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노 (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노는 빅토르 최를 중심으로 1981년 결성된 소련의 록 밴드이다. 1980년대 언더그라운드 음악씬에서 시작하여, 페레스트로이카 시대를 거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1990년 빅토르 최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해체되었으나, 이후에도 음악적 영향력을 이어가고 있다. 밴드는 포스트 펑크와 뉴 웨이브를 기반으로 자유, 민주주의, 삶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곡들을 발표했으며, "45", "혈액형",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 등의 앨범을 발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펑크 록 밴드 - 리틀 빅
리틀 빅은 러시아의 레이브 밴드로, 풍자적인 예술 협업과 러시아에 대한 고정관념 조롱으로 알려졌으며, "Skibidi" 뮤직비디오로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고, 반전 메시지를 담은 "Generation Cancellation" 발표 후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했다. - 펑크 록 밴드 - 디 애어츠테
디 애어츠테는 1982년 서베를린에서 결성된 독일의 펑크 록 밴드로,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곡과 음악적 유머로 독일 내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1980년대 후반 해체 후 재결합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러시아의 록 밴드 - T.A.T.u.
1999년 러시아에서 결성된 t.A.T.u.는 레나 카티나와 율리아 볼코바로 구성된 듀오로, 소녀들의 사랑을 다룬 음악과 뮤직비디오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나, 갈등과 논란 속에 2011년 해체 후 재결합 공연을 이어가며 사회적 메시지와 상업성 사이에서 평가가 엇갈린다. - 러시아의 록 밴드 - 류베
류베는 1988년 이고르 마트비옌코가 결성한 러시아 밴드로, 러시아 민요와 록 음악을 결합한 스타일과 니콜라이 라스토르구예프의 보컬을 중심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러시아 정부의 지지를 받으며 정치적인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 1990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유리스믹스
유리스믹스는 애니 레녹스와 데이브 스튜어트가 결성한 영국의 듀오로, 일렉트로닉 팝 사운드를 기반으로 1980년대에 활동하며 다수의 히트곡을 발표했고, 1990년 활동 중단 후 재결합하여 앨범을 발매했으며 2022년 록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90년 해체된 음악 그룹 - 화이트스네이크
화이트스네이크는 데이비드 커버데일이 이끄는 영국의 하드 록 밴드로서, 블루스 록에서 하드 록으로 음악 스타일을 변화시키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멤버 교체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활동을 통해 글로벌 록 밴드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키노 (밴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Кино |
로마자 표기 | Kino |
뜻 | 영화 |
국적 | 소련 |
출신지 | 레닌그라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장르 | 포스트 펑크 뉴 웨이브 |
활동 기간 | 1981년–1990년 2012년 2019년–현재 |
레이블 | AnTrop Yanshiva Shela 멜로디야 Moroz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유리 카스파랸 이고르 티호미로프 알렉세이 리빈 올레크 발린스키 알렉산드르 티토프 |
이전 구성원 | 빅토르 초이 게오르기 구리야노프 |
2. 활동 내용
키노는 1981년 레닌그라드(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빅토르 최를 중심으로 결성된 소련의 록 밴드이다. 초기에는 당시 소련 정부가 록 음악을 체제에 비판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주로 개인 아파트나 지하 클럽에서 활동했으나[45], 1982년 레닌그라드 록 클럽에서 활동하며 점차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밴드 이름 '키노'는 러시아어로 영화 또는 영화관을 의미하며, 짧고 발음하기 쉬워 선택되었다.[46][47]
1980년대 중반 페레스트로이카와 함께 사회 분위기가 개방되면서 키노는 언더그라운드를 벗어나 전국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특히 1986년 컴필레이션 앨범 《Red Wave》에 참여하여 소련 록 음악 최초로 서방 국가에 소개되었고[51][52], 1988년 발매한 앨범 ''Группа крови''는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50] 미국 캐피톨 레코드에서도 발매되어 록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 등에게 호평을 받았다.[53] 빅토르 최는 영화 ''Игла''(바늘)에 주연으로 출연하는 등 배우 활동을 병행하며 밴드의 인지도를 더욱 높였다.[50] 키노의 음악은 빅토르 최가 작사, 작곡했으며, 간결하고 시적인 가사로 자유, 사랑, 삶의 투쟁 등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었다.[57][50] 직접적인 정치적 메시지를 표방하지는 않았으나, 자유에 대한 갈망은 여러 곡에서 중요한 테마로 나타났다.
1990년 8월 15일, 빅토르 최가 라트비아 투쿰스 근교에서 자동차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54] 밴드 활동은 중단되었다. 그의 죽음은 소련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55] 남은 멤버들은 최가 사망 직전 녹음했던 곡들을 모아 마지막 앨범 'Чёрный альбом'(검은 앨범)을 1990년 12월에 발표했고, 이후 공식적으로 해체를 선언했다.[56]
해체 후에도 키노는 러시아 대중음악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밴드로 평가받는다.[58] 1999년 러시아 라디오 방송국의 '20세기 러시아 록 베스트 100' 투표에서 키노는 가장 많은 10곡을 순위에 올렸고, 'Группа крови|그루파 크로비ru'는 1위를 차지했다.[59] 콤소몰스카야 프라다는 키노를 러시아에서 두 번째로 영향력 있는 밴드로 선정했으며[59], 롤링 스톤 러시아어판은 2007년 '세상을 바꾼 40곡' 중 하나로 키노의 곡을 선정했다.[60]
최 사후 작품의 저작권을 두고 최의 유족 및 밴드 멤버들과 레코드 회사 간의 법적 분쟁이 있었으며, 2018년 법원 판결로 밴드 측이 권리를 되찾았다. 2012년 최의 5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남은 멤버들이 일시적으로 재결합해 미발표곡 "Атаман|아타만ru"을 녹음했다. 2021년부터 콘서트를 개최하며 활동을 재개했다.
