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 해먼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 해먼드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 1990년부터 2006년까지 활동한 투수이다. 신시내티 레즈에서 데뷔하여 플로리다 말린스, 보스턴 레드삭스, 캔자스시티 로열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뉴욕 양키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를 거쳐 신시내티 레즈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2002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소속으로 0.9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주목받았으며, 이후 뉴욕 양키스에서 불펜 투수로 활약했다. 은퇴 후에는 앨라배마주 옥스퍼드에 거주하며, 크리스 해먼드 청소년 재단을 설립하여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주 출신 야구 선수 - 숀 버로스
숀 버로스는 1998년 MLB 드래프트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지명되어 프로 생활을 시작, 2000년 하계 올림픽 야구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마약 중독으로 여러 팀을 전전하다 2024년 펜타닐 과다 복용으로 사망한 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이다. - 조지아주 출신 야구 선수 - 로렌조 케인
로렌조 케인은 1986년 조지아주 출신으로, 2010년 밀워키 브루어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캔자스시티 로열스에서 활약하며 2014년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를 수상하고 2015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통산 170도루를 기록한 중견수이다. - 플로리다 말린스 선수 - 김병현
김병현은 1999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하여 2001년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재는 방송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플로리다 말린스 선수 - 최희섭
최희섭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으로,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 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에서 뛰었으며, 현재 MBC 스포츠플러스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애틀랜타 출신 - 돈 오버도퍼
돈 오버도퍼는 워싱턴 포스트에서 25년간 활동한 미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한국전쟁 참전 경험과 냉전 종식 및 한국 현대사에 대한 저술 활동을 통해 저널리즘과 국제 관계 분야에 기여했다. - 애틀랜타 출신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크리스 해먼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크리스 해먼드 |
원어 이름 | Christopher Andrew Hammond |
출생일 | 1966년 1월 21일 |
출생지 |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
선수 경력 |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좌 |
타석 | 좌 |
프로 입단 연도 | 1986년 |
드래프트 순위 | 1986년 6라운드 (신시내티 레즈) |
데뷔 | MLB / 1990년 7월 16일 |
마지막 경기 | MLB / 2006년 6월 29일 |
소속 팀 | 신시내티 레즈 (1990~1992) 플로리다 말린스 (1993~1996) 보스턴 레드삭스 (1997) 플로리다 말린스 (1998)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02) 뉴욕 양키스 (2003)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04)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05) 신시내티 레즈 (2006) |
통계 | |
승패 기록 | 66–62 |
평균 자책점 | 4.14 |
삼진 | 712 |
2. 프로 야구 경력
2. 1. 신시내티 레즈 (1990-1993)
해먼드는 1990년에 메이저 리그에 처음 등장하여 레즈에서 3경기에 출전했다. 다음 시즌은 그의 공식적인 루키 시즌이었으며, 18경기에 선발 투수로 출전하여 7승 7패, 평균자책점 4.06으로 준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레즈에서의 첫 번째 기간은 1993년 3월 말에 플로리다 말린스로 엑토르 카라스코와 게리 스콧과 트레이드되면서 마무리되었다.2. 2. 플로리다 말린스 (1993-1996)
