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릴 열도 상륙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릴 열도 상륙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 18일부터 9월 1일까지 소련군이 쿠릴 열도에 상륙하여 일본군을 몰아낸 군사 작전이다. 이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과 얄타 회담을 배경으로, 소련의 대일전 참전 결정에 따라 진행되었다. 소련군은 육군, 해군, 공군을 동원하여 일본군이 주둔한 쿠릴 열도의 여러 섬에 상륙 작전을 펼쳤으며, 일본군의 항복 이후에도 일부 저항이 있었지만, 결국 쿠릴 열도 전역을 점령했다. 이 작전의 결과로 쿠릴 열도는 소련 영토가 되었으나, 현재까지도 러시아와 일본 간의 영유권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이 참가한 군사 작전 - 소말리아의 해적
소말리아 해적은 소말리아의 정치적 혼란과 어족 자원 고갈로 인해 등장하여 선박 납치와 몸값 요구를 통해 활동했으며, 국제 사회의 노력으로 2010년대 초반 이후 활동이 감소했다. - 소련이 참가한 군사 작전 - 트리코라 작전
트리코라 작전은 1961년 수카르노 대통령이 서뉴기니를 인도네시아 영토로 편입하고 네덜란드 제국주의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발표한 군사·외교·경제 정책이다. - 소련이 참가한 군사 작전 - 남사할린 침공
남사할린 침공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소련군이 일본 영토였던 남사할린 섬을 점령한 군사 작전으로, 얄타 회담을 배경으로 소련의 만주 침공과 함께 시작되어 일본군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소련군의 압도적인 전력에 의해 점령되었다. - 쿠릴 열도의 역사 - 에노모토 다케아키
에노모토 다케아키는 막말의 해군 장교이자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로서, 보신 전쟁에서 막부군으로 활약하고 에조 공화국을 건국했으나 메이지 정부에 항복 후 사면되어 고위 관료로 활동하며 해군경, 통신대신, 농상무대신, 문부대신, 외무대신 등을 역임하고 홋카이도 개척과 해외 이민 정책에 기여했다. - 쿠릴 열도의 역사 -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은 쿠릴-캄차카 해구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9.0의 해구형 지진으로, 쓰나미를 동반하여 세베로쿠릴스크에 큰 피해를 입혔고, 지구 자유진동 확인 및 태평양 전역에 쓰나미 피해를 일으켰다.
쿠릴 열도 상륙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 소련-일본 전쟁의 일부 |
기간 | 1945년 8월 18일 – 1945년 9월 2일 |
장소 | 쿠릴 열도 |
결과 | 소련의 승리, 쿠릴 열도가 소련에 합병됨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소련 |
교전국 2 | 일본 제국 |
지휘관 | |
소련 지휘관 | 알렉산드르 크세노폰토프 알렉세이 그네츠코 드미트리 포노마레프 |
일본 지휘관 | 쓰쓰미 후사키 |
병력 규모 | |
소련군 | 15,000명 |
일본군 | 80,000명 |
피해 규모 | |
소련군 | 최소 962명 사망, 최소 1,026명 부상 |
일본군 | 최소 1,018명 사상, 50,422명 항복 |
관련 항목 | |
관련 전투 상자 | |
일본어 명칭 | |
일본어 명칭 (쿠릴 열도 상륙 작전) | クリル列島上陸作戦 |
러시아어 명칭 | |
러시아어 명칭 (쿠릴 열도 상륙 작전) | Курильская десантная операция |
2. 배경
(이전 출력에서 배경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었으므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2. 1. 소련의 대일전 참전
