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상가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상가니는 콩고민주공화국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콩고강과 츠호포강, 린디강이 만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와게냐족이 이 지역에 거주하며 어업 활동을 해왔으며, 1883년 헨리 모턴 스탠리가 스탠리 폭포 기지를 설립하면서 유럽인들의 정착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스탠리빌로 불리다가 1966년 키상가니로 개칭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콩고 2차 전쟁의 주요 무대가 되기도 했다. 현재는 콩고민주공화국의 주요 경제, 문화 중심지 중 하나이며, 다양한 종교 시설과 교육 기관, 관광 명소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도시 - 부카부
    부카부는 콩고 민주 공화국 남키부 주에 있는 도시로 키부 호반에 위치하며, 과거 키부 지역의 행정 중심지였으나 내전과 난민 위기를 겪었고, 100채가 넘는 아르데코 건축물이 남아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한 동부저지대고릴라의 주요 서식지인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으로 가는 관문이자 전쟁으로 인한 여성 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의료 지원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도시 - 루붐바시
    루붐바시는 콩고 민주 공화국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구리 광업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 킨샤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1966년 루붐바시로 개명되었고, 광업, 제조업이 주요 산업이며, 콩고 민주 공화국의 광업 수도로 불린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키상가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키상가니 시
별칭보이오마
국가콩고 민주 공화국
속한 주초포 주
하위 행정 구역루붕가
마키소
망고보
초포
카본도
키상가니
시장델리 리쿤데
설립1882년
면적1910 km²
인구 (2016년)1,602,144명
인구 밀도839 명/km²
도시 인구1,081,000 명
좌표북위 0° 31′ 0″ 동경 25° 12′ 0″
시간대중앙 아프리카 시간
UTC 오프셋+2
고도447 m
차량 등록 번호판번호판 코드 CGO / 25
로마자 표기법
IPA/kiːsəŋˈɡɑːni/
역사
설립자헨리 모턴 스탠리
지리
중요 내륙 항구키상가니 항
문화
별칭잠자는 미녀
기타
공식 웹사이트https://www.caid.cd/index.php/donnees-par-villes/ville-de-kisangani/?domaine=fiche

2. 역사

키상가니는 오래전부터 아랍 상인들의 무역 거점이었으며, 헨리 모턴 스탠리가 1883년 스탠리 폭포 기지를 설립하면서 현대적인 도시의 기틀을 마련했다.

1886년 9월 3일, 총독 카밀 얀센은 식민지 내 9개 지역을 설립하는 법령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스탠리 폭포 지역도 포함되었으며 각 지역은 지역 위원장이 통치했다.[28] 1887년, 스탠리는 티푸 팁을 스탠리 폭포 지역의 주지사(''wali'')로 제안했고, 이 제안은 레오폴드 2세와 잔지바르의 바르가시 빈 사이드가 모두 받아들였다. 티푸 팁은 1887년 2월 24일에 직책을 맡았고, 스탠리 폭포 지역은 1888년 6월까지 아랍의 통제하에 있었다.[18][20] 그러나 적대 행위가 재개되었고, 스탠리 폭포 지역에서 아랍 스와힐리의 영향력은 1893년까지 결정적으로 제거되지 않았다.[18]

1898년 7월 15일, 총독은 스탠리 폭포 지역을 동부 주(Province Orientale)로 부르고 스탠리빌을 수도로 지정하는 법령을 발표했다.[16] 이 도시는 콩고 강에서 증기선 항해의 중요한 종착역으로 발전하여 작은 무역 기지에서 번성하는 도시 중심지로 변모했고, 1933년까지 카탕가와 키부를 포함한 콩고 자유국의 동부 전체 본부 역할을 했다.[17] 그러나 스탠리빌은 원주민 콩고 마을들로 둘러싸인 저개발 행정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17] 1902년 CFL 설립과 1903년부터 1909년까지 진행된 스탠리빌-퐁티비에르(현재 우분두) 철도 건설은 도시 확장을 촉진했다.[16][17][29]

벨기에령 콩고 시대 스탠리빌은 상업 중심지와 유럽인(벨기에인, 포르투갈인) 및 아시아인 주거 지역으로 구성되었으며, 흑인 "원주민 수용소"와는 분리되었다.[17] 1958년 스탠리빌은 4개 코뮌으로 나뉘었고,[30] 파트리스 루뭄바의 거점이 되었다.

1960년 콩고 폭동 당시 루뭄바 총리파의 임시 정부가 이곳에 수립되었다. 1964년 9월에는 심바 반란 세력이 이곳을 수도로 삼았으나, 11월 콩고 민주 공화국 카사부부 정부군에 함락되었다.

모부투 세세 세코 집권 후 1966년 스탠리빌은 키산가니로 개명되었고,[16][33] 1966년과 1967년 스탠리빌 반란이 발생했다. 1977년 코뮌 명칭이 변경되었고,[34] 1984년 인구는 317,581명이었다.[16]

1990년대 콩고 1차 전쟁 당시 키산가니 전투가 벌어졌다. 1999년 콩고 2차 전쟁에서 우간다군과 르완다군 간 첫 공개 전투가 벌어져 약 3,000명이 사망했고, 도시 4분의 1이 파괴되었다. 2000년 6일 전쟁으로 수천 명이 사망하고 광범위한 파괴가 발생했다.[37]

콩고 2차 전쟁 중 2002년 5월 14일, 키산가니에서 160명이 학살당했다.[38] 2002년 평화협정 체결 당시 도시는 콩고 민주주의 집회 - 고마(RCD-Goma) 통제하에 있었다.[39]

2010년 오리엔탈 주가 해체되고 키산가니는 쇼포 주 수도가 되었다.[36]

2. 1. 초기 역사와 스탠리 폭포 기지 설립

1870년경 냥웨의 아랍 노예 습격


벨기에 레오폴드 2세를 대신하여 일하던 헨리 모턴 스탠리는 1883년 스탠리 폭포 기지를 설립했다. 그 이전에는 와게냐족이 이 지역에 거주하며 와게니아 폭포(이전에는 스탠리 폭포로 불림)를 어업에 이용했다.[14][15] 기지는 현대 키산가니 위치에서 불과 수 미터 떨어진 와나 루사리 섬, 루알라바 강에 세워졌다. 1877년 스탠리는 키산가니와 우분두 사이 100km에 걸쳐 7개의 폭포가 있는 이 지역을 급류와 폭포를 통과하며 처음으로 지나갔는데, 나일 강을 따라 내려가고 있다고 잘못 믿었다.[14][15][16]

스탠리는 스탠리 폭포에서 매일 2kg~20kg 무게의 물고기 약 1,000마리가 잡히며, 와게냐족이 무역을 위해 상당한 양의 훈제 생선을 보유하고 있었다고 기록했다. 무역망은 식품 외에도 카누, 어망, 도자기, 목제 용품, 그리고 전문 장인(종종 라망가족과 같이 카누와 목제 가구 제작으로 유명한 서로 다른 민족 집단)이 만든 금속 제품까지 확대되었다.[17] 1883년 12월 1일, 스탠리는 콩고 강 어귀로부터 약 약 2092.14km 떨어진 곳에 최초의 무역 기지를 설립하기 위해 이 지역으로 돌아왔다. 그는 전년도에 이 지역에 정착한 아랍계 스와힐리 상인들과 협상했다.[16][18] 상콩고 연구 위원회(Comité d'études du Haut-Congo)가 이 탐험의 최종 목적지로 지정했으며,[19] 스탠리는 두 명의 스코틀랜드인 엔지니어, 독일인 기계공, 그리고 스탠리빌 출신 선원과 함께했다. 스코틀랜드 엔지니어인 애드리안 비니가 기지 책임자 역할을 맡았다.[19]

1902년 스탠리빌의 유럽인들


처음에는 폭포 기지 또는 "스탠리 폭포 우체국", "폭포", 또는 구어체로 "보요마"(보요마 폭포의 원주민 이름)로 불렸던 이 정착지는 현지인들은 꾸준히 "키산가니"라고 불렀다. 그러나 유럽인들은 일반적으로 프랑스어 용어인 "스탠리빌"(또는 네덜란드어로는 스탠리스타드)을 사용했다.[20][21][22] 1920년대 마리스트 형제회가 발행한 스와힐리어 설명서에는 "X에서 스탠리빌까지"는 "toka X Mpaka Kisangani"로 번역되어 명칭 대체 உதாரण을 보여준다.[20][23][21][22] "키산가니"라는 이름은 원주민 용어 ''보요마''를 스와힐리어로 해석한 것으로, "섬 위의 도시"를 의미하며, 린갈라어로는 ''싱기티니''(또는 ''싱가티니'')로 표기된다.[20][24][25][22] 그 후 스탠리는 바스콩고(현재 콩고 중부 주)로 여행을 떠났고, 정착지를 애드리안 비니에게 맡겼다. 비니는 20명의 하우사인과 10명의 왕와나와 함께 이 지역에서 레오폴드 2세의 콩고 자유국의 주요 대표가 되었다.[19][26][27] 비니는 스탠리의 소유지를 확장하고, 땅을 개간하고, 정원이 있는 마을을 건설했다.[18]

이곳은 오래전부터 아랍 상인들의 무역 거점이었으며, 1882년 탐험가 헨리 모턴 스탠리가 키산가니 역으로 재건축했다. 1898년에는 그의 이름을 따서 '''스탠리빌'''(Stanleyville)로 개칭되었다.

