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캬흐타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캬흐타어는 19세기 러시아와 중국의 무역 중심지였던 캬흐타에서 사용되었던 피진 언어이다. 이 언어는 러시아어와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음운론적으로 삽입음 사용, 자음 변화 등의 특징을 보인다. 어휘는 러시아어에서 주로 차용되었으며, 몽골어와 중국어에서 유래한 단어도 소수 존재한다. 문법적으로는 명사의 격, 수, 성이 없고 동사 시제와 목적어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무르주의 문화 - 에벤크어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와 중국에서는 각각 키릴 문자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 캬흐타 - 캬흐타 조약
    캬흐타 조약은 1728년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 간에 체결되어 양국 국경 확정, 무역 관계 규정, 외교적 교섭 방식 및 분쟁 해결 절차 등을 포함하며, 특히 캬흐타 무역 활성화와 베이징 러시아 종교 기관 설립을 통해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영향을 미쳤다.
  • 자바이칼 변경주의 문화 - 에벤크어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와 중국에서는 각각 키릴 문자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 자바이칼 변경주의 문화 - 함니간 몽골어
    함니간 몽골어는 몽골, 러시아, 중국에 걸쳐 캄니간족이 사용하는 몽골어의 한 종류로, 캄니간족의 이중 언어 사용에서 비롯되었으며, 몽골에서는 할하 몽골어에 동화되어 방언과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캬흐타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캬흐타어 (중국-러시아 혼합어)
지역러시아-중국 국경
소멸 시기20세기 초
추정 화자 수약 50명 (준-화자)
언어 계통피진
ISO 639-3없음
글롯토로그kjac1234 (Chinese Pidgin Russian)
IETFcrp-u-sd-rubu
1885년의 캬흐타 바자르
1885년의 캬흐타 바자르

2. 역사

2. 1. 형성 배경

2. 2. 사용 및 소멸

3. 음운론

캬흐타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2]

자음
colspan="2" |양순음순치음순치연구개음치음/경구개음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
파열음유성음bdk(kʰ)q
무성음p (pʰ)g
비음유성음mnɲŋ
전동음r
탄음/설전음ɾ
마찰음무성음ɸsʃxχ
유성음βvzʒ
파찰음무성음ts
유성음dz
접근음wlj



캬흐타어는 중국어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음운론적 변화를 겪었다. 중국어에는 자음군이 없고 러시아어에는 자음군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캬흐타어에서는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 삽입음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3] 예를 들어, 러시아어 'прошу' (프로슈/ˈproʂʊru)는 캬흐타어에서 포로슈/poˈroʂʊru로, 'солнце' (손체/ˈsont͡sɨru)는 솔레니치/ˈsoleːnɨt͡sɨru로, 'шампанское' (샴판스코예/ʂɐmˈpanskəjəru)는 샴파네시키/ʂɐmˈpanɛːsɨkɪru로 변화한다.

또한, 몇몇 단어에서는 파열음 d, t와 파찰음 ts가 마찰음 z로 변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спереди' (스페레디/ˈspʲerʲɪdʲɪru)는 캬흐타어에서 폐랴자/ˈpjerjzaru로, 'халат' (할라트/xɐˈlatru)는 할라자/xɐˈlazaru로, 'поклониться' (파클라니차/pəklɐˈnʲit͡səru)는 퍼컬러니자/pəkələˈnizaru로 변화한다.

캬흐타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2]


3. 1. 자음

캬흐타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2]

자음
colspan="2" |양순음순치음순치연구개음치음/경구개음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
파열음유성음bdk(kʰ)q
무성음p (pʰ)g
비음유성음mnɲŋ
전동음r
탄음/설전음ɾ
마찰음무성음ɸsʃxχ
유성음βvzʒ
파찰음무성음ts
유성음dz
접근음wlj



캬흐타어는 중국어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음운론적 변화를 겪었다. 중국어에는 자음군이 없고 러시아어에는 자음군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캬흐타어에서는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 삽입음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3] 예를 들어, 러시아어 'прошу' (프로슈/ˈproʂʊru)는 캬흐타어에서 포로슈/poˈroʂʊru로, 'солнце' (손체/ˈsont͡sɨru)는 솔레니치/ˈsoleːnɨt͡sɨru로, 'шампанское' (샴판스코예/ʂɐmˈpanskəjəru)는 샴파네시키/ʂɐmˈpanɛːsɨkɪru로 변화한다.

