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안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티안 3세는 1534년부터 1559년까지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국왕이었다. 그는 프레데리크 1세의 아들로, 1523년 슐레스비히 공작과 홀슈타인 공작으로 임명되었고, 왕세자 시절 루터교에 관심을 가졌다. 1534년 덴마크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백작 전쟁을 겪으며 개신교 세력을 강화했다. 그는 루터교를 덴마크의 국교로 확립하고, 1537년 노르웨이를 덴마크와 실질적으로 통합했다. 외교적으로는 신성 로마 제국에 대항하여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으며, 1559년 사망 후 프레데리크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59년 사망 -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은 조선 중종의 아들이자 선조의 아버지로, 덕흥군 시절 사치와 노비 문제로 탄핵을 받았지만 선조 즉위 후 대원군으로 추존되었으며, 그의 삶은 왕권과 신권의 관계 및 성리학적 이념을 보여주는 사례이고 문학적 업적도 남겼다. - 1559년 사망 - 에르콜레 2세 데스테
에르콜레 2세 데스테는 페라라와 모데나의 공작으로 르네 드 프랑스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반프랑스 정책과 종교적 갈등을 겪었지만 예술 후원자로서 활동했다. - 1503년 출생 -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1세는 1556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1526년부터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 1521년부터 오스트리아 대공을 지냈으며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 분가를 창시하고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위를 계승하여 합스부르크 제국의 기틀을 마련, 종교 갈등을 조정하여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이끌어냈고 중앙집권화와 가톨릭 부흥을 추진했다. - 1503년 출생 - 브론치노
브론치노는 16세기 이탈리아 매너리즘 미술의 대표 화가 중 한 명으로, 메디치 가문의 궁정 화가로서 궁정 인물 초상화를 주로 그리며 정적이고 우아한 화풍으로 유럽 궁정 초상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종교화, 우화화, 태피스트리 디자인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루터교로 개종한 사람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루터교로 개종한 사람 - 칼 14세 요한
칼 14세 요한은 프랑스 출신 군인으로 스웨덴 왕세자가 되어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동군 연합을 이루고 중립 외교와 근대화를 추진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크리스티안 3세 | |
---|---|
기본 정보 | |
![]() | |
군주 | 덴마크 국왕 |
통치 기간 | 1534년 7월 4일 – 1559년 1월 1일 |
대관식 | 1537년 8월 12일 코펜하겐 대성당 |
선임자 | 프레데리크 1세 |
후임자 | 프레데리크 2세 |
군주 (노르웨이) | 노르웨이 국왕 |
통치 기간 (노르웨이) | 1537년–1559년 |
대관식 (노르웨이) | 1537년 8월 12일, 코펜하겐 |
선임자 (노르웨이) | 프레데리크 1세 |
후임자 (노르웨이) | 프레데리크 2세 |
공작 | 슐레스비히 공작홀슈타인 |
통치 기간 (공작) | 1533년 – 1559년 4월 10일 |
선임자 (공작) | 프레데리크 1세 |
후임자 (공작) | 프레데리크 2세 |
배우자 | 도로테아 폰 작센-라우엔부르크 (1525년 결혼) |
자녀 | 안나, 작센 선제후비 프레데리크 2세,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 마그누스, 홀슈타인 공작 한스 2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공작 도로테아,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부인 |
왕가 | 올덴부르크 가 |
아버지 | 프레데리크 1세 |
어머니 | 안나 폰 브란덴부르크 |
출생일 | 1503년 8월 12일 |
출생지 | 고토르프 성, 슐레스비히, 덴마크 (현재 독일) |
사망일 | 1559년 1월 1일 |
사망지 | 콜링후스, 콜링, 덴마크 |
매장지 | 로스킬레 대성당, 셸란 섬, 덴마크 |
종교 | 루터교 |
![]() | |
이름 | |
덴마크어 | Christian 3. |
노르웨이어 | Christian III |
2. 생애
1533년 아버지 프레데리크 1세가 사망하자, 1534년 윌란반도 동부 뤼에서 열린 의회에서 덴마크 국왕으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교회 주교들과 귀족들이 장악하고 있던 덴마크 의회는 크리스티안 3세의 즉위를 인정하지 않고, 크리스티안 2세의 복위를 주장하며 올덴부르크의 크리스토페르 백작을 지지했다.
