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어타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리어타입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서브픽셀 렌더링 기술로, 액정 디스플레이의 RGB 서브 픽셀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문자 가독성을 향상시킨다. 1998년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윈도우 XP에 처음 탑재되었다. 윈도우 비스타부터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며, 맑은 고딕 등 클리어타입에 최적화된 글꼴과 함께 한국어 텍스트 표시 품질을 향상시켰다. 윈도우 7부터 DirectWrite를 통해 수직 방향 안티 앨리어싱을 지원하며 "Natural ClearType"으로 불린다. 클리어타입은 텍스트 선명도를 높이지만, 색상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그래픽스 알고리즘 - 알파 합성
알파 합성은 이미지의 투명도를 표현하고 합성하는 기술로, 알파 채널을 사용하여 투명도 정보를 저장하고 스트레이트 알파와 프리멀티플라이드 알파 방식으로 이미지를 합성하며, PNG, TIFF, GIF 등 다양한 이미지 형식이 이를 지원한다. - 컴퓨터 그래픽스 알고리즘 - 알파 채널
알파 채널은 이미지의 픽셀에 투명도 정보를 추가하여 이미지 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곱셈된 알파는 계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RGB 값에 알파 값을 미리 곱하는 방식이다. - 글꼴 - 옵티마
옵티마는 헤르만 자프가 로마 기념비적 대문자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한 산세리프 서체로, 다양한 변형과 파생 서체가 개발되어 여러 곳에 사용되었지만 디자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글꼴 - 사봉 (글꼴)
사봉은 1960년대 초 얀 치홀트가 디자인한 르네상스 안티크 스타일의 글꼴로, 가라몽 서체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조판 방식에서 높은 가독성을 제공하고, 킹 제임스 성경, 성공회 기도서 등에 사용되었으며, 현재 디지털 버전과 변형된 글꼴로도 제공된다. - 윈도우 구성 요소 -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웹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윈도우 운영 체제와의 통합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으나, 웹 표준 문제와 보안 취약점으로 비판받으며 2015년 엣지에 자리를 내주고 2022년 지원이 종료되었지만, 엣지의 IE 모드로 레거시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다. - 윈도우 구성 요소 -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RDS)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의 데스크톱 환경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며,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서버 구성 요소,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클리어타입 | |
---|---|
개요 | |
종류 | 글꼴 렌더링 기술 |
개발 | 마이크로소프트 |
발표일 | 2000년 1월 26일 |
상세 정보 | |
특징 |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텍스트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독점 하위 픽셀 렌더링 기술이다. |
설명 | ClearType은 특히 노트북 컴퓨터 화면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텍스트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하위 픽셀 렌더링이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각 픽셀의 개별적인 빨간색, 녹색, 파란색 요소를 조작한다. ClearType은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텍스트를 더 선명하고 읽기 쉽게 만들기 위해 글꼴의 모양을 다듬는 데 사용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이다. 하위 픽셀 렌더링을 사용하여 각 픽셀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 요소를 개별적으로 조작하여 텍스트 해상도를 효과적으로 높인다. ClearType은 윈도우 XP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후 윈도우의 모든 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다. |
동작 방식 | ClearType은 각 픽셀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 요소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렌더링함으로써 작동한다. ClearType은 이러한 요소를 신중하게 조작함으로써 텍스트를 더 선명하고 읽기 쉽게 보이도록 만들 수 있다. 이것은 텍스트의 대비를 증가시키고, 텍스트의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하고, 텍스트에 나타날 수 있는 시각적 아티팩트를 줄임으로써 수행된다. ClearType의 주요 아이디어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픽셀보다 더 자세하게 문자를 렌더링하기 위해 각 픽셀 내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 하위 픽셀을 활용하는 것이다. |
장점 | 텍스트를 더 선명하고 읽기 쉽게 만들어준다. 텍스트의 대비를 증가시킨다. 텍스트의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한다. 텍스트에 나타날 수 있는 시각적 아티팩트를 줄인다. |
2. 역사
클리어타입은 마이크로소프트 e-Books 팀의 버트 킬리(Bert Keely)와 그렉 히치콕(Greg Hitchcock)이 발명하였다.[4]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원들이 분석하였으며, 신호 처리 전문가인 존 플랫이 알고리즘을 개선하였다.[4]
컴퓨터 화면은 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소에 표시되는 문자열은 렌더링을 거치지 않고 표시되기도 한다. 이 경우 에일리어싱 현상이 발생하는데, 특히 LCD와 같은 평판 모니터에서는 눈의 피로를 쉽게 느낄 수 있다. 클리어타입은 서브픽셀에서 문자열을 더 부드럽게 하고 에일리어싱을 줄여주는 앤티 에일리어싱 기술을 사용한다.