2. 1. 데뷔 및 활동 (1981-1990)
1981년 소련의 레닌그라드(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이전에 활동하던 두 그룹, 팔라타 No. 6(Палата № 6)와 필리그리미(Пилигримы)의 멤버들이 모여 새로운 밴드를 결성했다.[1] 학교를 그만두고 보일러 수리공으로 일하던 빅토르 최(보컬)를 중심으로 알렉세이 빅토로비치 르이빈(기타), 올레크 세르게예비치 발린스키(드럼)가 초기 멤버였다. 밴드의 첫 이름은 '''가린 이 기페르볼로이디'''(Гарин и гиперболоидыru)였는데, 이는 알렉세이 톨스토이의 소설 《가린 공학자의 과다포물선》(Гиперболоид инженера Гарина)에서 따온 것이었다.[62][1] 그러나 드러머 발린스키는 군대 징병으로 인해 곧 밴드를 떠나야 했다.[62][1]1982년 봄, 밴드는 레닌그라드 록 클럽에서 공연을 시작했고, 그곳에서 영향력 있는 언더그라운드 음악가 보리스 그레벤시코프를 만났다.[62][1] 이 시기에 밴드 이름을 '''키노'''(Киноru, 러시아어로 '영화' 또는 '영화관'을 의미)로 바꾸었다.[62][1] 멤버들은 이 이름이 짧고 간결하며("인공적"이고 "포괄적"), 두 음절로 이루어져 전 세계 사람들이 발음하기 쉽다는 점에 자부심을 느꼈다.[63][2][46] 나중에 최와 르이빈은 밝게 빛나는 영화관 간판을 보고 이 이름을 떠올렸다고 말하기도 했다.[64][3][47] 당시 소련 정부는 록 음악을 반체제적이고 "부르주아적"인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키노는 주로 개인 아파트나 지하 클럽에서 비밀리에 활동해야 했다.
1982년 여름, 키노는 첫 앨범 45를 녹음했다. 앨범 제목은 총 재생 시간이 45분이었기 때문에 붙여졌다. 당시 밴드에는 드러머가 없었기 때문에 드럼 머신을 사용했고, 그레벤시코프는 자신의 밴드 아쿠아리움(Аквариум) 멤버들에게 녹음 지원을 요청했다. 이 앨범은 언더그라운드에서 퍼져나가며 인기를 얻었다. 빅토르 최는 당시 전기 기타 연주 경험이 많지 않았기에, 《45》나 이후 작업물인 《46》 같은 초기 앨범들은 포크 음악적 색채가 강하며, 여유, 게으름, 낭만 등에 관한 가사를 담고 있었다.
밴드 내에서 최는 작사, 작곡을 담당하고 르이빈은 공연 기획, 리허설, 녹음 등 운영을 맡았으나, 1983년 봄 두 사람 간의 음악적 견해 차이와 최의 주도적인 역할에 대한 불만 등으로 심각한 갈등이 생겼다.[48] 결국 르이빈은 밴드를 떠났다.[49] 같은 해 유리 카스파리안(기타)이 합류했고, 이듬해 게오르기 구리야노프(드럼)와 알렉산드르 치토프(베이스)가 가입하여 4인조 체제를 갖추었다. 치토프는 아쿠아리움 멤버이기도 했는데, 1985년 11월 키노를 탈퇴했다. 그의 후임으로는 재즈 피아니스트 출신인 이고르 티호미로프(베이스)가 합류하여 밴드가 해체될 때까지 함께했다.[50]
1986년 봄, 키노는 제4회 록 클럽 페스티벌에서 〈Дальше действовать будем мыru〉(우리는 계속 나아갈 것이다)라는 곡으로 대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여름, 세르게이 리센코 감독의 영화 촬영을 위해 키예프로 이동했으며, 7월에는 모스크바에서 아쿠아리움, 알리사(Алиса)와 함께 공연했다. 이 세 밴드는 이후 컴필레이션 앨범 《Red Wave》를 공동 제작하여[51]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1만 장을 판매했다. 이는 소련 록 음악이 서방 국가에서 발매된 첫 사례였다.[52] 페레스트로이카 시대가 도래하면서 키노는 언더그라운드 활동에서 벗어나 더 넓은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4집 앨범 《노치》( Ночьru, 밤)가 1986년에 발매되어 인기를 끌었다.
이후 빅토르 최는 배우 활동을 병행하면서도 곡 작업을 계속했다. 특히 1988년 영화 《Иглаru》(바늘)에 주연으로 출연하면서 밴드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같은 해 발매된 7집 앨범 《Группа Кровиru》(혈액형)은 키노의 인기를 절정으로 이끌었다.[50] 이 앨범은 유리 카스파리안의 미국인 아내 조안나 스팅레이가 가져온 고성능 장비로 녹음되어, 기술적으로 서구 록 음악과 견줄 만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53] 앨범은 서방에서도 호평을 받았고, 1989년 캐피톨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으며 록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로부터 칭찬을 받았다.[53] 타이틀 곡 〈혈액형〉은 후에 대한민국의 윤도현 밴드(YB)와 한대수에 의해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키노는 소련 중앙 TV에 출연하고, 1987년 러시아 록을 다룬 영화 《아사》(Асса)에서 수천 명의 관중 앞에서 공연하는 모습이 담기면서 전국적인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키노의 음악은 1980년대 소련 젊은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50]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키노는 동구권뿐 아니라 서방 국가에서도 공연 요청을 받았다. 덴마크에서 열린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 피해자 돕기 자선 콘서트에 참여했으며,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도 공연했다. 1989년에는 뉴욕에서 영화 《Иглаru》(바늘) 시사회와 함께 소규모 콘서트를 열었다.[50] 1989년 무렵, 최는 자신의 내성적인 곡들과 균형을 맞출 더 밝은 분위기의 곡을 연주하는 새로운 밴드를 구상하기도 했다.
