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머리아마존강거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남아메리카 아마존강 유역에 서식하는 대형 거북으로, 잡식성이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다. 머리가 크고 턱이 강하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꼬리가 길어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브라질에서 멸종된 펠토케팔루스 마투린 종이 발견되었고, 서식지 파괴, 강 오염, 댐 건설, 불법 채집 등의 위협을 받고 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 정부도 멸종위기종 보호에 대한 국제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2년 기재된 파충류 - 아라우거북
    아라우거북은 남아메리카 담수에서 서식하며 최대 1.07m까지 성장하는 대형 거북으로, 잡식성이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1812년 기재된 파충류 - 파랑꼬리낮도마뱀붙이
    파랑꼬리낮도마뱀붙이는 열대 및 아열대 기후 지역에 서식하며 파란색 또는 녹색 꼬리를 가진 10cm에서 20cm 사이의 낮에 활동하는 곤충을 주식으로 하는 도마뱀붙이이다.
  • 큰가로목거북과 - 아라우거북
    아라우거북은 남아메리카 담수에서 서식하며 최대 1.07m까지 성장하는 대형 거북으로, 잡식성이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큰가로목거북과 - 마다가스카르큰머리거북
    마다가스카르큰머리거북은 마다가스카르 섬의 담수 환경에 서식하는 자라거북과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큰 머리와 갈색 등갑을 가지며 잡식성이나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곡경아목 - 아라우거북
    아라우거북은 남아메리카 담수에서 서식하며 최대 1.07m까지 성장하는 대형 거북으로, 잡식성이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곡경아목 - 아르켈론
    아르켈론은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 태평양 지역에 서식했던 멸종된 대형 바다거북으로, 가죽 갑피를 가졌으며 연체동물이나 갑각류를 먹고 해안에서 둥지를 틀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큰머리아마존강거북
기본 정보
''
학명Peltocephalus dumerilianus
Peltocephalus
명명자_속A.M.C. 뒤메릴 & 비브론, 1835
dumerilianus
명명자_종(슈바이크거, 1812)
분포 지역
이명Emys dumeriliana Schweigger, 1812 Emys macrocephala Spix, 1824 Emys tracaxa Spix, 1824 Chelys (Hydraspis) lata Gray in Griffith, 1831 Emys icterocephala Gray in Griffith, 1831 Chelys (Hydraspis) dumerilliana [sic] — Gray, 1831 Podocnemis dumeriliana — A.M.C. Duméril & Bibron, 1835 Peltocephalus tracaxa — A.M.C. Duméril & Bibron, 1835 Podocnemis tracaxa — G.A. 보울렌저, 1889 Peltocephalus dumeriliana — F.J. 옵스트, 1985 Peltocephalus dumerilianus — S. 고르줄라 & J.C. 세냐리스, 1999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취약 (VU) https://www.iucnredlist.org/details/16511/0
CITES부속서 II https://cites.org/eng/app/appendices.php
일반 정보
요콕비가메과
아과난베이요콕비가메아과
멸종 위기 등급취약종
와싱턴 조약부속서 II
영어 이름Big-headed Amazon river turtle 또는 Big-headed side-necked turtle

2. 분류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담수에 사는 다른 거북들에 비해 머리가 크고 몸집이 큰 것이 특징이다. 몸은 녹색이며 눈 주위에 노란색 띠가 있고, 갑피에는 줄무늬가 없다. 아라우거북과 함께 현재는 멸종한 거북인 스투펜데미스와도 가까운 친척 관계이다.

Peltocephalusla는 목거북과(요코쿠비가메과)에서 가장 기초적인 속으로, 약 8천 6백만 년 전 백악기에 분화되었다.[8] 같은 과 내에서는 남미목거북속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여겨진다.[17]

2. 1. 어원

종명 ''dumerilianus''는 프랑스의 파충류학자 앙드레 마리 콩스탕 뒤메릴을 기리기 위해 붙여진 헌명이다.[7][17]

2. 2. 펠토케팔루스 마투린

타파조스 강의 호수에서.


멸종된 종인 펠토케팔루스 마투린이 알려져 있으며, '''''펠토케팔루스'''''에는 이보다 훨씬 더 큰 종이 존재한다.[6]

''펠토케팔루스''는 가장 기저적인 목거북과 속으로, 약 8천 6백만 년 전 백악기에 분화되었다.[8]

3. 형태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이름처럼 머리가 다른 담수 거북에 비해 큰 것이 특징이다. 몸은 녹색이며 눈 주위에 노란색 띠가 있다. 갑피에는 줄무늬가 없다. 아라우 거북과 함께 현재는 멸종한 거북의 종인 스투펜데미스와도 가까운 사촌 관계이다.

