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고리 세묘노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고리 세묘노프는 1890년 동시베리아에서 태어난 러시아 제국 군인으로, 러시아 내전 당시 백군 지도자였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훈장을 받았으며,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반공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일본의 지원을 받아 시베리아에서 세력을 확장했으나, 붉은 군대에 패배하여 만주로 도망갔다. 이후 일본의 간첩으로 활동하다가 1945년 소련군에 체포되어 1946년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일제 부역자 - 콘스탄틴 로자옙스키
    콘스탄틴 로자옙스키는 러시아 파시스트 지도자이자 사상가로, 만주에서 러시아 파시스트당을 창설하여 반공 및 반유대주의 활동을 펼쳤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소련으로 귀국하여 처형되었고 그의 저서는 극단주의 자료로 지정되었다.
  • 소련에서 교수형된 사람 - 안드레이 슈쿠로
    안드레이 슈쿠로는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고 백군 지휘관으로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과 협력하다가 1947년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 소련에서 교수형된 사람 - 콘스탄틴 네차예프
    콘스탄틴 네차예프는 러시아 제국 군인이자 백군 장교, 만주에서 활동한 백계 러시아인, 그리고 중국에서 용병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 러시아 카자크 - 라브르 코르닐로프
    라브르 코르닐로프는 러시아 제국 군인으로,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러시아 혁명 당시 쿠데타 시도 실패 후 백군에 가담하여 의용군을 지휘하다 전사했고, 그의 사건은 러시아 혁명의 주요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다.
  • 러시아 카자크 - 안드레이 슈쿠로
    안드레이 슈쿠로는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고 백군 지휘관으로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과 협력하다가 1947년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그리고리 세묘노프
기본 정보
아타만 세묘노프
아타만 세묘노프
본명그리고리 미하일로비치 세묘노프
로마자 표기Grigorii Mikhailovich Semyonov
출생1890년 9월 13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자바이칼주 쿠란츠카
사망1946년 8월 30일
사망지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소속러시아 제국 육군
복무 기간1911년 - 1917년
최종 계급대위
제대 후자바이칼 코사크의 수령
군사 경력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지휘백군
관련 인물알렉산드르 콜차크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가이젤
도이하라 겐지
기무라 헤이타로
기타 정보
관련 인물레닌 암살 미수 사건의 주모자
그리고리 이바노비치 세묘노프

2. 생애

그리고리 미하일로비치 세묘노프는 1890년 동시베리아 자바이칼 지역에서 코사크인 아버지와 부랴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4] 세묘노프는 몽골어부랴트어를 유창하게 구사했다.[4] 1908년 러시아 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1911년 오렌부르크 군사학교를 졸업했다.[4]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오스트리아와 싸워 성 게오르기 훈장을 받았다.[4]

표트르 브랑겔은 회고록에서 세묘노프가 용맹하지만 음모를 꾸미기 좋아하고 시야가 좁은 인물이라고 평가했다.[5]

세묘노프는 소수민족 출신으로 다른 장교들과 겉돌았으며, 캅카스 전역에서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을 만나 친분을 쌓았다.[6] 이들은 아시리아인 연대를 편성해 오스만 튀르크와 싸웠다.[6] 1917년 2월 혁명 이후 러시아 임시정부는 세묘노프를 바이칼 지역 판무관으로 임명하여 부랴트인 병력 편성 임무를 맡겼다.[6]

1908년 오렌부르크 코사크 학교에 입학하여 3년 후 졸업하고, 제1 벨프네우딘스크 연대에 배속되어 외몽골 국경 경비 임무를 맡았다. 그 후 치타의 군사 학교에서 수학하고, 연해주의 국경 경비 임무를 맡았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제1 넬친스크 연대 일원으로서 동부 전선에 참전하여 군공으로 훈장 두 개를 받았다.

1917년 10월 혁명이 일어나자 반공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당하고 하얼빈으로 도망갔다.[7] 1918년 8월,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도움으로 자바이칼 지역에서 다시 세력을 얻어 무자비한 통치를 펼쳤다.[8] 그는 시베리아 철도를 지나는 열차를 약탈했으며,[8] 부랴트인 혈통으로서 "대몽골국"을 선포하고 오이라트부의 옛 땅을 수복하여 신장, 자바이칼, 외몽골, 내몽골, 탕누 우량카이, 콥도, 만주, 티베트를 단일 몽골계 국가로 통일시키겠다는 야망을 품었다.[9]

