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콩고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고족은 콩고강 유역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앙골라 등지에 분포한다. 콩고족은 콩고어를 사용하며, 기독교와 전통 신앙을 믿는다. 14세기 콩고 왕국을 건국하여 번성했으나, 노예 무역으로 인해 쇠퇴하고 식민 지배를 겪었다. 현재는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며, 모계 사회의 특징을 보인다. 콩고족은 독자적인 문화와 종교, 그리고 민족주의 의식을 가지고 있다.

2. 명칭

콩고라는 이름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었다.[11] 식민 시대 학자 새뮤얼 넬슨(Samuel Nelson)에 따르면, "콩고"라는 용어는 모임이나 집회를 뜻하는 현지 동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2] 알리사 라감마(Alisa LaGamma)에 따르면, 이 어원은 모험적이고 영웅적인 사람의 맥락에서 "사냥꾼"을 의미하는 지역어 "Nkongo"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13]

이 용어는 반투어족에서 사냥꾼을 의미하는 원시 반투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이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맞서 싸운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의 군사 조직 이름인 "움콘토 웨 시즈웨(umkhonto we sizwe)"(국가의 창)에서 창을 의미하는 줄루어 용어 콘토(khonto)와 유사하다.

더글러스 하퍼(Douglas Harper)는 이 용어가 콩고강이 흘러내리는 반투어에서 "산"을 의미한다고 말한다.[14]

콩고족은 식민지 시대 프랑스, 벨기에, 포르투갈 문헌에서 "Esikongo"(단수 "Mwisikongo"), "Mucicongo", "Mesikongo", "Madcongo", "Moxicongo"와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11] 특히 카리브해 지역의 기독교 선교사들은 원래 Vili 또는 Fiote 해안 콩고족 출신 노예들에게 "Bafiote"(단수 "M(a)fiote")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나중에는 쿠바, 세인트 루시아 및 기타 유럽 식민지 열강이 지배했던 식민지 시대 섬에서 모든 "흑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5] "콩고"라는 용어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노예로 팔려온 키콩고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식별하는 데 더 널리 사용되었다.[16]

20세기 초부터 특히 콩고강 북쪽 지역에서는 키콩고어를 사용하는 공동체를 지칭하거나, 더 넓게는 밀접하게 관련된 콩고어군 화자를 지칭하기 위해 "바콩고(Bakongo)"(단수 "므콩고(Mkongo)" 또는 "무콩고(Mukongo)")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었다.[3] 이 관습은 콩고어가 속한 반투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접두사 "mu-"와 "ba-"는 각각 단수와 복수 "사람"을 지칭한다.[17]

키콩고어에서 "Ne"는 칭호를 나타내므로, 콩고족을 Ne Kongo 또는 콩고인을 Ne Kongo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표현이다.[18]

3. 역사

콩고족의 고대 역사는 동아프리카와 가깝다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선사 시대 인류 이동의 핵심 지역으로 여겨져, 얀 반시나에 따르면 수천 년 전부터 콩고강 지역이 인구 밀도가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9] 그러나 콩고족과 관련된 고대 고고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고, 언어연대학적 방법에 따라 콩고어와 가봉-콩고어가 기원전 950년경에 분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

가장 초기의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600년경 치상가 (현재 콩고 공화국의 일부)에서 발견되었으나, 당시 어떤 민족이 거주했는지는 증명하지 못한다.[19] 콩고족은 5세기경 이전에 이 지역에 정착하여 농업 방식을 개발하고 사회를 이루었다.[20] 제임스 덴보우에 따르면, 사회적 복잡성은 서기 2세기경에 달성되었을 것이다.[21]

반시나에 따르면, 1200년경에 소규모 왕국과 콩고 공국이 나타났지만, 당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15세기에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기록한 콩고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으며, 이후 식민 시대 작가들에 의한 인류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제한적이었다. 반시나는 증거를 통해 콩고족이 15세기 후반 포르투갈 선박 도착 이전에 이미 문화 및 사회 정치 시스템에서 발달했음을 시사한다.[22]

아프리카 콩고족 분포 (대략)

3. 1. 콩고 왕국

앙골라 지도, 주요 민족 집단 표시 (바콩고 지역은 북쪽, 짙은 녹색).


콩고 왕국은 14세기 이전, 13세기에 건국되었다고 구전 전통을 통해 알려진다.[23][24] 왕은 세습이 아닌 콩고 민족 궁정 귀족들의 선거로 선출되었으며, 왕은 동료들의 인정을 받고 합의를 도출하며 왕실 예물과 종교 의식을 통해 정당성을 확보해야 했다.[25] 왕국은 강과 내륙에 걸쳐 수백 킬로미터에 걸쳐 많은 무역 중심지를 가졌고, 수도 음반자 콩고는 대서양 연안에서 약 200km 내륙에 있었다.[25]