Курильская десантная операцияru, Kuril Landing Operation영어은 1945년 8월 8일 소련이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만주 전략공세작전을 개시하면서 그 일환으로 진행된 작전이다.[7] 8월 18일부터 9월 1일까지 소련군 제2 극동 전선 소속 제16군과 캄차카 방위 구역 병력이 공격을 수행했다.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군사 기지의 함선과 수송선, 제128항공사단도 지원에 나섰다.[7]당시 쿠릴 열도는 일본 제91보병사단 (시아슈코탄, 파라무시르, 슘슈, 오네코탄), 제42사단 (시무시르), 제41독립연대 (마투아), 제129독립여단 (우루프), 제89보병사단 (이투루프 및 쿠나시르)이 점령하고 있었다. 일본군 사령관은 쓰쓰미 후사키 중장이었다.[7]
8월 18일, 소련군 제113독립소총병여단의 분견대가 이투루프 섬의 루베추 만으로 이동하여 초기 정찰을 수행했다. 이후 제355소총병사단이 이투루프 섬과 우루프 섬에 상륙했다. 8월 23일, 일본 수비대는 항복 명령을 받았으나 일부 병력은 이에 불응하고 저항했다.[7]
8월 22일부터 28일까지 캄차카 방위 구역 병력이 우루프 섬 이북의 쿠릴 열도를 점령했다. 9월 1일, 소련군 제87소총병단은 남쿠릴 열도의 쿠나시르 섬과 시코탄 섬에 상륙했다. 9월 4일에는 시보추, 타라쿠시마, 우리시마, 아키우리, 스이세토 섬을 점령했다. 이후 소련군은 추가 저항 없이 나머지 쿠릴 열도를 점령했다.[7]
이 섬들은 소련의 해체 이후에도 러시아의 영토로 남아 있지만, 쿠릴 열도 분쟁으로 인해 법적 지위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7]
3. 전투 서열
Курильская десантная операцияru에 참전한 소련군과 일본군의 병력은 다음과 같다.
소련군 | 일본군 |
---|---|
자세한 편제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3][4][5][6]
3. 1. 소련군
- 제2극동전선군: 육군원수 막심 푸르카예프
- * 제87소총병군단
- ** 제355소총병사단
- ** 제2별동소총병여단
- ** 제113별동소총병여단
- * 캄차카 방어지역
- ** 제101소총병사단
- ** 해군보병대대
- ** 곡사포연대
- ** 제128혼성항공사단 (총 78기)
- 태평양 함대: 제독 이반 유마셰프 - 파울 해군기지
- * 함선 및 함정 60척
- * 제2해군항공폭격연대
- * 해안포대[3][4][5][6]
3. 2. 일본군
4. 작전 경과
이 작전은 1945년 8월 18일부터 9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소련군 제2 극동 전선 소속 제16군 예하 제87소총병단과 캄차카 방위 구역 병력이 공격을 수행했다. 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군사 기지의 함선과 수송선이 동원되었고, 제128항공사단이 지원을 제공했다.[7]
쿠릴 열도를 점령하고 있던 일본군은 제91보병사단(시아슈코탄, 파라무시르, 슘슈, 오네코탄), 제42사단 (시무시르), 제41독립연대 (마투아), 제129독립여단 (우루프), 제89보병사단 (이투루프 및 쿠나시르)이었다. 일본군 사령관은 쓰쓰미 후사키 중장이었다.[7]
소련군은 8월 18일 이투루프 섬과 우루프 섬에 상륙하여 초기 정찰을 수행했고, 8월 22일부터 28일까지 우루프 이북의 쿠릴 열도를 점령했다. 9월 1일에는 쿠나시르와 시코탄에 상륙하여 일본군의 저항을 받았으나, 9월 4일까지 시보추 섬, 타라쿠시마 섬, 우리시마 섬, 아키우리 섬, 스이세토 섬을 점령했다. 9월 4일 이후, 소련군은 추가 저항 없이 쿠릴 열도 나머지를 점령했다.[7]
이후 소련군은 쿠릴 열도 전역을 점령했지만, 이 섬들은 소련의 해체 이후에도 러시아 영토로 남아있으며, 쿠릴 열도 분쟁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그 지위가 논쟁의 대상이다.
