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바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바바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인물로, 수메르 왕 목록에 키시 제3왕조의 유일한 왕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100년 동안 통치했다고 전해진다. 창녀에서 왕비가 되어 실권을 장악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며, 아시리아학자들은 그녀를 전설적인 인물로 간주한다. 쿠바바는 수메르 왕 목록, 바이드너 연대기, 점술 텍스트 등 다양한 문헌에 등장하며, 쿠바바라는 이름을 가진 여신과의 연관성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2. 명칭

쿠바바의 이름은 설형 문자로 ''kù-dba-ú'', ''kù-dbu-ú'', ''ku-ub-ba-bu-ú'' 또는 ''ku-ub-ba-bu-ú''로 표기되었다.[1] 또한 Ku-Baba로 로마자 표기되는데, 요소들을 하이픈으로 구분하고 신명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쓴다. 첫 번째 기호는 ''ku'' 대신 ''kug''으로 전사될 수 있으며, 이는 Reallexikon der Assyriologie의 해당 항목 제목인 Ku(g)-Baba에 반영되어 있다. 이 이름은 수메르어에서 "빛나는 바바" 또는 "바바의 은"으로 번역될 수 있다. 이 신명의 두 번째 요소로 사용된 신명 마지막 기호의 정확한 판독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ba/ 외에 /u/와 /wu/가 제안되었다. 따라서 여왕의 이름은 Kug-Bau 또는 Kug-Bawu로 대체 로마자 표기될 수 있다.[1]

3. 역사적 실존성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쿠바바는 키시 제3왕조의 유일한 왕이었으며, 100년 동안 재위했다고 한다. 쿠바바는 창녀에서 왕비로 신분이 상승하여, 마침내 키시의 실권을 장악하고 여왕으로 즉위했다고 전해진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실권을 장악했다고 전해지는 여성으로는 샴무라마트나 나키아(자쿠투) 등이 있지만, 정식으로 왕으로 즉위한 여성으로는 쿠바바가 유일하다. 그러나 쿠바바가 실제로 존재했던 인물인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키시 제4왕조의 푸주르-신(Puzur-Sin)의 어머니로 여겨지기도 하고, 일설에는 우르-자바바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3. 1. 역사적 증거 부족

쿠바바가 역사적 통치자였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그럴듯하지 않은 견해로 여겨진다.[1] 그녀를 언급하는 가장 초기의 자료는 그녀가 살았다고 추정되는 시기보다 수 세기 후에 작성되었다. 아시리아학자들은 그녀를 "전설적인" 또는 "신화적인" 통치자로 간주한다. 잔니 마르케시는 'ku-'로 시작하는 이름이 우르 제3왕조 이전에는 증명되지 않으며, 그 이름을 가진 통치자를 초기 왕조 시대에 위치시키는 것은 시대착오라고 지적했다.[1] 클라우스 빌케는 ''수메르 왕 목록''에서 쿠바바의 통치가 100년 동안 지속되는 초자연적으로 긴 기간이라고 지적한다. 수메르 왕 목록이 초기 왕조 시대의 역사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는다는 점이 지적되었는데, 특히 라가시가 주요 정치 세력이었던 에안나툼의 통치 기간 동안 완전히 누락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쿠바바는 또한 발견된 초기 왕조 시대의 역사적 통치자들의 어떤 비문에서도 언급되지 않는다. 마르텔 스톨은 쿠바바를 언급하는 텍스트는 전통적인 민간 설화에 대한 추측으로만 해석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3. 2. 수메르 왕 목록의 신뢰성 문제

쿠바바가 역사적인 통치자였을 가능성은 오늘날 희박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녀를 언급하는 가장 초기의 자료는 그녀가 살았다고 추정되는 시기보다 수 세기 후에 작성되었다. 아시리아학자들은 그녀를 "전설적인" 또는 "신화적인" 통치자로 간주한다. 잔니 마르케시는 'ku-'로 시작하는 이름이 우르 3왕조 이전에는 증명되지 않으며, 그 이름을 가진 통치자를 초기 왕조 시대에 위치시키는 것은 시대착오라고 지적했다. 클라우스 빌케는 ''수메르 왕 목록''에서 쿠바바의 통치가 100년 동안 지속되는 초자연적으로 긴 기간이라고 지적한다.

SKL이 초기 왕조 시대의 역사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는다는 점이 지적되었는데, 특히 라가시가 주요 정치 세력이었던 에안나툼의 통치 기간 동안 완전히 누락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쿠바바는 또한 발견된 초기 왕조 시대의 역사적 통치자들의 어떤 비문에서도 언급되지 않는다. 마르텔 스톨은 쿠바바를 언급하는 텍스트는 전통적인 민간 설화에 대한 추측으로만 해석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수메르 왕 목록의 가장 오래된 사본은 우르 3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를 들어 메사네파다와 같은 일부 통치자들의 이름은 봉헌 비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바지와 지지와 같은 다른 이름들은 초기 왕조의 소위 ''이름과 직업 목록''과 같은 어휘 목록에서 복사된 일반적인 이름이거나 완전한 창작물일 수 있다. SKL의 초기 버전에는 쿠바바를 포함한 개별 통치자에 대한 일화가 없으며, 이는 일화가 나중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편찬자들은 역사적 기록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쿠바바의 배경은 환상적인 것으로 취급되며, 같은 구성에서 왕이 된 다른 특이한 이야기나 다양한 직업의 구성원들과 비교되어 왔으며, 여기에는 풀러 수수다, 선원 마마갈, 석공 난니야가 포함된다.