포르투갈인들은 인도로 가는 해상 항로를 찾기 위해 1472년과 1483년 사이에 콩고강 북쪽 중앙 아프리카 해안에 도착했지만,[25] 항구나 무역 기회를 찾지 못했다. 1483년, 콩고강 남쪽에서 중앙 집권적인 정부, ''짐부''라는 통화, 시장을 갖춘 콩고 민족과 콩고 왕국을 발견하고 무역 관계를 맺었다.[26] 포르투갈인들은 콩고 민족의 대서양 항구 정착지에서 내륙으로 잘 발달된 운송 기반 시설을 발견했고, 물품 교환이 쉬우며 콩고 민족이 새로운 아이디어에 열려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당시 콩고 왕 은징가 아 므쿠우는 기독교를 받아들여 1491년 세례를 받고 주앙 1세로 개명했다.[25] 1450년대 즈음, 예언자 네 부엘라 무안다는 포르투갈인의 도래와 많은 바콩고족의 정신적, 육체적 노예화를 예언했다.[27][28]

이후 콩고 민족과 포르투갈인 간의 무역은 1500년까지 가속화되었다. 콩고 왕국은 상투메라는 무인도에 포르투갈인들이 정착하도록 허락했고, 바콩고 귀족들을 포르투갈 왕실로 보냈다.[26] 콩고 민족의 많은 귀족들은 문화 교류를 환영했고, 기독교 선교사들은 그들을 가톨릭 신앙으로 개종시켰으며, 포르투갈 궁정의 예절을 따랐고, 16세기 초 콩고는 포르투갈과 제휴한 기독교 왕국이 되었다.[6]

1630년에 인쇄된 1595년 콩고 지도. 이 지도는 강과 포르투갈 교회를 강조한다. 콩고인의 수도를 ''Citta de São Salvador''로 표시한다.

3. 1. 1. 노예 무역의 시작

콩고족은 초기에 포르투갈과 사치품 및 자신들이 만든 상아, 구리 제품을 교환했다.[26] 그러나 1500년 이후 포르투갈은 상아와 구리에 대한 수요를 줄이고 대신 노예를 요구했다. 상투메에 정착한 포르투갈인들은 사탕수수 농장에 노예 노동력이 필요했고, 처음에는 노동력을 구매했다. 그 후 곧 콩고 사회에서 사람들을 납치하기 시작했고, 1514년 이후에는 노예 노동력을 얻기 위해 인근 아프리카 지역에서 군사 작전을 벌였다.[26] 이러한 포르투갈-콩고인 관계의 변화와 함께 콩고 왕국 내의 계승 제도가 포르투갈의 영향 아래 바뀌었고,[29] 1509년에는 귀족들 간의 일반적인 선거 대신, 유럽식 세습이 이루어져 아프리카 왕 아폰수 1세가 아버지 주앙 1세의 뒤를 이었다.[26] 노예 포획과 노예 수출은 콩고인들 사이에 심각한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고, 콩고 왕 아폰수 1세는 이러한 행위에 항의하는 서한을 포르투갈 왕에게 보냈다. 결국 그는 이러한 요구에 굴복하여 기꺼이 노예가 되기를 받아들인 사람들을 노예로 수출하는 것을 수락했고, 노예 한 명당 수수료를 받았다. 포르투갈은 1520년부터 몇 년 동안 매년 2,000~3,000명의 노예를 확보했으며, 이는 콩고인의 노예 수출 역사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급은 노예에 대한 수요와 노예 소유주가 기꺼이 지불하려는 돈에 한참 못 미쳤다.[26]

포르투갈 운영자들은 말레보 풀과 같은 콩고 왕국의 국경에서 상인들에게 접근하여 납치된 노예와 교환하여 사치품을 제공했다. 얀 반시나는 이에 대해 콩고인과 상인들이 참여하는, 다른 민족 집단과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국경 분쟁과 노예 캐러밴 루트를 조성하는 유인이 되었다고 말한다.[26] 그 후 노예 습격과 노예 인간 거래의 규모가 증가했으며, 1560년대에는 매년 7,000명 이상의 노예가 포르투갈 상인에 의해 아메리카로 납치되어 수출되었다.[26] 콩고인과 인접 민족 집단은 폭력과 공격으로 보복했는데, 1568년에는 자가 침략이 콩고 땅을 휩쓸고 포르투갈 교회를 불태우고 수도를 공격하여 콩고 왕국을 거의 멸망시킬 뻔했다.[26][30] 콩고인들은 또한 포르투갈인의 도착을 경고하기 위해 노래를 만들었는데, 유명한 노래 중 하나는 "'' Malele ''" (번역: "비극", 과들루프의 마셈보 가문이 Grap a Kongo [31] 동안 부른 17개의 콩고 노래 중 하나)이다. 포르투갈은 콩고 왕국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와 무기를 가져왔고, 수년간의 전투 끝에 그들은 공동으로 공격을 격퇴했다. 이 전쟁은 예상치 못하게 콩고 귀족과 상인에게 도전했던 포로들이 넘쳐나게 했고, 해안 항구는 "전쟁 포로들이 노예로 변한" 사람들로 넘쳐났다.[26] 수년간의 폭력의 또 다른 영향은 콩고 왕이 포르투갈의 보호에 크게 의존하게 만들었고,[29] 반란을 일으킨 콩고인을 포함하여 아프리카인들을 식인종 이교 야만인 "자가 왕국"으로 격하시키는 비인간화가 이루어졌다. 아프리카인에 대한 이러한 캐리커처와 그들의 비인간화는 노예 상인, 선교사 및 식민지 시대의 포르투갈 역사가들에 의해 목소리를 높여 잘 출판되었으며, 이는 대량의 노예 거래를 도덕적으로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26][30]