이론적으로 클리어타입("RGB 디시메이션")은 모든 디지털 이미지의 안티 앨리어싱을 향상시킬 수 있다.[3] 그러나 클리어타입은 사용자 및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에서 렌더링하는 경우에만 적용된다. 예를 들어, Microsoft Word에서 화면의 텍스트를 렌더링할 때는 클리어타입 향상이 적용되지만, Adobe Photoshop과 같은 프로그램의 비트맵 이미지에 있는 텍스트는 그렇지 않다.[3]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이었던 딕 브래스는 회사가 클리어타입을 휴대용 컴퓨팅 분야에 출시하는 데 속도가 느리다고 불평했다.[5]
3. 작동 원리
클리어타입은 밝기 차이를 이용해 화질의 한 측면(색)을 희생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인간의 눈은 밝기 변화에는 민감하지만 색 변화에는 둔감하기 때문에, 좁은 범위에서는 색 변화를 잘 느끼지 못한다.
클리어타입은 트루타입이나 오픈타입 글꼴에만 적용된다. 다른 그래픽 화면 요소(비트맵으로 변환된 텍스트 포함)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 입력한 문자열은 클리어타입이 적용되지만, 포토샵이나 그림판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비트맵으로 만들어진 그림 안의 문자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클리어타입은 특정 종류의 컴퓨터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문자열에만 적용되므로, 특정 디스플레이에서는 화질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클리어타입은 종이에 인쇄하기 위한 기술이 아니며, 대부분의 프린터는 앤티 에일리어싱이 필요 없는 작은 점들을 사용한다. 또한, 클리어타입은 텍스트 파일 안에 포함된 글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열에만 적용된다.
개별 픽셀의 위치가 고정된 컴퓨터 디스플레이(대부분의 최신 평판 디스플레이)는 텍스트와 같이 작고 대비가 높은 그래픽 요소를 표시할 때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나타낼 수 있다. 클리어타입은 서브 픽셀 수준에서 공간적 안티 앨리어싱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더 부드럽게 보이게 하고 덜 울퉁불퉁하게 만든다. 또한, 글꼴 힌팅을 사용하여 글꼴이 픽셀 격자에 맞도록 하여 작은 글꼴의 가장자리 대비와 가독성을 높인다. 하지만, 이는 글꼴 렌더링 충실도를 희생하고 다른 글꼴이 비슷하게 보이게 하여 그래픽 디자이너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클리어타입은 이미지 품질의 한 측면(색상 또는 ''색도'' 세부 정보)을 다른 측면(밝고 어두운 또는 ''휘도'' 세부 정보)과 타협한다. 이 타협은 휘도 세부 정보가 색도보다 더 중요할 때 텍스트 모양을 향상시킨다.
클리어타입은 사용자 및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에서만 렌더링하며, 다른 그래픽 디스플레이 요소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론적으로 이 방법(내부적으로 "RGB 디시메이션"이라고 함)은 모든 디지털 이미지의 안티 앨리어싱을 향상시킬 수 있다.[3]
액정 디스플레이는 1픽셀이 R, G, B의 3개의 서브 픽셀로 구성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R, G, B 각 서브 픽셀을 개별적으로 발색시켜 가로 방향의 보이는 해상도를 높인다. 이를 통해 실제 해상도 이상의 정밀한 문자 표시가 가능한 서브픽셀 렌더링[41] 기술이다.