1990년 6월, 키노는 긴 순회공연을 마치고 프랑스에서의 다음 앨범 녹음을 앞두고 잠시 활동을 중단했다. 그러나 8월 15일, 빅토르 최는 라트비아의 투쿰스 인근에서 낚시를 마치고 돌아오던 중 자동차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54] 그의 죽음은 소련 사회 전체에 큰 충격을 주었다.[55]
2. 2. 1982년 앨범 ''45'' 발매와 초기 활동
빅토르 최는 학교를 그만두고 보일러 수리공으로 일하던 중, 1981년 소련의 레닌그라드에서 지인들과 함께 밴드를 결성했다. 초기 멤버는 빅토르 최(보컬), 기타리스트 알렉세이 리빈, 드러머 올레크 발린스키 3명이었다. 밴드의 첫 이름은 '''가린 이 기페르볼로이디'''(Гарин и гиперболоиды|가린 이 기페르볼로이디ru)였으며, 이는 알렉세이 톨스토이의 소설 《엔지니어 가린의 살인광선》(Гиперболоид инженера Гарина)에서 따온 것이었다. 그러나 드러머 발린스키는 군대로 징병되어 곧 밴드를 떠나게 되었다.1982년 봄부터 레닌그라드 록 클럽에서 공연을 시작한 밴드는 그곳에서 유명 언더그라운드 록 음악가 보리스 그레벤시코프를 만나게 되었다. 이 시기에 밴드명을 '''키노'''(Кино|키노ru)로 변경했다.[62] 멤버들은 이 이름이 짧고 간결하며, 두 음절로 이루어져 있어 전 세계 사람들이 쉽게 발음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여겼다.[63] 최와 리빈은 나중에 밝게 빛나는 영화관 간판을 보고 '영화관'이라는 뜻의 이 러시아어 단어를 떠올렸다고 말하기도 했다.[64] 당시 소련에서는 록 음악이 체제 비판적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키노는 주로 개인 아파트나 지하 클럽 등에서 활동했다.
1982년 여름, 키노는 데뷔 앨범 ''45''를 녹음했다. 앨범 제목은 수록곡 전체의 재생 시간이 45분이었던 것에서 유래했다. 당시 밴드는 최와 리빈 2명뿐이었기 때문에, 그레벤시코프는 자신의 밴드 아쿠아리움의 멤버들에게 녹음 지원을 제안했다. 이 과정에는 첼리스트 브세볼로드 가켈, 플루트 연주자 안드레이 로마노프, 베이시스트 미하일 파인슈테인-바실리예프 등이 참여했다. 정식 드러머가 없었기 때문에 드럼 머신을 사용했다. 이러한 단순한 구성은 앨범에 활기차고 밝은 느낌을 더했다. 가사 측면에서는 도시 생활에 대한 낭만주의와 시적인 표현이 두드러져 초기 소비에트 바드 음악과 유사성을 보였다.[4] 빅토르 최는 당시 전기 기타 연주 경험이 거의 없었기에, ''45''를 포함한 초기 작품들은 포크 음악적 색채가 강하게 나타난다. 앨범에는 총 13곡이 수록되었으며, 언더그라운드를 통해 퍼져나가며 인기를 얻었으나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빅토르 최는 훗날 이 음반의 녹음 상태가 조악했으며, 다르게 녹음했어야 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5]
2. 3. ''나찰니크 캄차트키'' 발매와 명성 (1984-1985)
알렉세이 리빈은 빅토르 최와의 음악적 견해 차이 및 리더십 갈등으로 인해 1983년 3월 밴드를 떠났다.[8][9][48][49] 이 시기 키노의 유일한 오디오 기록은 최의 신곡 데모로 구성된 부틀렉 46이었다. 최는 이를 "단지 리허설 테이프일 뿐"이라고 일축했지만, 많은 팬들은 사실상 두 번째 앨범으로 간주했다.[10] 그러나 이 음반은 밴드에 의해 공식 앨범으로 인정받지는 못했다.[10]리빈의 탈퇴 전후로 기타리스트 유리 카스파랸이 밴드에 합류했다.[6] 보리스 그레벤시코프에 따르면, 카스파랸은 처음에는 연주 실력이 부족했지만 빠르게 발전하여 결국 키노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멤버가 되었다.[6] 1984년에는 드러머 게오르기 구리야노프와 베이시스트 알렉산드르 티토프가 합류했다.[50] 티토프는 당시 아쿠아리움의 멤버이기도 했다. 이로써 빅토르 최 (보컬, 기타), 유리 카스파랸 (리드 기타), 알렉산드르 티토프 (베이스), 게오르기 구리야노프 (드럼)로 구성된 4인조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알렉산드르 티토프는 아쿠아리움 활동 병행에 부담을 느껴 1985년 11월 키노를 탈퇴했다.[50] 그의 후임으로는 재즈 피아니스트 출신의 이고르 티호미로프가 영입되어 밴드가 해체될 때까지 활동했다.[50]
2. 4. ''밤'' 발매와 전국적인 인지도 (1985–1986)
1985년, 키노는 세 번째 앨범인 ''이토 네 류보프...''[11]를 발매했다. 같은 해 11월, 아쿠아리움에서도 활동하던 베이시스트 알렉산드르 티토프가 다른 그룹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키노를 탈퇴했다. 그의 빈자리는 재즈 피아니스트 출신인 이고르 티호미로프가 채웠으며, 그는 밴드가 해체될 때까지 멤버로 활동했다[50].1986년 봄, 키노는 제4회 레닌그라드 록 클럽 페스티벌에 참가하여 "Дальше действовать будем мы|달셰 데이스뜨보바띠 부젬 믜ru" (우리는 계속 행동할 것이다)라는 곡으로 그랑프리를 수상하며 음악성을 인정받았다. 같은 해 여름에는 영화 촬영을 위해 우크라이나의 키예프로 이동했으며, 7월에는 모스크바에서 아쿠아리움, 와 함께 성공적인 합동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 세 밴드는 이후 컴필레이션 앨범인 ''''를 공동으로 제작했다[51]. 이 앨범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1만 장이 판매되었는데, 이는 소련 록 음악이 서방 국가에 공식적으로 소개된 첫 사례로 기록되었다[52]. 이러한 일련의 활동들을 통해 키노는 소련 전역에서 큰 인기를 얻기 시작하며 전국적인 밴드로 발돋움했다[50].