에스테밤 톰슨과 같은 현대 학자들은 콰고 강 동쪽 기슭의 야카 땅을 떠나 음바타와 음반자 콩고를 침략한 "원래" 자가족과, 실제로 다른 므방갈라 집단이었던 서중앙 아프리카 내륙을 배회하는 "자가 전사"에 대한 다른 후기 언급 사이에 많은 혼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30][32] 조셉 밀러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16세기와 17세기의 아프리카인에 대한 일방적인 비인간화가 선교사와 노예 상인 포르투갈인들이 그들의 학대 행위와 의도를 숨기기 위해 만들어낸 날조와 신화라고 믿었다.[32][33][34]

1570년대부터 유럽 상인들이 대거 도착했고 콩고인 영토를 통한 노예 무역이 급격히 증가했다. 약화된 콩고 왕국은 노예 습격과 포획으로 인한 내부 반란과 폭력에 계속 직면했고, 포르투갈은 1575년 콩고 귀족 가문과 협력하여 군사적 존재, 아프리카 작전 및 그에 따른 노예 무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루안다 (현재 앙골라에 있음) 항구 도시를 설립했다.[35][36] 콩고 왕국과 그 백성은 1660년대에 협력을 종료했다. 1665년 포르투갈 군대는 왕국을 침략하여 콩고 왕을 살해하고 그의 군대를 해산했으며, 그 자리에 우호적인 대체자를 설치했다.[37]

3. 2. 작은 왕국들

1665년 콩고-포르투갈 전쟁과 포르투갈 군인에 의한 세습 왕의 살해는 콩고 왕국에 정치적 공백을 초래했다.[6] 콩고 왕국은 더 작은 왕국들로 분열되었고, 각 왕국은 포르투갈인들이 우호적으로 간주하는 귀족들에 의해 통제되었다.[6] 이러한 왕국 중 하나가 로앙고 왕국이었다. 로앙고는 콩고 강 북부에 위치해 있었으며, 전쟁 훨씬 전부터 콩고족의 정착된 공동체였다.[26] 이 시기에 옛 콩고 왕국의 남동부와 북동부의 분열된 지역에서 새로운 왕국들이 생겨났다. 콩고족의 옛 수도인 상살바도르는 불타 사라졌고, 1678년에는 폐허가 되어 버려졌다.[44] 콩고족의 분열된 새로운 왕국들은 서로의 경계와 권리를 다투었으며, 그들과 인접한 다른 비(非)콩고 민족 집단들의 권리도 다투어 끊임없는 전쟁과 상호 공격으로 이어졌다.[6][38]

작은 왕국들 간의 전쟁은 포르투갈의 노예 수요를 충족하고, 작은 왕국들이 전쟁을 위한 정부 수입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노예 공급을 꾸준히 창출했다.[39][40] 1700년대에는, 도나 베아트리즈 킴파 비타라는 세례를 받은 십 대 콩고 여성이 자신이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에 사로잡혔으며, 하느님과 대화하기 위해 천국을 방문했다고 주장했다.[40] 그녀는 마리아와 예수가 나자렛에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콩고족 사이의 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고 설교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역사가들이 콩고 안토니오주의라고 부르는 콩고족 사이에서 운동을 일으켰다.[41]

도나 베아트리즈는 콩고족을 황폐하게 만드는 전쟁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모든 콩고족에게 인간 거래를 조장하는 전쟁을 끝내고 하나의 왕 밑으로 단결할 것을 요구했다.[6][42] 그녀는 수천 명의 콩고족을 옛 수도의 폐허로 끌어들였다. 그녀는 포르투갈이 임명한 콩고 왕 페드루 4세에 의해, 당시 콩고 땅에 거주하던 포르투갈 가톨릭 선교사들과 이탈리아 카푸친 수도사들의 지지를 받으며 가짜 성인으로 선언되었다. 22세의 도나 베아트리즈는 체포된 후, 마녀이자 이단이라는 혐의로 화형에 처해졌다.[6][43]

