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모도케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모도케아과는 해양 사초과의 식물 과로, 암피보리스속, 키모도케아속, 할로둘레속 등을 포함한 5개의 속으로 구성된다. 택사목에 속하며, 거머리말과, 거북손풀과, 포기룡과, 포세이도니아과 등과 관련이 있다. 키모도케아과는 꽃가루가 물에 의해 수분되며, 모든 종이 자웅이주이다. 또한 일부 속에서는 태생 묘목을 통해 번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키모도케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Cymodoceaceae |
명명자 | Vines |
하위 분류 | 속 |
속 | 암피볼리스 키모도케아 할로듈레 시린고디움 탈라소덴드론 |
계통 분류 | |
상세 정보 | |
설명 | 키모도케아과는 수생 식물 과이다. |
참고 문헌 | https://www.publish.csiro.au/book/7854/ http://biotaxa.org/Phytotaxa/article/download/phytotaxa.261.3.1/20598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1095-8339.2009.00996.x https://www.cambridge.org/core/journals/palaeontology/article/outline-history-of-seagrass-communities/83A9271C0F927506E6E81839E8D47008 |
2. 분류
해양 사초과는 거머리말과, 거북손풀과, 포기룡과 및 포세이도니아과이다. 관련 과는 가래과, 지채과이다.
- 암피보리스속 (''Amphibolis'')
- 키모도케아속 (''Cymodocea'')
- 할로둘레속 (''Halodule'')
- ''Syringodium''
- ''Thalassodendron''
현재, 택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6][17]
{| class="wikitable"
|-
| 택사목
|-
|
{| class="wikitable"
|-
| 천남성과
|-
|
{| class="wikitable"
|-
| 꽃장포과
|-
|
{| class="wikitable"
|-
| 택사과 + 림노카리스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장지채과
|-
|
{| class="wikitable"
|-
| 아포노게톤과
|-
|
{| class="wikitable"
|-
| 지채과 + 마운디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포시도니아과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
|}
해양 사초과에는 거머리말과, 거북손풀과, 포기룡과, 포세이도니아과가 있다. 관련 과로는 가래과와 지채과가 있지만, 일관성은 없다.
2. 1. 하위 속
- 암피보리스속 (''Amphibolis'')
- 키모도케아속 (''Cymodocea'')
- 할로둘레속 (''Halodule'')
- ''Syringodium''
- ''Thalassodendron''
해양 사초과는 거머리말과, 거북손풀과, 포기룡과 및 포세이도니아과이다. 관련 과는 가래과, 지채과이다.
2. 2. 계통 분류
현재, 택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6][17]{| class="wikitable"
|-
| 택사목
|-
|
{| class="wikitable"
|-
| 천남성과
|-
|
{| class="wikitable"
|-
| 꽃장포과
|-
|
{| class="wikitable"
|-
| 택사과 + 림노카리스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장지채과
|-
|
{| class="wikitable"
|-
| 아포노게톤과
|-
|
{| class="wikitable"
|-
| 지채과 + 마운디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포시도니아과
|-
|
|}
|-
|
{| class="wikitable"
|-
|
키모도케아과는 부생과, 포시도니아과, 조스테라과와 함께 필라멘트형 꽃가루를 발달시킨 4개의 과 중 하나이다.[7] 꽃가루는 구체가 아닌 길고 가는 입자로 조립되어 물에 떠 있을 때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꽃가루는 꽃가루 뗏목을 더 쉽게 형성하여 넓은 수면에서 분배할 수 있다. 꽃가루는 속(屬)에 따라 수표면화 (물 표면에 꽃가루가 분산) 또는 수면하화(물 표면 아래에 꽃가루가 분산)이다. 세 가지 다른 방법이 사용된다. ''할로둘''과 ''키모도케아''의 종은 썰물 때 꽃가루를 방출하며, 썰물에 떠서 눈송이 모양의 꽃가루 뗏목으로 조립된 후 조수가 다시 들어오기 시작할 때 암술머리와 접촉하기를 바란다.[8] ''암피볼리스''와 ''탈라소덴드론''은 수면까지 꽃가루를 운반한 다음 탈락하는 수꽃에 의해 방출된다. ''시린고디움''은 해수와 거의 같은 밀도의 꽃가루 입자를 가지고 있으며, 작은 덩어리를 형성하여 해류에 의해 표면 아래로 이동하여 암꽃의 암술머리로 이동한다.[8] 이러한 수면하화로의 회귀는 조상의 상태로의 역전으로 해석된다.
|}
|}
|}
|}
|}
|}
|}
|}
|}
|}
|}
|}
해양 사초과에는 거머리말과, 거북손풀과, 포기룡과, 포세이도니아과가 있다. 관련 과로는 가래과와 지채과가 있지만, 일관성은 없다.