2. 5. ''혈액형'' 발매와 비평적 찬사 (1986–1988)

1986년 1월, 프로듀서 안드레이 트로필로는 키노가 미완성 상태로 남겨둔 녹음물을 자신의 스튜디오에서 ''Ночь'' (밤)라는 제목으로 발매했다. 이 앨범은 2백만 장 이상 판매되며 밴드의 대중적 인지도를 크게 높였으나, 밴드 멤버들은 이 앨범 발매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앨범 판매 수익을 거의 받지 못했고, 언더그라운드 록 언론 또한 이 앨범을 비판했다.[10]
같은 해 봄, 키노는 제4회 록 클럽 페스티벌에서 "Дальше действовать будем мы|달셰 데이스뜨보바띠 부뎀 믜|lit=지금부터는 우리가 책임진다ru"라는 곡으로 대상을 수상하며 음악성을 인정받았다. 여름에는 우크라이나 키예프로 이동하여 영화 제작자 세르게이 리센코와 함께 영화 Конец каникул|코네츠 카니쿨|lit=여름 방학의 끝ru을 촬영했다. 이 영화는 키노의 네 곡을 중심으로 줄거리가 구성되었다.[12]
7월에는 모스크바 문화 궁전에서 아쿠아리움, 알리사와 함께 합동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후 세 밴드는 소련 록 음악을 서방에 소개하는 컴필레이션 앨범 ''Red Wave''를 발매했다.[12][51] 이 앨범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1만 장이 판매되며, 서방 세계에서 발매된 최초의 소련 록 음반이 되었다.[13][52]
이 시기부터 빅토르 최는 배우 활동도 시작했지만, 키노를 위한 곡 작업도 꾸준히 이어갔다. 1987년 러시아 록 음악계를 조명한 영화 ''아사''에서는 수천 명의 관중 앞에서 연주하는 모습이 담겼고, 이를 통해 키노의 인기는 소련 전역으로 더욱 확산되었다.[50]
1988년, 키노는 그들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앨범 ''Группа крови'' (혈액형)을 발매하며 인기의 정점을 맞이했다.[50] 기타리스트 유리 카스파리안은 미국인 여성 조안나 스트링레이(Joanna Stingray)와 결혼했고, 그녀는 서방에서 더 성능 좋은 장비를 가져왔다. 그 덕분에 이 앨범은 이전까지 사용했던 장비와는 차원이 다른 장비로 녹음되어, 기술적으로 유럽과 미국의 수준에 필적하는 최초의 키노 앨범이 되었다.[53] 이 앨범은 서방에서도 찬사를 받았고, 1989년에는 미국의 캐피톨 레코드에서 발매되었으며, 록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가 호평했다.[53]
같은 해, 빅토르 최는 영화 ''이글라'' (Иглаru, 바늘)에서는 주연을 맡아 밴드의 이름을 더욱 널리 알렸다. 키노의 음악은 1980년대 소련 젊은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50]
2. 6.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 발매와 세계적인 인기 (1989–1990)
앨범 ''그룹파 크로비'' «Группа крови»|rus는 서방에서도 호평을 받아, 1989년 캐피톨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고 미국 록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로부터 찬사를 받았다.[14][16][53]키노는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후, 동구권뿐만 아니라 서방 국가에서도 공연 요청이 이어졌다. 덴마크에서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 피해 지원을 위한 자선 콘서트에 참여했으며,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도 공연을 가졌다. 1989년에는 뉴욕에서 영화 ''니들'' Игла|rus의 첫 상영회를 열고 소규모 콘서트를 개최하기도 했다.[50]
1989년 무렵, 밴드는 빅토르 최 특유의 내성적인 곡들과 균형을 맞추기 위해 보다 밝은 분위기의 곡을 연주하는 새로운 프로젝트 밴드를 구상하기도 했다.[50]
1990년 6월, 키노는 장기간의 투어를 마친 후 프랑스에서의 다음 앨범 녹음을 앞두고 잠시 휴식기를 가졌다.[54]
2. 7. 해체 (1990)
1989년부터 키노는 해외 공연을 시작했다. 그해 뉴욕으로 건너가 영화 ''바늘''의 시사회와 소규모 콘서트를 열었으며, 고독하고 내성적인 분위기의 앨범 ''Zvezda po imeni Solntse''(Звезда по имени Солнце|태양이라는 이름의 별ru)를 발매했다. 밴드는 소련의 인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Vzglyad''에도 출연했다.1990년 키노는 모스크바의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공연했는데, 주최측은 이례적으로 올림픽 성화를 점화하며 밴드의 높은 위상을 보여주었다. 