또한, 몇몇 단어에서는 파열음 d, t와 파찰음 ts가 마찰음 z로 변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спереди' (스페레디/ˈspʲerʲɪdʲɪru)는 캬흐타어에서 폐랴자/ˈpjerjzaru로, 'халат' (할라트/xɐˈlatru)는 할라자/xɐˈlazaru로, 'поклониться' (파클라니차/pəklɐˈnʲit͡səru)는 퍼컬러니자/pəkələˈnizaru로 변화한다.

3. 2. 모음

캬흐타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2]


4. 어휘

캬흐타어의 단어 대부분은 러시아어에서 유래했다.[4] воля ("의지"), люди ("사람"), мало ("조금"), надо ("필요하다"), рубаха ("셔츠"), сюда ("이리로"), чужой ("낯선"), шуба ("모피 코트") 등 자음군이 없는 단어들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4]

일반적으로 피진은 문법과 어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단어는 종종 추가적인 의미를 가지고 차용된다.[4] 예를 들어, 캬흐타어에서 мало는 "조금"이라는 의미 외에도 "뿐만 아니라"라는 의미로 사용된다.[4] посиди는 "앉다"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대화하다"라는 의미도 지닌다.[4] месяцаcrp-Cyrl-RU는 러시아어에서는 "달"을 의미하지만, 캬흐타어에서는 "영원히"를 의미한다.[4]

단어의 구어적인 기원은 매우 두드러진다. 많은 단어들이 축소형으로만 존재한다. женушекиcrp-Cyrl-RU ("여자")는 жена ("아내")의 축소형인 러시아어 женушкаru에서, рюмашекаcrp-Cyrl-RU ("술잔")는 рюмка의 축소형인 러시아어 ''рюмашка''에서, беленекиcrp-Cyrl-RU ("하얀")는 белый의 축소형인 러시아어 ''беленький''에서 유래되었다.[4]

러시아어가 어휘의 주요 원천이지만, адалиcrp-Cyrl-RU ("정확히"), бичихуcrp-Cyrl-RU ("쓰다")와 같이 몽골어에서 차용된 단어도 있다.[4] 하지만 몽골어의 영향은 미미하다.[4]

중국어에서 온 중요한 단어는 "가게, 상점"을 의미하는 фузаcrp-Cyrl-RU ()이다.[4] 그 외에도 캬흐타어에는 중국어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는 몇 가지 새로운 합성어가 있다.[4] ума-конейчайлоcrp-Cyrl-RU ("광기")는 러시아어 ''сумашествие'' 대신 사용되었고, середеце-шилоcrp-Cyrl-RU ("냉혹함", 직역하면 "마음-송곳")는 러시아어 ''жестокосердие'' 대신 사용되었으며, языка-медаcrp-Cyrl-RU ("웅변", 직역하면 "혀-꿀")는 러시아어 красноречие 대신 사용되었다.[4]

4. 1. 러시아어 차용어

캬흐타어의 단어 대부분은 러시아어에서 유래했다.[4] воля ("의지"), люди ("사람"), мало ("조금"), надо ("필요하다"), рубаха ("셔츠"), сюда ("이리로"), чужой ("낯선"), шуба ("모피 코트") 등 자음군이 없는 단어들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4]

일반적으로 피진은 문법과 어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단어는 종종 추가적인 의미를 가지고 차용된다.[4] 예를 들어, 캬흐타어에서 мало는 "조금"이라는 의미 외에도 "뿐만 아니라"라는 의미로 사용된다.[4] посиди는 "앉다"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대화하다"라는 의미도 지닌다.[4] месяцаcrp-Cyrl-RU는 러시아어에서는 "달"을 의미하지만, 캬흐타어에서는 "영원히"를 의미한다.[4]

많은 단어들이 축소형으로만 존재한다. женушекиcrp-Cyrl-RU ("여자")는 жена ("아내")의 축소형인 러시아어 женушкаru에서, рюмашекаcrp-Cyrl-RU ("술잔")는 рюмка의 축소형인 러시아어 ''рюмашка''에서, беленекиcrp-Cyrl-RU ("하얀")는 белый의 축소형인 러시아어 ''беленький''에서 유래되었다.[4]

러시아어가 어휘의 주요 원천이지만, адалиcrp-Cyrl-RU ("정확히"), бичихуcrp-Cyrl-RU ("쓰다")와 같이 몽골어에서 차용된 단어도 있다.[4] 하지만 몽골어의 영향은 미미하다.[4]

