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콤팩트-열린집합 위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은 두 위상 공간 X와 Y 사이의 연속 함수들의 집합 C(X, Y)에 정의되는 위상으로, X의 콤팩트 집합과 Y의 열린 집합을 부분 기저로 사용한다. 이 위상은 콤팩트 생성 공간의 범주에서 정의가 수정되기도 하며, X가 국소 콤팩트일 경우 오른쪽 수반을 통해 고유하게 정의될 수 있다.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은 다양한 성질을 가지며, 특히 X가 이산 공간일 때 곱 위상과 일치하고, Y의 위상적 성질을 상속한다. 또한, 콤팩트 수렴, 균등 수렴, 국소 균등 수렴 개념과 관련이 있으며, 함수 합성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이 위상은 아스콜리-아르첼라 정리의 확장과 루프 공간, 호모토피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프레셰 미분 가능 함수에도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반위상수학 - 극한
    극한은 수학에서 함수의 값이나 수열의 항이 특정 값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기술하는 개념으로, ε-δ 논법으로 엄밀하게 정의되며 수렴, 연속성, 미적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하여 19세기에 현대적 정의가 완성되었다.
  • 일반위상수학 - 스콧 위상
    스콧 위상은 부분 순서 집합 위에 정의되는 위상으로, 하향 집합과 directed set의 상한에 대해 닫혀있는 집합을 닫힌 집합으로 정의하며, 컴퓨터 과학, 특히 프로그램 의미론에서 연속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하고 프로그램의 계산 과정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콤팩트-열린집합 위상
개요
유형위상 공간
분야일반 위상수학
정의모든 콤팩트 부분집합 K와 열린 부분집합 U에 대해, K가 U에 포함되는 모든 함수 f의 집합이 열린 집합을 이룬다.
성질
특징점별 수렴 위상보다 강하다.
균등 수렴 위상보다 약하다.
분할된 위상 공간은 콤팩트-열린 위상을 갖는다.
국소 콤팩트 공간에서 콤팩트-열린 위상은 콤팩트-열린 위상을 갖는다.
콤팩트-열린 위상은 폐쇄-제한 위상(compact-open topology)의 특별한 경우이다.
참고 문헌
참고On topologies for function spaces
The Compact-Open Topology on Mapping Spaces

2. 정의

위상 공간 X, Y 사이의 연속 함수들의 집합 C(X, Y)에 대해,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X의 콤팩트 집합 K와 Y의 열린집합 U에 대하여, V(K, U) = {f ∈ C(X, Y) | f(K) ⊂ U} 형태의 집합들을 부분 기저로 갖는 위상이다. 즉, V(K, U) = C(K, U) \times_{C(K, Y)} C(X, Y)이다. 이 때, {V(K,U)}를 부분 기저로 가지는 위상 중 가장 엉성한 위상을 C(X,Y) 위의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으로 정의한다.

콤팩트 생성 공간범주에서 작업할 때는, 이 정의를 수정하여 콤팩트 집합인 하우스도르프 공간의 이미지인 K에 대한 준기저로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X가 콤팩트 생성이고 하우스도르프이면, 이 정의는 이전 정의와 일치한다.

만약 X가 국소 콤팩트이면, 위상 공간 범주에서 X \times - 는 항상 오른쪽 수반 Hom(X, -) 을 갖는다. 이 수반은 콤팩트-열린 위상과 일치하며, 이를 고유하게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3. 성질


:d(f,g)=\sup_{x\in X}d(f(x),g(x))

