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콩 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킹콩 2는 1976년 영화 킹콩의 속편으로, 킹콩이 치명적인 부상에서 회복된 후 암컷 유인원 레이디 콩을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킹콩은 레이디 콩을 구출하기 위해 군대와 맞서 싸우고, 레이디 콩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갖지만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 영화는 린다 해밀턴, 브라이언 커윈 등이 출연했으며, 흥행과 비평 모두에서 실패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1980년대 후반의 사회적 분위기와 맞물려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영화로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존 길러먼 감독 영화 - 타워링
1974년 개봉한 미국의 재난 영화 《타워링》은 존 길러민 감독, 어윈 앨런 제작으로, 두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138층 마천루 글래스 타워의 화재 발생 이야기를 다루며 스티브 맥퀸, 폴 뉴먼, 윌리엄 홀든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 워너 브라더스와 20세기 폭스의 공동 제작 및 배급으로 흥행과 함께 유수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존 길러먼 감독 영화 - 레마겐의 철교
레마겐의 철교는 1969년 개봉한 전쟁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이 독일 레마겐의 철교를 점령하기 위한 전투를 다루며, 켄 헤츨러의 소설을 원작으로 조지 시걸 등이 출연했다. - 킹콩 영화 - 킹콩 (2005년 영화)
피터 잭슨 감독의 2005년 영화 《킹콩》은 1933년 대공황 시대, 영화감독 칼 덴험이 스컬 아일랜드에서 거대 유인원 킹콩을 만나 뉴욕으로 데려오는 과정과 비극적 최후를 그린 리메이크 작품으로, 나오미 왓츠, 잭 블랙, 에이드리언 브로디가 주연하고 앤디 서키스가 킹콩을 연기하여 흥행에 성공했다. - 킹콩 영화 - 킹콩의 역습
1967년 개봉한 일본 괴수 영화 《킹콩의 역습》은 악당 과학자 닥터 후가 로봇 메카니콩을 이용해 엘레먼트 X를 얻으려다 킹콩과 격돌하는 이야기로, 고로자우루스, 대우미헤비 등 다양한 괴수가 등장하며 도쿄에서 킹콩과 메카니콩의 대결을 보여준다. - 테네시주에서 촬영한 영화 - 그린 마일 (영화)
스티븐 킹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1999년 영화 《그린 마일》은 1935년 루이지애나 교도소를 배경으로, 교도관 폴이 사형수 존 커피를 만나 그의 무죄를 의심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로, 존 커피의 초능력과 교도소 내 갈등, 폴의 삶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룬 감동과 긴장감을 주는 드라마이다. - 테네시주에서 촬영한 영화 - 라스트 캐슬
《라스트 캐슬》은 로버트 레드포드 주연으로, 대통령 명령 불복종으로 군 교도소에 수감된 전 중장 유진 어윈과 교도소장 에드 윈터 대령 간의 갈등을 그린 미국 감옥 영화이며, 군인으로서의 규율을 중시하는 어윈과 전투 경험이 없는 윈터의 대립, 그리고 수감자들의 폭동을 통해 권력과 인간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킹콩 2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존 길러민 |
각본 | 로널드 셔셋 스티븐 프레스필드 |
원작 | 킹콩 등장인물 (메리안 C. 쿠퍼, 에드거 월리스) |
제작 | 마사 슈마허 |
음악 | 존 스콧 |
촬영 | 알렉 밀스 |
편집 | 말콤 쿠크 |
제작사 | 데 라우렌티스 엔터테인먼트 그룹 |
배급사 | 데 라우렌티스 엔터테인먼트 그룹 |
개봉 정보 | |
개봉일 | 1986년 12월 19일 |
상영 시간 | 105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흥행 정보 | |
제작비 | 1800만 달러 |
흥행 수입 | 4890만 달러 (추정치) |
일본 배급 수입 | 9억 엔 |
출연 | |
주연 | 브라이언 커윈 린다 해밀턴 존 애슈턴 피터 마이클 고츠 |
2. 줄거리
전작에서 세계 무역 센터에서 총격을 받고 추락한 콩은 죽지 않고 애틀랜틱 연구소에서 외과 의사 에이미 프랭클린 박사의 치료를 받으며 10년 동안 혼수상태에 있었다. 킹콩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심장 이식이 필요했고, 컴퓨터로 모니터링되는 인공 심장이 제공되었다. 하지만 콩은 혼수상태에서 너무 많은 피를 흘려 수혈이 필요했다.