자치 시베리아 임시정부와 알렉산드르 콜차크는 세묘노프를 치타 주둔 분견대 사령관 및 치타 군관구 사령관으로 임명했다.[10] 1919년, 세묘노프는 자신을 바이칼 카자크의 아타만이라 선언하고 일본 육군의 지원을 받았다. 그의 지배 지역은 바이칼호에서 실카강에 이르렀고, 동청 철도와 치타 철도의 교차점인 만저우리도 그의 통제하에 있었다.[10]

세묘노프는 일본군에게 시온 장로 의정서 사본을 나눠 주었으나,[11] 동년 2월에는 유대인 부대를 만들고 유대계 카바레 가수 마슈카 샤라반을 총애하는 등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12]

콜차크의 시베리아 정부가 붕괴된 후 극동의 권력은 세묘노프에게 넘어갔지만, 그는 군대를 제대로 통솔하지 못했다.[13] 세묘노프 휘하의 백군은 도둑질, 방화, 살인, 강간을 일삼아 떼도둑과 같다는 평판을 얻었다.[13] 1920년 7월, 일본 원정군단은 극동 공화국과 완충국 건설각서를 체결하여 세묘노프를 버렸다.[14] 인드리키스 에이체가 이끄는 소비에트 제5군이 치타 탈환 작전을 개시했고, 1920년 10월, 세묘노프 군대는 노농적군과 그 동조 유격대들에 의해 바이칼 지역에서 쫓겨났다.[14] 세묘노프는 연해주로 도망가 소비에트와 계속 싸우려 했지만, 1921년 9월 결국 모든 땅을 잃었다.[14]

콜차크 정부 붕괴 이후, 콜차크에게서 극동 지역의 권력을 넘겨받은 세묘노프는 이 지역을 제대로 통제할 능력이 없었다.[13] 그의 부하들은 도둑질, 방화, 살인, 강간 등을 일삼아 떼도둑과 다름없다는 평판을 얻었다.[13]

1920년 7월, 일본 원정군단은 극동 공화국과 완충국 건설각서를 체결하여 세묘노프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14] 인드리키스 에이체가 이끄는 소비에트 제5군의 치타 탈환 작전이 개시되자, 1920년 10월, 세묘노프 군대는 노농적군 및 그 동조 유격대에 의해 바이칼 지역에서 쫓겨나 연해주로 도망쳤다.[14] 1921년 9월, 세묘노프는 결국 모든 영토를 잃었다.[14]

하얼빈을 거쳐 나가사키로 탈출한 세묘노프는 적응에 실패하고 미국으로 건너갔다.[15] 미국에서 폭력 혐의로 기소되었다가 풀려난 후, 세묘노프는 중국으로 돌아갔다.[15] 중국에서 세묘노프는 일본 정부로부터 매월 1000엔의 연금을 받으며 일본의 간첩 노릇을 하는 한편, 망명 러시아인과 카자크인을 규합하여 러시아 공산 정권 전복을 시도했다.[15] 폐위된 청나라 황제 푸이를 고용하기도 했다.[15][16]

1934년부터 만주국의 백계 러시아인 사무국 활동에 참여했다.

1945년 9월, 만주 전략공세작전으로 만주국이 멸망하면서, 소련군 공수부대가 여순에서 세묘노프를 체포했다.[17] 세묘노프는 그동안의 반혁명 행위에 대해 기소되어 교수형을 선고받았고, 1946년 8월 29일 형이 집행되었다.[17]

2. 1. 초기 생애와 군 경력

그리고리 미하일로비치 세묘노프는 1890년 동시베리아 자바이칼 지역에서 코사크인 아버지와 부랴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4] 세묘노프는 몽골어부랴트어를 유창하게 구사했다.[4] 1908년 러시아 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1911년 오렌부르크 군사학교를 졸업했다.[4]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오스트리아와 싸워 성 게오르기 훈장을 받았다.[4]

표트르 브랑겔은 회고록에서 세묘노프가 용맹하지만 음모를 꾸미기 좋아하고 시야가 좁은 인물이라고 평가했다.[5]

세묘노프는 소수민족 출신으로 다른 장교들과 겉돌았으며, 캅카스 전역에서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을 만나 친분을 쌓았다.[6] 이들은 아시리아인 연대를 편성해 오스만 튀르크와 싸웠다.[6] 1917년 2월 혁명 이후 러시아 임시정부는 세묘노프를 바이칼 지역 판무관으로 임명하여 부랴트인 병력 편성 임무를 맡겼다.[6]

1908년 오렌부르크 코사크 학교에 입학하여 3년 후 졸업하고, 제1 벨프네우딘스크 연대에 배속되어 외몽골 국경 경비 임무를 맡았다. 그 후 치타의 군사 학교에서 수학하고, 연해주의 국경 경비 임무를 맡았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제1 넬친스크 연대 일원으로서 동부 전선에 참전하여 군공으로 훈장 두 개를 받았다.