3. 1. 앤티앨리어싱과의 비교
일반적인 앤티앨리어싱은 픽셀 전체의 색상을 변경하여 텍스트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만든다. 반면 클리어타입은 하위 픽셀(서브픽셀) 단위로 밝기를 조절하여 더 세밀하게 표현한다. 인간의 눈은 밝기 변화에는 민감하지만 색 변화에는 둔감하기 때문에, 좁은 범위에서 색이 바뀌는 것은 잘 느끼지 못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클리어타입은 텍스트의 선명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지만, 색상 표현에서는 약간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41]
없음 | 회색조 앤티에일리어싱 | 클리어타입 |
---|---|---|
![]() | ![]() | ![]() |
클리어타입은 Windows와 같은 OS상의 1픽셀과 디스플레이 상의 1픽셀이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LCD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하지만, 계조 레벨을 조절하여 애퍼처 그릴관 등 일반적인 CRT 디스플레이에서도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어도비가 개발한 CoolType영어도 클리어타입과 유사한 서브픽셀 렌더링 기술이다.[42]
클리어타입은 단일 색상의 중간 계조로 보완하는 표준 앤티앨리어싱과는 다르게, 사용되는 글꼴에 따라 시인성 향상 정도가 달라진다. 클리어타입의 기반 기술에는 힌팅과 스무딩이 있다. 힌팅은 문자를 구성하는 선의 굵기와 폭을 조정하여 시각적인 향상을 꾀하는 기술이며, 제어 정보는 글꼴에 포함된다. 스무딩은 앤티앨리어싱과 같이 발색의 차이로 재기를 평활화하는 기술이다.
4. 구현
클리어타입은 윈도우 XP,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윈도우 8, 윈도우 10 등 대부분의 윈도우 운영체제에 내장되어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7 이상,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 이상,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 등 다양한 마이크로소프트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지원한다. 또한, 윈도우 프리젠테이션 파운데이션(WPF) 텍스트 렌더링 엔진의 통합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클리어타입은 사용자 및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에서만 렌더링하며, 다른 그래픽 디스플레이 요소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를 들어 Microsoft Word에서는 텍스트에 클리어타입이 적용되지만, Photoshop과 같은 프로그램의 비트맵 이미지 내 텍스트에는 적용되지 않는다.[3]
클리어타입은 마이크로소프트 e-Books 팀의 Bert Keely와 Greg Hitchcock에 의해 발명되었다. 이후 존 플랫이 개선된 알고리즘 버전을 설계했다.[4]
클리어타입의 효과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2001년 클렘슨 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진의 연구에서는 클리어타입이 가독성을 높이고 정신적 피로도를 낮춘다는 결과가 나왔다.[14] 2002년 같은 연구진의 연구에서도 클리어타입을 사용했을 때 단어 식별 정확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 2006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의 연구에서는 클리어타입이 모든 사용자에게 유익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정보 작업자가 텍스트를 읽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할 때 최대의 이점을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15] 2007년의 또 다른 연구에서는 클리어타입이 텍스트 가독성, 읽기 속도, 편안함을 향상시키지는 않지만, 대상자는 적당한 클리어타입 렌더링을 선호한다는 결과가 나왔다.[16]
2007년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원 케빈 라슨의 문헌 조사에서는 클리어타입이 읽기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다른 연구 결과들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2004년 클렘슨 대학교의 Lee Gugerty는 클리어타입을 사용하여 단어 인식 정확도가 17% 향상되었음을 측정했다. 또한 문장 이해 연구에서는 읽기 속도가 5%, 이해도가 2% 향상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2007년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의 앤드루 딜런은 클리어타입을 사용하면 스프레드시트에서 특정 정보를 찾는 작업을 7% 더 빠르게 수행했다는 것을 발견했다.[17]
각 운영체제별 클리어타입의 적용은 다음과 같다.
운영체제 | 적용 |
---|---|
윈도우 XP | 기본적으로 꺼져 있으며, 수동으로 활성화해야 한다.[43] |
윈도우 비스타 | 기본적으로 켜져 있다. |
윈도우 7 | 기본적으로 켜져 있다. |
윈도우 8 | 윈도우 8 데스크톱과 모든 데스크톱 앱에서만 사용된다.[21] |
윈도우 10 | Win32 앱 및 Win32 시스템 기능에서만 사용되며, 유니버설 Windows 플랫폼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
4. 1. GDI와 DirectWrite
GDI와 DirectWrite를 이용한 Natural ClearType으로 크게 나뉜다.초기 윈도우 XP 등 윈도우 버전에서는 GDI를 통해 클리어타입을 구현했다. GDI 방식은 하위 픽셀 위치 지정을 지원하지 않으며,[25] 수평 방향으로만 앤티앨리어싱을 적용한다.