한편, 모험가 행크 "미치" 미첼은 보르네오로 가서 거대한 암컷 유인원 "레이디 콩"을 포획해 온다. 콩의 수혈과 심장 이식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콩은 곧 의식을 되찾고 레이디 콩의 존재를 감지한다. 콩은 억류에서 풀려나 레이디 콩을 구출하고, 두 유인원은 함께 연구소를 탈출하여 야생으로 들어간다.
이들을 잡으려는 아치 네비트 중령이 이끄는 군대와 추격전이 벌어진다. 야생에서 콩과 레이디 콩은 서로 사랑하게 되고, 콩이 군대와 싸우다 중상을 입지만, 레이디 콩은 콩의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한다. 콩은 마지막으로 자신의 아이를 만진 후 죽고, 레이디 콩과 아이는 보르네오의 보호 구역에서 살게 된다.
3. 등장인물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
극장 공개판 | TV 아사히판 | ||
에이미 프랭클린 | 린다 해밀턴 | 스즈키 히로코 | 코야마 마미 |
행크 미첼 | 브라이언 커윈/Brian Kerwin영어 | 사사키 이사오 | 이케다 슈이치 |
아치 네비트 중령 | 존 애슈턴 | 우츠미 켄지 | 사카구치 요시사다 |
앤드루 잉거솔 박사 | 피터 마이클 고츠/Peter Michael Goetz영어 | 오히라 토오루 | 마에다 마사아키 |
벤슨 휴즈 박사 | 프랭크 마라덴 | 키타무라 코이치 | 나야 로쿠로 |
피트 | 지미 레이 위크스 | 무라야마 아키라 | 오오츠카 호츄 |
반스 | 마이클 포레스트 | 미네 메구미 | |
크루 | 마르크 클레망 | 이이 아츠시 | |
헌터 노인 | 리온 리피 | 에다 류지 | 키요카와 모토무 |
도완 (회상 장면) | 제시카 랭 | 토다 케이코 | |
잭 프레스콧 (회상 장면) | 제프 브리지스 |
3. 1. 주연
- 브라이언 커윈 - 행크 미첼 역
- 린다 해밀턴 - 에이미 프랭클린 박사 역
- 피터 엘리엇 - 킹콩 역
- 존 애슈턴 - 아치 네비트 중령 역
- 조지 야소우미 - 레이디 콩 역
- 벤자민 케칠리 - 베이비 콩 역
- 프랭크 마덴 - 벤슨 휴즈 박사 역
- 피터 마이클 괴츠 - 앤드루 잉거솔 박사 역
- 지미 레이 위크스 - 피트 소령 역
- 지미 위긴스 - 남자친구 역
- 메리 스와포드 - 여자친구 역
- 마이클 포레스트 - 반스 역
- 레온 리피 - 윌 역
- 허셸 스파버 - 제이 역
- 윌리스 메르크 - 치거 역
- 딘 윗워스 - 스크러피 역
- 조나단 캔필드 - 점프 레인저 #1 역
- 잭 휠러 (쌍둥이) - 경찰관 #1 역
- 조 휠러 (쌍둥이) - 경찰관 #2 역
- 데이비드 하트젤 - 수사관 #1 역
- 패트릭 웹 - 보병 역
- 그렉 헨드릭슨 - 점프 레인저 #2 역
- 짐 그림쇼 - 수사관 역
- 로빈 캐홀 - 마즐란스키 역
- 맷 토티 - 터커 상사 역
- 로드 데이비스 - TV 리포터, 레이크 시티 (로키 탑, 테네시) 장면[5]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
극장 공개판 | TV 아사히판 | ||
에이미 프랭클린 | 린다 해밀턴 | 스즈키 히로코 | 코야마 마미 |
행크 미첼 | 브라이언 커윈/Brian Kerwin영어 | 사사키 이사오 | 이케다 슈이치 |
아치 네비트 중령 | 존 애슈턴 | 우츠미 켄지 | 사카구치 요시사다 |
앤드루 잉거솔 박사 | 피터 마이클 고츠/Peter Michael Goetz영어 | 오히라 토오루 | 마에다 마사아키 |
벤슨 휴즈 박사 | 프랭크 마라덴 | 키타무라 코이치 | 나야 로쿠로 |
피트 | 지미 레이 위크스 | 무라야마 아키라 | 오오츠카 호츄 |
반스 | 마이클 포레스트 | 미네 메구미 | |
크루 | 마르크 클레망 | 이이 아츠시 | |
헌터 노인 | 리온 리피 | 에다 류지 | 키요카와 모토무 |
도완 (회상 장면) | 제시카 랭 | 토다 케이코 | |
잭 프레스콧 (회상 장면) | 제프 브리지스 |
3. 2. 조연
4. 제작