  • 정의역 X가 국소 콤팩트일 경우, 콤팩트-열린 집합 위상은 (f,x) \mapsto f(x)가 연속이 되는 가장 약한 위상으로 특징지어진다.[8]
  • 공역이 거리 공간일 경우, 콤팩트-열린 집합 위상이 정하는 수렴 개념은 콤팩트 수렴으로 특징지어진다.
  • X가 국소 콤팩트이면 국소 균등 수렴 개념과 일치한다.
  • X가 콤팩트이면 균등 수렴과 일치한다.
  • X, Z를 위상 공간, Y를 국소 콤팩트 위상 공간으로 할 때, 사상 C(X,Y) \times C(Y,Z) \to C(X,Z),\;(f,g)\mapsto g\circ f는 콤팩트-열린 위상에 관해 연속이다.
  • X, Y를 위상 공간으로 할 때, Y가 하우스도르프(resp. 정칙) 공간이면 C(X, Y)는 하우스도르프(resp. 정칙)이다.
  • X를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으로 하고, X에서 자기 자신으로의 동상사상 전체의 집합을 H(X)라고 하면, 사상 H(X) \to H(X),\;f\mapsto f^{-1}는 콤팩트-열린 위상에 관해 연속이다. 사상의 합성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속이므로, H(X)는 함수 합성에 관해 위상군을 이룬다.

Y가 거리 공간(또는 더 일반적으로, 균등 공간)이면, 콤팩트-열린 위상은 콤팩트 수렴 위상과 같다. 즉, Y가 거리 공간이면, 함수열 {fₙ}이 콤팩트-열린 위상에서 f로 수렴하는 것은 모든 X의 콤팩트 부분 집합 K에 대해 {fₙ}이 K에서 f로 균등하게 수렴하는 것과 동치이다. X가 콤팩트 공간이고 Y가 균등 공간이면, 콤팩트-열린 위상은 균등 수렴 위상과 같다.

X가 국소 콤팩트이면, 콤팩트-열린 위상에서의 수렴은 국소 균등 수렴과 일치한다. 즉, 임의의 x ∈ X에 대해 x의 어떤 열린 근방 V가 존재하고, (fₙ|V)n∈ℕ는 f|V에 균등 수렴한다.

X가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고 Y가 제2 가산 공간이면, C(X, Y)도 제2 가산 공간이다.[9] X, Y, Z가 위상 공간이고 Y가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혹은 사전 정칙 공간)이면, 함수 합성 C(Y, Z) × C(X, Y) → C(X, Z)는 연속이다. X가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혹은 사전 정칙) 공간이면, 평가 사상 e: C(X, Y) × X → Y, e(f, x) = f(x)는 연속이다.

만약 Y가 콜모고로프 공간/T1 공간/하우스도르프 공간/정규 공간/티호노프 공간이면, C(X,Y)도 마찬가지로 해당 공간이다. 만약 X가 콤팩트 공간이고 (Y,d)가 거리 공간이라면, C(X,Y) 위의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은 균등 수렴 위상과 같으며, 거리 함수 d(f,g)=supx∈Xd(f(x),g(x))로부터 주어진다.

Y가 거리 공간 (또는 더 일반적으로, 균등 공간)이면, 콤팩트-열린 위상은 콤팩트 수렴 위상과 같다. 즉, Y가 거리 공간이면, 수열 {fn}이 콤팩트-열린 위상에서 f로 수렴하는 것은 모든 X의 콤팩트 부분 집합 K에 대해 {fn}이 K에서 f로 균등하게 수렴하는 것과 동치이다.

X가 국소 콤팩트일 경우, 콤팩트-열린 집합 위상은 (f,x) ↦ f(x)가 연속이 되는 가장 약한 위상으로 특징지어진다.[8]

X가 콤팩트 공간이고 (Y, d)가 거리 공간이면, C(X, Y) 위의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은 균등 수렴 위상과 같다.[9] 이 위상은 다음과 같은 거리 함수로부터 주어진다.[9]

: d(f,g)=\sup_{x\in X}d(f(x),g(x))

즉, X가 콤팩트이고 Y가 거리 공간이면, C(X, Y)는 거리화 가능하며, 거리는 e(f, g) = sup{d(f(x), g(x)) : x in X}로 주어진다.[9] 더 일반적으로, X가 준콤팩트이고, Y가 거리 공간이면, 콤팩트-열린 위상은 여기에 연결된 구성에 의해 거리화 가능하다.[9]