3. 생식
키모도케아과의 모든 종은 자웅이주이다. 이는 해초의 약 75%에서 발생하지만, 모든 피자식물의 5% 미만에서 발견되는 특징이다.[9] 키모도케아과에서 자웅이주의 유병률에 대한 두 가지 주요 이론이 있다. 꽃가루 뗏목의 구성과 수용은 부피가 큰 작업이다. 완전한 꽃을 갖거나 한 식물에 수꽃과 암꽃을 모두 갖는 것은 성공적인 수정을 방해할 수 있다. 다른 이론은 자가 수분이 일어날 가능성이 훨씬 높은 환경에서 교차 수분을 보장하는 것이며, 이는 유전자 풀을 제한하고 식물을 다양한 조건이나 질병에 더 취약하게 만드는 과정이다.
두 속에는 태생 묘목이 있다. ''암피볼리스''와 ''탈라소덴드론''의 씨앗은 씨앗 껍질이 없고 녹말이나 다른 중요한 영양소를 저장하지 않는다. 대신 발아 직후 모체 식물에 부착된다.[10] 묘목은 하배축에서 발을 형성하여 전달 세포를 통해 부모에게 부착된다. 묘목은 방출되기 전 7~12개월 동안 잎이 달린 싹을 발달시킨다. ''암피볼리스'' 묘목은 방출되면 기질에 묘목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갈고리 장치를 개발하는 반면, ''탈라소덴드론'' 묘목은 싸는 엽포에서 방출된다. 씨앗의 발 조직의 외부 벽이 아포플라스트이므로, 묘목은 모체 조직에 기생하고 세포질적으로 격리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11]
3. 1. 수분
키모도케아과는 부생과, 포시도니아과, 조스테라과와 함께 필라멘트형 꽃가루를 발달시킨 4개의 과 중 하나이다.[7] 꽃가루는 구체가 아닌 길고 가는 입자로 조립되어 물에 떠 있을 때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꽃가루는 꽃가루 뗏목을 더 쉽게 형성하여 넓은 수면에서 분배할 수 있다. 꽃가루는 속(屬)에 따라 수표면화 (물 표면에 꽃가루가 분산) 또는 수면하화(물 표면 아래에 꽃가루가 분산)이다. [8]
''할로둘''과 ''키모도케아''의 종은 썰물 때 꽃가루를 방출하며, 썰물에 떠서 눈송이 모양의 꽃가루 뗏목으로 조립된 후 조수가 다시 들어오기 시작할 때 암술머리와 접촉하기를 바란다.[8] ''암피볼리스''와 ''탈라소덴드론''은 수면까지 꽃가루를 운반한 다음 탈락하는 수꽃에 의해 방출된다. ''시린고디움''은 해수와 거의 같은 밀도의 꽃가루 입자를 가지고 있으며, 작은 덩어리를 형성하여 해류에 의해 표면 아래로 이동하여 암꽃의 암술머리로 이동한다.[8] 이러한 수면하화로의 회귀는 조상의 상태로의 역전으로 해석된다.
키모도케아과의 모든 종은 자웅이주이다. 이는 해초의 약 75%에서 발생하지만, 모든 피자식물의 5% 미만에서 발견되는 특징이다.[9]
3. 2. 자웅이주
키모도케아과의 모든 종은 자웅이주이다.[9] 이는 해초의 약 75%에서 발생하지만, 모든 피자식물의 5% 미만에서 발견되는 특징이다.[9] 키모도케아과에서 자웅이주의 유병률에 대한 두 가지 주요 이론이 있다. 꽃가루 뗏목의 구성과 수용은 부피가 큰 작업이다. 완전한 꽃을 갖거나 한 식물에 수꽃과 암꽃을 모두 갖는 것은 성공적인 수정을 방해할 수 있다. 다른 이론은 자가 수분이 일어날 가능성이 훨씬 높은 환경에서 교차 수분을 보장하는 것이며, 이는 유전자 풀을 제한하고 식물을 다양한 조건이나 질병에 더 취약하게 만드는 과정이다.