같은 해 6월, 긴 투어를 마친 밴드는 프랑스에서 새 앨범을 녹음하기 전에 잠시 휴식을 갖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1990년 8월 15일, 빅토르 최는 라트비아 리가 인근 투쿰스 마을에서 낚시를 마치고 돌아오던 중 의문의 교통사고로 사망했다.[20] 대한민국에서의 공연을 불과 한 달 앞둔 시점이었다. 당시 최는 소련의 개혁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졌으며,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과도 친분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두고 소련 공산당 내부 보수파에 의한 암살이라는 음모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최가 사망하기 전, 밴드는 라트비아에서 여러 곡을 녹음하고 있었다. 남은 멤버들은 최를 기리기 위해 이 곡들을 모아 앨범 작업을 마무리했다. 공식적인 제목은 없었지만, 검은색 표지 때문에 통칭 '블랙 앨범'(Чёрный альбом|초르니 알봄ru)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앨범은 1990년 12월에 발매되었고, 발매 직후 키노 멤버들과 최의 지인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밴드의 공식적인 해체를 발표했다.[21][56]
3. 해체 이후
1990년 8월 15일, 빅토르 최는 라트비아의 투쿰스 근처에서 낚시를 마치고 돌아오던 중 교통사고로 사망했다.[20] 최가 사망하기 전 라트비아에서 녹음했던 여러 곡을 바탕으로, 키노의 남은 멤버들은 그를 기리기 위해 마지막 앨범 작업을 진행했다. 공식적인 제목은 없었지만, 전체가 검은색인 앨범 표지 때문에 팬들과 평론가들 사이에서 ''블랙 앨범''(Чёрный альбом|초르니 알봄rus)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앨범은 1990년 12월에 발매되었으며, 발매 직후 키노 멤버들과 최의 지인들은 기자 회견을 열어 밴드의 공식적인 해체를 발표했다.[21]
키노는 해체 이후에도 소련과 러시아에서 지속적인 인기를 누렸으며, 많은 팬들은 러시아 전역의 벽과 담장에 "Цой жив|초이 지프rus"(초이는 살아있다)나 "КИНО" 같은 문구를 남기며 빅토르 최를 추모했다. 특히 모스크바 아르바트 거리에 있는 초이 벽은 팬들이 그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남기는 상징적인 장소가 되었다.[41] 2008년에는 최가 사망한 투쿰스의 사고 현장에 그의 동상이 건립되었다.
키노는 러시아 최초의 록 밴드 중 하나로서 후대의 많은 밴드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36] 1999년 12월 31일, 러시아의 록 전문 라디오 방송국 나셰 라디오(Nashe Radio)는 청취자 투표를 통해 '20세기의 러시아 록 노래 100곡'을 선정했는데, 키노는 다른 어떤 밴드보다 많은 10곡을 순위에 올렸으며, 대표곡 "Группа крови|그루파 크로비rus"(혈액형)는 1위를 차지했다. 러시아의 대중지 콤소몰스카야 프라우다(Komsomolskaya Pravda)는 키노를 알리사(Alisa)에 이어 두 번째로 영향력 있는 러시아 밴드로 평가했다.[37] 또한, "Группа крови|그루파 크로비rus"는 2007년 러시아어판 ''롤링 스톤''(Rolling Stone) 잡지에서 세상을 바꾼 40곡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38]
빅토르 최가 쓴 단순하면서도 공감을 자아내는 가사는 키노가 소련 전역의 청중에게 다가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들의 음악은 직접적으로 정치적인 메시지를 내세우지는 않았지만, 자유를 향한 갈망과 같은 주제를 다루며 미하일 고르바초프 시대의 글라스노스트(개방)와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같은 자유주의적 사회 변화 분위기와 맞물려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서구 록 음악의 영향을 받은 그들의 스타일은 당시 소련 젊은이들 사이에서 서구 문화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39]
키노는 현대 러시아에서도 여전히 큰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빅토르 최는 일종의 컬트 영웅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현상을 "키노마니아"라고 부르며, 팬들은 스스로를 "키노필"이라고 칭한다.[40] 서구권에서는 밴드와 관련된 영어 자료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열성적인 팬층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둠어(Doomer)" 서브컬처에서 키노의 음악이 재조명받기도 했다.