WPF는 기존의 수평 방향 서브픽셀 렌더링에 더해 수직 방향 안티앨리어싱 처리를 한다.[45] WPF의 새로운 ClearType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이 API를 호출해야 하며, .NET Framework 3.0 이후를 설치해도 기존 애플리케이션이나 Windows 인터페이스는 수직 방향 안티앨리어싱이 활성화되지 않지만, WPF 4는 변경되어 DirectWrite를 사용한다.[46]
Windows 7부터는 DirectWrite를 통해 클리어타입을 구현한다. Direct2D·DirectWrite가 추가되었다. 텍스트 렌더링과 관련된 DirectWrite의 ClearType은 WPF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의 안티 앨리어싱이 추가되었으며,[47][48] 문자 간격 최적화 등도 조정되어 기존 ClearType에 비해 "Natural ClearType"이라고 불린다.[49] DirectWrite 방식은 수직 방향 앤티앨리어싱, 문자 간격 최적화 등을 지원하여 더욱 향상된 텍스트 렌더링 품질을 제공한다.
4. 2. 클리어타입 튜너
윈도우 XP에서는 클리어타입을 켜거나 끄는 기능만 제공되었고, 미세 조정을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클리어타입 튜너 유틸리티를 프리웨어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해야 했다.[26] 이 유틸리티를 통해 글자의 농담이나 R·G·B 정렬 순서를 디스플레이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유틸리티를 ActiveX를 이용하여 브라우저에서도 조작할 수 있도록 제공했으며, 윈도우 비스타 및 윈도우 서버 2003/2008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윈도우 7부터는 클리어타입 텍스트 튜너가 기본으로 내장되어,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환경에 맞게 클리어타입 설정을 조정할 수 있게 되었다.[26] 클리어타입 텍스트 튜너는 글자의 농담, RGB 정렬 순서 외에도 서브픽셀 발색 등을 미세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서브 픽셀 발색을 사용하지 않는 모노크롬 스무딩도 가능하지만, 세로 방향의 스무딩은 지원되지 않아 표준 안티 앨리어싱과는 다르다.
5. 요구 사항
클리어타입은 고정 픽셀을 가진 평판 패널(LCD) 모니터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거의 모든 평판 패널은 완벽한 직사각형 배열의 사각 픽셀을 가지고 있으며, 각 픽셀은 빨강, 녹색, 파랑의 세 가지 기본 색상으로 구성된 세 개의 직사각형 서브픽셀을 수직 띠 형태로 가지고 있다. 클리어타입은 이러한 픽셀 배열을 가정하고 문자열을 표시한다.[18]
클리어타입은 기본 해상도가 아닌 해상도로 작동하는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에서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오직 기본 해상도만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 실제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하기 때문이다.[18]
디스플레이가 클리어타입이 예측하는 고정 픽셀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클리어타입으로 표현된 문자열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나쁘게 보일 수 있다. 일부 평판 패널은 색상 순서가 다르거나, 서브픽셀 위치가 다르거나(세 개의 수평 띠 등), 일반적이지 않은 픽셀 배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화면에서는 클리어타입을 수동으로 조정해야 한다.[18]
CRT 디스플레이와 같이 고정 픽셀 위치를 갖지 않는 디스플레이에서는 클리어타입을 사용하면 읽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러나 CRT 디스플레이에서도 약간의 앤티 에일리어싱 효과가 있어 일부 사용자에게는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18] 윈도우 XP 출시 당시에는 CRT 디스플레이가 여전히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클리어타입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었다.
클리어타입은 LCD 화면의 빨강, 녹색, 파랑 색상의 물리적 배치를 활용하므로 디스플레이 방향에 민감하다. 윈도우 XP의 클리어타입은 RGB 및 BGR 서브 픽셀 구조를 지원하지만, 서브 픽셀이 가로가 아닌 세로로 쌓여 있는 회전된 디스플레이는 지원되지 않는다.[19] 이러한 디스플레이 구성에서 클리어타입을 사용하면 실제로 디스플레이 품질이 저하된다. 회전된 LCD 디스플레이(태블릿 PC 또는 스위블 스탠드 LC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윈도우 XP 사용자를 위한 최상의 옵션은 일반적인 앤티 에일리어싱을 사용하거나 글꼴 부드럽게 처리를 완전히 끄는 것이다.
