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스탄틴 네차예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틴 네차예프는 러시아 제국군 장교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러시아 내전에서 반볼셰비키 세력에 가담했다. 이후 만주로 이주하여 중국 군벌 장쭤린 휘하에서 용병으로 복무하며 제2차 직봉 전쟁 등에 참여했다. 그는 외국인 군단을 이끌며 장갑 열차를 운용했으나, 북벌 과정에서 군벌 세력이 쇠퇴하며 부대는 해산되었다. 만년에는 만주에서 백계 러시아인 공동체 지도자로 활동하다가, 1945년 소련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용병 - 드미트리 웃킨
    드미트리 발레리예비치 웃킨은 바그너 그룹의 창설자이자 사령관이었으며, 체첸 전쟁 참전, 러시아 정보총국 지휘관 역임, 시리아 내전 참여 등 군사 활동을 펼치다 2023년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 소련에서 교수형된 사람 - 안드레이 슈쿠로
    안드레이 슈쿠로는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고 백군 지휘관으로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과 협력하다가 1947년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 소련에서 교수형된 사람 - 그리고리 세묘노프
    러시아 내전 당시 자바이칼 지역에서 활동한 코사크-부랴트 혼혈 출신의 백군 지도자 그리고리 세묘노프는 일본군의 지원을 받아 반공 세력을 규합하여 통치했으나, 무자비한 통치와 약탈로 악명을 떨치다 소련군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콘스탄틴 네차예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네차예프, 1926년경
본명콘스탄틴 페트로비치 네차예프
출생1883년 5월 31일
출생지우치, 콩그레스 폴란드, 러시아 제국
사망1946년 2월 5일
사망 장소치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사망 원인교수형
별칭니에-치아-푸 (중국어)
군사 경력
소속러시아 제국군
백군
중화민국
복무 기간1904년–1921년, 1924년–1929년
계급중장
부대러시아 제국군 제5 기병 사단
코무치 인민군
카펠레프치
자바이칼 백군
봉천군벌 외국인 군단
지휘볼가 기병 여단
제65 보병 사단
참전 전투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군벌 시대
북벌
산둥 군벌 반란 (추정)
중소 분쟁 (1929)
훈장성 게오르기우스 훈장 4급
기타
관련 인물백계 러시아인 "러시아 국민 공동체" 및 "만주 러시아 이민자 사무국" 국장

2. 초기 생애와 제1차 세계 대전

콘스탄틴 페트로비치 네차예프는 1883년 5월 31일 러시아령 폴란드 우치에서 태어났다.[1] 이후 러시아 제국군에 입대하여 1902년 모스크바 사관 학교를 졸업하고 1904년 트베리 기병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제5 리투아니아 울란 연대, 제5 기병 사단 제1 여단에서 기병 장교로 임관했다. 1907년 네차예프는 같은 여단에 속한 제5 카르골폴 드래군 연대로 전출되었다. 1909년 1월 기준으로 그는 해당 부대의 ''포루치크''였다.[1][2]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네차예프는 제5 카르골폴 드래군 연대와 함께 참전하여 동부 전선에서 복무하며 계급이 상승했다.[1] 1916년에는 러시아 기병대에서 고위 장교 계급인 참모 ''리트마이스터'' (슈탑스 로트미스트르/штабс-ротмистрru)로 기록되었다.[3] 1917년 대령으로 진급했으며, 전쟁 중 성 게오르기 훈장 4등급을 수여받았다.[1][4]

3. 러시아 내전과 만주로의 이주

10월 혁명 이후 러시아가 내전으로 붕괴되자, 네차예프는 반볼셰비키 코무치 인민군에 가담하여 블라디미르 카펠 휘하에서 복무했다.[1] 러시아 내전의 동부 전선에서 여러 전투에 참여했으나, 백군 운동이 불리해지면서 시베리아 대빙원 행군을 통해 자바이칼로 후퇴했다.[1]

이후 그리고리 미하일로비치 세묘노프의 자바이칼 백군에 합류하여 1개 사단과 1개 기병 여단을 지휘했다.[1] 소장을 거쳐 1920년 4월 중장으로 진급했다.[1] 1921년 7월까지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의 군대와 함께 몽골에서 싸웠을 가능성도 있다. 1921년에 군에서 은퇴하고 중국으로 망명하여, 만주 하얼빈에 정착하여 백러시아 군주주의 동맹에 가입했다.[1] 한편, 프리암우리예 임시 정부가 1922년에 붕괴되자, 수천 명의 백러시아 군인들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중국으로 도망쳤고, 이들은 군사 장비를 유지한 채 장갑 열차를 중국으로 가져가기도 했다.