4. 문학적 기록

바이드너 연대기는 수메르 왕 목록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쿠바바 왕조와 악샤크 왕조의 순서를 뒤바꿔 푸주르-니라|푸주르-니라pl가 쿠바바보다 먼저 통치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기록에서 쿠바바에 할당된 부분은 제대로 보존되지 않았지만, 쿠바바가 마르두크 신전에 물고기를 바친 후 왕권을 받았다고 전한다. 이 내용은 마르두크를 숭배하지 않은 왕들이 무력해졌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시대착오적인 요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연대기는 신 아시리아 제국과 신 바빌로니아 제국의 사본에서 알려졌으며, 기원전 1100년경보다 이전에 처음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쿠바바는 점술과 관련된 간 점에 초점을 맞춘 텍스트에서도 언급된다. 이 텍스트들에서 쿠바바는 구슈르, 에타나, 길가메시와 같은 전설적인 통치자들과 함께 왕권의 전형적인 모델로 제시된다. 한 점술집에서는 "쿠바바의 징조"가 남성과 여성의 성기를 모두 가진 양성인의 탄생으로 나타나며, 이는 "왕의 국가는 멸망할 것이다"라는 예언과 연결된다.[1] Marten Stol은 이러한 부정적인 묘사가 통치자라는 남성적 역할을 수행하는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징조들은 쿠바바가 전사였다는 전통을 보여준다.[1]

수메르 왕명표에 따르면 쿠바바는 키시 제3왕조의 유일한 왕이었으며 100년 동안 재위했다. 쿠바바는 창녀에서 왕비로 신분이 상승하여 키시의 실권을 장악하고 여왕으로 즉위했다고 전해진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실권을 장악했다고 전해지는 여성으로는 샴무라마트나 나키아(자쿠투) 등이 있지만, 정식으로 왕으로 즉위한 여성은 쿠바바가 유일하다.

쿠바바의 실존 여부는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키시 제4왕조 푸주르-신의 어머니 또는 우르-자바바의 어머니로 여겨지기도 한다.


  • 웹 소설 『백은 소녀 전기』[1]

4. 1. 수메르 왕 목록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쿠바바는 키시 제3왕조의 유일한 왕이었으며 100년 동안 재위했다고 한다.[1] 쿠바바는 여관 주인 출신으로 "키시의 기반을 강화"했으며, 성별 때문에 왕 목록에 포함된 것은 이례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일부 현대 작가들은 그녀를 여왕으로 지칭하지만, 수메르 칭호는 여성형이 없는 ''lugal''("왕")이었다. 우르에서 나온 한 판본에는 쿠바바가 통치하는 동안 왕이 없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수메르 왕 목록은 그녀의 통치 후 키시에서 악샤크로 일시적으로 권력이 이양되었다가 푸주르-수엔에 의해 다시 되찾아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푸주르-수엔은 쿠바바의 아들이라고 하며, 이는 쿠바바가 사르곤의 전설적인 반대자인 우르-자바바의 할머니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메르 왕명표의 가장 오래된 사본은 우르 3 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편찬자들은 역사적 기록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쿠바바의 배경은 환상적인 것으로 취급되며, 왕이 된 다른 특이한 이야기나 다양한 직업의 구성원들과 비교되어 왔다.

4. 2. 바이드너 연대기

바이드너 연대기는 수메르 왕 목록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쿠바바 왕조와 악샤크 왕조의 순서가 뒤바뀌어 푸주르-니라|푸주르-니라pl가 쿠바바보다 나중에 통치하는 대신 먼저 통치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그녀에게 할당된 부분은 제대로 보존되지 않았다. 이 기록은 쿠바바가 마르두크 신전에 물고기를 바친 후 그로부터 왕권을 받았다고 전한다. 이 작품은 마르두크를 숭배하지 않은 왕들이 무력해졌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위해 많은 시대착오적인 요소들을 사용하는데, 이 이야기도 그중 하나이다. 이는 신 아시리아 제국과 신 바빌로니아 제국의 사본에서 알려졌으며, 기원전 1100년경보다 더 이전에 처음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4. 3. 점술 텍스트

쿠바바에 대한 언급은 점술과 관련된 간 점에 초점을 맞춘 텍스트에서도 알려져 있다.[1] Beate Pongratz-Leisten은 이 범주에 속하는 작품에서 쿠바바, 구슈르, 에타나, 길가메시와 같은 전설적인 통치자에 대한 언급은 그들을 왕권의 전형적인 모델로 확립하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 점술집에서 "쿠바바의 징조"는 남성과 여성의 성기를 모두 가진 양성인의 탄생이다.[1] 이는 인간이 아닌 양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사건은 "왕의 국가는 멸망할 것이다"라고 예언한다고 한다.[1] Marten Stol은 그것의 부정적인 성격이 통치자라는 전형적인 남성적 역할을 수행하는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징조들은 쿠바바가 전사였다는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1]

5. 쿠바바 여신과의 관계

공간적, 시간적 차이로 인해, 쿠바바의 이름과 유사한 이름을 가진 여신 쿠바바 사이의 연관성은 확립될 수 없다.[1] 곤잘로 루비오는 후자의 이름에 명확한 어원이 없으며, 수메르어나 어떤 셈어파 언어에서도 기원한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고 강조한다. 설형 문자로 ''dku-ba-ba'' 또는 ''dku-pa-pa''로 표기되었다.[1]

6. 대중문화 속 쿠바바

웹 소설 《백은 소녀 전기》[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