윈도우 CE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문서는 해당 플랫폼에서 회전된 화면에 대한 클리어타입이 지원된다고 명시하고 있다.[20]
6. 한계 및 논란
클리어타입은 텍스트의 가독성을 높여주지만, 색상의 정확도가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클리어타입 때문에 텍스트가 흐릿하게 보이거나 색 번짐을 경험하기도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방향(가로/세로)에 따라 클리어타입 설정을 다르게 해야 최상의 효과를 볼 수 있다. 회전된 디스플레이에서는 클리어타입을 사용하지 않거나 별도의 설정을 해야 할 수도 있다.[19]
윈도우 XP의 클리어타입은 RGB 및 BGR 서브 픽셀 구조를 지원하지만, 서브 픽셀이 세로로 쌓여 있는 회전된 디스플레이는 지원되지 않는다.[19] 윈도우 CE에서는 회전된 화면에 대한 클리어타입이 지원된다.[20]
클리어타입은 매우 작은 글꼴에서는 비트맵 글꼴보다 읽기 어려울 수 있다. 2000년대 초에는 클리어타입의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어떤 연구에서는 클리어타입이 가독성을 높여준다고 주장했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클리어타입이 모든 사람에게 유익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기도 했다.[6][8]
폰트 디자이너 토마스 피니(전 FontLab CEO, 전 어도비 시스템즈[7])는 "색상 가장자리에 대한 개인 간의 민감도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더 많이 알아차리고 더 많이 신경 쓴다."라고 언급했다.[8] 소프트웨어 개발자 멜리사 엘리엇은 클리어타입 렌더링이 읽기에 불편하다고 언급했다.[9]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클리어타입 작업을 한 힌팅 전문가 비트 슈탐은[10] 클리어타입이 96 dpi에서는 흐릿하게 보일 수 있지만, 더 높은 해상도 디스플레이가 이 측면을 개선한다고 언급했다.[13]
위 텍스트에서 윗부분은 클리어타입 렌더링을 적용하지 않았고, 아랫부분은 클리어타입을 적용했다. 이는 클리어타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흐림 현상을 보여준다.
GDI의 클리어타입은 수평 방향(X축 방향)만 앤티앨리어싱 처리한다. 라틴 문자는 획 수가 적고 높이가 일정하며 수직 방향의 앤티앨리어싱을 하지 않아도 문제가 적으며, 사선이나 곡선으로 조형이 이루어져 문자 폭도 좁고 이탤릭 표기도 일반적인 등 수평 방향의 서브픽셀 렌더링의 혜택을 받기 쉽고, 완만한 곡선이 많은 브라흐미 문자와도 친화성이 높다. 반면, 한자 등 복잡한 글꼴은 선분이 접합되거나 표시되지 않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며, 큰 포인트의 문자는 글꼴의 조형에 관계없이 완만한 곡선 등으로 재기가 발생한다. WPF 및 DirectWrite의 클리어타입은 수직 방향(Y축 방향)도 앤티앨리어싱 처리하기 때문에[45][47] 위 문제는 개선되었다. 한자 등 복잡한 글꼴은 CoolType 등 "수평 방향의 서브픽셀 렌더링 + 수직 방향의 앤티앨리어싱"을 조합하는 렌더링의 효과가 높다.
Microsoft Office 2007은 큰 포인트의 글꼴은 클리어타입을 사용하지 않고 표준 앤티앨리어싱을 그레이스케일 모드로 사용한다. Office 2013은 GDI를 대신하여 DirectWrite를 채택했지만[50] 앤티앨리어싱은 그레이스케일 모드를 사용한다.
Meiryo는 방대한 힌팅 정보를 저장하여 디자이너가 의도하는 글꼴 모양을 표시하지만, 아웃라인의 재기나 문자 불균형 등을 일으키는 글꼴도 있어, 클리어타입의 효과는 글꼴의 조형 및 구현에 따라 달라진다.