해먼드는 1993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경기를 시작한 초대 말린스 팀의 일원이었다. 말린스로서의 데뷔 시즌에 그는 2개의 홈런(그 중 하나는 대타 만루 홈런)을 기록했고, 191이닝 동안 4.6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1994년에는 부상으로 단축된 시즌에서 다소 더 성공적인(3.07의 평균자책점) 모습을 보였다. 1995년의 평범한 시즌 이후, 해먼드의 경력은 하락세를 겪는 듯했다. 플로리다 말린스와의 첫 번째 기간은 1996년에 끝나, 그는 총 6.5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고 불펜으로 강등될 위기에 처했다.2. 3. 보스턴 레드삭스 (1997)
해먼드는 1997년에 보스턴 레드삭스와 계약하며 선발 투수로서의 복귀를 희망했다. 그러나 해먼드는 구원 투수로 기용되었다. 2002년 양키스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해먼드는 레드삭스가 그를 영입하기 위해 이 약속을 속임수로 이용했다고 밝혔다. 해먼드의 선수 경력이 끝나가던 무렵, 1997년 월드 시리즈에서 플로리다 말린스가 우승했다.2. 4. 은퇴와 복귀 (1998-2001)
캔자스시티 로열스와 계약을 맺었으나, 스프링 트레이닝 후반에 방출되었다. 1993년과 마찬가지로 말린스는 그를 선발 투수로 영입했다. 해먼드는 3번의 선발 등판을 통해 메이저 리그에 복귀하여 13.2이닝 동안 6.5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이 짧은 복귀 시도 후, 어깨 수술을 받고 처음으로 은퇴했다. 해먼드는 앨라배마주 랜돌프 카운티에서 조용한 가족 생활로 돌아갔고, 242,811m2 호수가 있는 809,371m2가 넘는 말 목장을 구입했다.2. 5.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02)
해먼드는 2001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마이너 리그 선수로 복귀했다. 시즌 중반에 인디언스에서 방출된 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2002년 애틀랜타의 메이저 리그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2002년 해먼드는 63경기에서 76.0이닝을 투구하며 0.9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해먼드는 한 시즌 동안 1이닝 이상을 소화하면서 1.00 미만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역대 4번째 투수가 되었다. 또한 시즌 중 거의 30이닝 연속 무실점 기록을 세우며 이 역사적인 기록을 달성하는 데 기여했다. 시즌이 끝난 후, 뉴욕 양키스는 해먼드와 다년 계약을 맺었다. 브레이브스에서 뛰는 동안 그는 계속 앨라배마주 랜드olph 카운티에 거주하며 애틀랜타로 통근했다.2. 6. 뉴욕 양키스 (2003)
해먼드는 뉴욕 양키스의 불펜에서 좌완 셋업맨으로 기존의 마이크 스탠턴을 대체했다. 조 토레는 불펜에 다른 좌완 투수가 부족했기 때문에 해먼드를 좌완 스페셜리스트로 활용하려 했다. 해먼드는 2003년 양키스 불펜에서 승계 주자의 득점 허용률이 가장 낮았으며, 2.8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그는 2003년 포스트시즌에서 단 한 번 출전하여 월드 시리즈에서 마린스를 상대로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2. 7.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04)
해먼드는 2003년 오프 시즌 동안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어깨 부상 재발로 인해 시즌 중 일부 기간을 결장했지만, 41경기에서 2.68의 방어율(ERA)을 기록했다.2. 8.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05)
2005년에 해먼드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계약했다. 어깨 부상이 다시 그를 괴롭히기 전까지 이닝당 출루 허용률(WHIP)가 1.00 미만이었다. 55번의 등판에서 3.84의 평균자책점으로 시즌을 마쳤다.2. 9. 신시내티 레즈 (2006)
해먼드는 2006년 신시내티 레즈로 복귀하며 선수 생활을 시작했지만, 7월 12일에 방출되면서 짧게 마무리되었다. 해먼드는 2006 시즌을 28.2이닝을 투구하며 6.91의 평균자책점으로 마감했다.3. 은퇴 이후
크리스는 아내 린과 함께 앨라배마주 옥스퍼드에 거주하고 있다. 그들은 두 아들 앤디, 제이크와 딸 알렉스를 두고 있다. 그는 교회 활동을 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체육 활동을 돕는 자선 단체"인 크리스 해먼드 청소년 재단을 설립했다.
참조
[1]
뉴스
Profile
https://www.thebaseb[...]
thebaseballcube.com
2024-03-10
[2]
뉴스
Profile
https://www.thebaseb[...]
thebaseballcube.com
2024-03-10
[3]
웹사이트
Chris Hammond Youth Foundation website
https://www.chrisham[...]
2024-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