2. 2. 러시아 내전 시기 활동

그리고리 세묘노프는 1917년 10월 혁명이 일어나자 반공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당하고 하얼빈으로 도망갔다.[7] 1918년 8월,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도움으로 자바이칼 지역에서 다시 세력을 얻어 무자비한 통치를 펼쳤다.[8] 그는 시베리아 철도를 지나는 열차를 약탈했으며,[8] 부랴트인 혈통으로서 "대몽골국"을 선포하고 오이라트부의 옛 땅을 수복하여 신장, 자바이칼, 외몽골, 내몽골, 탕누 우량카이, 콥도, 만주, 티베트를 단일 몽골계 국가로 통일시키겠다는 야망을 품었다.[9]

자치 시베리아 임시정부와 알렉산드르 콜차크는 세묘노프를 치타 주둔 분견대 사령관 및 치타 군관구 사령관으로 임명했다.[10] 1919년, 세묘노프는 자신을 바이칼 카자크의 아타만이라 선언하고 일본 육군의 지원을 받았다. 그의 지배 지역은 바이칼호에서 실카강에 이르렀고, 동청 철도와 치타 철도의 교차점인 만저우리도 그의 통제하에 있었다.[10]

세묘노프는 일본군에게 시온 장로 의정서 사본을 나눠 주었으나,[11] 동년 2월에는 유대인 부대를 만들고 유대계 카바레 가수 마슈카 샤라반을 총애하는 등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12]

콜차크의 시베리아 정부가 붕괴된 후 극동의 권력은 세묘노프에게 넘어갔지만, 그는 군대를 제대로 통솔하지 못했다.[13] 세묘노프 휘하의 백군은 도둑질, 방화, 살인, 강간을 일삼아 떼도둑과 같다는 평판을 얻었다.[13] 1920년 7월, 일본 원정군단은 극동 공화국과 완충국 건설각서를 체결하여 세묘노프를 버렸다.[14] 인드리키스 에이체가 이끄는 소비에트 제5군이 치타 탈환 작전을 개시했고, 1920년 10월, 세묘노프 군대는 노농적군과 그 동조 유격대들에 의해 바이칼 지역에서 쫓겨났다.[14] 세묘노프는 연해주로 도망가 소비에트와 계속 싸우려 했지만, 1921년 9월 결국 모든 땅을 잃었다.[14]

2. 3. 몰락과 망명

콜차크 정부 붕괴 이후, 콜차크에게서 극동 지역의 권력을 넘겨받은 세묘노프는 이 지역을 제대로 통제할 능력이 없었다.[13] 그의 부하들은 도둑질, 방화, 살인, 강간 등을 일삼아 떼도둑과 다름없다는 평판을 얻었다.[13]

1920년 7월, 일본 원정군단은 극동 공화국과 완충국 건설각서를 체결하여 세묘노프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14] 인드리키스 에이체가 이끄는 소비에트 제5군의 치타 탈환 작전이 개시되자, 1920년 10월, 세묘노프 군대는 노농적군 및 그 동조 유격대에 의해 바이칼 지역에서 쫓겨나 연해주로 도망쳤다.[14] 1921년 9월, 세묘노프는 결국 모든 영토를 잃었다.[14]

하얼빈을 거쳐 나가사키로 탈출한 세묘노프는 적응에 실패하고 미국으로 건너갔다.[15] 미국에서 폭력 혐의로 기소되었다가 풀려난 후, 세묘노프는 중국으로 돌아갔다.[15] 중국에서 세묘노프는 일본 정부로부터 매월 1000엔의 연금을 받으며 일본의 간첩 노릇을 하는 한편, 망명 러시아인과 카자크인을 규합하여 러시아 공산 정권 전복을 시도했다.[15] 폐위된 청나라 황제 푸이를 고용하기도 했다.[15][16]

1934년부터 만주국의 백계 러시아인 사무국 활동에 참여했다.

1945년 9월, 만주 전략공세작전으로 만주국이 멸망하면서, 소련군 공수부대가 여순에서 세묘노프를 체포했다.[17] 세묘노프는 그동안의 반혁명 행위에 대해 기소되어 교수형을 선고받았고, 1946년 8월 29일 형이 집행되었다.[17]

2. 4. 체포와 처형

1945년 9월, 만주 전략공세작전으로 만주국이 멸망하면서 소련군 공수부대가 여순에서 세묘노프를 체포했다.[17] 세묘노프는 그간의 반혁명 행위에 대해 기소되어 교수형을 선고받았고, 1946년 8월 29일 형이 집행되었다.[17]