화면 표시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스크린샷 인쇄나, 디스플레이에서 확대 또는 축소 등 설정과 다른 해상도로 표시하는 경우 외에도, 디스플레이를 회전하여 표시하는 경우도 소프트웨어가 지원하지 않는 한 서브픽셀 배열이 반대가 되어 표시가 부자연스러워진다.
클리어타입은 서브픽셀 렌더링의 특성상 배경색에 따라 렌더링 품질이 좌우되며, 투명한 DIB버퍼에 클리어타입을 적용하여 텍스트를 그리면 예상치 못한 합성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WPF 및 Direct2D는 알파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앤티앨리어싱 방식을 그레이스케일 모드로 변경하여 대처하고 있다.[51][52][53]
메이리오(Meiryo)나 Segoe UI 등 클리어타입에 최적화된 글꼴을 사용하는 경우, 클리어타입을 비활성화하면 표시가 흐릿해져 가독성이 떨어진다.[54]
7. 특허
클리어타입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등록 상표이며, 여러 미국 특허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37][38] 관련 특허는 다음과 같다.
분야 | 특허 번호 | 설명 |
---|---|---|
서브픽셀 렌더링 | 텍스트와 같은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 |
스트라이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미지 데이터 샘플을 픽셀 서브 구성 요소에 매핑 | ||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미지 데이터 샘플의 가중치 매핑을 픽셀 서브 구성 요소에 매핑 | ||
이미지 렌더링 및 래스터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복합 색상 필터링 | 전경/배경 색상 이미지 데이터의 샘플을 픽셀 서브 구성 요소에 매핑 | |
이미지에서 색상 아티팩트를 감지하고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패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렌더링할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데이터 구조 | ||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서브 구성 요소에 매핑된 샘플을 얻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필터링 | ||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 서브 구성 요소에 매핑된 샘플을 얻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필터링 | ||
서브픽셀 글꼴 힌팅 및 레이아웃 | 그리드 맞춤 및 힌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해상도가 향상된 기존 문자의 어드밴스 너비 유지 | ||
클리어타입 튜닝 | 사용자 참조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된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참조
[1]
웹사이트
First ClearType screens posted
http://www.microsoft[...]
Microsoft Typography
2000-01-26
[2]
웹사이트
The Ails Of Typographic Anti-Aliasing
http://www.smashingm[...]
2009-11-02
[3]
간행물
"Displaced Filtering for Patterned Displays"
2000
[4]
논문
Optimal Filtering for Patterned Displays
http://research.micr[...]
2000
[5]
뉴스
Microsoft’s Creative Destruction
https://www.nytimes.[...]
[6]
웹사이트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ClearType Registry Settings
http://msdn.microsof[...]
[7]
웹사이트
Thomas W. Phinney II | Adobe Fonts
http://www.adobe.com[...]
[8]
웹사이트
ClearType, in XP and Vista
http://www.typophile[...]
Typophile
2010-01-22
[9]
웹사이트
ClearType
http://abad1dea.tumb[...]
[10]
웹사이트
Beat Stamm
http://www.myfonts.c[...]
MyFonts
1999-02-22
[11]
웹사이트
Dpi: Definition and additional resources from ZDNet
http://dictionary.zd[...]
ZDNet
[12]
웹사이트
Fractional Advance Widths
http://rastertragedy[...]
The Raster Tragedy at Low-Resolution Revisited
2011-03-14
[13]
웹사이트
ClearType, in XP and Vista
http://www.typophile[...]
Typophile
[14]
논문
47.4: Empirical Evaluation of User Responses to Reading Text Rendered Using ClearType Technologies
2001
[15]
논문
Visual search and reading tasks using ClearType and regular displays: two experiments
http://www.ischool.u[...]
2006
[16]
논문
ClearType sub-pixel text rendering: Preference, legibility and reading performance
http://www.pacificu.[...]
2008
[17]
뉴스
The Technology of Text
2007-05
[18]
웹사이트
ClearType FAQ
http://www.microsoft[...]
2009-07-19
[19]
웹사이트
Tablets and cleartype, and a requested feature of Avalon at Brandon Furtwangler blog
http://www.brandonfu[...]
[20]
웹사이트
Working with ClearType Fonts
http://msdn2.microso[...]