4. 1. 초기 상륙 작전 (8월 18일 ~ 8월 23일)
8월 18일, 소련군 제113독립소총병여단 (대위-중위 G. I. 브룬슈테인) 분견대가 기뢰 트롤선(ТЩ-589 및 ТЩ-590) 2척을 타고 이투루프 섬 루베추 만으로 이동하여 초기 정찰을 수행했다.[7] 제355소총병사단이 이투루프 섬 상륙을 이어받았으며, 우루프 섬에도 상륙했다.8월 23일, 이 섬들에 주둔한 2만 명의 일본 수비대는 일본의 항복의 일부로 항복하라는 명령을 받았다.[7] 그러나 일부 수비대 병력은 이 명령을 무시하고 소련의 점령에 계속 저항했다.
4. 2. 일본군의 항복과 저항 (8월 23일 ~ 8월 28일)
8월 23일, 이 섬들에 주둔한 2만 명의 일본군 수비대는 일본의 항복의 일부로 항복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일부 수비대 병력은 이 명령을 무시하고 소련의 점령에 계속 저항했다.[7] 8월 22일부터 28일까지 캄차카 방위 구역의 병력이 우루프 이북의 쿠릴 열도를 점령하였다.4. 3. 남쿠릴 열도 상륙 (9월 1일 ~ 9월 4일)
9월 1일, 소련 제87소총병단은 어뢰정, 기뢰 트롤선 및 수송선을 이용하여 남쿠릴 열도의 쿠나시르와 시코탄에 상륙했다. 이는 일본군의 저항에 맞선 강습 상륙이었다. 9월 4일, 제87소총병단은 시보추 섬, 타라쿠시마 섬, 우리시마 섬, 아키우리 섬, 스이세토 섬을 점령했다.[7]4. 4. 작전 종료 (9월 4일 이후)
9월 4일 이후, 소련군은 추가 저항 없이 쿠릴 열도의 나머지 지역을 점령했다.[7]5. 결과 및 영향
8월 18일부터 9월 1일까지 진행된 이 작전으로 소련군은 쿠릴 열도 전체를 점령했다. 8월 23일, 섬에 주둔한 2만 명의 일본 수비대는 일본의 항복의 일부로 항복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일부는 이에 불응하고 저항을 계속했다.[7] 9월 1일, 소련군 제87소총병단은 어뢰정, 기뢰 트롤선 및 수송선을 이용하여 남쿠릴 열도의 쿠나시르와 시코탄에 상륙했는데, 이는 일본의 저항에 대한 강습 상륙이었다. 9월 4일에는 시보추, 타라쿠시마 등 다섯 개의 작은 섬을 추가로 점령했다.[7] 이후 소련군은 추가 저항 없이 쿠릴 열도의 나머지 지역을 점령했다.
5. 1. 쿠릴 열도 분쟁
Кури́льские острова́ru는 소련의 영토로 편입되었고, 소련의 해체 이후에는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일본은 쿠릴 열도 남부 4개 섬(이투루프, 쿠나시르, 시코탄, 하보마이 군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러시아와 분쟁 중이다.[7]5. 2. 국제 관계
이 섬들은 소련의 해체 이후에도 러시아의 영토로 남아 있지만, 그 진정한 법적 지위는 러시아, 일본 및 기타 당사자 간의 쿠릴 열도 분쟁의 일부로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7]참조
[1]
서적
August Storm: The Soviet 1945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Frank Cass Publishers
[2]
웹사이트
Our Kuriles and Japanese Claims
https://histrf.ru/up[...]
2018-04-06
[3]
웹사이트
第12航空艦隊
https://www.jacar.go[...]
2024-04-21
[4]
웹사이트
第51警備隊
https://www.jacar.go[...]
2024-04-21
[5]
웹사이트
第52警備隊
https://www.jacar.go[...]
2024-04-21
[6]
웹사이트
占守通信隊
https://www.jacar.go[...]
2024-04-21
[7]
서적
August Storm: The Soviet 1945 Strategic Offensive in Manchuria
FRANK CASS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