3. 1. 기본 성질


:d(f,g)=\sup_{x\in X}d(f(x),g(x))

  • 정의역 X가 국소 콤팩트일 경우, 콤팩트-열린 집합 위상은 (f,x) \mapsto f(x)가 연속이 되는 가장 약한 위상으로 특징지어진다.[8]
  • 공역이 거리 공간일 경우, 콤팩트-열린 집합 위상이 정하는 수렴 개념은 콤팩트 수렴으로 특징지어진다.
  • X가 국소 콤팩트이면 국소 균등 수렴 개념과 일치한다.
  • X가 콤팩트이면 균등 수렴과 일치한다.
  • X, Z를 위상 공간, Y를 국소 콤팩트 위상 공간으로 할 때, 사상 C(X,Y) \times C(Y,Z) \to C(X,Z),\;(f,g)\mapsto g\circ f는 콤팩트-열린 위상에 관해 연속이다.
  • X, Y를 위상 공간으로 할 때, Y가 하우스도르프(resp. 정칙) 공간이면 C(X, Y)는 하우스도르프(resp. 정칙)이다.
  • X를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으로 하고, X에서 자기 자신으로의 동상사상 전체의 집합을 H(X)라고 하면, 사상 H(X) \to H(X),\;f\mapsto f^{-1}는 콤팩트-열린 위상에 관해 연속이다. 사상의 합성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속이므로, H(X)는 함수 합성에 관해 위상군을 이룬다.

3. 2. 수렴성

Y가 거리 공간(또는 더 일반적으로, 균등 공간)이면, 콤팩트-열린 위상은 콤팩트 수렴 위상과 같다. 즉, Y가 거리 공간이면, 함수열 {fₙ}이 콤팩트-열린 위상에서 f로 수렴하는 것은 모든 X의 콤팩트 부분 집합 K에 대해 {fₙ}이 K에서 f로 균등하게 수렴하는 것과 동치이다. X가 콤팩트 공간이고 Y가 균등 공간이면, 콤팩트-열린 위상은 균등 수렴 위상과 같다.

X가 국소 콤팩트이면, 콤팩트-열린 위상에서의 수렴은 국소 균등 수렴과 일치한다. 즉, 임의의 x ∈ X에 대해 x의 어떤 열린 근방 V가 존재하고, (fₙ|V)n∈ℕ는 f|V에 균등 수렴한다.

3. 3. 함수 공간의 성질

X가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고 Y가 제2 가산 공간이면, C(X, Y)도 제2 가산 공간이다.[9] X, Y, Z가 위상 공간이고 Y가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혹은 사전 정칙 공간)이면, 함수 합성 C(Y, Z) × C(X, Y) → C(X, Z)는 연속이다. X가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혹은 사전 정칙) 공간이면, 평가 사상 e: C(X, Y) × X → Y, e(f, x) = f(x)는 연속이다.

만약 Y가 콜모고로프 공간/T1 공간/하우스도르프 공간/정규 공간/티호노프 공간이면, C(X,Y)도 마찬가지로 해당 공간이다. 만약 X가 콤팩트 공간이고 (Y,d)가 거리 공간이라면, C(X,Y) 위의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은 균등 수렴 위상과 같으며, 거리 함수 d(f,g)=supx∈Xd(f(x),g(x))로부터 주어진다.

Y가 거리 공간 (또는 더 일반적으로, 균등 공간)이면, 콤팩트-열린 위상은 콤팩트 수렴 위상과 같다. 즉, Y가 거리 공간이면, 수열 {fn}이 콤팩트-열린 위상에서 f로 수렴하는 것은 모든 X의 콤팩트 부분 집합 K에 대해 {fn}이 K에서 f로 균등하게 수렴하는 것과 동치이다.