1534년부터 1536년까지 2년 동안 덴마크에서는 개신교 세력과 로마 가톨릭교회 세력 사이에 백작 전쟁이라 불리는 내전이 벌어졌다. 1534년, 덴마크 상인 스키페르 클레멘트가 이끄는 농민군이 윌란반도 북부에서 봉기를 일으켰으나, 약 3,000명의 희생자를 내고 진압되었다. 1536년 7월, 올덴부르크의 크리스토페르 백작 군대가 항복하면서 백작 전쟁은 막을 내렸고, 크리스티안 3세는 덴마크 왕위를 확고히 했다. 이 전쟁을 통해 덴마크 내 로마 가톨릭교회 세력은 약화되고 개신교 세력이 강화되었다.
1536년 10월 30일, 크리스티안 3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신학자 요하네스 부겐하겐이 제정한 루터교 규약을 덴마크 의회가 수용하도록 지시하는 등 적극적인 개신교 정책을 펼쳤다.
1559년 1월 1일, 콜링에 있는 콜링후스 성에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치되었으며, 왕위는 아들 프레데리크 2세가 계승했다.
2. 1. 어린 시절과 초기 활동
슐레스비히에 있는 고토르프 성(Gottorf)에서 프레데리크 1세와 그의 아내 브란덴부르크의 안나(Anna) 사이에서 태어났다. 1514년 10세 때 어머니 안나가 사망했고, 1518년 아버지 프레데리크 1세는 포메라니아의 소피(Sophie)와 재혼했다.1523년 사촌 크리스티안 2세가 퇴위하면서 슐레스비히 공작, 홀슈타인 공작으로 임명되었다. 1526년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 총독, 1529년 노르웨이 총독으로 임명되어 행정 수완을 발휘했다.[3][4] 왕세자 시절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과 루터교에 관심을 가졌다. 1525년 10월 29일 작센라우엔부르크(Sachsen-Lauenburg)의 도로테아(Dorothea)와 결혼하여 5명의 자녀를 두었다.
초기 스승 볼프강 폰 우텐호프(Wolfgang von Utenhof, 1495년경~1542년)와 루터교 튜터이자 군 장군인 요한 란차우(Johann Rantzau, 1492~1565)는 열성적인 개혁가였다. 이들의 권유로 1521년 독일을 여행하며 보름스 국회에서 마르틴 루터의 연설을 들었고, 루터의 주장에 매료되었다. 그는 루터교 신념을 숨기지 않았고, 이는 로마 가톨릭교회이 지배적인 국가 평의회(Rigsraad) 및 아버지와의 충돌을 야기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슐레스비히 궁정에서 주교들의 반대에도 개신교 종교 개혁을 도입하려 노력했고, 1528년 교회 조례를 통해 루터교회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국교로 만들었다.[5][6][7]
2. 2. 종교적 성향
크리스티안 3세는 초기 스승인 볼프강 폰 우텐호프(Wolfgang von Utenhof, 1495년경~1542년)와 루터교 신봉자인 요한 란차우 장군(1492~1565)의 영향으로 개신교 사상에 깊이 빠져들었다.[5][6][7] 1521년에는 보름스 국회에 참석하여 마르틴 루터의 연설을 듣고 큰 감명을 받았다. 그는 자신의 루터교 신념을 숨기지 않아 로마 가톨릭교회가 주류였던 덴마크 왕국 섭정 회의(Rigsraad) 및 아버지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슐레스비히 자신의 궁정에서 주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개신교 종교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했으며, 1528년에는 교회 조례를 통해 루터교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국교로 만들었다.[38]왕세자 시절부터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과 루터교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크리스티안 3세는 1536년 10월 30일 신성 로마 제국의 신학자 요하네스 부겐하겐(Johannes Bugenhagen)이 제정한 루터교 규약을 덴마크 의회가 수용하도록 지시하는 등 적극적인 개신교 정책을 시행했다. 백작 전쟁 (1534년~1536년)을 계기로 덴마크에서는 로마 가톨릭교회 세력이 위축되었고 개신교 세력이 확장되었다.