2. 2. 콩고 아랍 전쟁 (1892년 ~ 1894년)

아프리카 지역 사회와 유럽 상인들 사이에 관계가 형성된 후, 잔지바르 출신의 아랍-스와힐리 노예 상인들(당시 유럽 기록에서는 일반적으로 "아랍인"으로 불림)이 동쪽에서 스탠리 폭포에 도착했다. 자유국 관리들과 노예 상인들 사이의 관계는 긴장으로 가득 차 있었다.[18] 1884년 10월, 당시 주둔지 감독관이었던 아르비드 베스터 중위는 아랍 스와힐리 노예 상인들과 조약을 체결했다.[18] 악명 높은 아프로-오마니 노예 상인 티푸 팁의 아들이 서명한 이 조약은 노예 습격을 억제하고 지역의 백인들과 평화로운 관계를 증진하기 위한 것이었다.[18] 그러나 이 조약은 티푸 팁의 부대가 곧 활동을 재개하면서 오래가지 못했고, 이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었다. 원주민들은 국제 콩고 협회의 보호를 받았지만, 성공하지 못했다.[18]

1876년 마니예마 정착지. 이곳의 병력이 본토에서 건너와 스탠리 폭포 주둔지를 공격했습니다.


1885년 1월, 알퐁스 반 겔 대위가 우방기 강 탐험 후 스탠리 폭포에 도착했을 때, 티푸 팁이 주변 지역을 황폐화시켰고 잔지바르 술탄을 대신하여 조약을 파기했음을 알게 되었다.[18] 이 사건은 콩고 아랍 전쟁의 시작을 알렸고, 이 전쟁 동안 콩고 자유국의 동쪽 해안은 수익성이 높은 아랍 노예 무역을 장악하기 위한 전투의 장이 되었다.[18] 스탠리 폭포 주둔지를 보호하기 위해, 프랜시스 드 윈튼이 파견한 월터 딘 장교가 32명의 하우사 병사와 40명의 방갈라 보조병을 이끌고 도착했다.[18][27] 충분한 탄약과 증원군을 약속받았지만, 이러한 자원은 현실화되지 않았다. 1886년 7월 중순, 티푸 팁이 잔지바르로 돌아오면서 상황은 악화되었다. 그는 매제이자 사업 파트너인 브와나 니지게와 니지게의 아들 라시드를 남겨 지역 운영을 감독하게 했다.[18] 근처 마을의 노예 여성이 아랍 스와힐리 주인에게 잔혹하게 매를 맞고 딘의 진영으로 피신하자 긴장은 극에 달했다. 딘은 그 여성을 주인에게 돌려보내는 대신, 몸값을 지불하겠다고 제안했다.[18] 이러한 반항적인 행위는 티푸 팁의 부하들을 자극했고, 그들은 딘이 그 여성을 훔쳤다고 비난했다.[18] 위협을 받았지만, 딘은 강을 오가는 증기선이 도착할 때까지 즉시 공격받지 않았다. 그러나 증기선에는 벨기에 장교 두부아 중위만 있었고, 약속된 증원군이나 보급품은 없었다.[18] 밤에 많은 마니예마 병력이 본토에서 건너와 주둔지를 공격했다.[18] 3일 동안 버텼지만, 탄약이 부족해지면서 방어자들은 압도당했다. 하우사 병사 7명이 사망했고, 방갈라 보조병들은 하류로 후퇴하면서 당국에 알리겠다고 약속하며 도망쳤다.[18] 1886년 8월 26일, 딘과 두부아는 주둔지에 불을 지르고 주변 숲으로 피신했다. 두부아는 본토로 건너가려다 익사했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30일 동안 황야에서 고생하다가 카밀 코퀼라 대위에게 구출되었다.[18]

2. 3. 스탠리빌과 키산가니의 설립

1893년 키산가니의 기초를 놓은 스탠리 폭포 역, 지도 계획


1882년 탐험가 헨리 모턴 스탠리가 키산가니 역으로 재건축했고, 1898년에는 그의 이름을 따서 '''스탠리빌'''(Stanleyville)로 개칭되었다.[16]

1886년 9월 3일, 총독 카밀 얀센(Camille Janssen)은 식민지 내에 9개 지역을 설립하는 법령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스탠리 폭포 지역(Stanley Falls District)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각 지역은 지역 위원장이 통치했다.[28] 1887년, 스탠리는 티푸 팁(Tippu Tip)을 스탠리 폭포 지역의 주지사 (''wali'')로 제안했고, 이 제안은 레오폴드 2세와 잔지바르의 바르가시 빈 사이드(Barghash bin Said of Zanzibar) 모두 받아들였다. 티푸 팁은 1887년 2월 24일에 직책을 맡았고, 스탠리 폭포 지역은 1888년 6월까지 아랍의 통제하에 있었다.[18][20] 그러나 적대 행위가 재개되었고, 스탠리 폭포 지역에서 아랍 스와힐리의 영향력은 1893년까지 결정적으로 제거되지 않았다.[18]

1898년 7월 15일, 총독은 스탠리 폭포 지역을 동부 주(Province Orientale)로 부르고 스탠리빌을 수도로 지정하는 법령을 발표했다.[16] 이 도시는 콩고 강에서 증기선 항해의 중요한 종착역으로 발전하여 작은 무역 기지에서 번성하는 도시 중심지로 변모했고, 1933년까지 몇 년 동안 카탕가와 키부를 포함한 콩고 자유국의 동부 전체의 본부 역할을 했다.[17] 그러나 스탠리빌은 원주민 콩고 마을들로 둘러싸인 저개발 행정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17]

1902년에 스탠리빌과 카탕가 사이에 철도/강 연결을 건설하는 임무를 가진 CFL(Compagnie du Chemin de Fer du Congo Supérieur aux Grands Lacs Africains)의 설립은 1,200명에서 4,100명에 이르는 노동력을 통해 개발을 가속화했다.[29] 1903년 2월에 시작되어 1909년 9월에 완공된 스탠리빌-퐁티비에르(현재 우분두) 철도 건설은 나무가 늘어서 있고 나무가 우거진 가로수, 꽃이 만발한 나무들로 둘러싸인 건물들, 잘 지어진 주거용 및 상업용 건물들과 함께 상당한 도시 확장을 촉진했다.[16][17]

벨기에령 콩고 식민지 시대에 스탠리빌의 도시 구조는 상업 중심지와 유럽인(벨기에인, 포르투갈인)과 아시아인을 위한 주거 지역으로 구성되었으며, 녹지, 학교, 군사 병영 또는 놀이터로 모든 흑인 "원주민 수용소"와 분리되었다.[17]

이 도시의 공식 지위는 1958년 9월 6일 제12/357호 통합 명령에 따라 스탠리빌을 벨기에 I, 벨기에 II, 브뤼셀, 스탠리의 4개 코뮌으로 나눔으로써 공식화되었다.[30] 1958년 말, 이 도시는 정당 콩고 국민 운동(MNC, Mouvement National Congolais)의 지도자인 파트리스 루뭄바(Patrice Lumumba)의 거점이 되었다.

모부투 세세 세코(Mobutu Sese Seko)가 권력을 장악한 후, 1966년 5월 3일, 스탠리빌은 그의 ''자이르의 오텐티시테(authenticité)'' 정책의 일환으로 키산가니로 개명되었다.[16][33]

2. 4. 콩고 독립과 혼란기 (1960년 ~ 1967년)

1960년 콩고 폭동 당시 반제국주의 민족주의를 내세운 루뭄바 총리파의 임시 정부가 이곳에 수립된 적이 있다. 1964년 9월에는 심바 반란 세력이 콩고 인민 공화국 국가 수립을 선포하고 이곳을 수도로 삼았으나, 11월에는 콩고 민주 공화국카사부부 정부군에 함락되었다.[1] 1966년에 옛 이름인 키상가니로 돌아왔다.[1]

2. 5. 르완다-우간다 분쟁과 6일 전쟁 (1999년 ~ 2000년)

1999년, 키상가니는 콩고 2차 전쟁에서 우간다군과 르완다군 간의 첫 번째 공개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이 과정에서 약 3,000명이 사망했다.[37] 이는 반정부 반군 단체인 콩고 민주주의 집회(RCD)가 키상가니와 고마에 기반을 둔 진영으로 분열된 데 따른 결과였다. 이 전투는 도시 근처의 금광을 둘러싼 것이기도 했다. 지역 주민들은 우간다와 르완다 군대의 교전에 휘말려 도시의 약 4분의 1이 파괴되었다. 여러 건물이 피해를 입었고, 특히 노트르담 대성당의 지붕이 미사일로 인해 불탔다. 두 외국군 모두 도시를 약탈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국제사법재판소의 우간다에 대한 비난에도 불구하고, 책임 확립, 배상금 지급, 체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37]

2000년 6월 5일부터 10일까지 르완다와 우간다군 사이에 추가 충돌이 발생하여 수천 명의 사망과 광범위한 파괴를 초래했다. 키상가니에서 우간다와 르완다 사이에 발생한 세 번의 충돌은 1일 전쟁, 3일 전쟁, 그리고 2000년에 발생한 가장 치명적인 6일 전쟁으로 불린다.[37]

3. 지리

키상가니는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인구 밀도는 ㎢당 229명이다. 도시의 총 면적은 약 1,910㎢이다.[7] 고도는 고원 지대에 따라 다른데, 남동쪽의 아랍식 고원과 서쪽의 의료 고원은 37~45미터, 북동쪽의 보요마 고원은 최대 46미터에 달한다.[7]

키상가니의 식생은 기니아 지역 중앙 삼림 지역을 대표하며,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다양한 정도로 훼손된 밀집된 열대우림이 특징이다.[6]

키산가니의 콩고 강 위 석양


루알라바 강은 굽이쳐 흐르다 콩고 강과 합류하는데, 이 수로의 변화 지점에 키산가니 도시가 위치해 있다.[45] 도시의 상당 부분은 북쪽에 츠호포 강, 남쪽에 콩고 강이 있는 지역에 건설되었다.[46][47] 많은 지류와 섬들이 서로 얽혀 있어 내륙 수로 이동에 유리하다.[41] 조수 해협이 엠비예 섬(L'Île Mbiye)과 키산가니 도시 본토를 분리하고 있으며, 7개의 폭포는 총 61m의 낙차를 가진다.[48] 급류에 설치된 어장이 있는 와게니아 폭포를 볼 수 있다.[49][50][51][52]

