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모도어 레코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모도어 레코드는 1938년 밀트 개블러가 설립한 미국의 재즈 음반사이다. 딕실랜드와 스윙 음악을 주로 발매했으며, 빌리 홀리데이의 〈스트레인지 프루트〉가 대표적인 히트곡이다.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전성기를 누렸으며, 1950년대 중반 활동을 중단했다. 이후 데카 레코드 산하로 편입되었고, 여러 차례 인수 합병을 거쳐 현재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의 버브 레코드 계열에 속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폐지 -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인민유격대는 한국 전쟁 전후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공산주의 계열 유격 부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아 지리산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토벌 작전과 민심 이반으로 소멸되었다.
  • 1954년 폐지 -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립 K. 리글리가 창설한 미국 최초의 여자 프로 야구 리그로, 소프트볼과 야구의 혼합 형태, 독특한 유니폼, 여성스러움 강조 홍보로 알려졌으며, 1940년대 중반 전성기를 누렸으나 전쟁 후 재정난으로 1954년 해체되었고 영화 《그들만의 리그》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 재즈 음반사 - 체스 레코드
    체스 레코드는 1947년 미국에서 설립되어 머디 워터스, 척 베리 등 블루스, 로큰롤, 재즈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롤링 스톤스 등이 앨범을 제작한 음반사이며, 1975년 활동을 중단하고 현재는 유니버설 뮤직 그룹이 음원 권리를 소유하고 있다.
  • 재즈 음반사 - 빅터 토킹 머신 컴퍼니
    빅터 토킹 머신 컴퍼니는 엘드리지 R. 존슨이 1901년에 설립한 미국의 축음기 및 음반 회사로, 혁신적인 기술과 음악을 통해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웨스턴 일렉트릭의 전기 녹음 시스템 도입으로 음질을 혁신했고, RCA에 인수된 후 "주인의 목소리" 로고와 빅토롤라 축음기로 유명해졌다.
  • 1938년 설립 - 허시 베어스
    허시 베어스는 초콜릿 제조업체 밀턴 허시가 설립한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프로 아이스하키팀 중 하나로, 1932년 창단되어 13회의 캘더컵 우승을 기록했으며 현재는 워싱턴 캐피털스의 AHL 제휴팀으로 활동하고 있다.
  • 1938년 설립 - 공주교육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는 1938년 공주여자사범학교로 시작하여 초등교사 양성을 목표로 12개의 학부 과정을 운영하며, 교육대학원 및 국제 교류를 실시한다.
코모도어 레코드
기본 정보
이름코모도어 레코드
원어 이름Commodore Records
위치뉴욕
장르재즈
설립1938년
설립자미ルト 게이블러
폐쇄1954년
상태폐쇄
코모도어 레코드 레이블
코모도어 레코드 레이블, 빌리 홀리데이의 "Strange Fruit" (1939년)

2. 역사

밀트 개블러는 1938년 봄에 코모도어 레코드를 설립하였다.[1] 그는 1926년에 맨해튼의 42번가에 코모도어 뮤직 샵을 설립했으며, 1938년부터 1941년까지 52번가에 지점을 두었다.[2]

코모도어 레코드는 딕실랜드 음악과 스윙 음악 음반을 발매하였고, 빌리 홀리데이의 〈스트레인지 프루트〉가 1939년 차트 16위에 오르며 가장 큰 히트를 기록했다. 1939년부터 1946년까지가 전성기였으며, 여러 유명 음악가들이 레이블에 소속되어 있었다.[6]

개블러는 여러 회사와 협력하여 음반을 제작했으며, 1960년대 초에는 과거 코모도어 음반을 모아 재발매하기도 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코모도어의 모든 녹음이 박스 세트로 발매되었다.[5][1]

개블러의 조카인 빌리 크리스탈은 삼촌에게 헌정하는 앨범을 발매하기도 했다.[7]

2. 1. 설립 초기 (1938년 ~ 1940년대 중반)

밀트 개블러, 허비 힐, 루 블럼, 잭 크리스탈의 모습. 1947년 촬영


코모도어 레코드는 1938년 봄 할렘 출신의 밀트 개블러가 세웠다.[8] 개블러는 1926년 맨해튼 42번가에서 코모도어 뮤직 샵을 설립했으며 1938년부터 1941년까지는 52번가로 자리를 옮기기도 했다.[9]

코모도어는 딕실랜드 음악(에디 콘던, 와일드 빌 데이비슨)과 스윙(콜먼 호킨스, 얼 하인즈) 음반을 발매했다.[10] 코모도어에서 나온 작품 중 가장 유명한 노래는 빌리 홀리데이의 〈스트레인지 프루트〉로 1939년 7월 22일자 차트에서 16위를 기록했다.[11] 이 레이블은 1939년부터 1946년까지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으며,[12] 버드 프리맨, 바비 해킷, 에드먼드 홀, 핫 립스 페이지, 피위 러셀, 윌리 "더 라이언" 스미스, 머그시 스패니에, 아트 테이텀, 팻스 월러, 리 와일리 등이 소속되어 있었다.[13]

개블러는 아메리칸 레코드 코퍼레이션(ARC)과의 녹음 및 프레싱을 주선하였고,[8] 그 후에는 리브스 트랜스크립션 서비스와 데카 레코드와 주로 협력했다.