왼쪽은 암컷(A), 오른쪽은 수컷(B)의 꼬리


다른 목거북과인 마다가스카르 대두거북과 형태학적으로 유사하며, 초식성인 ''Podocnemis'' 속과 달리 잡식성이다.[8][9]

머리는 매우 크고 두꺼우며 폭이 넓어[15] 국명과 영명(big-headed=큰 머리)의 유래가 되었다.[16][17] 머리는 여러 개의 큰 비늘로 덮여 있으며,[16] 속명 ''Peltocephalus''는 "보호된 머리, 덮인 머리"라는 뜻으로, 머리를 덮는 대형 비늘에서 유래한다.[17] 주둥이 끝은 튀어나오고 턱 끝은 갈고리 모양으로 강하게 뾰족하다.[15][16][17] 머리, 사지, 꼬리의 색상은 회색, 암황색, 흑갈색이며, 고막 주변이나 목, 사지 기부는 엷은 회색이나 엷은 황갈색이다.[16][17]

등갑은 다소 돔형으로 솟아 있으며[17] 회색, 갈색, 흑갈색, 암황색, 검정색이다.[16][17] 좌우의 후두갑판 사이의 갑판(간후두갑판)이 대형으로 흉갑판에 접하기 때문에 좌우의 후두갑판이나 견갑판이 접하지 않는다.[17] 복갑 색상은 갈색이나 황갈색이다.[16]

알은 장경 5-5.9cm, 단경 3.4-4.6cm이다.[17] 유체는 추갑판에 줄무늬 모양의 솟아오름(키울)이 있지만, 성장에 따라 키울은 불분명해진다.[15][16]

3. 1. 크기

최대 갑장은 44cm이며,[16][17]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다.[17] 기록된 가장 큰 표본은 등갑 길이가 50cm, 무게는 15kg이었다.[8]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는 8명이 먹고 다음 날까지 남을 정도로 매우 큰 ''Peltocephalus'' 표본을 발견했다고 기록했지만, 이 표본의 정확한 크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8]

등갑은 다소 돔형으로 솟아 있으며,[17] 대부분의 거북이와 마찬가지로 성적 이형성이 나타나 수컷이 더 크고 머리가 넓으며 꼬리가 더 길다.[8]

3. 2. 성적 이형성

대부분의 거북이와 마찬가지로 성적 이형성이 나타나는데, 수컷이 암컷보다 더 크고 머리가 넓으며 꼬리가 더 길다.[8]

수컷은 암컷에 비해 등갑의 폭이 좁고 갑고가 낮다. 수컷 성체는 꼬리가 굵고 길며, 꼬리를 똑바로 폈을 때 총배설강 전체가 등갑 바깥쪽에 위치한다.[17] 반면 암컷 성체는 꼬리가 가늘고 짧으며, 꼬리를 똑바로 펴도 총배설강의 전체나 대부분이 등갑 안쪽에 있다.[17]

3. 3. 특징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이름처럼 머리가 다른 담수 거북에 비해 큰 것이 특징이다. 몸은 녹색이며 눈 주위에 노란색 띠가 있다. 갑피에는 줄무늬가 없다. 기록된 가장 큰 표본은 등갑 길이가 50cm였으며, 무게는 15kg이었다.

대부분의 거북과 마찬가지로 성적 이형성이 나타나며, 수컷이 더 크고 머리가 넓으며 꼬리가 더 길다.[8]

머리는 매우 크고 두꺼우며 폭이 넓다.[15] 머리는 수 매의 대형 비늘로 덮여 있으며, 주둥이 끝은 튀어나오고 턱 끝은 갈고리 모양으로 강하게 뾰족하다.[15][16][17]

등갑은 다소 돔형으로 솟아 있으며[17] 회색, 갈색, 흑갈색, 암황색, 검정색이다.[16][17] 복갑의 색상은 갈색이나 황갈색이다.[16]

수컷은 암컷에 비해 등갑의 폭이 좁고 갑고가 낮다. 수컷의 성체는 꼬리가 굵고 길며, 꼬리를 똑바로 폈을 때 총배설강 전체가 등갑의 바깥쪽에 위치한다.[17] 암컷의 성체는 꼬리가 가늘고 짧으며, 꼬리를 똑바로 펴도 총배설강의 전체나 대부분이 등갑보다 안쪽에 있다.[17]

4. 분포 및 서식지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남아메리카아마존강, 오리노코강 수계에 주로 서식하며, 브라질, 콜롬비아, 프랑스령 기아나,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페루 등지에서 발견된다.[5][15][16][17] 이들은 강과 담수 늪, 특히 이가포 및 기타 흑수역 시스템을 선호한다.[5][10]

4. 1. 분포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남아메리카브라질, 콜롬비아, 프랑스령 기아나,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페루 등지에 분포한다.[5] 주로 수심이 비교적 깊은 , 연못, 호수에서 서식하며 수풀이 많은 곳을 선호한다.