키산가니의 토양은 중앙 콩고 분지의 전형적인 토양으로, 적색 적철석 페랄리트 토양(페랄솔 또는 옥시솔)이 특징이다.[41] 이러한 토양은 두께가 상당하고, 적황색을 띠며, 산성 pH(6 미만)를 보인다.[41]

적도 바로 옆에 위치하지만, 키산가니는 가장 건조한 달(1월)의 평균 강우량이 60mm 미만이어서 열대몬순기후를 보인다. 키산가니의 평균 상대습도는 86%이다. 콩고 강을 따라 흐르는 지역의 전형적인 기후는 적도 바로 북쪽에 위치한 강의 좌우 제방에 자리 잡은 도시 키산가니의 기후와 같다. 습도는 연중 높고, 연간 강우량은 1620mm이며 비교적 규칙적으로 내린다. 가장 건조한 달에도 강우량은 53mm를 넘는다. 기온 또한 연중 고르게 높으며, 일교차는 거의 없다. 키산가니의 평균 기온은 20도 중반(섭씨)이다. 키산가니는 콩고강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의 혜택도 받는다.[53]

3. 1. 위치

키상가니는 콩고 강, 트쇼포 강, 린디 강이 만나는 지점이자 콩고 동부와 서부의 교차로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다. 아프리카 대륙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콩고민주공화국(DRC) 북동부, 트쇼포 주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40][41] 키산가니는 콩고 강 최북단에 위치하며, 킨샤사와 키산가니 사이에서 대형 수상 화물을 위한 수송이 가능하고 콩고 분지 대부분과 연결된 자연 수송 수로를 가지고 있어 무역 도시로서의 중요성을 더해왔다.[40][41]

이 도시는 북쪽으로는 바날리아 준주, 남쪽으로는 우분두 준주와 오팔라 준주, 서쪽으로는 이산기 준주, 동쪽으로는 바프와센데 시와 접해 있다.[5] 키산가니는 부타에서 324km, 이시로에서 572km, 부니아에서 696km, 킨샤사에서 2912km 떨어져 있다.[5] 키산가니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열대 우림인 광대하고 고립된 콩고 분지 한가운데 위치해 있다. 위도는 북위 0° 31'(적도에서 57km), 경도는 동경 25° 11'(그리니치 자오선에서), 해발고도는 396m이다.[42]

콩고 강(자이르강) 중류에 있는 보요마 폭포(보요마 폭포, Stanley Falls)의 하류 북쪽 기슭에 위치한다. 해발 고도는 415m이다.

3. 2. 식생 및 삼림 보호 구역

키산가니는 여러 중요한 삼림 보호 구역으로 둘러싸여 있다.[43]

  • 쇼포 폭포 삼림 보호 구역(Tshopo Falls Forest Reserve): 주로 *Terminalia superba* 농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오래된 구역도 있지만 젊은 2차림이 특징이다.[43] 관속식물 508종이 서식하며, 꼭두서니과, 대극과, 콩과, 벼과, 협죽도과, Caesalpiniaceae, 뽕나무과, 닭의장풀과, 마란타과, 벽오동과 등이 많이 나타난다.[43] 도입종인 *Millettia laurentii*와 함께 *Musanga cercropioides*, *Myrianthus arboreus*, *Zanthoxylum fagara*, *Klainodoxa gabonensis*, *Pycnanthus angolensis*가 주목할 만한 교목 종이다.[43]
  • 키산가니 수목원(Kisangani Arboretum): 60헥타르 면적에 2차림 상태를 보이며, 21개 식물 과에 속하는 43종의 재배 나무가 있다. Caesalpiniaceae, 멀구슬나무과, 감나무과 등이 포함된다.[43] *Autranella congolensis*, ''Donella pruniformis'', *Omphalocarpa procera*, *Gilbertiodendron dewevrei*, Strombosiopsis tetrandra*, *Cynometra alexandrii*, *Entandrophragma angolense*, *Guarea cedrata*, *Pericopsis elata* 와 같이 기존 숲에서 자생하는 나무들이 있다.[43]
  • 마사코 삼림 보호 구역(Masako Forest Reserve): 약 2,105헥타르 면적에 2차림과 원시림이 모두 있다. 2차림에는 꼭두서니과, 협죽도과, 붓순나무과, 대극과, 콩과, 방기과, 콩과, 통화식물과, 감탕나무과, 벽오동과가 우점종인 504종의 관속식물이 있다.[43] 원시림은 주로 *Gilbertiodendron dewevrei*가 특징이며 268종의 관속식물이 서식한다. 둘레가 764cm인 *Entandrophragma* 종을 포함한 3그루의 큰 잔존 나무도 보존하고 있다.[43]
  • 쿵굴루 섬 삼림(Kungulu Island Forest): 100헥타르 면적에 2차림과 원시림이 모두 있으며, 원시림에서는 *Piptadeniastrum africanum*와 *Celtis mildbraedii*가 우점종이다.[43] 2차림에는 254종의 관속식물이 있으며, 젊은 숲에서는 *Musanga cecropioides*가 우점종이다.[43]
  • 얄리솜보 삼림(Yalisombo Forest): 약 170제곱킬로미터 면적에 *Gilbertiodendron dewevrei*가 우점종이며 424종의 Rhizophytes가 서식한다.[43] 꼭두서니과, 대극과, 벽오동과, 협죽도과, 붓순나무과, 방기과, 뽕나무과, 멀구슬나무과, 쥐꼬리망초과, 콩과, 감나무과 과가 잘 나타나며, *Brachystegia laurentii*, *Polyalthia suaveolens*, *Diospyros canaliculata*, *Staudtia gabonensis*, *Strombosia grandifolia*, *Streptomyces glaucescens*, *Garcinia polyantha*, *Gentiana punctata*, *Isolona bruneelii*, *Cola griseiflora*, *Pachystela bequaertii*, *Julbernardia seretii*, *Manodora myristica* 와 같은 종들이 우점종과 함께 서식한다.[43]


키산가니는 도시 중심부에서 상당히 떨어진 외곽에 위치한 여러 개의 중요한 숲섬들에 둘러싸여 있다. 특히 엠비에 섬(Mbie Island)은 훼손된 일차림과 이차림이 혼재되어 있으며, ''길베르티오덴드론 데베브레이(Gilbertiodendron dewevrei)''와 ''스코로도플로이우스 젠케리(Scorodophloeus zenkeri)''가 우점하고 있다.[43] 3,370헥타르 면적의 25km 지점 철도 숲 보호 구역(Kilometer 25 Rail Forest Reserve)은 ''터미날리아 수퍼바(Terminalia superba)'', ''페리코프시스 엘라타(Pericopsis elata)'', ''엔트란드로프라마 실린드리쿰(Entandrophragma cylindricum)'', 그리고 ''카야 안토테카(Khaya anthotheca)'' 등 다양한 수종으로 재조림되었다.[43] 3,605헥타르 면적의 32km 지점 철도 숲 보호 구역(Kilometer 32 Rail Forest Reserve) 역시 ''카야속(Khaya spp)'', ''엔트란드로프라마 실린드리쿰(Entandrophragma cylindricum)'', 그리고 ''터미날리아 수퍼바(Terminalia superba)'' 등의 수종으로 재조림되었으며, 95헥타르는 특별히 재조림 지역으로 지정되었다.[43] 키산가니-이투리 도로를 따라 2,360헥타르에 걸쳐 있는 바바굴루 숲 보호 구역(Babagulu Forest Reserve)은 주로 ''길베르티오덴드론 데베브레이(Gilbertiodendron dewevrei)''로 구성되어 있다.[43]

엠비예 섬(L'Île Mbiye)은 키산가니 동쪽 콩고 강에 있으며, 와게니아 폭포 상류에 있다. 키산가니에 인접해 있으며 길이 14km, 너비 4km이다. 밀집되고 비교적 잘 보존된 숲을 특징으로 하며, 스텔렌보쉬 대학교(Stellenbosch University)에서 수행하는 아프리카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심포지엄 프로젝트의 일부이다. 1,400헥타르 면적의 이 섬은 건조지 숲,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숲, 습지 숲의 세 가지 유형의 숲으로 구성되어 있다.[44]

3. 3. 수문 및 지질

키상가니는 콩고 강, 트쇼포 강, 린디 강이 만나는 지점이자 콩고 동부와 서부의 교차로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다. 아프리카 대륙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콩고민주공화국(DRC) 북동부, 트쇼포 주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40][41] 키산가니는 콩고 강 최북단에 위치하며, 킨샤사와 키산가니 사이에서 대형 수상 화물을 위한 수송이 가능하고 콩고 분지 대부분과 연결된 자연 수송 수로를 가지고 있어 무역 도시로서의 중요성을 더해왔다.[40][41]

이 도시는 북쪽으로는 바날리아 준주, 남쪽으로는 우분두 준주와 오팔라 준주, 서쪽으로는 이산기 준주, 동쪽으로는 바프와센데 시와 접해 있다.[5] 키산가니는 부타에서 324km, 이시로에서 572km, 부니아에서 696km, 킨샤사에서 2912km 떨어져 있다.[5] 도시의 지형은 다양하며, 인구 밀도는 ㎢당 229명이다. 키산가니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열대 우림인 광대하고 고립된 콩고 분지 한가운데 위치해 있다. 위도는 북위 0° 31'(적도에서 57km), 경도는 동경 25° 11'(그리니치 자오선에서), 해발고도는 396m이다.[42] 고도는 서로 다른 고원 지대에 따라 다르며, 남동쪽의 아랍식 고원과 서쪽의 의료 고원은 37~45미터, 북동쪽의 보요마 고원은 최대 46미터에 달한다.[7] 통계청(INS)의 보고에 따르면 키산가니의 총 면적은 약 1,910㎢이다.[7]

콩고강(자이르강) 중류에 있는 보요마 폭포(Stanley Falls)의 하류 북쪽 기슭에 위치하며, 해발 고도는 415m이다.