[21]
웹사이트
ClearType takes a back seat for Windows 8 Metro
http://www.istarteds[...]
[22]
서적
Now Read This: the Microsoft ClearType Collection
https://docs.microso[...]
Microsoft Corp
[23]
웹사이트
Microsoft's ClearType Font Collection: A Fair and Balanced Review
http://typographica.[...]
[24]
웹사이트
Microsoft ClearType Font Collection
http://www.ascenderc[...]
Ascender Corporation
2006–2007
[25]
웹사이트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ClearType Overview
http://msdn.microsof[...]
[26]
웹사이트
Microsoft's ClearType Tuner PowerToy
http://www.microsoft[...]
[27]
웹사이트
Tips for improving your WPF text rendering experience
http://blogs.msdn.co[...]
[28]
웹사이트
MSDN Library : .NET Development : WPF : ClearType Overview
http://msdn2.microso[...]
[29]
문서
Office 2013: Further Evidence of the Demise of ClearType? Office 2013: Further Evidence of the Demise of ClearType?
[30]
웹사이트
PC18: Introducing Direct2D and DirectWrite
http://channel9.msdn[...]
Microsoft
2008-10-28
[31]
웹사이트
Archived MSDN and TechNet Blogs
http://blogs.msdn.co[...]
[32]
웹사이트
Font Rendering: GDI versus DirectWrite
http://www.basschout[...]
[3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blog.mozilla[...]
[34]
웹사이트
Microsoft DirectWrite is Coming
http://blog.typekit.[...]
2010-11-12
[35]
웹사이트
Crisp Text Display
http://blogs.msdn.co[...]
[36]
블로그
Color-aware ClearType requires access to fixed background pixels, which is a problem if you don’t know what the background pixels are, or if they aren’t fixed
https://blogs.msdn.m[...]
[37]
웹사이트
Microsoft Intellectual Property and Licensing: ClearType
http://www.microsoft[...]
2008-12-02
[38]
웹사이트
ClearType Patents, FreeType and the Unix Desktop: an explanation
http://david.freetyp[...]
2009-04-09
[39]
웹사이트
Inside Microsoft's Surface RT Tablet
http://www.anandtech[...]
[40]
웹사이트
Microsoft's Major Announcement in LA - We're There!
http://www.anandtech[...]
[41]
웹사이트
Windows XPの正体 : 文字表示を滑らかにする新技術「ClearType」 - @IT
https://atmarkit.itm[...]
2017-10-23
[42]
웹사이트
Adobe CoolType
http://www.adobe.com[...]
2017-10-28
[43]
웹사이트
ClearTypeフォントの表示方法を調整する - @IT
https://atmarkit.itm[...]
2017-10-23
[44]
웹사이트
Windows XP 向け ClearType 対応日本語フォント
http://www.microsoft[...]
マイクロソフト ダウンロード センター
[45]
웹사이트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におけるClearTypeの概要
https://msdn.microso[...]
2009-01-18
[46]
웹사이트
PDC 2008 (10/30)
http://blogs.msdn.co[...]
2010-02-15
[47]
웹사이트
Introducing DirectWrite
http://msdn.microsof[...]
2009-01-18
[48]
웹사이트
元麻布春男の週刊PCホットライン ついにGDIがレガシーサポートになるWindows 7
https://pc.watch.imp[...]
2017-10-23
[49]
웹사이트
Advances in typography and text rendering in Windows 7 - MSDN Blogs: Engineering Windows 7
http://blogs.msdn.co[...]
2017-10-23
[50]
웹사이트
Office Adopts New Windows Display Technology – Murray Sargent: Math in Office
https://blogs.msdn.m[...]
2017-10-23
[51]
웹사이트
ClearTypeHint – WPF Text Blog
https://blogs.msdn.m[...]
2017-10-23
[52]
웹사이트
RenderOptions.ClearTypeHint Attached Property (System.Windows.Media)
https://msdn.microso[...]
2017-10-23
[53]
웹사이트
サポートされているピクセル形式とアルファ モード (Windows)
https://msdn.microso[...]
2017-10-23
[54]
웹사이트
MSDN ライブラリ - Windows ユーザー エクスペリエンス ガイドライン - フォント
https://msdn.microso[...]
2017-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