2012년, 빅토르 최의 5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밴드 멤버들은 잠시 재결합하여 미발표곡이었던 "Атаман|아타만rus"을 녹음했다. 이 곡은 원래 《블랙 앨범》에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당시 녹음본의 보컬 품질이 낮아 제외되었던 곡이다. 이 녹음은 2013년 7월 20일 C형 간염, 간암, 췌장암 합병증으로 52세의 나이로 사망한 드러머 게오르기 구랴노프가 참여한 마지막 작업이 되었다.[22]
2019년, 밴드는 30년 만의 재결합을 공식 발표하고 2020년 가을 콘서트 계획을 밝혔다. 이 공연에는 기타리스트 유리 카스파랸, 베이시스트 알렉산드르 티토프와 이고르 티호미로프가 참여하며, 원본 멀티채널 녹음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복원한 빅토르 최의 목소리와 특별 영상 연출이 함께 사용될 예정이었다. 빅토르 최의 아들인 알렉산드르 최가 밴드의 프로듀서를 맡았다.[23][24]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콘서트는 2021년으로 연기되었다.[25]
재결합 이후 키노는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2021년 3월에는 라이브 앨범 《Кино в Севкабеле|키노 프 세프카벨레rus》를 발매했고,[26] 2022년 12월 22일에는 새로운 스튜디오 앨범 《12_22》를 여러 플랫폼을 통해 공개했다.[27] 2024년 3월 15일에는 1985년 앨범 《Это не любовь...|에토 네 류보프...rus》(이건 사랑이 아니야...)의 리메이크 버전을 발매했는데, 이 앨범에는 빅토르 최의 오리지널 보컬 트랙과 함께 멤버들이 새롭게 녹음한 연주가 담겼다.[28]
최 사망 이후 키노의 음악 저작권을 둘러싸고 분쟁이 있었으나, 2018년 법원 판결을 통해 밴드 측이 권리를 확보했다. 현재는 'Maschina Records' 레이블을 통해 과거 앨범들의 재발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4. 음악적 성향
키노의 음악 스타일은 일반적으로 포스트 펑크[29][30][31][32][33][34]와 뉴 웨이브로 묘사된다.[33][29][31][32] 키노의 모든 곡은 빅토르 최가 작사, 작곡했으며[50], 그의 가사는 시적인 단순함과 간결함이 특징이다.[10][57]
노래 가사는 주로 자유와 민주주의, 인간의 삶과 투쟁, 사랑, 전쟁 등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었다.[57] 일상생활의 요소들도 가사에 자주 등장했다.[57] 특히 '자유'에 대한 갈망은 여러 곡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였지만("어머니 아나키"라는 제목의 곡도 있었다), 밴드는 전반적으로 과도하거나 노골적인 정치적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았다. 빅토르 최는 자신의 음악이 사회적, 정치적 논평보다는 예술 작품 자체에 중점을 둔다고 밝히며 저널리즘과는 거리를 두려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35]
5. 구성원
키노의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이름 (원어) | 포지션 | 활동 기간 | 비고 |
---|---|---|---|
빅토르 최 (Виктор Цойru) | 리드 보컬, 리듬/어쿠스틱 기타, 베이스 | 1981년–1990년 | 1990년 8월 15일 사망 |
유리 카스파랸 (Юрий Каспарянru) | 리드 기타, 백 보컬, 키보드 | 1983년–1991년, 2013년, 2021년 이후 | |
게오르기 구리야노프 (Георгий Гурьяновru) | 드럼, 퍼커션, 드럼 머신, 백 보컬, 베이스 | 1984년–1991년, 2013년 | 2013년 7월 20일 사망[22] |
이고리 티호미로프 (Игорь Тихомировru) | 베이스 | 1985년–1991년, 2013년, 2021년 이후 |
2012년, 빅토르 최 탄생 50주년을 맞아 남은 멤버들은 미발표곡 "아타만"(Атаманru)을 녹음하기 위해 잠시 재결합했다. 이 곡은 원래 《블랙 앨범》에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당시 녹음본의 낮은 품질 때문에 제외되었었다. 이는 밴드의 마지막 공식 발표곡이자, 2013년 7월 20일 C형 간염, 간암, 췌장암 합병증으로 사망한 게오르기 구리야노프가 참여한 마지막 곡이 되었다.[22]
2019년, 밴드는 30년 만의 재결합을 발표하고 2020년 가을 콘서트를 계획했다. 이 공연에는 생존 멤버들이 참여하고, 디지털로 복원된 빅토르 최의 목소리와 영상 자료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빅토르 최의 아들 알렉산드르 최가 프로듀서를 맡았다.[23][24]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콘서트는 2021년으로 연기되었으며,[25] 이후 라이브 앨범 발매 및 공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26][27][28]
5. 1. 이전 구성원
6. 앨범
키노의 전체 음반 목록은 해당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키노의 첫 정규 앨범은 1982년에 발매된 `45`이다. 당시 밴드 멤버는 빅토르 최와 알렉세이 류빈 두 명뿐이었기에, 보리스 그레벤시코프의 제안으로 그의 밴드 아쿠아리움 멤버들이 레코딩에 참여했다. 드러머가 없어 드럼 머신을 사용했으며, 앨범 제목 '45'는 수록곡 총 길이가 45분이었던 것에서 유래했다.[45]
이후 멤버 변화를 거쳐 1988년 발매된 `Gruppa krovi` (Группа Крови|그루파 크로비rus, 혈액형)는 키노에게 큰 성공을 가져다주었다.[50] 기타리스트 유리 카스파리안의 아내 조안나 스트링레이가 미국에서 가져온 고성능 장비를 사용하여 녹음되었으며, 이는 기술적으로 서구 밴드들과 견줄 만한 수준의 첫 앨범으로 평가받는다.[53] 이 앨범은 서방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고, 1989년 미국의 캐피톨 레코드에서 발매되기도 했다.[53]
1989년에는 프랑스에서 편집 앨범 `Posledniy geroy` (Последний Герой|포슬레드니 게로이rus, 마지막 영웅)가 발매되었고, 같은 해 정규 앨범 `Zvezda po imeni Solntse` (Звезда по Имени Солнце|즈베즈다 포 이메니 솔른체rus,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도 발표되었다.