3. 4. 기후

키상가니의 기후는 BBC Weather Centre Kisangani의 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13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36°C36°C36°C35°C34°C34°C33°C33°C34°C34°C35°C35°C36°C
평균 최고 기온 (°C)31°C31°C31°C31°C31°C30°C29°C28°C29°C30°C29°C30°C30°C
평균 기온 (°C)26°C26°C26°C26°C26°C25.5°C24°C24°C24.5°C25°C24.5°C25°C25.2°C
평균 최저 기온 (°C)21°C21°C21°C21°C21°C21°C19°C20°C20°C20°C20°C20°C20.4°C
최저 기온 (°C)17°C18°C17°C18°C18°C18°C17°C17°C17°C18°C18°C16°C16°C
강수량 (mm)5384178158137114132165183218198841620
일조 시간187170187180187150124125150186150155-


3. 5. 건축

콩고 분지의 울창한 정글 속에서 현대적인 여러 층의 벽돌 건물들이 나타난다. 키산가니에서는 다양한 종류와 규모의 주택, 타운하우스, 콘도, 아파트 건물을 찾아볼 수 있다.[55] 키산가니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건축 양식은 벨기에의 영향을 받았다. 식민지 시대에 벨기에 건축 양식이 도입되고 널리 채택되면서 키산가니의 건물들은 초가 지붕의 아프리카 전통에서 유럽식 상업 지구의 저층 건물과 수직적 고층 건물로 변화했다.[55]

키산가니에는 다양한 스타일의 건축적으로 중요한 건물들이 원형대로 남아 있다. 여기에는 돌의 질감을 드러내 건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독특한 외관을 가진 오몽리(Aumonerie), 인상적인 20세기 랜드마크인 중앙 교도소(Central Prisons)의 높은 성벽,[56][57][58] 거대한 돌로 세부적인 장식을 한 초기 대성당 부흥 양식의 노트르담 드 로제르 대성당(Cathédrale Notre-Dame du Rosaire),[59] 에글리즈가(avenue de l'eglise)에 있는 콩고 팰리스 호텔(Congo Palace Hotel) 등이 있다. 콩고 팰리스 호텔은 키산가니에서 매우 영향력 있는 유럽 스타일 건물의 중요한 사례이다.[60][61][62][63]

키산가니의 도시 주거 지역은 1908년부터 1950년까지의 급속한 확장기에 지어진 기품 있는 벨기에식 기와 지붕의 빌라, 브라운스톤 연립주택, 타운하우스, 다세대주택으로 정의된다. 도시 중심부에서 벗어난 키산가니의 넓은 시골 주거 지역은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지어진 초가 지붕의 마을들이 계속 이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때때로 길에는 달콤한 향기가 가득하고 흰색과 보라색 나비들이 춤을 춘다. 숲은 초원으로, 그 다음에는 대나무 숲으로, 그리고 다시 숲으로 이어진다.

키산가니의 모툼베 지역 주택

3. 6. 행정 구역



키상가니 시는 콩고민주공화국 코뮌(Communes)으로 더 세분화되는 6개의 큰 코뮌으로 구성되어 있다. 루붕가, 마키소, 키산가니, 초포(Tshopo), 카본도, 망고보가 이에 해당한다. 각 구역에는 수백 개의 독립적인 지역이 있으며, 많은 지역이 고유한 역사와 특징을 가지고 있다.[64][65]

  • '''키산가니''' 코뮌은 와게니아 폭포(Wagenia Falls)에 설치된 비계 제작 때문에 키게니(Kigenyi)에서 "톨리모(Tolimo)"로 불린다.
  • '''망고보(Mangobo)'''는 도시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코뮌이며, 특정 거리 주소 이름이 원고 번호로만 매겨져 있어 찾기 어렵기 때문에 "마테마티크(Mathématique)"로 알려져 있다.
  • '''초포(Tshopo)'''는 키상가니 시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코뮌이며 긴 해변을 갖추고 있다. 초포 강과 수력 발전소가 있다.
  • '''마키소(Makiso)'''는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이며 도시의 많은 상업 및 금융 기관이 있다. "미루아르(Miroir)"로 알려져 있다.
  • '''루붕가(Lubunga)'''는 6개 코뮌 중 가장 교외적인 성격을 가진 코뮌이다. "페이(Pays)"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키산가니에 농작물의 대부분을 공급한다.
  • '''카본도'''는 문화적, 사회적, 민족적 다양성으로 인해 매년 도시에서 가장 큰 퍼레이드와 공공 행사를 개최하는 코뮌이다. "필로트(Pilote)"로 알려져 있다.[68][69]

4. 문화

키상가니는 콩고 민주 공화국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이 융합된 곳이다.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는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엔터테인먼트 및 공연 예술: 바를리 바루티 같은 예술가들이 노래를 통해 희망과 야망을 표현했고,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매년 문화 공연을 연다. 아베티 마시키니, 코피 올롬데 등 유명 음악가를 배출했으며, 누-룸바 음악의 중심지다.
  • 관광: 에글리즈 가의 식당, 건축물, 루뭄바 경기장(Stade Lumumba) 등이 주요 명소이며, 식물원, 박물관, 키산가니 동물원(Kisangani Zoo), 와게니아 폭포(Wagenia Falls), 엠비예 섬 등도 있다.
  • 요리: 카사바 등 지역 특산품, 이민자들의 전통 음식, ''kosa kosa'', ''키산가니 커피'' 등 길거리 음식이 유명하다.
  • 미디어: 스와힐리어, 링갈라어, 프랑스어 방송, 신문, 라디오 등 다양한 매체가 발달했다.
  • 스포츠: 루뭄바 스타디움 등 여러 경기장이 있으며, 축구와 권투가 인기 있다.

4. 1. 엔터테인먼트 및 공연 예술

이 도시의 이주민들에게 큰 영향을 받은 바를리 바루티 등의 작품들은 노래를 사용하여 희망과 야망을 반영하는 서사를 종종 보여주었다. 키산가니의 모든 문화 분야의 예술가들, 즉 음악가, 무대 배우, 코미디언, 패션 디자이너, 문화 운영자, 제도사, 민속 음악 연주자, 화가, 조각가, 그리고 실크스크린 인쇄업자들이 계절별 문화 공연을 위해 매년 만난다. 세르클 보요마 컬처(Cercle Boyoma Culture)는 키산가니의 문화 활동이 시너지 효과를 내어 서로 다른 모든 문화 분야의 단체들이 교류하고 성찰하는 행사 중 하나이다. 세르클 보요마 컬처는 매년 12월부터 6월까지 마키소의 피나 애비뉴 14번지에서 개최된다. 이 문화 공연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녹음 스튜디오, 대형 무대 공연, 도서관, 인터넷 카페, 재봉 작업장, 인터랙티브 게임기, 카페테리아를 갖춘 10개의 부스를 선보인다.[70]

키산가니의 문화 공간은 수많은 미인 대회에 플랫폼을 제공하여 경험을 교류하고 멘토링 상담을 제공하며 교육 세미나를 개최한다. 미스 보요마(Miss Boyoma)는 매년 12월에 도시 당국이 주최하는 행사로 키산가니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성을 선발한다. 17세의 엘리제(Elysée)는 2009년 미스 보요마이다.[71]

도시의 문화 유산의 일부인 다른 라이브 음악 장르에는 키산가니 블루스, 키산가니 소울, 아프리카 재즈, 수쿠스, 그리고 가스펠이 포함된다. 이 도시는 콩고의 전설적인 음악가 아베티 마시키니와 코피 올롬데의 고향이며, 영향력 있는 누-룸바(nu-rumba) 음악의 중심지이다. 1950년대에는 아프리카 민속 음악, 수쿠스, 그리고 아프리카 재즈의 중심지였다. 이러한 영향은 1960년대에 더욱 발전된 수쿠스 음악으로 이어졌다. 이 도시는 1980년대 이후로 돔볼로 문화의 중심지였다. 번성하는 독립적인 민속 음악 문화는 키산가니 블루스를 탄생시켰다. 또한 이 도시는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는 지하 누-룸바 음악계를 탄생시켰으며, 여러 밴드가 누-룸바 세계에서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세르클 보요마 컬처 페스티벌과 같은 다양한 행사가 매년 열린다.[72]

키산가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안무가이자 연출가인 포스탱 리니에쿨라(Faustin Linyekula)의 고향이기도 하다. 2007년부터 그가 2001년 킨샤사에 설립한 문화 단체인 스튜디오 카바코(Studios Kabako)가 키산가니에 재정착했다. 스튜디오 카바코는 춤, 연극, 음악, 비디오 분야에서 젊은 콩고 예술가들의 데뷔를 교육부터 제작, 투어까지 지원해 왔다. 스튜디오 카바코에서 훈련받은 젊은 무용수와 안무가로는 장노 쿰보니에키(Jeannot Kumbonyeki), 미셸 키욤보(Michel Kiyombo), 도린 모카(Dorine Mokha), 지노 알로로(Djino Alolo), 이브 므와바(Yves Mwamba) 등이 있다.

스튜디오 카바코는 콩고 동부 지역 유일의 전문 녹음 스튜디오를 개설했으며, 기타리스트 플람 카파야(Flamme Kapaya), 래퍼 파스나스(Pasnas), 프랭크 모카(Franck Moka), 쇼기(Shoggy), 음악가 페페 르코크(Pépé Lecoq) 등의 음악가들이 함께 작업했다.

키산가니는 또한 영화 제작자 디우도 하마디(Dieudo Hamadi)의 고향이기도 하다.