드 로렌티스는 자신이 제작한 1976년 킹콩의 리메이크 영화의 속편 제작에 관심을 가졌다. 1977년에 그는 "콩은 스타입니다. 우리는 새로운 이야기, 새로운 콩을 만들 것입니다."라며 속편 제작을 예고했다.[6] 그러나 1976년 영화의 흥행 실패와 킹콩의 권리에 대한 법적 불확실성 때문에 속편 제작은 복잡했다.[7]
여러 시나리오가 작성되었는데, 작가 스티브 프레스필드는 "킹콩을 러시아에 보내기도 하고, 우주로 보내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어린 아이들이 킹콩을 이끌고 다니는 내용도 있었습니다."라고 회상했다.[8] 프레스필드와 론 슈세트는 콩이 인공 심장으로 다시 살아난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여기에 콩이 암컷 유인원으로부터 수혈을 받는 이야기가 더해져 최종 시나리오가 완성되었다.[8]
존 길러민 감독은 숀 코너리와 ''태이 판'' 영화를 연출하고 싶었지만, 자금 조달 문제로 ''킹콩 2''로 옮겨왔다.[10]
1985년 10월, ''킹콩 2'' 제작이 공식 발표되었다. 이 영화는 엠바시와 함께 드 로렌티스가 제작하는 영화 중 하나였으며,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블루 벨벳''도 포함되었다.[9]
브라이언 커윈은 "영화의 스타는 유인원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었습니다."라고 말하며, 1976년 영화의 낮은 명성에도 불구하고 크리스토퍼 리브의 슈퍼맨처럼 성공할 수 있다는 기대를 내비쳤다.[11] 린다 해밀턴은 "항상 히스테릭하고 드라마틱하고 격렬하지 않은 역할을 한다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12]
촬영은 1986년 4월 테네시에서 시작되었다.[13] 존 애쉬턴은 "이 영화는 콩에 관한 것이고, 특수 효과에 관한 것이며, 지프가 폭발하는 내용입니다."라고 설명했다.[14]
5. 평가
로튼 토마토에 따르면, 12건의 평론 모두가 부정적인 평가이다.[36] 메타크리틱에 따르면, 9건의 평론 중, 긍정적인 평가는 1건, 대체로 엇갈린 평가는 3건, 부정적인 평가는 5건이며,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 중 32점이다.[37]
5. 1. 흥행
King Kong Lives영어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흥행 참패를 기록하여, 개봉 기간 동안 470만 달러의 흥행 수입을 올렸다.[15][16] 한편, 소련에서는 1988년에 5,360만 장의 티켓을 판매하여 그 해 가장 높은 흥행 수입을 올린 외국 영화가 되었고, 역대 15위 안에 드는 가장 높은 흥행 수입을 올린 외국 영화 중 하나가 되었다.[18][19] 전 세계적으로 약 4,890만 달러의 수입을 올렸다. 이 영화의 재정적 실패는 제작사인 데 라우렌티스의 회사를 파산으로 이끌었다.[22]5. 2. 비평
''킹콩 2''는 평론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다. 로튼 토마토는 1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의 추천 지수를 기록했으며, 평균 평점은 2.6/10이다.[23] 메타크리틱에서는 9개의 평론가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32점을 기록하여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4] 관객들은 이 영화에 A+에서 F까지의 등급에서 평균 "D+"를 매겼다.[25]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별 4개 중 1개를 주며 "''킹콩 2''에 나오는 모든 사람들의 문제는 그들이 지루한 영화에 출연하고 있으며, 그들이 지루한 영화에 출연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노력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26] DEG는 이버트와 진 시스켈에게 통지를 보내 시카고에서 그들의 고유한 채널 TV에서 영화의 짧은 장면을 보여주는 것을 허용했지만, 긍정적인 평가를 약속하지 않는 한 전국 규모에서 같은 장면을 보여주는 것을 금지했다. 