중국어에서 온 중요한 단어는 "가게, 상점"을 의미하는 фузаcrp-Cyrl-RU ()이다.[4] 그 외에도 캬흐타어에는 중국어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는 몇 가지 새로운 합성어가 있다.[4] ума-конейчайлоcrp-Cyrl-RU ("광기")는 러시아어 ''сумашествие'' 대신 사용되었고, середеце-шилоcrp-Cyrl-RU ("냉혹함", 직역하면 "마음-송곳")는 러시아어 ''жестокосердие'' 대신 사용되었으며, языка-медаcrp-Cyrl-RU ("웅변", 직역하면 "혀-꿀")는 러시아어 красноречие 대신 사용되었다.[4]

4. 2. 몽골어 및 중국어 차용어

캬흐타어 어휘의 주요 원천은 러시아어이지만, 몽골어에서 차용된 단어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адалиcrp-Cyrl-RU ("정확히"), бичихуcrp-Cyrl-RU ("쓰다") 등이 몽골어에서 유래했다.[4] 하지만 몽골어의 영향은 미미하다.

중국어에서 유래한 대표적인 단어는 фузаcrp-Cyrl-RU ()로, "가게, 상점"을 의미한다.[4] 이 외에도 캬흐타어에는 중국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합성어들이 있다. 예를 들어 ума-конейчайлоcrp-Cyrl-RU ("광기"), середеце-шилоcrp-Cyrl-RU ("냉혹함", 직역하면 "마음-송곳"), языка-медаcrp-Cyrl-RU ("웅변", 직역하면 "혀-꿀")와 같은 단어들이 러시아어 단어를 대체하여 사용되었다.[4]

4. 3. 기타 특징

캬흐타어에는 중국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는 몇 가지 새로운 합성어가 존재한다.[4]

  • 우마-코네이차일로/ума-конейчайлоcrp-Cyrl-RU ("광기"): 러시아어 "마음의 끝"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러시아어 ''сумашествие''를 대체한다.
  • 세레데체-실로/середеце-шилоcrp-Cyrl-RU ("냉혹함", 직역: "마음-송곳"): 러시아어 ''жестокосердие''를 대체한다.
  • 야지카-메다/языка-медаcrp-Cyrl-RU ("웅변", 직역: "혀-꿀"): 러시아어 ''красноречие''를 대체한다.

5. 문법

대부분의 피진과 마찬가지로 캬흐타어는 많은 형태 범주가 부족하다. 명사의 격, 수, 성이 없다.[3]

일반적으로 러시아 피진은 동사 지표가 명확한 경향이 있다. 다른 시베리아 피진과 마찬가지로 캬흐타 피진의 대부분의 동사에는 -j/-i로 끝난다: 볼레이/болейcrp-Cyrl-RU ("아프다"), 비고니/выгониcrp-Cyrl-RU ("내쫓다"), 자호로니/захорониcrp-Cyrl-RU ("묻다"), 고냐이/гоняйcrp-Cyrl-RU ("몰다"), 네즈나이/незнайcrp-Cyrl-RU ("알지 못하다"), 루가이/ругайcrp-Cyrl-RU ("꾸짖다"), 사디/садиcrp-Cyrl-RU' ("앉히다"). 이 어미는 동사를 러시아어 동사의 명령형과 유사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볼레이/болейcrp-Cyrl-RU는 러시아어 동사 ''[https://ru.wiktionary.org/wiki/%D0%B1%D0%BE%D0%BB%D0%B5%D1%82%D1%8C болеть]'' ("아프다")이지만 명령법이다. 러시아인들이 상대방에게 말을 걸 때 이러한 형태가 우세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3]

피진의 후기 단계에서는 동사 시제 지표가 나타난다. 빌로/былоcrp-Cyrl-RU는 과거 시제를 나타내고, 부두/будуcrp-Cyrl-RU는 미래 시제를 나타내며, 예사/есаcrp-Cyrl-RU는 현재 시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포굴리 빌로/погули былоcrp-Cyrl-RU는 "걸었다"를 의미하고, 포굴리 예사/погули есаcrp-Cyrl-RU는 "걷고 있다"를 의미하며, 포굴리 부두/погули будуcrp-Cyrl-RU는 "걸을 것이다"를 의미한다.[3]

목적어는 많은 의미적 속성을 가진 러시아어 전치사 자/заcrp-Cyrl-RU로 식별된다. 이는 캬흐타 피진에 존재하는 유일한 전치사이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된다. 자 나샤 포호디/за наша походиcrp-Cyrl-RU는 "우리에게 오세요"를 의미하고(정규 러시아어로는 ''приходи к нам''), 자 나샤 푸자/за наша фузаcrp-Cyrl-RU는 "우리 가게에서"를 의미한다(정규 러시아어로는 ''в нашем магазине'').[3]

