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딱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딱지는 코 안에서 굳어진 분비물로, 한국에서는 공식적인 용어가 없거나 "코딱지" 자체가 공식 용어로 사용된다. 색깔은 흰색 또는 노란색이 일반적이며, 감기, 흡연, 출혈 등으로 인해 변색될 수 있다. 제거는 코를 후비는 행위를 통해 이루어지며, 손가락 대신 화장지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코딱지 섭취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면역계에 이로울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속담이나 문화적 맥락에서도 언급되며, 교토부의 절에서는 "부처님 코딱지"로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딱지 | |
|---|---|
| 코딱지 | |
|  | |
| 개요 | |
| 정의 | 코 안의 콧물, 먼지 등이 말라 굳어진 것 | 
| 의학적 명칭 | 비지(鼻脂), 비후(鼻垢) | 
| 영어 | nasal mucus, dried nasal mucus, booger(s), bogey(s), snot | 
| 일본어 | 鼻糞(はなくそ) (hanakuso) | 
| 원인 | |
| 주 원인 | 코 안의 콧물, 먼지, 꽃가루, 세균 등이 섞여 마르면서 생김. 건조한 환경은 코딱지 생성을 가속화함. | 
| 기타 요인 | 비염 등으로 인해 콧물 양이 증가하면 코딱지 생성이 증가할 수 있음. 코를 자주 후비는 습관은 코 점막을 손상시켜 코딱지 생성을 유발할 수 있음. | 
| 영향 | |
| 긍정적 영향 | 코 안의 유해 물질을 걸러내는 역할 코 점막 보호 | 
| 부정적 영향 | 코막힘 유발 심한 경우 코피 유발 미관상 좋지 않음 | 
| 제거 방법 | |
| 일반적인 방법 | 코를 풀거나, 면봉, 티슈 등으로 제거 코 세척을 통해 제거 | 
| 주의사항 | 손으로 코를 후비는 것은 감염 위험을 높이므로 자제 무리하게 코딱지를 제거하면 코 점막 손상 및 코피 유발 가능성 | 
| 기타 | |
| 식용 여부 | 식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문화권에서는 섭취하기도 함. | 
| 관련 속담 | 제 코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 
2. 명칭
눈곱(눈에 낀 먼지)은 안지(눈지), 귀지(귀에 있는 먼지)는 이구(귀지), 치태(이에 낀 찌꺼기)는 치태(치석)라고 부르는 것이 공식 용어이지만, 코딱지에는 공식 용어가 없거나, "코딱지" 자체가 공식 용어로 간주된다.[1] 똥이라는 단어를 꺼려하여, '''비구(鼻垢)''' 등을 공식 용어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일반적인 코딱지는 흰색 또는 노란색을 띤다. 감기에 걸렸을 때는 백혈구가 바이러스와 싸우다 죽은 잔해가 섞여 노란색을 띨 수 있다. 짙은 녹색을 띠는 경우는 호중구의 과산화효소가 생산된 증거이므로, 염증을 의심할 수 있다. 흡연자의 경우 담배 연기로 인해 검게 변색될 수 있으며, 피가 섞여도 검게 변색된다.[1] 
코 안에 손가락(또는 면봉)을 넣어 코딱지를 제거하는 행위를 "코를 후비는 행위"라고 한다. 코를 풀 때 코딱지가 나오기도 하며, 콧털과 함께 나오는 경우도 있다. 
스테판 게이츠는 그의 책 《Gastronaut》에서 마른 코딱지를 먹는 것에 대해 언급하며, 질문을 받은 사람들 중 44%가 성인이 되어 마른 코딱지를 먹었고 이를 좋아했다고 한다.[2] 코딱지가 공기에 떠다니는 오염물질들을 걸러내기 때문에 코딱지를 먹는 행위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있을 수 있다. 게이츠는 "우리의 몸은 코딱지를 소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평했는데, 그 이유는 코딱지는 일반적으로 섬모의 움직임에 의해 안으로 이동된 다음 삼켜지기 때문이다.[2] 인스브루크의 Privatklinik Hochrum의 기도학자 Friedrich Bischinger는[3] 코파기와 코딱지를 먹는 것이 실제로 면역계에 이로울 수 있다고 언급한다.[4][5] 
"눈곱 묻은 눈이 코 묻은 눈을 비웃는다"는 속담은, 비슷한 결점을 가진 사람들끼리 자기는 생각하지 않고 상대방을 비웃는 모습을 가리킨다. 교토부의 일부 절에서는, 석가의 열반재 즈음에 경단을 깨서 아라레(과자)로 만든 화공증을 1년 동안 무병무탈을 기원하며 참배객에게 나눠주는데, 동음이의어라는 점에서 옛날부터 "부처님 코딱지"로 친근하게 불리고 있다. 
[1] 
논문
 
気管支ファイバースコープによる挿管の工夫
 
https://doi.org/10.2[...] 
日本臨床麻酔学会
 
2005
 
 
                        
도호쿠 방언 등 일부 방언에서는 '''코코비'''(코의 때라는 뜻)라고도 불린다.
3. 색
4. 제거
코딱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코의 점막에 상처가 생겨 코피가 나는 경우가 있다. 손가락으로 코딱지를 제거하면 코피나 코의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전문가는 손가락 대신 화장지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다만, 손가락으로 코딱지를 제거해도 후각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냄새를 감지하는 후상피가 있는 비강 상부까지 손가락이 닿지 않기 때문이다.
5. 섭취
6. 기타
참조
[1] 
논문
 
新生児・乳児の鼻閉
 
https://doi.org/10.5[...] 
耳鼻咽喉科臨床学会
 
1997
 
[2] 
서적
 
Gastronaut: Adventures in Food for the Romantic, the Foolhardy, and the Brave
 
https://books.google[...] 
[3] 
웹인용
 
Dr. Bischinger Friedrich: Lungenkrankheiten
 
http://www.privatkli[...] 
Privatklinik Hochrum
 
2008-12-07
 
[4] 
뉴스
 
Top doc backs picking your nose and eating it
 
http://www.ananova.c[...] 
Ananova
 
2008-12-07
 
[5] 
서적
 
Gesundheit kennt keine Tabus
 
Südwest
 
2008-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