4. 2. 관광

에글리즈 가(avenue de l'Eglise)에 있는 많은 식당과 키산가니의 뛰어난 건축물은 계속해서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이 도시는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세 번째로 큰 컨벤션 개최지이다. 대부분의 컨벤션은 마르셰 경기장(Stade du Marche) 북쪽에 있는 루뭄바 경기장(Stade Lumumba)에서 열린다. 역사적인 시청에는 현재 도시 관광 안내 센터, 갤러리, 전시장이 들어서 있다.[73] 정부 회의를 개최하는 프랑스-콩고 연합(Alliance Franco-Congolese, AFRACO) 건물도 있다.[73]

키산가니의 다양한 관광 명소로는 식물원, 박물관, 공장, 동물원, 전시장, 엘리베이터, 소매점, 양조장, 창고, 도서관, 제분소, 강당, 정유소 등이 있으며, 이들은 오늘날 특히 시내 지역에서 역사적 및 건축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제공한다.[74]

노트르담 대성당(Rosaire of Notre-Dame Cathedral), 중앙시장, 그리고 1번가에 있는 키산가니 주요 은행들의 인상적인 19세기 본사 건물도 있다. 키산가니에는 콩고 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the Congo) 캠퍼스가 있으며, 그중에는 잘못된 구강 소아마비 백신 에이즈 가설(oral polio vaccine AIDS hypothesis)로도 알려진 명성 있는 의과대학이 포함되어 있다.[75] 키산가니는 또한 키산가니 대학교(University of Kisangani)에 도시의 중심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 도시는 지역 고고학 및 민족학 박물관인 키산가니 국립박물관(National Museum of Kisangani)에 광범위한 고대 콩고 및 근동 아프리카 고고학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2014년에 건설된 초포 2세 교(Tshopo II Bridge)와 키산가니의 보요마 폭포(Boyoma Falls), 키산가니 동물원(Jardin Zoologique de Kisangani)에서 바라본 모습


다른 랜드마크로는 L'Hôtel des chutes, Le Voyageur, Hellénique ainsi que Psistaria, l'Hôtel Congo Palace, l'Hôtel Boyoma, l'Hôtel Kisanganian, 그리고 L'Hôtel Palm Beach가 있다.[76] 1934년 보요마 여성들을 기리기 위해 완공된 플라스 드 라 팜(Place de la Femme), 가장 존경받는 종교 지도자 중 한 명인 가브리엘 그리송(Gabriel Grison) 신부가 키산가니의 생 가브리엘 선교부(Mission St. Gabriel)에 묻히고 그리송 대주교 거리(Monseigneur Grison Avenue)에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루부투 도로(route de Lubutu)에 있는 모부투의 주택, 1967년까지 루뭄바 광장(Lumumba Square)이었던 순교자 광장(Place des Martyrs), 시내 공원의 중심에 있는 논란이 되는 중앙 분수대는 스탠리의 인기 있는 기념비를 대체하여 설치되었으며, 주변 구조물들은 20세기 건축의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예에 불과하다.[77]

초포 강(Tshopo River)의 오른쪽 강둑에는 키산가니 동물원(Kisangani Zoo)이 있으며, 키산가니 시에 전기를 공급하는 키산가니 수력발전소(Kisangani Hydroelectric Dam)도 있다.[78][79][80][81] 장관을 이루는 와게니아 폭포(Wagenia Falls)에서는 급류에 설치된 옛날 방식의 도구를 사용한 어업을 볼 수 있다. 어업은 바위 사이에 설치된 발판을 통해 이루어지며, 덩굴이 부착되어 강의 흐름에 잠긴 원뿔형 덩굴로 엮은 통발을 긴장시키는 역할을 한다.[82][83][84]

주요 관광지로는 아프리카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in Africa)라는 보호 보존 산림 프로그램의 일환인 엠비예 섬(L'Île Mbiye)의 삼림 생태계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스텔렌보쉬 대학교(Stellenbosch University)가 주도하고 있다.[85] 엠비예 섬은 잘 보존된 울창한 숲을 가진 생태계이다. 이 섬은 면적이 1400ha이며, 건조지대 숲, 주기적으로 범람하는 숲, 늪지 숲의 세 가지 유형의 숲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섬은 키산가니 동쪽의 콩고 강(Congo River)에 위치해 있으며, 와게니아 폭포(Wagenia Falls) 상류, 북위 0°31', 동경 25°11', 고도 376m에 위치해 있다. 키산가니 시에 인접해 있으며, 길이 14km, 너비 4km이다.

4. 3. 요리

키상가니는 도시의 다양한 민족적 배경과 노동자 계급의 뿌리를 반영하는 많은 지역 특산품을 자랑한다. 그중에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깊은 접시에 담긴 카사바가 있다.[86][87]

키상가니의 음식 문화는 이 도시의 이민자들과 많은 식당 이용객들의 영향을 받아 다양하다. 아랍-스와힐리와 인도 이민자들은 그들의 전통 음식으로 이 도시를 유명하게 만들었다. 도시에서 허가받은 이동식 음식 판매업자 중 일부는 벼 탈곡과 같은 음식을 현대 키산가니 길거리 음식의 주요 음식으로 만들었지만, ''kosa kosa''(강에서 잡은 새우, ''cossa cossa''로도 알려짐)와 ''키산가니 커피''는 여전히 주요 길거리 음식이다.[69][88][89][90] 이 도시는 또한 콩고민주공화국에서 가장 좋은 새우 요리 전문점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69][91][92]

리비에라, 라 바닐, 르웬조리는 이 도시의 주요 레스토랑 중 일부이다.[68]

4. 4. 미디어

키상가니는 스와힐리어, 링갈라어, 프랑스어 방송국, 신문, 라디오 방송국, 잡지 등 다양한 매체를 갖추고 있다. 4개의 지상파 스와힐리어 및 링갈라어 방송국이 다문화 프로그램을 방영하며, 프랑스어 방송으로는 라디오 텔레비전 나시오날 콩골레(RTNC), 텔레 보요마, 라디오 텔레비전 아마니(RTA)를 포함한 5개의 지상파 방송국이 있다.[93]

키산가니에는 스와힐리어와 링갈라어로 발행되는 키산가니 가제트와 프랑스어로 발행되는 뭉콩고, 라 쇼포, 르 테르모메트르, 아젠스 드 프레스 콩골레, 키산가니 등 4개의 일간 신문이 있다.[93] 이 외에도 무료 프랑스어 일간지인 나시오날리스트와 키산가도 2개 있다. 또한 다양한 지역 사회와 학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러 주간 타블로이드와 지역 신문이 있다. 뭉콩고는 키산가니 대학교 예술학부의 젊은 기자들이 시피아 그레이트 레이크스(Syfia Great Lakes) 통신사의 감독 하에 제작한다.[93][94]

키산가니에는 AM 라디오 방송국 11개와 FM 라디오 방송국 23개가 있다. 이 중 13개는 프랑스어로, 16개는 여러 언어로, 3개는 2개 언어로 방송한다. 주요 방송 네트워크로는 라디오-텔레비전 누메릭 보요마(RTNB), OPED FM, 라디오 오카피가 있으며, 세 네트워크 모두 링갈라어, 프랑스어, 스와힐리어로 방송한다.[93][94] OPED FM은 환경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며 키산가니에 본사를 두고 있다. OPED는 l'Organ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l'Environnement et le Développement의 약자이며, OPED FM 방송은 독일의 도이체 벨레 라디오를 통해 청취할 수 있다.[95] RTNB는 금융 시장의 비즈니스 보도를 우선시하며, 벨기에 프랑스어 방송(RTBF) 및 라디오 아프리카 1호와 제휴하여 운영된다. 이 두 방송국의 프로그램은 키산가니에서 정기적으로 방송된다.[94]

키상가니는 촬영에 적합한 장소로, 1920년대 이후 수녀 이야기를 비롯한 많은 영화가 이곳에서 촬영되었다.[96]

4. 5. 스포츠

루뭄바 스타디움


키상가니에서 스포츠는 많은 보요마이 사람들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키산가니 시에는 여러 개의 경기장이 있으며, 주요 경기장 3곳은 루뭄바 스타디움, 마르셰 스타디움, 그리고 아테네 로열 스타디움이다.

이 도시는 2009/2010 시즌 전국 축구 리그 리나풋(Linafoot)에서 TS 말레케사(TS Malekesa), RC 에투알 드, AS 니카에 의해 대표된다. 이 세 팀은 모두 루뭄바 스타디움이라는 축구 전용 경기장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97]

키산가니는 또한 동부 지방 리그에서 CS 마키소, 소텍키 SC, RC 스텔라, AS 키산가니, RC 보요마, 에코 스포츠, CS 모나미, FC 프로쿠르, AS 비타 보요마, AS 파르스를 대표한다. 이들은 정규 시즌 경기를 위해 작지만 그림 같은 아테네 로열 스타디움에서 관중을 가득 채운다. 키산가니 축구 협회인 키산가니 도시 축구 연맹(EUFKIS)의 현 회장은 로베르트 카벰바가 남긴 자리를 계승한 아낙레 카낭길라이다.[97]

은퇴한 권투 선수 비코 보토와뭉구(Biko Botowamungu)는 원래 키산가니 출신이다.[97]

키상가니에는 여러 개의 축구팀이 있다.

  • CS 마키소
  • TS 말레케사
  • AS 니카


축구 경기장으로는 스타드 룸붐바가 있다.

5. 종교

키상가니의 주요 예배 장소로는 주로 기독교 교회와 사찰이 있다. 키산가니 로마 가톨릭 대교구(가톨릭교회), 김방구교회, 콩고 침례회(세계침례교연맹), 콩고강 침례회(세계침례교연맹), 하나님의 교회, 콩고 성공회(성공회 공동체), 콩고 장로교회(세계 개혁 교회 공동체) 등이 있다.[98] 또한 이슬람교 모스크도 있다.