러시아 대명사는 전적으로 소유격 형태로 피진에 들어왔다. 모야/мояcrp-Cyrl-RU ("나")는 러시아어로 "나의"를 의미하고, 트보야/твояcrp-Cyrl-RU ("너")는 러시아어로 "너의"를 의미하며, 예보/евоcrp-Cyrl-RU ("그")는 러시아어 예보/егоcrp-Cyrl-RU에서 유래하며, 이는 러시아어로 "그의"를 의미한다. 이 특징은 노르웨이어-러시아어 피진인 러시아노르스크어와 공유된다. 대명사의 모든 격변화는 이미 언급된 자/заcrp-Cyrl-RU로 형성된다: 자 모야/за-мояcrp-Cyrl-RU, 자 트보야/за-твояcrp-Cyrl-RU, 자 예보/за-евоcrp-Cyrl-RU.[3]

5. 1. 형태론적 특징

캬흐타어는 대부분의 피진과 마찬가지로 많은 형태 범주가 부족하다. 명사의 격, 수, 성이 없다.[3]

일반적으로 러시아 피진은 동사 지표가 명확한 경향이 있다. 다른 시베리아 피진과 마찬가지로 캬흐타 피진의 대부분의 동사에는 -j/-i로 끝난다: 볼레이/болейcrp-Cyrl-RU ("아프다"), 비고니/выгониcrp-Cyrl-RU ("내쫓다"), 자호로니/захорониcrp-Cyrl-RU ("묻다"), 고냐이/гоняйcrp-Cyrl-RU ("몰다"), 네즈나이/незнайcrp-Cyrl-RU ("알지 못하다"), 루가이/ругайcrp-Cyrl-RU ("꾸짖다"), 사디/садиcrp-Cyrl-RU' ("앉히다"). 이 어미는 동사를 러시아 동사의 명령형과 유사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볼레이/болейcrp-Cyrl-RU는 러시아어 동사 ''[https://ru.wiktionary.org/wiki/%D0%B1%D0%BE%D0%BB%D0%B5%D1%82%D1%8C болеть]'' ("아프다")이지만 명령법이다. 러시아인들이 상대방에게 말을 걸 때 이러한 형태가 우세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3]

피진의 후기 단계에서는 동사 시제 지표가 나타난다. 빌로/былоcrp-Cyrl-RU는 과거 시제를 나타내고, 부두/будуcrp-Cyrl-RU는 미래 시제를 나타내며, 예사/есаcrp-Cyrl-RU는 현재 시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포굴리 빌로/погули былоcrp-Cyrl-RU는 "걸었다"를 의미하고, 포굴리 예사/погули есаcrp-Cyrl-RU는 "걷고 있다"를 의미하며, 포굴리 부두/погули будуcrp-Cyrl-RU는 "걸을 것이다"를 의미한다.[3]

목적어는 많은 의미적 속성을 가진 러시아어 전치사 자/заcrp-Cyrl-RU로 식별된다. 이는 캬흐타 피진에 존재하는 유일한 전치사이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된다. 자 나샤 포호디/за наша походиcrp-Cyrl-RU는 "우리에게 오세요"를 의미하고(정규 러시아어로는 ''приходи к нам''), 자 나샤 푸자/за наша фузаcrp-Cyrl-RU는 "우리 가게에서"를 의미한다(정규 러시아어로는 ''в нашем магазине'').[3]

러시아 대명사는 전적으로 소유격 형태로 피진에 들어왔다. 모야/мояcrp-Cyrl-RU ("나")는 러시아어로 "나의"를 의미하고, 트보야/твояcrp-Cyrl-RU ("너")는 러시아어로 "너의"를 의미하며, 예보/евоcrp-Cyrl-RU ("그")는 러시아어 예보/егоcrp-Cyrl-RU에서 유래하며, 이는 러시아어로 "그의"를 의미한다. 이 특징은 노르웨이어-러시아어 피진인 러시아노르스크어와 공유된다. 대명사의 모든 격변화는 이미 언급된 자/заcrp-Cyrl-RU로 형성된다: 자 모야/за-мояcrp-Cyrl-RU, 자 트보야/за-твояcrp-Cyrl-RU, 자 예보/за-евоcrp-Cyrl-RU.[3]