2. 3. 백작 전쟁 (1534년 ~ 1536년)
1533년 아버지 프레데리크 1세가 사망하자, 1534년 윌란반도 동쪽에 있는 뤼의 St.Søren's 교회에서 열린 의회에서 크리스티안이 덴마크 국왕으로 선포되었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 주교와 귀족들이 주도하던 덴마크 의회(Rigsraad)는 크리스티안을 국왕으로 인정하지 않고, 크리스티안 2세를 복위시키기 위해 크리스토퍼 백작에게 의탁했다.[3][8][9]크리스티안 2세는 로마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가 양쪽 모두를 지지했었다. 크리스토퍼 백작은 크리스티안 3세에 반대하며 링스테드 의회(landsting)와 룬 대성당 근처 성 리버 언덕(Sankt Libers hög)에서 열린 스코네 의회(landsting)에서 섭정으로 선포되었다. 이로 인해 1534년부터 1536년까지 2년간 프로테스탄트 세력과 가톨릭 세력 간의 내전인 백작 전쟁이 발발했다.[3][8][9]
크리스토퍼 백작은 셸란, 스코네, 한자 동맹, 북부 윌란과 퓐의 소규모 농민들의 지지를 받았다. 반면 크리스티안 3세는 윌란 귀족들의 지지를 받았다. 1534년, 선장 클레멘트 (c. 1484–1536) 휘하의 농민들이 북부 윌란에서 봉기를 일으켜 루터교 귀족들의 재산을 약탈했다. 귀족과 봉신으로 구성된 군대가 스벤스트루프에 집결했지만 농민들에게 패배했다. 크리스티안 3세는 자신의 왕위가 위태로워지자 한자 동맹과 협상하여 고문 요한 란차우를 독일 개신교 용병 부대와 함께 북쪽으로 파견했다. 클레멘트와 그의 군대는 북쪽으로 도망쳐 올보르 성벽 안으로 피신했다. 12월, 란차우의 군대가 성벽을 돌파하여 도시를 공격했고, 클레멘트는 탈출했지만 며칠 후 체포되어 1535년에 참수되었다.[3][10][11]
윌란을 확보한 크리스티안 3세는 스코네 장악에 집중했다. 그는 구스타브 1세에게 반군 진압을 위한 도움을 요청했다. 구스타브는 즉시 스코네 중부와 할란드를 유린하기 위해 두 군대를 보냈다. 농민들은 스코네 로슈홀트에서 패배했고, 스웨덴군은 헬싱보리 성을 공격하여 1535년 1월 항복을 받고 불태웠다.[12]
란차우는 군대를 퓐으로 이동시켜 1535년 6월 퓐의 옥스네비에르크에서 크리스토퍼 백작의 군대를 격파했다. 크리스토퍼 백작의 군대는 1536년 7월까지 말뫼와 코펜하겐에서 저항했지만, 크리스티안 3세 군대의 포위 공격 끝에 항복했다. 이로써 크리스티안 3세는 덴마크 왕위에 굳건히 자리 잡았고, 덴마크의 로마 가톨릭 세력은 진압되었다.[13][14][15]
2. 4. 종교 개혁과 덴마크-노르웨이 통합
1534년 윌란반도 동부의 뤼에(Rye) 의회에서 크리스티안 3세는 덴마크 국왕으로 즉위했다.[3] 그러나 로마 가톨릭교회 주교들과 귀족들이 장악하고 있던 덴마크 의회는 크리스티안 3세를 국왕으로 인정하지 않고, 크리스티안 2세의 복위를 주장한 올덴부르크의 크리스토페르 백작을 지지했다.[8][9]1534년부터 1536년까지 덴마크에서는 2년 동안 개신교 세력과 로마 가톨릭교회 세력 사이에서 벌어진 내전인 백작 전쟁이 일어났다.[3] 1534년에는 덴마크 상인 스키페르 클레멘트(Skipper Clement)가 이끄는 농민군이 윌란반도 북부에서 무장 봉기를 일으켰지만, 약 3,000명에 달하는 희생자를 내면서 진압되었다.