당시 중화민국은 군벌 시대의 내전과 파벌 간의 폭력에 휩싸여 있었다. 펑톈 군벌의 지도자이자 만주의 ''사실상'' 통치자인 장쭤린은 러시아인들을 현대 전쟁에 경험이 많은 베테랑으로 여겨 자신의 군대에 모집하기로 결정했다. 1924년, 장쭤린은 체호프 대령에게 무크덴에서 외국인 군단을 소집하라고 명령했고, 체호프는 네차예프에게 연락하여 하얼빈에서 부대를 창설하도록 요청했다.

4. 중국에서의 용병 복무

4. 1. 외국인 군단 (1924-1926)

네차예프는 1924년 8월, 장쭤린의 군대를 위해 약 150명의 백계 러시아인 용병을 산해관으로 이끌었다. 안정적인 직업을 찾기 어려웠던 백계 이민자들에게 군벌들의 용병 제안은 정기적인 수입을 보장했기에 매력적이었다. 네차예프는 부대원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고, 제2차 직봉 전쟁이 발발할 무렵에는 약 700명의 백계 러시아인을 거느리게 되었다.

오페이푸의 직계 군벌과의 전쟁에서 러시아인들은 300명의 일본인 용병, 두 개의 중국 중대와 함께 봉천 외국인 군단의 일원으로 참전했다. 네차예프는 백계 러시아인과 중국인을 지휘했고, 일본군은 자체 지휘관 아래 작전을 수행했다. 외국인 군단에는 백계 러시아인들이 러시아에서 가져온 여러 대의 장갑 열차가 포함되어 있었다. 네차예프와 그의 부대는 진 장군의 제1군 소속으로, 소련이 제작한 선전 영화 ''1924-1925년 중국의 현대식 전쟁''에 등장하기도 했다. 당시 소련은 봉천 군벌을 지원했기에, 반공주의 성향의 네차예프와 그의 부하들은 영화에서 긍정적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장쭤린과 소련의 밀월 관계는 1925년 중반에 끝났고, 소련은 펑위샹과 중국 국민당 등 장쭤린의 반대 세력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장종창, 네차예프가 대부분의 용병 경력 동안 직속 상관으로 섬긴 군벌


1924년 11월, 직계 군벌이 패배한 후 네차예프는 용병 부대를 지난으로 이동하여 산둥 통치자이자 장쭤린의 부하인 장종창의 지휘를 받았다. 장종창은 이후 몇 년간 네차예프의 직속 상관이었으며, 네차예프에게 상당한 자율권을 부여했다. 네차예프는 참모진으로 베테랑 백계 러시아인 장교와 통역으로 몇 명의 중국인 장교를 두었다.

이후 네차예프와 부대는 봉천 군벌을 위해 군벌 치시에위안으로부터 상하이를 점령하는 원정에 참여했다. 당시 외국인 군단은 800명의 장교와 알렉산드르 콜차크 등의 군대에서 복무했던 2,000명의 정규군, 그리고 4개의 장갑 열차를 보유했다. 1925년 1월, 우시와 상하이 점령전에서 러시아인들은 뛰어난 활약을 펼쳤고, 쑨촨팡이 상하이를 탈환하려 할 때도 활약했다. 그러나 장쭤린은 군대가 지나치게 확장되자 2월에 상하이에서 철수했다. 철수 후, 네차예프는 수이저우 근처에서 장갑 열차가 함정에 빠져 큰 피해를 입었다. 그는 살아남았지만, 다리 일부를 잃었다.

러시아인들은 유능한 전투 부대로서 "장종창의 정예 부대"로 명성을 얻었지만, 규율 부족과 민간인 및 포로에 대한 잔혹 행위로 악명이 높았다. 1925년 11월, 레프 트로츠키는 네차예프와 그의 부대가 영국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중국 군주제를 지원한다고 주장했다.

심각한 부상에도 불구하고, 네차예프는 1926년에 복귀하여 중국인과 러시아인 여단으로 구성된 제65보병사단을 지휘했다. "네차예프 여단" 또는 "네차예프 분견대"로 불린 러시아 여단은 약 3,765명 규모였다. 그는 또한 봉천 외국인 군단의 모든 러시아군에 대한 ''사실상의'' 지휘관이었으며, 당시 러시아군은 약 5,270명이었다. 반봉천 전쟁 중인 1926년 초, 네차예프는 장갑 열차를 지휘하여 펑위샹 군대의 장갑 열차를 격파했다. 1920년대 후반, 소련이 봉천 군벌의 적들을 지원하면서, 네차예프와 백계 러시아인들은 용병 활동을 "볼셰비즘에 대한 성전의 연장"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4. 2. 북벌과 외국인 군단의 종말

1926년 후반, 네차예프는 장갑 열차 3대를 이끌고 중국 시골을 휩쓸며 "민간인에게 기관총을 난사하고 움직일 수 있는 모든 것을 훔쳤다". 백계 러시아인들을 막기 위해 지역 주민들이 철도를 걷어냈지만, 이로 인해 네차예프의 부대는 가장 가까운 마을을 약탈했다. 1927년에는 "수백 명"의 러시아인만이 부대에 남게 되었고, 펑톈 군벌과 국민혁명군(NRA) 간에 전쟁이 발발했다. 병력이 감소한 네차예프와 그의 부대는 남아있는 장갑 열차를 사용하여 NRA의 북벌에 대한 펑톈 군벌의 저항에 주로 기여했다.