키산가니의 성모 마리아 묵주기도 대성당 (Our Lady of the Rosary Cathedral, Kisangani)

6. 경제

키산가니는 콩고 분지 도시 중 가장 크며, 과거 오리엔탈 주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경제 중심지이다. 콩고 경제의 3대 "중심지"(킨샤사(킨샤사), 루붐바시(루붐바시)와 함께) 중 하나이며, 복잡한 상업 중심지이다. 1960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하기 전에는 세계 어느 도시보다 인구 대비 롤스로이스(롤스로이스)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명성을 얻기도 했다. 이는 식민지 시대 후기에 커피, 면화, 고무 생산 호황으로 보요만족이 번영하면서 가능했고, 당시 이러한 상품들은 높은 가격에 거래되었다.[99]

아프리카 대륙 지도상 지리적으로 전략적이고 중심적인 위치에 있으며, 루알라바 강(루알라바 강)과 콩고 강의 합류 지점에 위치한 키산가니는 콩고민주공화국(DRC) 동서부를 잇는 수상 교통의 시작점이자 종착점이다. '5개의 건설 현장' 경제 회복 및 재개발에서 중요한 경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37] 오늘날 이 도시는 상업, 금융, 산업, 야금술, 채취, 부동산, 수력 산업, 농업, 양조장, 기술, 문화, 미디어, 예술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여성이 식용과 비누 생산에 사용되는 팜유를 준비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주요 무역 중심지 중 하나인[100] 키산가니는 교통 시스템의 강점 덕분에 도시 개발에 기여했다. 키산가니 섬유 협회인 SOTEXKI는 직물을 생산하고 의류를 제조하며, 브랄리마(Bralima)는 음료를 생산하고, REGIDESO는 주민들에게 물을 처리하고 공급하며, SORGERIE는 비누, 식물성 기름 및 기타 화장품을 생산한다. Compagnie Forestière de Transformation (CFT)는 아프리카 티크를 가공하고 수출하는 회사이다.[101] 의약품, 인쇄물, 식품 가공, 통신, 섬유 및 의류 제조, 담배 및 운송도 도시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비스업은 강하며, 토목, 기계 및 공정 엔지니어링, 금융, 고등 교육, 연구 개발 등이 포함된다.[102]

엠비예 숲섬은 키산가니의 자연 생태계 중 하나이며, 식량, 의약품, 건축 자재 공급과 관련하여 중요한 경제적 역할을 수행하며, 식물, 야생 동물 및 인구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44]

피로그이 항구는 수도 킨샤사(킨샤사) 다음으로 DRC에서 가장 큰 내륙 항구이며, 매년 수백만 톤의 화물을 처리한다. DRC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 중 하나로, 곡물, 설탕, 석유 제품, 기계, 소비재에 대한 킨샤사와 북동부 주를 연결하는 환적 지점으로 남아 있다. 키산가니는 DRC의 철도 중심지이며, 콩고 국영 철도 회사의 본사가 있다. 키산가니와 동부 도시 사이의 도로 교통이 재개된 이후, 도시의 시장은 정기적으로 공급되고 베니, 부니아, 부템보에서 식량을 수출입하고 있다.[105]

이 도시의 텔레비전 및 영화 산업은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새로운 미디어, 광고, 패션, 디자인, 건축과 같은 창의 산업은 고용의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며, 키산가니 시는 이러한 산업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기타 중요한 부문에는 의학 연구 및 기술, 비영리 기관 및 대학이 포함된다.[102]

키산가니의 비공식 부문은 매우 발달되어 있다. 수공예품, 현지 벽돌 제조업체, 다양한 식용 제품(새우, 코사 코사, 애벌레 등)을 판매하는 강변 상인, 기타 수공 채석, 도자기, 커피 재배, 보석상 거래, 문화 유물 생산, 귀금속 금세공 또는 자급자족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구성된다.[68][106][107]

제조업은 고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의류, 화학 물질, 금속 제품, 가공 식품, 가구가 주요 제품이다. 농업과 축산업이 주요 활동인 농촌 지역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식품은 코사 코사와 새우를 포함하며, DRC의 모든 주요 도시로 수출된다. 콩고 강의 유명한 와게니아 폭포 급류에서 주로 어업을 하는 와게니아족은 뛰어난 어업 기술로 알려져 있다.[68] 식품 가공 산업은 도시의 안정적인 주요 제조 부문이다. 초콜릿은 키산가니의 주요 특산품 수출품이며, 인근 카빈다 지구에서 카카오를 수입한다.

7. 인구 통계

키상가니는 벨기에령 콩고 시대에 빠르게 성장한 도시 중 하나이다. 1958년 121,765명 이상으로, 40년 만에 인구가 15,018명 미만에서 크게 증가했다. 20세기 말에는 자이르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자 옛 오리엔탈 주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 자이르 시대 33년 만에 인구는 60만 명 이상으로 세 배가 되었고, 2003년 인구 조사에서 672,739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109]

키상가니를 포함한 대도시의 인구는 민족적으로 다양하고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인구 조사 통계만으로는 모든 인구의 정확한 민족 구성을 파악하기 어렵다. 2003년 최근 인구 조사에 따르면 키상가니 시 인구는 약 672,739명이었다. 루붕가는 115,775명의 인구를 가진 도시 중 가장 인구가 많지만 인구 밀도는 가장 낮으며, 98,434명의 인구를 가진 망고보는 인구 밀도가 가장 높다.[68]

1905년, 보요마 폭포(Boyoma Falls)/스탠리 폭포(Stanley Falls)와 스탠리빌(Stanleyville) 지역에는 총 11개의 주 정부 기관이 있었으며, 주 정부 관리의 총 수는 40명이었다.[112] 1909년, 유럽인 거주 스탠리빌(Stanleyville) 인구는 80명이었고, 원주민 인구는 반경 5km 이내에 15,000명으로 추산되었다.[113] 1920년대 인구는 아프리카계 주민 4,000명과 유럽인 200명으로 증가했으며, 스탠리빌(Stanleyville) 시내에는 평균 2,000명의 주민이 이동했다. 1918년에는 늘어난 인구로 인해, 지방 행정관은 키상가니(Kisangani)의 병원가(Hospital Avenue) 근처, 해안에서 1km 떨어진 곳에 매일 열리는 식품 시장을 만들었으며, 부두 근처와 CFL 선교회 성 가브리엘(CFL Mission St. Gabriel)에 각각 주 2회 열리는 시장 2곳이 추가되었다.

1950년대 초 스탠리빌(Stanleyville)의 인구는 40,000명이었고, 1950년대 후반에는 70,000명에 달했다.[114]

키상가니는 콩고민주공화국 북부 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2008년 추산 인구는 1,200,000명(1993년 406,249,000명에서 증가)이다. 이는 북부 지역 인구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며, 초포 주에 거주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도시 인구는 증가해왔다.[111]

식민지 시대 이후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인구
1958121,726
1970216,526
1984317,581
1993406,249
2004682,599
2007628,367
출처:[110]


7. 1. 언어

키상가니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도시로, 킨샤사, 루붐바시에 이어 콩고 내에서 외국계 혈통을 가진 인구 비율이 세 번째로 높다. 특정 지역 출신이 인구를 지배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키상가니에는 250개 이상의 아프리카 민족 집단이 거주하며, 주요 민족은 다음과 같다.

구분민족
원주민와게니아, 쿠무
기타바망가, 포포이, 보아(보아), 로켈레(로켈레), 투룸부(투룸부), 엠볼레(엠볼레), 레가, 토포케(토포케), 바소코, 렌두, 부두(부두), 방게투, 로고(로고), 알루르(알루르), 헤마(헤마), 아잔데(아잔데), 이라족[68]



아프리카계 외에는 벨기에 출신 플랑드르인(플랑드르인)이 많고, 소규모 그리스인, 중국인, 발로니아인, 인도인(인도인), 레바논인(레바논인)도 거주한다.[99]

각 민족 집단은 도시 내 여러 지역에 분포한다.

지역민족
북쪽 (쇼포 코뮌)부타(부타)에서 이주해 온 바망가, 포포이, 보아
남쪽 (루붕가 코뮌)로켈레, 투룸부, 엠볼레, 쿠무, 와게니아, 레가 (일부는 마니에마 주에서 이동)
서쪽 (망고보 코뮌)콩고 강과 쇼포 강을 통해 이주해 온 토포케, 로켈레, 투룸부, 바소코
동쪽 (카본도(카본도) 코뮌)이투리 도로를 통해 부니아(부니아)에서 온 렌두, 부두, 방게투, 로고, 알루르, 헤마, 난데, 이라족


8. 정치

프랑스어는 콩고민주공화국(DR Congo)의 공용어이며 널리 사용되고 이해된다.[37] 키산가니의 일반적인 지역 언어로는 링갈라어, 파잔데어, 스와힐리어가 있다.

9. 교육

1950년대 이후 키상가니는 콩고민주공화국의 고등교육 및 연구 중심지가 되었다. 시내 또는 그 주변에는 키산가니 대학교(1963년 설립), 세프로마드 대학교, 마리스트 콩고 대학교, 키상가니 상업 고등 교육기관(ISC), 키산가니 교육 고등 교육기관, 건축 및 공공사업 연구소, 키산가니 헬레니즘 센터 등 여러 대학교가 있다. 콩고국립대학교의 세 번째로 큰 캠퍼스도 키상가니에 있다.[119][120]

키상가니의 과학 연구는 대부분 의학 및 생명 과학 분야에서 이루어지며, 키산가니 대학교 의과대학은 소아마비 백신 음모론으로 악명을 얻기도 했다.[119]

2007년 기준으로 381명의 교수 및 연구진이 있었으며, 대부분(215명)은 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동했다. 대학교 수입은 학생 수업료(49%)와 정부 보조금(51%)으로 이루어지지만, 대학 당국은 현재 수입으로는 효과적인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시설 개보수, 증설, 연구 자료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119]

대학의 주요 과제는 정보통신기술(ICT) 역량 부족, 자격을 갖춘 직원 부족, 재정 부족, 시설 및 장비 부족, 문헌 및 실험실 부족 등이다. 대학의 물리적 기반 시설은 혼란 이후 재건되지 않아 연구에는 기관 예산의 20%만 할당되고 있다.[119]

키상가니 공공 도서관은 시내 모든 공공 도서관 중 가장 많은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마키소, 쇼포, 만고보, 카본도, 키산가니, 루붕가, 루부야, 베라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키상가니 교육부에서 관리하는 공립학교 시스템은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로 구성되며, 공립학교와 시내 세속 및 종교 단체가 운영하는 사립학교가 있다.[120]