1536년 7월, 올덴부르크의 크리스토페르 백작이 이끄는 군대가 항복하면서 백작 전쟁은 종식되었고, 크리스티안 3세는 덴마크 왕위를 확고히 했다. 이 전쟁을 계기로 덴마크에서는 로마 가톨릭교회 세력이 위축되고 개신교 세력이 확장되었다.
크리스티안 3세는 1536년 10월 30일 신성 로마 제국의 신학자 요하네스 부겐하겐이 제정한 루터교 규약을 덴마크 의회가 수용하도록 지시하는 등 개신교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했다.[17][18]
왕위에 오른 초기, 크리스티안 3세는 독일 귀족들의 도움으로 덴마크를 점령했기 때문에, 덴마크 ''국무원''(Rigsraadet)과 독일 고문들 사이에 갈등이 있었다.[16] 덴마크 측은 국가 최고 직위에 덴마크 출신만 임명해야 한다는 조항을 헌장에 삽입했지만, 독일 고문들은 초기 통치 기간 동안 계속 우위를 점했다.[3]
크리스티안 3세는 독일 용병을 시켜 국무회의의 주교 3명을 체포하고(1536년 8월 12일), 일부 가톨릭 주교들을 처형했다. 또한, 백작 전쟁으로 인한 막대한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교회 토지를 몰수하여 채권자에게 갚았다.[3]
크리스티안 3세의 개신교 정책은 덴마크 국교회(Folkekirke)를 루터교로 설립하는 방향으로 이어졌다. 1536년 10월 30일, 재구성된 국무회의는 요하네스 부겐하겐이 설계한 교회령을 채택하여 교회 조직, 전례, 종교 관행 등을 규정했다. 수도원, 수녀원, 프라이어리는 폐쇄되었고, 그 재산은 왕실에 몰수되었다. 종교 개혁 이전 국토의 6분의 1이었던 왕실 토지는 종교 개혁 이후 60%로 크게 늘어났다.[17][18]
1537년, 크리스티안 3세는 노르웨이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노르웨이를 덴마크와 실질적 연합 관계의 세습 왕국으로 만들었고, 이는 1814년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노르웨이 교회를 루터교로 국교화하고,[19] 1537년 9월 2일 게블레 페데르손을 노르웨이 최초의 루터교 주교로 임명했다.[20]
2. 5. 외교 정책과 말년
크리스티안 3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 갇힌 크리스티안 2세의 친족들로부터 위협을 느껴, 덴마크 귀족들에게 의존하여 국내 불만을 줄여야 했다. 1542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고등 법원(Herredag)에서 덴마크 귀족들은 크리스티안 3세에게 독일 용병들에게 진 빚을 갚기 위해 모든 재산의 20분의 1을 헌납하기로 결정했다.[3]크리스티안 3세의 외교 정책은 독일 개신교 제후들과 프랑스 왕국과의 동맹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스칸디나비아 왕국에 대한 크리스티안 2세의 딸들의 세습적 권리를 옹호하기로 한 카를 5세의 적대 행위에 대한 균형추 역할을 했다. 1542년 카를 5세에 대한 전쟁이 선포되었고, 독일 개신교 제후들은 신뢰할 수 없는 동맹으로 드러났지만, 네덜란드 선박에 대한 사운드 해협의 폐쇄는 매우 효과적인 무기가 되었다. 결국 네덜란드는 카를 5세가 1544년 5월 23일 슈파이어에서 열린 제국 의회에서 덴마크-노르웨이와 평화 조약을 맺도록 강요했다.[3][21]

이 평화 조약이 체결되기 전까지, 크리스티안 3세는 당시 미성년자였던 이복 형제 요한 "장남" (Hans den Ældre)과 아돌프의 이름으로 홀슈타인 공국과 슐레스비히 공국 전체를 통치했다. 그들은 막내 동생 프레데릭을 교구 행정관으로 삼아 신성 로마 제국 내의 교회령에서 활동하게 했다.[22]
1544년에 세 형제는 홀슈타인(신성 로마 제국의 봉토)과 슐레스비히(덴마크의 봉토)를 분할했다. 형제들과 공국의 신분회 사이의 협상 결과, 공국의 수입은 세 형제 각각에게 특정 지역과 영지의 수입을 할당하여 3등분되었다. 한편, 도시의 세금과 관세와 같은 다른 일반 수입은 함께 징수되었지만 형제들끼리 분배되었다. 수입이 각 당사자에게 할당된 영지들은 홀슈타인과 슐레스비히를 마치 누더기 조각처럼 보이게 만들었고, 기술적으로 새로운 공국이 분리되어 등장하는 것을 방해했다.[23]