키모도케아과는 꽃가루가 구체가 아닌 길고 가는 입자로 조립되어 물에 떠 있을 때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꽃가루 뗏목을 더 쉽게 형성하여 넓은 수면에서 분배할 수 있도록 한다.[7] 꽃가루는 속(屬)에 따라 수표면화 또는 수면하화이다. ''할로둘''과 ''키모도케아''의 종은 썰물 때 꽃가루를 방출하며, 썰물에 떠서 눈송이 모양의 꽃가루 뗏목으로 조립된 후 조수가 다시 들어오기 시작할 때 암술머리와 접촉하기를 바란다.[8] ''암피볼리스''와 ''탈라소덴드론''은 수면까지 꽃가루를 운반한 다음 탈락하는 수꽃에 의해 방출된다. ''시린고디움''은 해수와 거의 같은 밀도의 꽃가루 입자를 가지고 있으며, 작은 덩어리를 형성하여 해류에 의해 표면 아래로 이동하여 암꽃의 암술머리로 이동한다.[8] 이러한 수면하화로의 회귀는 조상의 상태로의 역전으로 해석된다.
3. 3. 태생
키모도케아과의 모든 종은 자웅이주이다.[9] 이는 해초의 약 75%에서 발생하지만, 모든 피자식물의 5% 미만에서 발견되는 특징이다.[9] 키모도케아과에서 자웅이주의 유병률에 대한 두 가지 주요 이론이 있다. 꽃가루 뗏목의 구성과 수용은 부피가 큰 작업이다. 완전한 꽃을 갖거나 한 식물에 수꽃과 암꽃을 모두 갖는 것은 성공적인 수정을 방해할 수 있다. 다른 이론은 자가 수분이 일어날 가능성이 훨씬 높은 환경에서 교차 수분을 보장하는 것이며, 이는 유전자 풀을 제한하고 식물을 다양한 조건이나 질병에 더 취약하게 만드는 과정이다.
두 속에는 태생 묘목이 있다. ''암피볼리스''와 ''탈라소덴드론''의 씨앗은 씨앗 껍질이 없고 녹말이나 다른 중요한 영양소를 저장하지 않는다. 대신 발아 직후 모체 식물에 부착된다.[10] 묘목은 하배축에서 발을 형성하여 전달 세포를 통해 부모에게 부착된다. 묘목은 방출되기 전 7~12개월 동안 잎이 달린 싹을 발달시킨다. ''암피볼리스'' 묘목은 방출되면 기질에 묘목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갈고리 장치를 개발하는 반면, ''탈라소덴드론'' 묘목은 싸는 엽포에서 방출된다. 씨앗의 발 조직의 외부 벽이 아포플라스트이므로, 묘목은 모체 조직에 기생하고 세포질적으로 격리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11]
4. 분포
4. 1. 종별 분포
참조
[1]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www3.intersci[...]
2013-06-26
[2]
서적
A Guide to Southern Temperate Seagrasses
CSIRO Publishing
[3]
간행물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Magnolia Press
[4]
간행물
An outline history of seagrass communities
1975
[5]
문서
The occurrence of fossil seagrasses in the Avon Park formation (late middle eocene), Levy County, Florida (U.S.A.)
1984
[6]
서적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seagrasses
Elsevier
1989
[7]
간행물
Convergence of filiform pollen morphologies in seagrasses: Functional mechanisms
1995
[8]
간행물
Hydrophilous pollination and breeding system evolution in seagrasses: a phylogenetic approach to the evolutionary ecology of the Cymodoceaceae
1993
[9]
간행물
Genetic uniformity in Amphibolis antarctica, a dioecious seagrass
1996
[10]
서적
Monocotyledons
Springer
[11]
간행물
Anatomy of viviparous seagrasses seedlings of Amphibolis and Thalassodendron and their nutrient supply
1990
[12]
서적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4, Monocotyledons: Alismatanae and Commelinanae (except Gramineae)
Springer-Verlag
1998
[13]
웹사이트
Zosteraceae
http://delta-intkey.[...]
[14]
웹사이트
List of genera in family CYMODOCEACEAE
http://data.kew.org/[...]
2016-06-02
[15]
웹사이트
List of Genera in CYMODOCEACEAE
http://www.mobot.org[...]
2016-06-02
[16]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2009
[17]
웹사이트
Die Ordnung der Alismatales
http://www.mobot.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