9. 1. 교통

키산가니는 광범위하고 복잡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북부 콩고에서 가장 긴 현수교를 포함한다.[121] 대중교통으로는 버스, 통근열차, 수로망이 있으며, 섬 안팎으로 연결된다.[122]

방고카 공항 부지 내 RVA 키산가니 안뜰


키산가니는 차량 정체가 없는 도시이다. 높은 대중교통 이용률, 매일 이용되는 토레카(Toleka), 그리고 많은 보행자 덕분에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가장 에너지 효율적인 대도시 중 하나이다. 도시 내 이동 수단 중 도보와 토레카가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토레카는 자전거 택시로, 린갈라어로 "시간"을 의미하며, 1990년대 중반부터 키산가니 주변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123]

쇼포 강과 콩고 강 사이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 덕분에, 키산가니는 많은 지류와 섬을 통해 주민과 물품의 내륙 수로 이동이 용이하다. 배, 보트, 카누(노 또는 모터)를 이용한 강 간 또는 지역 간 이동이 가능하다. 수로 시스템은 키산가니를 도시 내외(이산지, 로마미 포함)의 다양한 지역과 연결한다. 키산가니는 콩고 강 최상류 항행 가능 지점으로, 킨샤사 및 콩고 국립 교통청(ONATRA)이 운영하는 모든 항구로부터의 하천 교통 종착역이다.[124]

무성한 녹지가 늘어선 키산가니의 아름다운 도로


자동차 택시와 버스도 도시 전체의 대중교통을 지원한다. 새로운 주유소 건설, 도시 도로 재개발 노력, 4번 국도 개통은 자동차 이용 재개의 주요 요인이다. 4번 국도 재개발로 키산가니, 바프와센데, 코만다, 너스, 맘바사, 베니, 부템보 간 교통량이 증가했다. 키산가니는 우분두와 오팔라를 연결하는 남쪽 통로와 2번 국도를 통해 루부투, 왈리칼레, 고마, 르완다의 키갈리 등과 연결되는 장거리 도로망을 제공한다.[105][125] 키산가니는 길이 6259km의 범아프리카 고속도로 네트워크 8(TAH 8)에 속하며, 라고스(나이지리아)와 몸바사(케냐)를 잇는 범아프리카 고속도로는 아프리카 동서를 횡단하는 최장 노선이다. 또한, 키산가니는 다르에스살람(탄자니아)과 연결되는 고속도로를 통해 인도양 연안에도 접근할 수 있다.[126]

보요마 폭포로 인해 키산가니 너머로의 운송은 불가능하여, 우분두까지 운반 철도가 건설되었다. 이 철도는 키산가니역에서 시작하여 콩고 국영 철도회사(Societe Nationale des Chemins de Fer du Congo)가 운영하며, 대호수 노선의 첫 번째 구간으로 간주된다.[117]

키산가니에는 동쪽 끝에 키산가니 방고카 국제공항, 서쪽 끝에 오래된 시미-시미 공항이 있다. 방고카 공항은 상업용 여객기와 화물 전용이며, 시미-시미 공항은 주로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일부 개인 및 인도주의적 비행도 수용한다.[117] 2007년 10월에는 키산가니와 우간다 서부 카세세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이 제안되었으며, 이 철도는 표준궤를 사용하여 케냐의 라무 항구까지 연장될 예정이었다.[127][128] 범아프리카 고속도로 네트워크는 키산가니를 라고스-몸바사 고속도로와 연결한다.

"5개의 건설 프로젝트(5 Chantiers)" 계획에 따라 키산가니시 도로망은 재개발 중이며, 특히 과거 오리엔탈 주를 구성했던 동부 지역을 포함한 다른 주의 도시들과의 통합을 강화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키산가니 시내 및 주변 대로가 재개발되고 있다.[129]