3. 3. 식민 시대

1706년 도나 베아트리스가 사망하고 3년간의 전쟁 후, 페드루 4세는 포르투갈의 도움으로 콩고 왕국의 많은 부분을 되찾았다.[6] 그러나 18세기 내내 갈등은 계속되었고, 콩고인과 비(非)콩고인 노예로 잡혀 대서양 항구로 향하는 대상과 그 수요는 꾸준히 증가했다.[44] 18세기 중반, 콩고인들은 각 귀족 가문이 이끄는 지역으로 분할되었지만, 기독교는 다시 성장하여 교회 의식이 왕위 계승의 일부가 되었다.[44] 19세기 중반까지 왕위 계승 위기와 갈등, 포르투갈의 개입이 계속되었다.[44]

1857년 엔히크 3세 사후, 페드루 엘렐로는 포르투갈의 봉신이 되어 알베로 13세에 대항하여 포르투갈 군대의 신뢰를 얻었다. 이로써 콩고인들은 식민 포르투갈의 일부가 되었다.[45]

style="text-align: center;" | 1501년부터 1867년까지 지역별 노예 선적[47]
지역총 탑승자
서중앙 아프리카569만 명
비아프라 만160만 명
베냉 만200만 명
골드 코스트121만 명
윈드워드 해안34만 명
시에라리온39만 명
세네감비아76만 명
모잠비크54만 명
브라질 (남아메리카)470만 명
남아메리카 나머지 지역90만 명
카리브해410만 명
북아메리카40만 명
유럽1만 명



기독교 선교사와 사치품 수입이 증가하면서 콩고 지역을 통한 노예 포획과 수출이 증가했다. 56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콩고인들의 땅을 통해 노예로 팔려 아메리카 대륙으로 선적되었다.[47] 1840년대 노예 무역이 금지될 때까지 앙골라의 경제와 통치 제도는 노예 무역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48] 1850년대에 노예 무역은 상아 무역으로 대체되었고, 초크웨족과 같은 비(非)콩고 민족 집단의 도움을 받아 코끼리 상아 사냥으로 사람 사냥을 대체했으며, 이 상아는 콩고인들의 노동력을 통해 수출되었다.[48]

1880년대와 1890년대에 스웨덴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들어왔고, 20세기 초 콩고 북동부를 개신교로 개종시켰다. 칼 라만은 현지인들에게 역사와 관습을 기록하도록 장려했고, 키콩고어 사전을 통해 방언을 확립했다.[49]

19세기, 분열된 콩고인들은 아프리카 분할베를린 회의 동안 세 개의 유럽 식민 제국에 병합되었다. 가장 북쪽 지역은 프랑스(현재 콩고 공화국가봉), 콩고 강을 따라 아프리카 내륙의 넓은 지역은 벨기에(현재 콩고 민주 공화국), 남쪽 지역(현재 앙골라)은 포르투갈에 남아 있었다.[50] 콩고인들은 아프리카 탈식민화 노력에 가장 활동적인 민족 집단 중 하나였으며, 프랑스와 벨기에 지역은 1960년에, 앙골라는 1975년에 독립했다.[6][51][52]

4. 문화

콩고족은 대부분 기독교나 전통 신양을 믿는다.[7] 언어는 콩고어프랑스어를 사용한다.

콩고 예술 작품


콩고족 사회는 다양한 직업을 가지고 있다. 일부는 카사바, 바나나, 옥수수, 토란, 고구마 등의 주식 작물과 땅콩, 콩을 재배하는 농부이다.[7] 식민 통치 시기에는 초콜릿 산업을 위한 커피와 카카오, 그리고 팜유와 같은 현금 작물이 도입되었다.[7] 전통적인 우레나는 기근 시의 식량으로 사용된다. 일부는 어업이나 사냥을 하지만, 대부분은 공장 노동자나 무역업에 종사한다.[7]

콩고족은 전통적으로 어머니로부터의 혈통을 인정하는 모계 사회이며, 친족 집단을 중시한다.[7][71] 이들은 문화를 통해 독립성을 중시하며, 인접한 마을 간에도 서로 의존하는 것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콩고족 사이에는 강력한 메시아적 전통이 흐르고 있으며, 20세기에는 여러 정치-종교 운동으로 이어지기도 했다.[7] 이는 바콩고 전통의 이원론적 우주론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이들은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강력한 영혼으로 가득 찬 세계, 두 개의 세계가 존재한다고 믿는다. 이 두 세계 간의 상호 작용과 교환에 대한 믿음은 영혼의 세계가 육체의 세계를 소유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71]

어머니와 아이 (Phemba)


콩고의 주는 콘조, 켄게, 손아, 캉두의 4일이었다.[72] 이 날들은 전통적으로 농부의 시장이 교대로 열렸던 인근 4개의 마을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2] 이러한 아이디어는 콩고족 전체로 퍼져 모든 주요 지역에 4개의 순환 시장 위치가 있었고, 각 중심지는 주간의 날짜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큰 시장 모임은 8일마다 손아 쿵구에 한 번씩 열렸다.[73]

콩고족의 종교는 대부분 기독교나 전통 신양이다.[62] 콩고의 종교 역사는 16세기 초 콩고 왕국이 기독교를 받아들인 이후 복잡하게 변화하였다. 존 K. 손턴에 따르면, 중앙 아프리카인들은 자신들의 우주론에 대해 일치된 견해가 없었으며, 이는 '지속적인 계시와 불안정한 사제직'의 결과였다.[62]