1990년 빅토르 최가 갑작스러운 사고로 사망한 후, 그가 사망 직전 라트비아에서 녹음했던 곡들을 바탕으로 남은 멤버들이 마지막 앨범 작업을 진행했다. 이 앨범은 1990년 12월에 발매되었으며, 공식적인 제목은 없지만 검은색 표지 때문에 통칭 `Chyorny albom` (Чёрный Альбом|초르니 알봄rus, 검은 앨범)으로 불린다. 이 앨범 발매 직후 키노는 공식적으로 해체를 발표했다.[56]
모든 앨범의 곡은 빅토르 최가 작사, 작곡했다.[50] 그의 가사는 간결하면서도 시적이며, 명확한 정치적 메시지보다는 인간의 삶, 투쟁, 사랑, 자유 등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었다. 일상적인 요소들이 가사에 자주 등장하는 것도 특징이다.[57]
최 사후, 밴드의 앨범 저작권을 둘러싸고 최의 유족 및 밴드 멤버들과 레코드 회사 간의 분쟁이 있었으나, 2018년 법원 판결을 통해 밴드 측이 권리를 되찾았다. 현재는 'Maschina Records'를 통해 앨범들이 재발매되고 있다.
6. 1. 스튜디오 앨범
wikitext원본 제목 | 번역 제목 | 발매 연도 |
---|---|---|
45 | 45 | 1982 |
46 | 46 | 1983 |
Начальник Камчатки|나찰니크 캄차트키rus | 캄차카 책임자[65] | 1984 |
Это не Любовь...|에토 네 류보프...rus | 이건 사랑이 아니야... | 1985 |
Ночь|노치rus | 밤 | 1986 |
Группа Крови|그루파 크로비rus | 혈액형 | 1988 |
Звезда по Имени Солнце|즈베즈다 포 이메니 솔른체rus |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 | 1989 |
Чёрный Альбом|초르니 알봄rus | 검은 앨범 | 1990 |
6. 2. 컴필레이션
원본 제목 | 번역 제목 | 발매 년도 |
---|---|---|
Неизвестные песни Виктора Цоя | 빅토르 초이의 알려지지 않은 노래들 | 1982 |
46 | 46 | 1983 |
Последний Герой | 최후의 영웅 | 1989 |
История Этого Мира | 이 세계의 역사 | 2000 |
1986년 여름, 키노는 모스크바에서 아쿠아리움, 알리사와 함께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후 이 세 밴드는 컴필레이션 앨범인 Red Wave|레드 웨이브영어를 공동 제작했고[51], 이 앨범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1만 장이 판매되었다. 이는 소련 록 음악으로서는 처음으로 서방 국가에서 발매된 음반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52]
6. 3. 라이브
원본 제목 | 번역 제목 | 발매 년도 |
---|---|---|
Концерт в Рок-Клубеrus | 록 클럽에서의 콘서트 | 1985 |
Акустический Концертrus | 어쿠스틱 콘서트 | 1987 |
1982년 봄, 키노는 레닌그라드 록 클럽에서 연주 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소련에서 록 음악은 정부에 의해 부정적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초기에는 다른 록 밴드들처럼 개인 아파트 등에서 열리는 비공식적인 클럽에서 주로 공연했다.
1986년 여름에는 모스크바에서 아쿠아리움, 알리사와 함께 콘서트를 개최했다. 1987년에는 러시아 록을 다룬 영화 아사(Assa)에 출연하여 수천 명의 청중 앞에서 연주하는 모습이 담기기도 했다. 이 영화 출연 이후 키노의 인기는 전국적으로 높아졌다[50] .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후, 동구권뿐만 아니라 서방 국가에서도 공연 요청이 이어졌다. 덴마크에서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 피해자를 돕기 위한 자선 콘서트에 참여했으며,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도 공연했다. 1989년에는 뉴욕에서 영화 Иглаrus (바늘)의 첫 상영회와 함께 소규모 콘서트를 열었다[50] .
빅토르 최 사후 오랜 시간이 지난 2021년 5월 14일, 모스크바에서 콘서트가 열렸으며, 이후 2023년 현재까지도 라이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참조
[1]
서적
Kino S Samogo Na?ala I Do Samogo Konca
Feniks
2001
[2]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the life and work of Viktor Tsoi and "Kino"
ANTA
2005
[3]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the life and work of Viktor Tsoi and "Kino"
ANTA
2005
[4]
웹사이트
45 – Kino – Songs, Reviews, Credits
https://www.allmusic[...]
2019-06-08
[5]
서적
100 Great Albums of Soviet Rock
Kraft+
2003
[6]
문서
"We were both pilots in the neighboring fighters"
[7]
문서
Rybin, Chapter 7
[8]
간행물
"And the fish and meat" – Interview with Aleksei Rybin
Roxy
1983
[9]
문서
Rybin, Chapter 8
[10]
서적
Rock Encyclopedia. Popular Music in Leningrad-St Petersburg 1965–2005
Amphora
2007
[11]
웹사이트
Rockhell -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ресурс мировой и отечественной рок-культуры
https://web.archive.[...]
2019-06-08
[12]
웹사이트
Цой Виктор и группа "Кино"!
http://www.kinoman.n[...]
2019-06-08
[13]
서적
Аквариум как способ ухода за теннисным кортом
Amphora
2007
[14]
AllMusic
Gruppa krovi
[15]
간행물
From the review of the album "Gruppa krovi"
http://translate.goo[...]