  • 방고카 국제공항
  • 시미시니 공군기지
  • 콩고 강 하천 교통의 종착점
  • 키산가니역
  • 트랜스아프리카 고속도로 8호선

참조

[1] 뉴스 Tshopo : installation du nouveau maire de la ville de Kisangani https://web.archive.[...] 2023-01-12
[2] 웹사이트 Kisangani,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Population https://populationst[...] 2024-12-19
[3] 웹사이트 Ville de Kisangani: Fiche d'identité de la ville https://web.archive.[...] 2017-02-02
[4] 웹사이트 KISANGANI – Encyclopædia Universalis https://web.archive.[...] Universalis.fr 2015-03-01
[5] 웹사이트 Couverture médiatique pendant les élections présidentielles et législatives dans la ville de Kisangani https://www.memoireo[...] University of Kisangani 2024-08-10
[6] 논문 Perceptions et stratégies d'adaptations des maraichers aux perturbations climatiques dans la ville de Kisangani, RD Congo https://www.agrimaro[...] 2024-06-15
[7] 웹사이트 Diversité floristique des arbres d'alignement de quelques voiries publiques de la commune Tshopo dans la ville de Kisangani, RD Congo https://laecolie.org[...] 2024-08-10
[8] 서적 The Congo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1-02
[9] 서적 D.R. Congo https://books.google[...] 2010
[10] 웹사이트 RDC: le port de Kisangani au ralenti faute d'entretien des voies navigables et des routes https://www.rfi.fr/f[...] 2024-08-10
[11] 웹사이트 RDC: le réveil de Kisangani, la belle endormie https://www.jeuneafr[...] 2024-08-10
[12] 서적 Merchandise of Power: Der Waffenhandel zwischen Europa und Ostafrika (1850–1919) https://books.google[...] Campus Verlag 2022-11-23
[13] 서적 Le Congo Kinshasa https://books.google[...] Éditions Karthala 2014
[14] 서적 D.R. Congo https://books.google[...] 2010
[15] 웹사이트 Couverture médiatique pendant les élections présidentielles et législatives dans la ville de Kisangani https://www.memoireo[...] University of Kisangani 2024-08-10
[16] 서적 Le Congo Kinshasa https://books.google[...] Éditions Karthala 2014
[17] 서적 Urban Africa: Changing Contours of Survival in the Cit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5-05
[18] 서적 Civilisation in Congoland https://books.google[...] P.S. King & son 1903
[19] 웹사이트 La Fondation de Stanleyville https://www.stanleyv[...] Revue du Touring Club de Belgique 2024-08-14
[20] 웹사이트 Histoire https://www.stanleyv[...] 2024-08-13
[21] 웹사이트 CongoForum https://web.archive.[...] Congoforum.be 2015-03-01
[22] 웹사이트 Kisangani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19-07-07
[23] 서적 L'encadrement juridique de l'éducation au Congo-Kinshasa (1885-1986): De l'initiative des missionnaires à la prise en charge par l'Etat https://books.google[...] Éditions L'Harmattan 2018-02-27
[24]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16 https://books.google[...] Grolier 2000
[25] 서적 Before the African Storm https://books.google[...] Bobbs-Merrill 1954
[26] 서적 Blood River: The Terrifying Journey through the World's Most Dangerous Country https://books.google[...] Grove Atlantic 2009-09-15
[27] 서적 Stanley: Africa's Greatest Explorer https://books.google[...] Faber & Faber 2011-10-06
[28] 웹사이트 Bulletin Officiel: années 1885 et 1886 https://www.kaowarso[...] P. Weissenbruch 2024-08-10
[29] 웹사이트 Compagnie du chemin de fer du Congo supérieur aux Grands Lacs africains https://www.stanleyv[...] 2024-08-11
[30] 기타
[31] 뉴스 An Outpost Whose Futures Have Come and Gone https://www.nytimes.[...] 2015-03-01
[32] 서적 Congo Mercenary Hale 1967
[3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Rowman & Littlefield 2016
[34] 기타
[35] 웹사이트 Kleber-Lobservateur: Le découpage territorial, une mission impossible? https://www.stanleyv[...] 2024-08-11
[36] 웹사이트 La décentralisation en panne https://www.eca-crea[...] Conjonctures Congolaises 2024-08-11
[37] 웹사이트 Participation active à la reconstruction de la Ville de Kisangani/RDC http://www.societeci[...] societecivile.cd 2015-03-01
[38] 웹사이트 D.R. Congo: Arrest Laurent Nkunda For War Crimes | Human Rights Watch https://www.hrw.org/[...] Hrw.org 2015-03-01
[39] 웹사이트 Ville de Kisangani : Etude de profil régional du secteur urbain https://unhabitat.or[...] 2024-08-23
[40] 논문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biodiversity and the ecology of the soil Spiders in a field cultivated of Manihot esculenta Crantz (Euphorbiaceae) in Kisangani City, DR Congo) http://www.ijisr.iss[...] 2016-05-30
[41] 웹사이트 Levée géologique et pétrographie des roches affleurements le long du fleuve Congo entre Kisangani et M'biye: analyse macroscopique https://www.memoireo[...] University of Kisangani 2024-08-11
[42] 기타
[43] 웹사이트 Ilots forestiers de Kisangani (R. D. Congo): Observations floristiques et sauvegarde https://www.fao.org/[...] 2024-08-11
[44] 웹사이트 Catalogue des thèses électroniques de l'ULB – Thèse ULBetd-02012008-181253 http://theses.ulb.ac[...] Theses.ulb.ac.be 2015-03-01
[45] 서적 Large Rivers: Geomorphology 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2-28
[46] 서적 The Complete Travel Guide for Congo https://books.google[...] Youguide International BV
[4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9-10-01
[48] 서적 Quand la ville mange la forêt: les défis du bois-énergie en Afrique centrale https://books.google[...] Éditions Quae 2013-00-00
[49] 웹사이트 Chutes Wagenia https://congo-touris[...] 2024-08-11
[50] 웹사이트 Kisangani: la pêche à la chute Wagenia toujours d'actualité https://surveillance[...] 2024-08-11
[51] 웹사이트 Journée internationale du tourisme : ce qu'il reste des chutes Wagenia à Kisangani (Reportage) https://surveillance[...] 2024-08-11
[52] 웹사이트 Fleuve Congo: les Wagenia, ces pêcheurs intrépides https://www.francetv[...] 2024-08-11
[53] 기타
[54] 웹사이트 http://www.bbc.co.uk[...]
[55] 서적 Telling Times: Writing and Living, 1950-2008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2-03-15
[56] 논문 Des conditions carcérales dans la Prison Centrale de Kisangani en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https://www.ijrdo.or[...] 2021-12-22
[57] 웹사이트 Prison de Stanleyville https://www.stanleyv[...] 2024-08-24
[58] 웹사이트 Appel à la réhabilitation de la prison centrale de Kisangani (CNDH) https://www.mediacon[...] 2024-08-24
[59] 웹사이트 Cathédrale Notre-Dame du Rosaire https://gcatholic.or[...] 2024-08-23
[60] 웹사이트 CNSS:L'hôtel Congo Palace inauguré et fait la fierté de la province de la Tshopo https://gei-cd.org/i[...] 2024-08-23
[61] 웹사이트 RDC: vers l'inauguration de Congo Palace, le luxueux hôtel 5 étoiles de la Caisse nationale de sécurité sociale https://zoom-eco.net[...] 2024-08-23
[62] 웹사이트 Avis à manifestation d'intérêt N°001/2015: Recrutement d'un délégataire pour la gestion de l'hôtel Congo Palace à Kisangani dans la province de la Tshopo https://www.jeuneafr[...] 2024-08-23
[63] 웹사이트 Recrutement d'un délégataire pour la Gestion de l'hôtel Congo Palace à Kisangani dans la Province de la Tshopo https://www.armp-rdc[...] 2024-08-24
[64] 웹사이트 Etude comparative des prix des produits cosmétiques dans la ville de Kisangani. Cas d'extra claire et de peau claire https://www.memoireo[...] University of Kisangani 2024-11-05
[65] 웹사이트 État de lieux de la méléagriculture dans la ville de Kisangani, RDC https://www.memoireo[...] Institut Facultaire de Sciences Agronomiques de Yangambi 2024-11-05
[66] 웹사이트 La signification de Kisangani et de ses six communes https://lacruche.net[...] 2024-11-05
[67] 서적 Congo (RDC): puissance et fragilité https://books.google[...] Éditions L'Harmattan 2011-00-00
[68] 웹사이트 http://tresorkh.unbl[...]
[69] 웹사이트 Villes de RD Congo: Kisangani https://www.congofor[...] 2024-11-05
[70] 웹사이트 Cercle Boyoma Culture http://cboc.e-monsit[...] Cboc.e-monsite.com 2015-03-01
[71] 웹아카이브 http://www.congoblog[...] 2010-01-06
[72] 웹사이트 Festival Culturel et Artistique http://cboc.e-monsit[...] 2009-12-24T00:00:00/2010-06-30T00:00:00
[73] 웹사이트 Kisangani, capitale de la RDC du 24 au 25 juin 2009, s'est parée pour accueillir la Conférence des gouverneurs de province · Site officiel de l'Hôtel de Ville de Kisangani http://hoteldevillek[...] Hoteldevillekisangani.unblog.fr 2009-06-23
[74] 웹사이트 Loisirs http://www.stanleyvi[...] Stanleyville.be
[75] 논문 Contaminated polio vaccine theory refuted
[76] 웹사이트 Hôtels http://www.stanleyvi[...] Stanleyville.be
[77] 웹사이트 Monuments http://www.stanleyvi[...] Stanleyville.be
[78] 웹사이트 Inventaire preliminaire de la faune aviaire dans la concession du Jardin Zoologique de Kisangani, Province de la Tshopo, R.D. Congo https://www.istougom[...] Institut Supérieur de Tourisme de Goma 2017-09-01
[79] 웹사이트 RDC: le jardin zoologique de Kisangani attend de nouveaux animaux {{!}} Desknature https://desknature.c[...] 2024-10-11
[80] 웹사이트 Kisangani: le FRIVAO pourrait financer les travaux de rénovation de la centrale hydroélectrique de la Tshopo https://www.radiooka[...] 2024-10-27
[81] 웹사이트 Le Président Tshisekedi évalue les travaux de réhabilitation du Barrage hydroélectrique de la Tshopo pour améliorer l'accès à l'énergie électrique à Kisangani https://www.mediacon[...] 2024-10-26
[82] 웹사이트 Chutes Wagenia https://congo-touris[...]
[83] 웹사이트 Chute Wagenya à Kisangani: un merveilleux site touristique délaissé https://habarirdc.ne[...] 2022-01-23
[84] 웹사이트 Kisangani: revalorisation des sites touristiques, les chutes Wagenia au cœur d'un vaste projet https://www.rfmtv.ne[...] 2022-07-04
[85] 웹아카이브 http://academic.sun.[...] 2009-03-27
[86] 웹사이트 RDC: la feuille de manioc, un incontournable des assiettes de Kisangani https://www.rfi.fr/f[...] 2024-09-17
[87] 논문 Evolution de la densite apparente et du rapport C/N du sol Sous les varietes exotiques et locale de manioc dans les conditions naturelles de Kisangani (R.D. Congo) https://auf.hal.scie[...] 2009-06-25
[88] 웹사이트 Les Congo: la place de la cuisine https://media-sema.c[...] 2022-03-07
[89] 웹사이트 Des grains de café: coup de pouce possible pour la transformation économique en RDC https://globalpressj[...] 2018-05-27
[90] 논문 Genetic diversity of wild and cultivated Coffea canephora in northeastern DR Congo and the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2021-12-01
[91] 논문 Food ecology of Ichtyoborus besse congolensis (Giltay, 1930: Teleostei: Distichodontidae) from Biaro River and its tributary Yoko in Yoko Forest Reserve (DR Congo) https://ijisr.issr-j[...] 2016-04-13
[92] 웹사이트 La Faune https://www.stanleyv[...]
[93] 웹사이트 Couverture médiatique pendant les élections présidentielles et législatives dans la ville de Kisangani https://www.memoireo[...] University of Kisangani 2009-01-01
[94] 웹사이트 Audience de la radio Flambeau de l'Orient dans les homes de l'université de Kisangani. cas de Boyoma 1 et 2 https://www.memoireo[...] University of Kisangani 2019-01-01
[95] 기타
[96] 웹사이트 Filming location matching "kisangani,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Sorted by Popularity Ascending) https://www.imdb.com[...]
[97] 웹사이트 Les sports http://www.stanleyvi[...] Stanleyville.be
[98]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99] 뉴스 An Outpost Whose Futures Have Come and Gone https://www.nytimes.[...] 1997-02-14
[100] 웹사이트 Foreign loggers are clearing up the second greatest forest in the world. John Vidal reports from Congo https://www.theguard[...] 2007-09-22
[101] 웹아카이브 Un Blog, des Blogs | Unblog.fr, Créer un blog gratuit http://tresorkh.unbl[...] Tresorkh.unblog.fr
[102] 웹사이트 Université de Kisangani http://www.sarua.org[...] SARUA 2000-06-16
[103] 뉴스 Light may have slowed down https://www.newscien[...] 2001-08-15
[104] 웹아카이브 DR Congo to cancel two-thirds of logging contracts due to corruption http://news.mongabay[...] News.mongabay.com 2008-10-08
[105] 웹아카이브 http://www.congoblog[...] 2010-01-03
[106]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0-01-03
[107]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9-10-03
[108]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9-12-07
[109] 웹사이트 Géographie http://www.stanleyvi[...] Stanleyville.be 2015-03-01
[110] 서적 Zaire: Predicament and Prospects – Jean-Claude Willame, Hugues Leclercq, Peter Rosenblum, Catharine Newbury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DIANE 1997-06-01
[111] 위키 Population of major cities DRC Wikipedia(2008)
[112] 간행물 Notice sur l'état indépendant du Congo imprimerie Monom 1905
[113] 서적 Le Congo, les Noirs et Nous Ed. A. Challamel 1910
[114] 간행물 Histoire économique d'une ville coloniale : Kisangani 1877 – 1960 CEDAF (Centre d'étude et de documentation africaines) 1978
[115] 웹사이트 Biographie du Maire · Site officiel de l'Hôtel de Ville de Kisangani http://hoteldevillek[...] Hoteldevillekisangani.unblog.fr 2010-01-22
[116] 기타 Sources : Wikipedia 2007, Monuc 2006 et Guy De Boeck
[117]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9-12-27
[118] 저널 The Fight to Save Congo's Forests https://www.thenatio[...] 2007-10-04
[119] 웹사이트 Université de Kisangani http://www.sarua.org[...] SARUA 2000-06-16
[120] 웹사이트 Enseignement http://www.stanleyvi[...] Stanleyville.be 2015-03-01
[121] 기타 Tshopo Bridge
[122] 웹사이트 Les "transportants" de Kisangani: bus Indiens, moteurs Chinois et biographies socio-techniques (Kisangani, RDC) https://apad-associa[...] 2024-11-05
[123] 기타 Sources : Wikipedia 2007 / Jean Flouriot "Introduction à la géographique physique et humaine du Zaïre" 1994 / Mairie de Kisangani 2008
[124] 웹사이트 Le fleuve http://www.stanleyvi[...] Stanleyville.be 2015-03-01
[125] 웹사이트 DR Congo National Road No. 2: Information from http://www.answers.c[...] Answers.com 2015-03-01
[126]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1-07-23
[127] 웹사이트 Évaluation du processus d'intégration régionale au sein de la CEPGL: réflexion à partir de la coopération sectorielle dans le domaine économique https://edition-efua[...] 2024-11-05
[128] 웹사이트 Uganda: Country to Get 4 New Railway Lines https://allafrica.co[...] 2007-10-03
[129] 기타 Sources : Wikipedia 2007 / Jean Flouriot "Introduction à la géographique physique et humaine du Zaïre" 1994 / Mairie de Kisangani 2008
[130] 웹사이트 http://www.bbc.co.uk[...]
[131]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0-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