3. 평가 및 논란

3. 1. 잔혹 행위와 약탈

3. 2. 일본과의 관계

그리고리 세묘노프는 일본 육군의 지원을 받아 자신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일본은 세묘노프를 통해 극동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2][1] 일본군 참모 본부는 세묘노프에게 무기와 자금을 제공하고, 시베리아 출병을 통해 세묘노프가 자바이칼 공화국을 수립하는 데 협력했다.[2][1]

1920년 3월, 아나톨리 야코블레비치 구트만은 반(反) 적군 성향의 러시아어 신문 "데로, 로시"를 창간했다.[2][1] 같은 해 6월, 러시아 육군 중장 로마노프스키는 세묘노프 군 대표 스이로보야르스키 소장과 협의하여 "데로, 로시"를 매수하고, 7월에는 로마노프스키가 주필이 되어 국문 번역호를 발행하여 세묘노프 군을 선전했다.[2][1]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 당시, 일본군은 연합군의 주축이 되어 시베리아에 진출했고, 반(反) 과격파 군대였던 세묘노프 군과 캽페리 군은 일본군의 진출에 힘입어 사기가 크게 올랐다. 그러나, 1920년 일본군의 철수와 함께 세묘노프 군은 패퇴하였고, 세묘노프는 상하이로 망명하게 되었다. 당시 일본 육군 내부에서는 세묘노프를 옹호하는 의견도 있었으나, 국제 관계를 고려하여 일본에 체류할 수 없었다.

세묘노프는 망명 과정에서 일본 육군 중위의 호위를 받았는데, 당시 세묘노프와 친분이 있던 쿠로키 치카요시 소좌 등이 세묘노프와 접촉하려 했으나, 육군성의 방침에 따라 이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세묘노프는 일본을 떠나면서 재기를 다짐했지만, 결국 소련군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세묘노프는 일본 망명 중 이혼 후 다롄에서 1남 3녀와 함께 살았다. 장남은 1946년 소련군에 연행되던 중 사살되었고, 세 딸은 1948년 군사 재판에서 "국가 반역죄"로 25년 강제 수용소형을 선고받았다. 장녀는 4년 후 정신 장애인용 수용소로 옮겨져 1994년까지 수용되었고, 차녀와 삼녀는 1956년 스탈린 비판을 계기로 정치범으로 석방되었다. 장녀와 차녀는 소련 붕괴 후 노보로시스크에서 거주했다.

요시노 마츠오는 전 관동군하얼빈 특무기관원으로, 백계 러시아인 공작을 담당했으며, 세묘노프 장군의 조카를 아내로 두었다고 한다.

3. 3. 대몽골국 구상

4. 가족 관계

그리고리 세묘노프는 일본으로 망명하던 중 이혼하였고, 다롄에서 1남 3녀와 함께 살았다. 1946년, 그의 장남은 소련군에 연행되던 중 사살되었다. 1948년에는 세 딸이 연행되어 군사 재판에서 "국가 반역죄"로 25년 강제 수용소형을 선고받았다. 장녀는 4년 만에 정신 장애인용 수용소로 옮겨져 1994년까지 수용되었으며, 차녀와 삼녀는 1956년 스탈린 비판을 계기로 정치범으로 석방되었다. 장녀와 차녀는 소련 붕괴 이후 노보로시스크에서 살고 있다.

5. 대중 문화

6. 외부 링크

참조

[1] 웹사이트 6.露字新聞「デーロ、ロシー」発刊/1 大正9年3月12日から大正9年9月6日 https://www.jacar.ar[...]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B03040699800、新聞雑誌発刊計画雑件(B-1-3-1-117)(外務省外交史料館)
[2] 웹사이트 10.浦汐政府対日宣伝開始記事ノ件 自大正九年九月 https://www.jacar.ar[...]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B03040651200、新聞雑誌出版物等取締関係雑件 第四巻(B-1-3-1-075)(外務省外交史料館)
[3] 서적 White Terror: Cossack Warlords of the Trans-Siberian Routledge
[4] 서적 White Terror
[5] 서적 Always With Honour Robert Speller & Sons
[6] 서적 White Terror
[7] 서적 White Terror: Cossack Warlords of the Trans-Siberian Routledge
[8] 서적 The Far Eastern Republic of Siberia. George Allen & Unwin Ltd
[9] 서적 Paine 1996 https://books.google[...]
[10] 서적 White Terror
[11] 서적 The Fugu Plan. Paddington Press Ltd
[12] 서적 White Terror
[13] 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14] 서적 White Terror
[15] 서적 The Last Emperor Scribner's
[16] 서적 Olga's Story: Three Continents, Two World Wars, and Revolution -- One Woman's Epic Journey Through the Twentieth Century Doubleday Canada
[17] 서적 White Terr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