시스켈은 "분명히 그들은 두려워했다 [...] 나나 로저를 믿지 못하겠다면, 영화 회사를 믿어라. 생각해봐라, 그들은 당신이 보기를 원하는 단 하나의 장면도 찾을 수 없었다."라고 말했다.[27]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패트릭 골드스타인은 "존 길러민(1976년 버전의 감독이기도 함)이 감독한 이 속편은 콩이 화면에 나타나는 한 훌륭하다. (디자이너 카를로 람발디는 그의 거대한 유인원의 특징을 조각하여 덩치, 놀라운 민첩성, 어쩌면 그를 약간 늙어 보이게 하기 위해 후퇴하는 헤어라인을 부여하는 데 훌륭한 솜씨를 발휘했다.) 하지만 영화 제작자들은 원래 이야기를 개선할 수 없었다."라고 평했다.[28] 람발디의 작품은 ''뉴욕 타임스''의 자넷 매슬린으로부터도 칭찬을 받았지만, "존 길러민이 감독한 ''킹콩 2''는 지루한 출연진과 훨씬 더 지루한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29] ''버라이어티''는 "[브라이언] 커윈이 인디아나 존스 형 캐릭터를 묘사하려고 애쓰고 [그] 영화는 곧 초기 신뢰도를 잃기 시작한다."라고 언급했다.[30]
이 영화는 래지상 최악의 시각 효과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31] 골든 라즈베리상 창시자인 존 J. B. 윌슨의 저서 ''공식 래지 영화 가이드''에 역대 가장 즐겁게 망한 영화 100편 중 하나로 등재되었다.[32] ''Filmink''는 이 영화를 "끔찍하다. 모험이나 위험의 느낌이 없다."라고 평했다.[33]
6. 기타 미디어
일본에서는 본작을 원작으로 한 게임 소프트웨어로, 코나미(현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가 1986년 패밀리 컴퓨터용 소프트웨어 『킹콩 2: 분노의 메가톤 펀치』, 1987년 MSX2용 소프트웨어 『킹콩 2: 부활의 전설』을 발매했으며, 더 나아가 1988년 패미컴용 소프트웨어 『코나미 와이 와이 월드』에도 킹콩이 등장했다.
일본에서 코나미가 패미컴용 ''킹콩 2: 분노의 메가톤 펀치''와 MSX용 ''킹콩 2: 부활의 전설'' 두 개의 공식 비디오 게임을 개발하여 출시했다. 패미컴 게임은 이야기의 인간적인 측면을 완전히 버리고 플레이어가 여성 콩을 구하기 위해 거대 로봇과 특정 군대와 싸우며 전 세계를 여행해야 하는 킹콩으로 플레이하는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설계되었다. 반면에 MSX 버전은 미첼의 관점에서 플레이되는 롤플레잉 게임이다.
6. 1. 비디오 게임
일본에서 코나미가 패미컴용 ''킹콩 2: 분노의 메가톤 펀치''와 MSX용 ''킹콩 2: 부활의 전설'' 두 개의 공식 비디오 게임을 개발하여 출시했다. 패미컴 게임은 이야기의 인간적인 측면을 완전히 버리고 플레이어가 여성 콩을 구하기 위해 거대 로봇과 특정 군대와 싸우며 전 세계를 여행해야 하는 킹콩으로 플레이하는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설계되었다. 반면에 MSX 버전은 미첼의 관점에서 플레이되는 롤플레잉 게임이다.7. 한국어 더빙
간모토 유키
나카키 류지
타카기 사나에
이시이 토시로
오카 카즈오
호리코시 마키
스즈키 카츠미
타키타 에코
이나바 미노루
죠야마 치카오
카토 마사유키
후지시로 유지
메구로 유이치
토미타 아키라
마키 쇼코
사와키 이쿠야
이노우에 카즈히코
호리우치 켄유
후루타 노부유키
세키 토시히코
츠카다 마사아키
기타가와 타쿠로
세키 카즈오
오오츠카 아키오
타키자와 로코
이노우에 키쿠코
오카 노리코
(쇼치쿠 후지 주식회사)
(TV 아사히)
(S.E.R.)
소프트 수록
VHS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