브라질 (아마조나스, 파라), 콜롬비아, 프랑스령 기아나, 베네수엘라, 에콰도르에서 발견되며, 페루에서도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5] 콜롬비아 북동부 및 남부, 브라질 북부, 프랑스(프랑스령 기아나), 베네수엘라 남서부의 아마존강, 오리노코강 수계([에콰도르]] 동부, 페루 남동부?)에 분포한다.[15][16][17]

4. 2. 서식지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주로 남아메리카브라질, 콜롬비아, 프랑스령 기아나,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페루 등지의 수심이 비교적 깊은 , 연못, 호수에서 서식한다. 수풀이 많은 곳, 특히 이가포 및 기타 흑수역 시스템을 선호한다.[5][10]

콜롬비아 북동부 및 남부, 브라질 북부, 프랑스령 기아나, 베네수엘라 남서부의 아마존강, 오리노코강 수계[15][16][17](에콰도르 동부, 페루 남동부?)[17]에서도 발견된다.

5. 생태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이나 그 주변의 우각호, 라군, 습원 등에 서식한다.[16]

5. 1. 행동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영역 동물은 아니지만, 강력한 턱을 가지고 있어 어린이의 무릎에 심각한 부상을 입힐 수 있다. 브라질 강가에 사는 사람들(리베이린호스)은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이 성인의 손가락을 물어뜯는다고 보고한다. 어린 개체조차 동족의 배갑에서 덩어리를 뜯어낼 만큼 강하게 물 수 있다. 사육되는 개체는 다른 거북 종에게 매우 공격적일 수 있으며, 심지어 죽이기도 한다.[8]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다른 포도크네미스과 거북보다 민첩하게 수영하지 못하며, 일반적으로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19세 된 수컷 한 마리가 처음 부화했을 때 꼬리표를 달았던 같은 개울에서 포획되기도 했다.[8]

5. 2. 먹이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수생 식물, 과일, 씨앗, 물고기와 작은 동물들을 주로 먹는 잡식성 거북이다.[11][12][17] 넓적코거북과에 속하는 다른 거북들과 마찬가지로 식물을 기반으로 하는 잡식성이지만, 동물성 먹이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과일과 씨앗이 먹이의 최대 85%를 차지할 수 있으며, 사과 달팽이를 구할 수 있을 때는 선호한다.[11] 소화되지 않은 씨앗이 장에서 발견되기도 하므로, 중요한 종자 산포자 역할을 할 수 있다.[8]

기회 포식자로서 연체동물, 물고기, 곤충, 심지어 다른 파충류나 포유류의 죽은 고기까지 먹는다.[12] 성체는 앨리게이터 스내핑 거북처럼 턱을 벌리고 물속에서 움직이지 않고 앉아 먹이를 기다리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8]

어린 개체나 수컷 성체는 동물성 먹이를 선호하고, 암컷 성체는 식물성 먹이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17] 먹이로는 어류, 곤충, 갑각류, 조개류, 동물의 사체, 과실, 종자, 수생식물, 조류 등이 있다.[17]

5. 3. 번식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다른 모든 거북이와 마찬가지로 난생을 한다.[5] 모래 해변에 알을 낳는 다른 종들과 달리, 은폐된 둥지를 선호한다.[8] 번식 형태는 난생이며, 건기에 범람원에 있는 숲에서 한 번에 7-25개의 알을 낳는다.[16][17] 알은 100일 이상 지나면 부화한다.[17]

6. 인간과의 관계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식용으로 이용되거나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6. 1. 식용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알을 포함하여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생존 개체 수에 대한 정기적인 데이터는 없지만, 생존 밀도가 높지 않아 개체 수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16] 식용 채집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16]

남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하는 다른 종들과는 달리,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자가 채집이 주로 이루어지며, 상업적인 대규모 채집은 많지 않다. 알도 숲속에서 낳기 때문에 채집되는 경우가 적다.[16] 서식지에서는 법적으로 보호를 받고 있다.[16] 수출 사례는 매우 드물며, 주로 가이아나와 베네수엘라에 한정된다. 베네수엘라는 2000년 이후 수출을 중단했고, 가이아나는 500마리의 수출 쿼터를 설정했지만 2005년부터 2008년 사이에 몇 마리만 수출되었다.[17]

6. 2. 애완동물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다. 유통은 매우 드물다.[15][17]

7. 보존 상태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취약으로 등재되었으나, 이는 1996년에 이루어진 평가로 현재의 위협 수준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채굴 활동과 살충제로 인한 강 오염, 삼림 벌채, 수력 발전 인프라 건설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이 있다. 불법 금 채굴로 인해 매년 1,000마리 이상의 거북이가 쫓겨나고, 시장에서 최대 50USD에 판매되기도 한다.[8]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의 기록에 따르면, 네그루 강과 오리노코강 유역 원주민들은 이 거북을 식용으로 사냥했으며, 식량이 부족할 때는 가두어 두기도 했다.[8] 알 또한 식용으로 이용된다.