콩고인들은 창조신 ''은잠비 음풍구''와 그의 여성적 대응인 ''은잠비치'', 그리고 ''심비'', ''은키시'', ''은키타'', ''킬룬두'' 영과 같은 자연 영혼을 믿었다.[63] 포르투갈 선교사들은 콩고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위해 은잠비를 기독교의 하느님과 동일시하고, 기독교 사상을 콩고어 단어에 통합하여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교회는 "또 다른 신사"를 의미하는 ''nzo a nkisi''로, 성경은 "봉헌된 부적"을 의미하는 ''mukanda nkisi''로 불렸다.[62]

250px


기독교로 개종한 후에도 콩고인들은 ''키테키''라고 불리는 교회와 신사를 모두 유지했으며, 이 작은 신사들은 물, 농지, 높은 곳의 수호자인 작은 신들에게 바쳐졌다.[62] 17세기 후반, 카푸친 수도사들은 이러한 관행에 당황하여 신사를 파괴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하였으나, 콩고인들은 풍요를 위해 신사를 옹호했다.[62] 콩고인들의 개종은 기독교에 대한 다른 가정과 전제를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혼합주의적 사상은 수세기 동안 지속되었다.[65]

식민지 시대 기록에 따르면, 콩고인들은 조상과 영혼을 경외했다.[66] 그러나 일부 인류학자들은 지역적 차이와 종교적 생각의 변화를 보고한다.[68][69]

유럽 선박에 의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끌려간 노예들은 전통적인 사상을 전파하였다. 아프로-브라질의 킴반다 종교는 반투 종교와 영성의 새로운 세계적 발현이며, 콩고 기독교가 아이티의 부두교 형성에 역할을 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70]

4. 1. 사회와 문화

콩고족은 대부분 기독교나 전통 신양을 믿는다.[7] 언어는 콩고어프랑스어를 사용한다.

콩고족 사회는 다양한 직업을 가지고 있다. 일부는 카사바, 바나나, 옥수수, 토란, 고구마 등의 주식 작물과 땅콩, 콩을 재배하는 농부이다.[7] 식민 통치 시기에는 초콜릿 산업을 위한 커피와 카카오, 그리고 팜유와 같은 현금 작물이 도입되었다.[7] 전통적인 우레나는 기근 시의 식량으로 사용된다. 일부는 어업이나 사냥을 하지만, 대부분은 공장 노동자나 무역업에 종사한다.[7]

콩고족은 전통적으로 어머니로부터의 혈통을 인정하는 모계 사회이며, 친족 집단을 중시한다.[7][71] 이들은 문화를 통해 독립성을 중시하며, 인접한 마을 간에도 서로 의존하는 것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콩고족 사이에는 강력한 메시아적 전통이 흐르고 있으며, 20세기에는 여러 정치-종교 운동으로 이어지기도 했다.[7] 이는 바콩고 전통의 이원론적 우주론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이들은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강력한 영혼으로 가득 찬 세계, 두 개의 세계가 존재한다고 믿는다. 이 두 세계 간의 상호 작용과 교환에 대한 믿음은 영혼의 세계가 육체의 세계를 소유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71]

콩고의 주는 콘조, 켄게, 손아, 캉두의 4일이었다.[72] 이 날들은 전통적으로 농부의 시장이 교대로 열렸던 인근 4개의 마을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2] 이러한 아이디어는 콩고족 전체로 퍼져 모든 주요 지역에 4개의 순환 시장 위치가 있었고, 각 중심지는 주간의 날짜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큰 시장 모임은 8일마다 손아 쿵구에 한 번씩 열렸다.[73]

4. 2. 종교

콩고족의 종교는 대부분 기독교나 전통 신양이다.[62] 콩고의 종교 역사는 16세기 초 콩고 왕국이 기독교를 받아들인 이후 복잡하게 변화하였다. 존 K. 손턴에 따르면, 중앙 아프리카인들은 자신들의 우주론에 대해 일치된 견해가 없었으며, 이는 '지속적인 계시와 불안정한 사제직'의 결과였다.[62]

콩고인들은 창조신 ''은잠비 음풍구''와 그의 여성적 대응인 ''은잠비치'', 그리고 ''심비'', ''은키시'', ''은키타'', ''킬룬두'' 영과 같은 자연 영혼을 믿었다.[63] 포르투갈 선교사들은 콩고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위해 은잠비를 기독교의 하느님과 동일시하고, 기독교 사상을 콩고어 단어에 통합하여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교회는 "또 다른 신사"를 의미하는 ''nzo a nkisi''로, 성경은 "봉헌된 부적"을 의미하는 ''mukanda nkisi''로 불렸다.[62]