5. 2. 동사

캬흐타어는 대부분의 피진과 마찬가지로 동사 지표가 명확한 경향이 있다. 다른 시베리아 피진과 같이 캬흐타 피진의 대부분의 동사는 '-j/-i'로 끝난다. 예를 들어 'болей' (보레이) ("아프다"), 'выгони' (브이고니) ("내쫓다"), 'захорони' (자호로니) ("묻다"), 'гоняй' (고냐이) ("몰다"), 'незнай' (네즈나이) ("알지 못하다"), 'ругай' (루가이) ("꾸짖다"), 'сади' (사지) ("앉히다") 등이 있다.[3] 이 어미는 동사를 러시아어 동사의 명령형과 유사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болей' (보레이)는 러시아어 동사 '[https://ru.wiktionary.org/wiki/%D0%B1%D0%BE%D0%BB%D0%B5%D1%82%D1%8C болеть]' ("아프다")의 명령형이다. 이는 러시아인들이 상대방에게 말을 걸 때 이러한 형태가 우세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게 한다.[3]

피진의 후기 단계에서는 동사 시제 지표가 나타난다. 'было' (븰로)는 과거 시제를, 'буду' (부두)는 미래 시제를, 'еса' (예사)는 현재 시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погули было' (포굴리 븰로)는 "걸었다", 'погули еса' (포굴리 예사)는 "걷고 있다", 'погули буду' (포굴리 부두)는 "걸을 것이다"를 의미한다.[3]

5. 3. 전치사 'за'

캬흐타어에는 러시아어 전치사 자/заcrp-Cyrl-RU가 유일하게 존재하며, 목적어를 나타내는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3] 예를 들어, "자 나샤 포호디/за наша походиcrp-Cyrl-RU"는 "우리에게 오세요"를 의미하고(정규 러시아어로는 ''приходи к нам''), "자 나샤 푸자/за наша фузаcrp-Cyrl-RU"는 "우리 가게에서"를 의미한다(정규 러시아어로는 ''в нашем магазине'').[3]

러시아 대명사는 전적으로 소유격 형태로 캬흐타어에 들어왔다.[3] 모야/мояcrp-Cyrl-RU ("나")는 러시아어로 "나의"를 의미하고, 트보야/твояcrp-Cyrl-RU ("너")는 러시아어로 "너의"를 의미하며, 예보/евоcrp-Cyrl-RU ("그")는 러시아어 예보/егоcrp-Cyrl-RU에서 유래하며, 이는 러시아어로 "그의"를 의미한다.[3] 이 특징은 러시아노르스크어와 공유된다.[3] 대명사의 모든 격변화는 자/заcrp-Cyrl-RU로 형성된다: 자 모야/за-мояcrp-Cyrl-RU, 자 트보야/за-твояcrp-Cyrl-RU, 자 예보/за-евоcrp-Cyrl-RU.[3]

5. 4. 대명사

캬흐타어 대명사는 러시아어 소유격 형태(моя, твоя, ево)로 사용된다.[3] моя는 러시아어로 "나의"를, твоя는 "너의"를, ево는 "그의"를 의미하는 러시아어 его에서 유래했다.[3] 이러한 특징은 러시아노르스크어와 공유된다.[3] 대명사의 격변화는 전치사 за를 사용하여 за-моя, за-твоя, за-ево 형태로 나타난다.[3] 예를 들어 за наша походи는 "우리에게 오세요"를, за наша фуза는 "우리 가게에서"를 의미한다.

6. 예시 텍스트

러시아-중국 삐진[2]영어[2]
Xeczu familii chiwo-chiwo kupi-la, kurica jajcy kupi-la, butyka apuskaj-la. Eta mamyka serdica iwo kurica jajcy eta lamaj. Gawari: “Ni-nada butyka pusykaj jajcy, pyrawina pusykaj chachyka”. Xeczu lisa kupi-la, lisa kupi-la, chachyka pusykaj-la, lisa puloba-la.Xeczu라는 사람은 무엇인가를 샀고, 그는 달걀을 사서 병에 넣었다. 그의 어머니는 화가 났는데, 왜냐하면 모든 달걀이 깨졌기 때문이다. 그녀는 말했다: "너는 달걀을 병에 넣어서는 안 돼; 너는 달걀을 바구니에 넣었어야 했어". Xeczu는 쌀을 샀고, 쌀을 사서 바구니에 넣었지만, 모든 쌀이 쏟아졌다.


참조

[1]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Volume 2, Part 1. (Volume 13 of Trends in Linguistics, Documentation Seri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 학술지 Chinese Pidgin Russian https://www.academia[...] 2013-01-01
[3] 학술지 Кяхтинское китайское наречие русского языка http://feb-web.ru/fe[...] 1853-01-01
[4] 웹사이트 Лексика Кяхтинского Пиджина http://www.philo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