019
[33] 서적 비주얼 디렉셔너리 2019
[34] 서적 비주얼 디렉셔너리 2019
[35] 서적 비주얼 디렉셔너리 2019
[36] 서적 ビジュアル・ディクショナリー 2019
[37] 서적 キャラクター事典 2020
[38] 서적 ビジュアル・ディクショナリー 2019
[39] 간행물 アベンジャーズ/エンドゲーム 劇場用パンフレット
[40] 서적 ビジュアル・ディクショナリー 2019
[41] 웹사이트 「スーパー戦隊」や「トランスフォーマー」にも影響を与えていた!? 東映版『スパイダーマン』の知られざる功績 https://futaman.futa[...] 2021-09-29
[42] 웹사이트 Shocking event for Captain America http://www.cnn.com/2[...] CNN 2007-05-14
[43] 웹사이트 Captain America Is Dead; National Hero Since 1941 http://select.nytime[...] 뉴욕 타임즈 2007-05-14
[44] 만화책 Batman & Captain America #1 199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