기독교로 개종한 후에도 콩고인들은 ''키테키''라고 불리는 교회와 신사를 모두 유지했으며, 이 작은 신사들은 물, 농지, 높은 곳의 수호자인 작은 신들에게 바쳐졌다.[62] 17세기 후반, 카푸친 수도사들은 이러한 관행에 당황하여 신사를 파괴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하였으나, 콩고인들은 풍요를 위해 신사를 옹호했다.[62] 콩고인들의 개종은 기독교에 대한 다른 가정과 전제를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혼합주의적 사상은 수세기 동안 지속되었다.[65]

식민지 시대 기록에 따르면, 콩고인들은 조상과 영혼을 경외했다.[66] 그러나 일부 인류학자들은 지역적 차이와 종교적 생각의 변화를 보고한다.[68][69]

유럽 선박에 의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끌려간 노예들은 전통적인 사상을 전파하였다. 아프로-브라질의 킴반다 종교는 반투 종교와 영성의 새로운 세계적 발현이며, 콩고 기독교가 아이티의 부두교 형성에 역할을 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70]

5. 언어 및 인구 통계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한다.[53][54][55] 종교는 대부분 기독교나 전통 신앙이다. 언어는 콩고어프랑스어를 사용한다. 콩고족의 언어는 키콩고어(반투어 H구역.10)라고 불리며, 이는 대언어이다. 콩고어는 벰베어, 둔도어, 콩고어, 라리어, 콩고-상살바도르어, 쿠니, 빌리어, 욤베어 하위 언어로 구성된다.[56] 콩고어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방언 간 차이가 커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콩고어와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되는 키투바어가 사용되는 지역 지도.


앙골라에서는 식민지 시대의 영향으로 키콩고어를 배우지 못한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바콩고족은 이 언어를 고수했다. 앙골라 콩고족은 포르투갈어도 사용하며, 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 근처에 사는 사람들은 프랑스어도 사용한다.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는 대부분 프랑스어를 사용하고, 그 외에는 서부 콩고에서 흔히 사용되는 링갈라어, 또는 콩고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키콩고어의 혼성어인 키콩고 야 레타(일반적으로 키투바어로 알려짐)를 사용한다.

6. 창조와 우주론

바콩고는 처음에 생명체가 없는 원형의 공허, 즉 "mbûngi"가 있었다고 믿는다. 그 후 은잠비 음푸구 (창조신)가 "칼룽가"라고 불리는 거대한 불의 힘을 불러 이 빈 원을 채웠다. 칼룽가는 mbûngi의 내용을 가열했고, 이것이 식으면서 지구를 형성했다. 지구는 네 단계를 거쳐 녹색 행성이 되었다.[57] 첫 번째는 불의 출현, 두 번째는 행성이 아직 불타면서 형성되지 않은 붉은 단계, 세 번째는 행성이 식어가는 회색 단계이지만 아직 생명체를 생산하지 못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은 행성이 숨쉬고 생명을 띠기 때문에 완전히 성숙한 녹색 단계이다. 모든 행성은 이 과정을 거쳐야 한다.[57]

몰레피 케테 아산테에 따르면, 바콩고 우주론에서 태양과 그 움직임은 중요하다. 태양의 상승, 정점, 일몰 및 부재는 삶의 네 단계(잉태, 탄생, 성숙, 죽음)와 같다. 바콩고에게 행성, 식물, 동물, 사람, 사회, 그리고 생각까지 모든 것은 이러한 단계를 거친다. 이 순환은 십자가가 있는 원으로 묘사된다. 이 우주도(디켄가)에서 두 선의 교차점은 가장 강력한 지점이며 사람이 서 있는 곳이다.[57][58]

요와, 또는 디켄가 크로스는 바콩고 영성에서 물리적 세계, 영적(조상) 세계, 두 세계를 잇는 칼룽가 라인과 태양의 네 순간을 묘사하는 상징이다.


바콩고 사람("muntu")의 창조 역시 태양의 네 순간을 따르며, 이는 그들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57] "무소니"는 영적 영역과 바콩고 여성의 자궁에서 모두 잉태되는 시간, "칼라"는 물리적 세계에서 태어나는 시간(태양의 떠오름), "투쿨라"는 성숙의 시간, "루벰바"는 육체적으로 죽어 조상(바쿨루)과 함께 영적 세계("누 펨바")에 들어가는 시간이다.[57][59] 바콩고 사람들은 "이중 영혼-마음"("mwèla-ngindu")을 가지고 있어 삶의 다양한 순간에 두 영역 모두에서 존재하고 살 수 있다. 누 펨바에 있는 동안에도 muntu는 칼라 시간을 다시 준비하면서 완전한 삶을 살아간다.[57] 신체의 오른쪽은 남성, 왼쪽은 여성으로 여겨져 muntu의 이중 정체성에 추가적인 층을 형성한다.[58] 바콩고에게 사람은 "kala-zimikala"(살아있는-죽어가는-살아있는 존재)이다.[57]

심비(복수형: 비심비)는 물과 바위에 서식하는 물의 정령으로, 죽은 후 칼룽가 강을 따라 바쿨루(조상)를 영적 세계로 안내할 수 있다. 후두교 전통에 따르면 세례 시 아프리카계 미국인 기독교인과 함께한다.[60][61]