Roxy
1988
[16]
리뷰
Groupa Kroovy (Blood Type) review
http://www.robertchr[...]
[17]
서적
Viktor Tsoi. Poems. Documents.Memories
New Helicon
1991
[18]
서적
Our music
Amphora
2006
[19]
뉴스
"We remember a wonderful moment ..."
Moskovsky Komsomolets
1990-06-29
[20]
뉴스
The death of Tsoi: how the accident occurred on the road Sloka-Tulsa
RIA Novosti
2007-08-15
[21]
서적
Headliners
Amphora
2007
[22]
웹사이트
Барабанщик группы "Кино" Гурьянов скончался в Петербурге | РИА Новости
http://ria.ru/cultur[...]
2013-07-20
[23]
웹사이트
Группа "Кино" прервет 30-летнее молчание двумя концертами
https://rg.ru/2019/1[...]
[24]
웹사이트
Музыканты группы «Кино» соберутся спустя 30 лет и дадут концерты в Москве и Петербурге в 2020 году
https://esquire.ru/r[...]
2019-10-12
[25]
웹사이트
Воссоединившаяся группа "Кино" перенесла концерты из-за пандемии
https://www.rbc.ru/s[...]
2020-09-24
[26]
웹사이트
Кино в Севкабеле: как песни Виктора Цоя по-новому зазвучали
https://reproduktor.[...]
2021-03-10
[27]
웹사이트
The group "Kino" released a new album with the voice of Tsoi - News Unrolled
https://newsunrolled[...]
2023-02-24
[28]
Youtube
КИНО — Это не любовь (remake 2024) Full Album Live
https://www.youtube.[...]
Группа КИНО
2024-10-11
[29]
간행물
Виктор Цой: «У нас у всех есть какое-то чутье…»
http://www.kino2000.[...]
Рио (журнал)
1988
[30]
웹사이트
Виктор Цой: Биография
https://www.soyuz.ru[...]
2022-05-29
[31]
웹사이트
Рождённый в СССР: краткая история русского рока
https://dtf.ru/music[...]
2022-05-29
[32]
웹사이트
Новая волна русского рока: история в лицах
https://www.soulsoun[...]
2022-05-29
[33]
웹사이트
Музыкальная стилистика и направление группы "Кино"
https://v-r-tsoy.liv[...]
2022-05-29
[34]
웹사이트
P-PCC: Пост-панк кино клуб
https://www.abbrevia[...]
[35]
간행물
Viktor Tsoi: "We all have a flair ..."
http://translate.goo[...]
Rio
1988
[36]
웹사이트
Audition: Direct speech
2009-03-30
[37]
서적
Groups that have changed our world
Komsomolskaya Pravda, Moscow
2004-07-06
[38]
간행물
40 songs that changed the world
Rolling Stone Russia, Publishing House SPN, Moscow
2007-10
[39]
웹사이트
Kino
http://www.allmusic.[...]
[40]
웹사이트
Энциклопедия рока
http://www.rockarchi[...]
2019-06-08
[41]
뉴스
Gods of the twentieth century: necrophilia as a ritual
Russian Journal
1998-10-13
[42]
웹사이트
В памятник группе «Кино» в Крыму закатали строительный мусор {{!}} ForPost
https://sevastopol.s[...]
2024-10-02
[43]
웹사이트
Цой жив… особенно для посетителей крымского рок-фестиваля «КИНО сначала»
http://yalta.tv/news[...]
2024-10-02
[44]
뉴스
Viktor Tsoi: "We all have a flair ..."
https://translate.go[...]
Rio
1988
[45]
서적
Kino S Samogo Na?ala I Do Samogo Konca
Feniks, Moscow
2001
[46]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the life and work of Viktor Tsoi and "Kino"
ANTA, M
2005
[47]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the life and work of Viktor Tsoi and "Kino"
ANTA, M
2005
[48]
인터뷰
"And the fish and meat" - Interview with Aleksei Rybin
Roxy
1983
[49]
기타
Rybin, Chapter 8
[50]
서적
Rock Encyclopedia. Popular Music in Leningrad-St Petersburg 1965-2005
Amphora, M
2007
[51]
웹사이트
History of Kino
http://www.kinoman.n[...]
[52]
서적
Аквариум как способ ухода за теннисным кортом
Amphora, M
2007
[53]
웹사이트
Gruppa krovi
[54]
뉴스
The death of Tsoi: how the accident occurred on the road Sloka-Tulsa
RIA Novosti INFOgraphics
2007-08-15
[55]
웹사이트
History of Kino
http://www.vrt.al.ru
[56]
서적
Headliners
Amphora, Moscow
2007
[57]
뉴스
Viktor Tsoi - fireman Kino
https://translate.go[...]
№ 11
1997-11
[58]
웹사이트
Audition: Direct speech
2009-03-30
[59]
서적
Groups that have changed our world
Komsomolskaya Pravda, Moscow
2004-07-06
[60]
간행물
40 songs that changed the world
Rolling Stone Russia, Publishing House SPN, Moscow
2007-10
[61]
뉴스
Gods of the twentieth century: necrophilia as a ritual
Russian Journal
1998-10-13
[62]
서적
Kino S Samogo Na?ala I Do Samogo Konca
Feniks, Moscow
2001
[63]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the life and work of Viktor Tsoi and "Kino"
ANTA, M
2005
[64]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the life and work of Viktor Tsoi and "Kino"
ANTA, M
2005
[65]
문서
러시아어로 캄차카는 보일러실의 속어이기도 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