크리스티안 3세의 말년 외교 정책은 슈파이어 조약으로 확립된 평화를 유지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그는 1546년의 슈말칼덴 전쟁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했고, 1553년 자흐센 공작 모리츠가 지버스하우젠 전투에서 패한 후, 황제와 작센 사이에서 중재했다. 1549년, 그는 란스크로나 요새 건설을 시작했다.[24] 그는 또한 쇠네르보르 성을 재건하여, 1549년에서 1557년 사이에 요새에서 새로운 르네상스 건축 양식의 4면 성으로 개조했다.[25] 1555년 2월, 그는 가톨릭 신자였던 메리 1세에게 2년 반 동안 투옥되었던, 영어 성경 번역가이자 엑서터 주교였던 마일스 커버데일(1488–1569)을 성공적으로 변호했다. 커버데일은 이후 석방되어 잉글랜드를 떠날 수 있었다.[26]
3. 유산
프레데리크 2세는 네덜란드 예술가들에게 로스킬레 대성당에 크리스티안 3세의 기념비를 세우도록 의뢰했다.[29]
2013년 스웨덴의 칼 16세 구스타프는 란스크로나의 명예의 전당에서 크리스티안 3세의 명예로운 석상을 개관하였다.[30]
4. 가족
크리스티안 3세는 1525년 10월 29일 작센라우엔부르크의 도로테아와 라우엔부르크 성에서 결혼했다.[31] 도로테아는 작센라우엔부르크 공작 마그누스 1세와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카타리나의 딸이었다. 이들 부부는 슬하에 5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안나 | 1532년 | 1585년 | 작센 선제후 아우구스투스와 결혼.[32] |
프레데리크 2세 | 1534년 | 1588년 |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위 계승.[33] |
마그누스 | 1540년 | 1583년 | 홀슈타인 공작, 이후 리보니아의 명목상 왕.[34] |
한스 | 1545년 | 1622년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공작 ("요한 2세").[35] |
도로테아 | 1546년 | 1617년 |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빌헬름과 결혼,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게오르크의 어머니.[36] |
참조
[1]
웹사이트
"Christian 3 (Dansk Konge)"
http://www.gravsted.[...]
[2]
웹사이트
Stortinget.no (Norwegian parliament) – Endringer i Grunnloven og kirkeloven
https://www.storting[...]
[3]
웹사이트
Christian 3
https://nbl.snl.no/C[...]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6-08-15
[4]
웹사이트
Frederik 1
https://snl.no/Frede[...]
Store norske leksikon
2016-09-01
[5]
웹사이트
Christian 3
https://snl.no/Chris[...]
Store norske leksikon
2016-08-15
[6]
웹사이트
Wolfgang von Utenhof
http://denstoredansk[...]
Den Store Danske, Gyldendal
2018-06-01
[7]
웹사이트
Johan Rantzau
http://denstoredansk[...]
Dansk Biografisk Leksikon, 3. udg., Gyldendal 1979–84
2018-06-01
[8]
웹사이트
Grevens Fejde
http://denstoredansk[...]
Den Store Danske
2016-08-15
[9]
웹사이트
Sankt Libers hög
https://www.learning[...]