7. 유전학

L2a 하플로그룹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반투족, 특히 바콩고족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미토콘드리아 DNA (mtDNA) 계통군이다.[74] E1b1a8 하플로그룹은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Y-염색체 계통군이었다.[75]

앉아 있는 남자

8. 민족주의

콩고족의 단결이라는 생각은 20세기 초, 다양한 방언으로 발행되던 신문을 통해 발전했다. 1910년, 카부나 카프완다니(Kavuna Simon)는 스웨덴 선교 단체의 키콩고어 신문인 ''미사뉘 미아옌게''(평화의 말)에 키콩고어 사용자 모두가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내용의 기사를 게재했다.[76]

콩고족은 축구와 같은 스포츠를 통해 민족 간의 경쟁과 민족주의를 옹호해 왔다. 민족별 팀으로 구성된 경기에서 팬들은 민족적 정체성에 따라 팀을 응원한다. 필리스 마틴에 따르면, 국제 대회 기간 동안 콩고족은 종교와 국가에 맞서 "자신들의 독립을 주장"하기 위해 민족적 경계를 넘어 뭉치기도 한다.[77]

9. 주요 인물


  • 은징가 은쿠우
  • 콩고의 피에르 2세
  • 알폰소 1세 은징가 벰바, 콩고 왕국의 초대 기독교 왕
  • 가르시아 1세
  • 킴파 비타, 콩고 왕국의 예언자
  • 시몽 킴방구, 민족 예언자이자 저항가
  • 앙드레 마츠와, 독립 운동 지도자
  • 조제프 카사부부, 콩고 민주 공화국 초대 대통령
  • 풀베르 유루, 콩고 공화국 초대 대통령
  • 홀든 로베르토, 앙골라 독립 운동 지도자
  • 쥐스틴 카사부부, 콩고 민주 공화국 초대 대통령의 딸
  • 레오폴드 마시알라, 콩고 민주 공화국 전 육군 장군
  • 마르셀린 루카마, 콩고 민주 공화국 전 육군 장군
  • 앙제 디아와라, 콩고 군인
  • 올리브 렘베 디 시타, 조제프 카빌라의 아내
  • 다니엘 칸자, 독립 운동 지도자, 정치인, 킨샤사 시 초대 주지사
  • 소피 칸자, 콩고 민주 공화국 최초의 여성 장관
  • 토마스 칸자, 콩고 정치인
  • 다니엘 사푸, 정치인이자 국회의원
  • 알퐁스 마삼바-데바, 콩고 공화국 제2대 대통령
  • 가스통 디오미 은동갈라, 응기리-응기리 시 초대 시장
  • 외젠 디오미 은동갈라
  • 크리스텔 부앙가, 국회의원
  • 압둘라예 예로디아 은돔바시, 콩고 민주 공화국 전 부총리
  • 폴 판다 파르나나, 콩고 최초의 학자이자 농학자
  • 알베르 파브리스 푸엘라, 정치인이자 콩고 장관
  • 분두 디아 콩고, 정치 및 종교 운동
  • 마리-마들렌 미엔제 키아쿠, 콩고 여성 정치인
  • 루졸로 밤비, 조제프 카빌라 전 고문
  • 바콩고 연합, 정당
  • 아르세니오 로드리게스, 현대 룸바 음악의 창시자, 아프로-쿠바 음악가
  • 베니 모레, 아프로-쿠바 음악가
  • 조사르 응요카 롱고, 콩고의 싱어송라이터, 자이코 랑가 랑가의 밴드 리더
  • 윌프레도 람, 쿠바 예술가