정기적인 개체 수 데이터는 없지만, 낮은 생존 밀도로 인해 개체 수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16] 식용 채집으로 인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지만, 자가 채집이 주를 이루고 상업적인 대규모 채집은 적다.[16] 서식지에서는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으며,[16] 가이아나와 베네수엘라를 제외하면 수출 사례는 드물다. 베네수엘라는 2000년 이후 수출을 중단했고, 가이아나는 500마리의 수출 쿼터를 설정했지만 2005~2008년 사이에는 몇 마리만 수출되었다.[17]

일본 등에서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지만, 유통은 매우 드물다.[15][17]

7. 1. 위협 요인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취약으로 등재되었지만, 이 평가는 1996년에 이루어져서 현재 이 종에 대한 위협 수준을 더 이상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채굴 활동과 살충제에 의한 강 오염, 삼림 벌채, 수력 발전 인프라 건설로 인한 서식지 파괴 때문이다.[8] 또한, 불법 금 채굴로 인해 매년 1,000마리 이상의 거북이가 쫓겨나고(과소 평가일 수 있음), 그 후 시장에서 최대 50USD에 판매될 수 있다.[8]

이 종은 서식지에서 식용으로 사냥된다.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는 네그루 강과 오리노코강을 따라 탐험하는 동안 그의 팀은 종종 이 거북이를 먹었다고 한다. 그는 리우 네그루 상류 지역의 원주민들이 이 종을 자주 사냥했으며, 식량이 부족할 때 가두어 두기도 했지만, 이 종이 점점 희귀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그에게 말했다고 기록했다.[8] 알을 포함하여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생존 개체 수의 추이에 관해 정기적인 데이터는 수집되지 않았지만, 생존 밀도가 그다지 높지 않아 생존 개체 수는 비교적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16] 식용 채집으로 인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고 있다.[16] 한편, 남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하는 동과 다른 종과는 달리 자가 채집이 주를 이루며, 상업적인 대규모 채집은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는다(알도 숲속에서 낳기 때문에 채집되는 경우가 적다).[16] 서식지에서는 법적으로 보호 대상이 되고 있다.[16]

7. 2. 보호 노력

큰머리아마존강거북은 식용으로 채집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것이 우려된다.[16] 정기적인 개체 수 데이터는 수집되지 않지만, 생존 밀도가 높지 않아 개체 수가 비교적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16]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다른 종들과 달리 대규모 상업적 채집보다는 자가 채집이 주로 이루어지며, 알도 숲속에 낳기 때문에 채집되는 경우가 적다.[16]

서식지에서는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으며,[16] 수출 사례는 매우 드물게 가이아나와 베네수엘라에 한정되어 있다. 베네수엘라는 2000년 이후 수출을 중단했고, 가이아나는 500마리의 수출 쿼터를 설정했지만 2005~2008년 사이에는 몇 마리만 수출되었다.[17]

참조

[1] 간행물 "''Peltocephalus dumerilianus ''" 1996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간행물 ITIS
[4] 간행물 ITIS
[5] 웹사이트 "''Peltocephalus dumerilianus'' " http://reptile-datab[...]
[6] 논문 The latest freshwater giants: a new Peltocephalus (Pleurodira: Podocnemididae) turtle from the Late Pleistocene of the Brazilian Amazon
[7]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 논문 Biology of the Big-headed Amazon River Turtle, Peltocephalus dumerilianus (Schweigger, 1812) (Testudines, Pleurodira): the basal extant Podocnemididae species https://herpetozoa.p[...] 2021-10-20
[9] 논문 Diet of Amazon river turtles (Podocnemididae): a review of the effects of body size, phylogeny, season and habitat https://www.scienced[...] 2017-02-01
[10] 논문 Biology of the Big-headed Amazon River Turtle, Peltocephalus dumerilianus (Schweigger, 1812) (Testudines, Pleurodira): the basal extant Podocnemididae species
[11] 논문 Diet of Amazon river turtles (Podocnemididae): a review of the effects of body size, phylogeny, season and habitat
[12] 논문 Biology of the Big-headed Amazon River Turtle, Peltocephalus dumerilianus (Schweigger, 1812) (Testudines, Pleurodira): the basal extant Podocnemididae species
[13] 웹사이트 CITES homepage http://www.cites.org[...]
[14]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15] 서적 爬虫・両生類ビジュアルガイド 水棲ガメ1 アメリカ大陸のミズガメ "[[誠文堂新光社]]" 2005
[16] 서적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2 アマゾン "[[講談社]]" 2001
[17] 간행물 CLOSE UP CREEPERS -注目の爬虫両生類- クリーパー社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