Learning4sharing
2018-06-01
[10]
웹사이트
The Reformation in Scandinavia
https://europeanhist[...]
boisestate.edu
2016-08-15
[11]
웹사이트
Skipper Clement, d. 1536
https://runeberg.org[...]
Salmonsens konversationsleksikon
2018-06-01
[12]
웹사이트
Loshult
https://runeberg.org[...]
Geografiskt-statistiskt handlexikon öfver Sverige
2018-06-01
[13]
웹사이트
Øksnebjerg
http://www.kulturarv[...]
kulturarv.dk
2018-06-01
[14]
웹사이트
Øksnebjerg
http://denstoredansk[...]
Den Store Danske
2018-06-01
[15]
웹사이트
Øksnebjerg
http://denstoredansk[...]
2019-12-01
[16]
웹사이트
Denmark and Norway
http://www.thereform[...]
thereformation.info
2016-08-15
[17]
웹사이트
folkekirke
https://snl.no/folke[...]
Store norske leksikon
2018-06-01
[18]
웹사이트
Johannes Bugenhagen
https://reformation5[...]
2014-04-14
[19]
웹사이트
2017 – et kirkehistorisk merkeår
https://kirken.no/nb[...]
2018-06-22
[20]
간행물
Gjeble Pederssøn
http://www.snl.no/Gj[...]
Norsk nettleksikon
2018-07-26
[21]
웹사이트
Herredag
http://denstoredansk[...]
2019-12-01
[22]
문서
In 1551 Frederick became administrator of the Prince-Bishopric of Hildesheim, comprising ecclesiastical and secular power, however lacking secular power Bishop of Schleswig with the pertaining revenues from episcopal estates.
[23]
서적
Cf. Carsten Porskrog Rasmussen, "Die dänischen Könige als Herzöge von Schleswig und Holstein", Frauke Witte and Marion Hartwig (trls.), in: ''Die Fürsten des Landes: Herzöge und Grafen von Schleswig, Holstein und Lauenburg'' [De slevigske hertuger; German], Carsten Porskrog Rasmussen (ed.) on behalf of the Gesellschaft für Schleswig-Holsteinische Geschichte, Neumünster: Wachholtz, 2008, pp. 73-109, here pp. 87seq.
[24]
웹사이트
Landskrona citadell
http://www.landskron[...]
landskronahistoria.se
2018-06-01
[25]
서적
Sønderborg Slot. Historie og bygning
G.E.C. Gad forlag
1963
[26]
웹사이트
Miles Coverdale (1488–1569)
http://www.berkshire[...]
Nash Ford Publishing
2018-06-01
[27]
웹사이트
Christian 3. King of Denmark · Norway 1534–59 (Danish Kings and Their History)
http://www.danskekon[...]
[28]
웹사이트
Cornelis Floris(1514–1575)
https://www.oxfordre[...]
2019-12-01
[29]
웹사이트
Kongegravenes historie
https://roskildedomk[...]
2019-12-01
[30]
웹사이트
Walk of Fame minnesstenarna på Järnvägsgatan i Lndskrona
https://www.landskro[...]
2019-12-01
[31]
웹사이트
Dorothea (1511–1571)
http://www.kvinfo.dk[...]
kvinfo.dk
2016-08-15
[32]
웹사이트
Anna von Dänemark
http://saebi.isgv.de[...]
2019-12-01
[33]
웹사이트
Frederik 2
https://nbl.snl.no/F[...]
2019-12-01
[34]
웹사이트
Magnus, Konge af Lifland, 1540–83
https://runeberg.org[...]
2019-12-01
[35]
웹사이트
Hans (den yngre), Hertug af Sønderborg, 1545–1622
https://runeberg.org[...]
2019-12-01
[36]
웹사이트
Dorothea, Hertuginde af Brunsvig-Lyneborg, 1546–1617
https://runeberg.org[...]
2019-12-01
[37]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Christian III Scandinavian king
https://www.britanni[...]
[38]
서적
佐保(1999)p.55
[39]
서적
佐保(2003)p.66、p.74 脚注55
[40]
서적
佐保(1999) pp.59-60
[41]
서적
佐保(1999)p.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