2. 2. 활동 중단과 재기 (1950년대 ~ 1980년대)

개블러는 아메리칸 레코드 코퍼레이션(ARC)에서 녹음 및 프레싱을 주선했고,[8] 그 후에는 리브스 트랜스크립션 서비스와 데카 레코드와 주로 협력했다. 1950년대 중반 코모도어 레코드는 활동을 중단했고, 개블러는 데카 레코드로 이적하여 코모도어는 데카 산하로 편입되었다. 1960년대 초, 개블러는 코모도어 레코드에서 나온 음반을 모아 메인스트림 레코드에서 발매하였다.[1] 1980년대 후반, 모자이크 레코드에서는 코모도어 레코드에서 나온 전 음반을 박스 세트로 발매했다.[12][8]

2. 3. 유니버설 뮤직 그룹 산하 (1990년대 이후)

1962년 데카는 MCA 레코드에 인수되었다.[2] 1995년 모회사 MCA는 씨그램에 인수되었고, 이듬해 유니버설 뮤직으로 개명했다.[2] 1998년 씨그램은 폴리그램을 인수하여 유니버설 뮤직에 통합했고, 이에 따라 데카의 재즈 부문을 포함한 씨그램(MCA) 계열의 재즈 레이블은 버브 레코드 계열로 편입되었다. 이듬해 1월 버브 레코드는 버브 뮤직 그룹으로 중추가 되었고, 코모도어는 이 일부가 되었다.[2]

3. 주요 아티스트

코모도어 레코드에서 활동한 주요 재즈 아티스트는 다음과 같다.

3. 1. 딕실랜드

코모도어는 에디 콘던, 와일드 빌 데이비슨의 딕실랜드 음악과 콜먼 호킨스, 얼 하인즈의 스윙 음반을 발매했다.[10]

3. 2. 스윙

코모도어 레코드는 딕실랜드 음악 (에디 콘던, 와일드 빌 데이비슨)과 스윙 (콜먼 호킨스, 얼 하인즈) 음반을 발매했다.[10] 코모도어에서 나온 작품 중 가장 유명한 노래는 빌리 홀리데이의 〈스트레인지 프루트〉로 1939년 7월 22일자 차트에서 16위를 기록했다.[11] 팻츠 월러, 레스터 영 또한 코모도어 레코드의 소속이었다.[13][6]

3. 3. 그 외

코모도어 레코드에는 버드 프리맨, 바비 해킷, 에드먼드 홀, 핫 립스 페이지, 피 위 러셀, 윌리 "더 라이언" 스미스, 머그시 스패니어, 아트 테이텀, 패츠 월러, 리 와일리, 추 베리, 잭 티가든 등이 소속되어 있었다.[13][6]

4. 밀트 개블러와 코모도어 레코드



밀트 개블러는 1938년 봄, 코모도어 레코드를 설립했다.[8] 1926년 맨해튼 42번가에 코모도어 뮤직 샵을 설립했으며, 1938년부터 1941년까지는 52번가에 지점을 두었다.[9]

코모도어 레코드는 딕실랜드 음악 (\에디 콘던, 와일드 빌 데이비슨)과 스윙 (콜먼 호킨스, 얼 하인즈) 음반을 발매했다.[10] 코모도어에서 나온 작품 중 가장 유명한 노래는 빌리 홀리데이의 〈스트레인지 프루트〉로, 1939년 7월 22일자 차트에서 16위를 기록했다.[11] 이 레이블은 1939년부터 1946년까지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으며,[12] 버드 프리맨, 바비 하켓, 에드먼드 홀, 핫 립스 페이지, 피 위 러셀, 윌리 "더 라이언" 스미스, 머그시 스페니어, 아트 테이텀, 패츠 월러, 리 와일리 등이 소속되어 있었다.[13]

개블러는 아메리칸 레코드 코퍼레이션(ARC)에서 녹음 및 프레싱을 주선했고, 그 후에는 리브스 트랜스크립션 서비스와 데카 레코드와 주로 협력했다. 1960년대 초, 개블러는 코모도어 레코드에서 나온 음반을 모아 메인스트림 레코드에서 발매하였다.[1] 1980년대 후반, 모자이크 레코드에서는 코모도어 레코드에서 나온 전 음반을 박스 세트로 발매했다.[12][8]

개블러의 조카였던 빌리 크리스털은 삼촌에게 헌정하는 《Billy Crystal Presents: The Milt Gabler Story》를 발매하였다.[14]

참조

[1]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Jazz Grove's Dictionaries 2002
[2] 서적 The Guinness Jazz Companion Guinness Publishing 1989
[3] 웹사이트 Commodore Numerical Listings http://www.78discogr[...] 2018-02-27
[4] 웹사이트 "Strange Fruit" 1939 http://www.pophistor[...] 2018-02-27
[5] 서적 All Music Guide to Jazz Miller Freeman Books 1998
[6] 웹사이트 Riverwalk Jazz - Stanford University Libraries http://riverwalkjazz[...] 2019-08-01
[7] 웹사이트 Billy Crystal: My Uncle Milt https://www.npr.org/[...] 2005-04-15
[8]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Jazz Grove's Dictionaries 2002
[9] 서적 The Guinness Jazz Companion Guinness Publishing 1989
[10] 웹인용 Commodore Numerical Listings http://www.78discogr[...] 2018-02-27
[11] 웹인용 "Strange Fruit" 1939 http://www.pophistor[...] 2018-02-27
[12] 서적 All Music Guide to Jazz Miller Freeman Books 1998
[13] 웹인용 Riverwalk Jazz - Stanford University Libraries http://riverwalkjazz[...] 2019-08-01
[14] 웹인용 Billy Crystal: My Uncle Milt https://www.npr.org/[...] 2005-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