X가 국소 콤팩트일 경우, 콤팩트-열린 집합 위상은 (f,x) ↦ f(x)가 연속이 되는 가장 약한 위상으로 특징지어진다.[8]

3. 4. 거리화 가능성

X가 콤팩트 공간이고 (Y, d)가 거리 공간이면, C(X, Y) 위의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은 균등 수렴 위상과 같다.[9] 이 위상은 다음과 같은 거리 함수로부터 주어진다.[9]

: d(f,g)=\sup_{x\in X}d(f(x),g(x))

즉, X가 콤팩트이고 Y가 거리 공간이면, C(X, Y)는 거리화 가능하며, 거리는 e(f, g) = sup{d(f(x), g(x)) : x in X}로 주어진다.[9] 더 일반적으로, X가 준콤팩트이고, Y가 거리 공간이면, 콤팩트-열린 위상은 여기에 연결된 구성에 의해 거리화 가능하다.[9]

4. 아스콜리-아르첼라 정리의 확장

아스콜리-아르첼라 정리를 일반화하여 다음을 보일 수 있다.

''X''가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고, ''Y''가 거리 공간일 때, ''C''(''X'', ''Y'')의 부분 집합 ''H''가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에 대해 콤팩트일 필요충분 조건은 ''H''가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이다.


  • ''H''는 ''C''(''X'', ''Y'')의 닫힌 집합이다.
  • ('''동등 연속성''') 임의의 ''x'' ∈ ''X''와 임의의 ''ε'' > 0에 대해, 어떤 ''δ'' > 0가 존재하여 모든 ''f'' ∈ ''H''와 모든 ''y'' ∈ ''Y''에 대해 ''d''(''x'', ''y'') < ''δ''이면 ''d''(''f''(''x''), ''f''(''y'')) < ''ε''이다.
  • ('''점별 상대 콤팩트성''') 임의의 ''x'' ∈ ''X''에 대해 {f(x) | f∈H}는 ''Y''에서 상대 콤팩트이다.

5. 응용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은 루프 공간, 경로 공간 등의 위상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7] 예를 들어, x_0에서의 X의 루프 공간은 \Omega(X,x_0) = \{ f: I \to X : f(0) = f(1) = x_0 \}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공간 C(\Sigma X, Y) \cong C(X, \Omega Y) 사이에 호모토피 동치가 존재한다.[7]

이러한 위상 공간 C(X,Y)는 호모토피 이론에서 호모토피 사상 집합의 위상 공간 모델을 구성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pi(X,Y) = \{[f]: X \to Y | f \text{ is a homotopy class} \}C(X,Y)의 경로 성분 집합과 동형 사상이 존재하므로, \pi(X,Y) \to C(I, C(X, Y))/\sim (여기서 \sim는 호모토피 동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프레셰 미분 가능 함수

X와 Y를 같은 위에 정의된 바나흐 공간이라고 하고, Cm(U, Y)를 열린 부분 집합 U ⊆ X에서 Y로의 모든 m-연속 프레셰 미분 가능 함수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콤팩트-열린 위상은 세미노름에 의해 유도된 시작 위상이다.

:p_{K}(f) = \sup \left\{ \left\| D^j f(x) \right\| \ : \ x \in K, 0 \leq j \leq m \right\}

여기서 D0f(x) = f(x)이며, 각 콤팩트 부분 집합 K ⊆ U에 대해 정의된다.

참조

[1] 논문 On topologies for function spaces https://www.ams.org/[...] 1945
[2] 서적 General topology Springer-Verlag 1975
[3] 논문 Classifying Spaces and Infinite Symmetric Products 1969
[4] 웹사이트 A Concise Course in Algebraic Topology http://www.math.uchi[...]
[5] 웹사이트 Compactly Generated Spaces http://neil-strickla[...] 2012-01-14
[6] 논문 Spaces of Mappings on Topological Products with Applications to Homotopy Theory https://www.ams.org/[...] 1952
[7] 서적 Homotopical Topology
[8] 문서 こちらのステートメントは ''X'' が局所コンパクトハウスドルフでなくとも成り立つ。
[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