중국 공산당(CCP)은 1927년 3월, 펑톈 군벌에 저항하기 위해 연합했던 NRA에 대항하여 상하이에서 현지 군벌 장쭝창과 쑨촨팡에 대한 무장 봉기를 시작했다. 네차예프의 부대는 상하이의 자베이 지구를 지키는 3,000명의 수비대 중 하나였으며, CCP 반군과 NRA 증원군의 격렬한 전투 끝에 도시에서 쫓겨났다.

전쟁은 점점 군벌에게 불리하게 흘러갔고, 백계 러시아인과 그들의 중국 동맹군은 NRA에 의해 꾸준히 북쪽으로 밀려났다. 1928년 6월 장쭤린이 사망한 후, 그의 아들인 장쉐량이 펑톈 군벌의 지휘권을 인수했다. 그는 NRA와 평화를 원했고, 이 문제로 장쭝창과 결국 갈등을 겪었다. 네차예프의 부대는 당시 최소 3대의 장갑 열차를 통제하고 있었고, 처음에는 장쭝창이 만주를 침공하여 장쉐량을 전복하는 것을 지원했다. 그러나 루안강을 건너자, 장쭝창은 NRA와 장쉐량의 연합군에게 포위되었다. 상급자의 입장이 위태로워졌음을 깨달은 백계 러시아인들은 배신하여, 열차의 총구를 옛 동맹군에게 돌렸다. 장쭝창은 패배했고, 백계 러시아 용병들은 이후 대부분 해산되었다.

5. 만년과 처형

만년의 네차예프는 백계 러시아인들의 만주국(하얼빈 러시아인 상점 사진) 공동체 지도자로 활동했다.

만년의 네차예프는 백계 러시아인들의 만주국 (하얼빈 러시아인 상점 사진) 공동체 지도자로 활동했다.


펑톈 외국인 군단의 해체 이후, 네차예프는 은퇴하여 만주 다롄에서 살았다.[1] 1929년 초, 네차예프가 산둥을 탈환하기 위한 반란 당시 장종창을 도왔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확인되지 않았다.[1] 1929년 말, 중국 국민 정부와 소련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자, 중국은 만주에 거주하는 백계 러시아인들을 재무장시켜 붉은 군대에 대항하도록 했다. 소련 당국은 네차예프가 중국 동북군과 함께 싸운 백계 러시아 군대의 지휘관 중 한 명이라고 믿었다.[4]

중소 분쟁 이후, 소련 당국은 모든 백계 러시아인들을 동북군과 중국동빈철도에서 해고하고, 네차예프를 포함한 지도자들을 만주에서 추방할 것을 요구했다. 그 결과 네차예프는 군 복무에서 완전히 은퇴했지만, 만주에 남아 1930년에는 "러시아 민족 공동체", 나중에는 "만주 러시아 이민자 관리국"의 두 백계 러시아인 공동체 조직의 수장이 되었다.[1] 그는 1931년 일본의 만주 침공과 만주국 수립 이후에도 만주에 계속 살았다. 소련은 1945년 만주국을 침공하여 그곳에 거주하는 수많은 백계 러시아인들을 체포했고, 네차예프는 SMERSH에 의해 체포되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보내졌다.[1] 제6근위전차군의 군사 재판소에서 재판을 받고 1945년 11월 사형을 선고받았으며,[1] 1946년 치타에서 교수형으로 처형되었다. 그는 1992년 4월 자바이칼 군관구에 의해 사면되었다.[1]

5. 1. 대한민국과의 관계 (추가)

참조

[1] encyclopedia Нечаев Константин Петрович http://chel-portal.r[...] 2018-07-13
[2] 웹사이트 Нечаев Константин Петрович Nechaev http://ria1914.info/[...] 2018-07-14
[3] 웹사이트 Список ротмистрам армейской кавалерии по старшинству (по 15 сентября 1916 года) http://ria1914.info/[...] 2018-07-14
[4] 웹사이트 Нечаев Константин Петрович http://www.hrono.ru/[...] 2018-07-13
[5] 웹사이트 Leon Trotsky's Writings on Britain Volume 1. Chapter 2: The Decline of British Imperialism. Anglo-American Rivalry and the Growth of Militarism https://www.marxists[...] 2018-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