참조

[1] 웹사이트 People Cluster - Bantu, Kongo | Joshua Project https://joshuaprojec[...]
[2] 웹사이트 Worldometers & CIA.gov Worldometers and CIA.gov
[3] 서적 Africa's Urban Past James Currey Publishers
[4] 서적 Kongo Political Culture: The Conceptual Challenge of the Particular Indiana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Republic of the Congo - Peopl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2-13
[6]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 백과사전 Bakongo https://www.britanni[...]
[8] 서적 Etnias e culturas de Angola Instituto de Investigação Científica de Angola 1975
[9] 서적 Colonialism: An International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10]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3-Volume Set)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서적 Le Royaume de Congo & les contrées environnantes https://books.google[...] Chandeigne
[12] 서적 Colonialism In The [[Congo Basin]], 1880–1940 Ohio University Press
[13] 서적 Kongo: Power and Majesty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4] 웹사이트 Congo http://www.etymonlin[...] Douglas Harper, Etymology Dictionary
[15] 서적 Central Africa in the Caribbean: Transcending Time, Transforming Cultur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est Indies Press
[16] 웹사이트 La nation angolaise en Amérique, son identité en Afrique et en Amérique http://www.anneauxde[...] 2012-03-31
[17] 서적 Paths in the Rainforests: Toward a History of Political Tradition in Equatorial Af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8] 서적 Kongo Political Culture: The Conceptual Challenge of the Particular Indiana University Press
[19] 서적 Paths in the Rainfores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
[20] 서적 Paths in the Rainfores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
[21] 간행물 Congo to Kalahari: Data and hypotheses about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western stream of the Early Iron Age
[22] 서적 Paths in the Rainfores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
[23] 문서 le Mukongo et le monde qui l’entourait: cosmogonie kongo Office National de la Recherche et de Développement, Kinshasa 1969
[24] 뉴스 En Angola, au cœur du royaume Kongo Arte 2020
[25] 서적 The Art of Conversion: Christian Visual Culture in the Kingdom of Kongo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6] 서적 Paths in the Rainfores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
[27] 서적 East African Expressions of Christianity James Currey Publishers
[28] 문서 Bundu dia Kongo, une résurgence des messianismes et de l’alliance des Bakongo? Universiteit Gent, België 2011
[29]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3-Volume Set https://books.google[...] Routledge
[30]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Colonial Conflicts https://books.google[...] ABC-CLIO
[31] Youtube Grappe à Kongos https://m.youtube.co[...] 2021-12-21
[32] 저널 Requiem for the "Jaga" (Requiem pour les "Jaga") https://www.jstor.or[...]
[33] 저널 The Date and Significance of the Imbangala Invasion of Angola
[34] 저널 More on the Invasions of Kongo and Angola by the Jaga and the Lunda
[35] 서적 The Art of Conversion: Christian Visual Culture in the Kingdom of Kongo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36] 서적 Being Colonized: The Kuba Experience in Rural Congo, 1880–196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7] 서적 Agrar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38] 서적 The Kingdom of Kongo: Civil War and Transition, 1641–1718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9] 서적 Colonialism: An International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40] 서적 Kongo: Power and Majesty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41] 서적 The Kongolese Saint Anthony: Dona Beatriz Kimpa Vita and the Antonian Movement, 1684-1706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Kongolese Saint Anthon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Kongolese Saint Anthon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서적 Kongo: Power and Majesty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45] 서적 Kongo: Power and Majesty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46] 간행물 The African Diaspora: Mitochondrial DNA and the Atlantic Slave Trade Elsevier
[47] 문서 Atlas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http://www.slavevoya[...] Yale University Press 2016-11-22
[48] 서적 Being Colonized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49] 서적 The Kongo Stockholm, Uppsala, and Lund
[50] 서적 The History of Congo https://archive.org/[...] Greenwood
[51] 서적 SAT Subject Tests: World History 2005–2006
[52]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53] 문서 Fronted-infinitive constructions in Kikongo (Bantu H16): verb focus, progressive aspect and future
[54] 문서 The Kongo Kingdom: The Origins, Dynamics and Cosmopolitan Culture of an African Po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문서 L'ancien royaume du Congo et les Bakongo, séquences d'histoire populaire L'harmattan
[56]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kon http://www-01.sil.or[...] SIL
[57]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Religion SAGE Publications
[58] 간행물 The Spiral as the Basic Semiotic of the Kongo Religion, the Bukongo 2017
[59] 간행물 Bakongo Magic https://www.jstor.or[...] 1941
[60] 서적 Hoodoo, Voodoo, and Conjure: A Handbook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08
[61] 서적 Talking to the Dead: Religion, Music, and Lived Memory among Gullah/Geechee Women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4
[62] 서적 Central Africans and Cultural Transformations in the American Diaspor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63] 서적 African-Atlantic Cultures and the South Carolina Lowcount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8-27
[64] 문서 Religious and Ceremonial Life
[65]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an African Catholic Church in the Kingdom of Kongo, 1491–1750 https://www.jstor.or[...]
[66] 서적 Religion and Society in Central Africa: The Bakongo of Lower Zai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7] 뉴스 The enchanted worlds of Marshall Sahlins https://www.thenatio[...]
[68] 간행물 There Are Many Kongo Worlds: Particularities of Magico-Religious Beliefs among the Vili and Yombe People of Congo-Brazzaville
[69] 서적 Lemba, 1650–1930: a drum of affliction in Africa and the New World New York, Garland
[70] 문서 Central African Popular Christianity and the Development of Voudou Religion in Haiti
[71] 서적 Religion and Anthropology: A Crit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 서적 Heart of Darkness and the Congo Diary: A Penguin Enriched eBook Classic https://books.google[...] Penguin
[73] 서적 Kongo Political Culture: The Conceptual Challenge of the Particular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74] 간행물 60,000 years of interactions between Central and Eastern Africa documented by major African mitochondrial haplogroup L2 2015-07-27
[75] 논문 Y-chromosomal variation in sub-Saharan Africa: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Niger-Congo groups
[76] 문서 "The Eyes of Understanding: Kongo Minkisi," in Michael Harris, ed. Astonishment and Power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77] 서적 Leisure and Society in Colonial Brazzavill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