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탈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호는 필리핀 루손 섬 남서부에 위치한 칼데라 호수로, 활화산인 타알 화산이 호수 중앙에 있는 화산섬을 형성하고 있다. 1572년부터 1977년까지 33차례의 분화가 기록되었으며, 1911년 대폭발로 1334명이 사망했다. 18세기 초 대규모 분화로 인해 호숫가 마을들이 피해를 입었으며, 1754년 분화로 판시핏 강이 막히면서 호수의 수위가 상승했다. 탈호에는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며, 관광 명소로도 인기가 높다. 2007년 한국 기업의 건강 스파 건설 시도가 환경 문제로 논란이 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호수 - 라나오호
    라나오호는 필리핀 민다나오섬에 위치한 수력 발전 잠재력이 큰 호수로, 마라나오족의 신화가 깃들어 있으며, 아구스강을 이용한 수력 발전으로 민다나오 지역 전력의 70%를 생산했지만, 댐 건설과 환경 문제로 인해 고유종 물고기가 멸종 위기에 놓였다.
  • 필리핀의 호수 - 베이호
    라구나 데 바이는 필리핀 최대의 담수호로, 메트로 마닐라와 칼라바르손 지역에 걸쳐 어업, 운송, 농업 관개 등 다목적으로 활용되지만, 오염 문제에 직면하여 라구나호 개발청을 중심으로 환경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필리핀의 국립공원 - 탈 화산
    필리핀 루손섬 바탕가스주에 있는 탈 화산은 유라시아판과 필리핀 이동대 간의 섭입 작용으로 형성된 활화산으로, 거대한 칼데라 내에 탈 호수와 화산섬이 있으며 잦은 화산 활동으로 지속적인 감시와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 필리핀의 국립공원 - 마욘산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에 위치한 마욘산은 완벽한 원뿔형의 활화산으로, 환태평양 조산대의 일부이며 잦은 분화와 화산이류로 큰 피해를 야기하는 필리핀에서 가장 활동적인 화산 중 하나이다.
  • 칼데라 화산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칼데라 화산 - 니우아포오우섬
    니우아포오우섬은 통가 최북단에 위치한 활화산섬으로, 칼데라 지형과 화산호가 있으며 잦은 화산 분화와 독특한 통조림 우편, 퉁가메가포드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탈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호수와 그 안의 화산섬의 위성 사진
호수와 그 안의 화산섬 위성 사진
이름탈호
위치바탕가스주
호수 유형칼데라호
유입 하천알룰로드 강
유출 하천판시핏 강
부부인
달리그
라그다우인
람바우잉
나파욘
화산섬
호수 연안 도시아곤실로
알리타그탁
발레테
쿠엔카
로렐
리파
마타아스나카호이
산니콜라스
산타테레시타
탈리사이
타나우안
일본어 정보
일본어 명칭タール湖
위치 (일본어)바탕가스주
면적 (일본어)234.2
주변 길이 (일본어)82.5
최대 수심 (일본어)172
평균 수심 (일본어)100
표고 (일본어)2.0
성인 (일본어)칼데라호
담수/기수 (일본어)담수
한국어 정보
한국어 명칭탈호
위치 (한국어)루손섬, 바탕가스주
최대 길이25
최대 너비18
최대 수심 (한국어)172
평균 수심 (한국어)100
표면 면적 (한국어)234.2
수량 (한국어)24.256×109
호수 둘레115
평균 고도5

2. 지리

탈 화산은 활화산이다.[34] 20km × 25km 크기의 칼데라 안에 칼데라 호수인 탈호가 있으며, 호수 중앙에는 직경 5km ~ 8km 정도의 중앙화구구(中央火口丘)인 화산섬(Volcano Island)이 형성되어 있다.[30][31] 화산섬의 높이는 호수면으로부터 약 300m이다.

이 화산섬 중앙에는 직경 약 2km의 화구가 형성되어 있다.[30] 이 섬에는 47개의 화구·화산구가 있으며, 그중 26개는 응회암콘, 5개는 스코리아구, 4개는 마르이다.[30]

3. 역사

탈 화산활화산으로, 칼데라 안에는 탈호가 있고, 호수 중심에는 화산섬이 있다.[34] 화산섬에는 47개의 화구와 화산 언덕이 있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 초기인 1572년부터 1977년 사이에 33회의 분화가 기록되어 있다.[30][31]

주요 분화 사건으로는 1911년 대폭발로 1,334명이 사망했고, 1965년에는 화쇄난류 현상이 기록되면서 200명이 사망했다. 1977년에도 수증기 폭발이 있었고, 2010년에는 지진으로 주민들이 대피했으며, 2020년에는 43년 만에 다시 폭발했다.

원래 탈 호수는 바다와 연결된 내만이었으나, 18세기 초 대규모 분화로 인해 판시핏 강이 막히면서 호수가 되었다. 이후 수위가 상승하여 여러 마을이 물에 잠겼다. 화산 활동이 잦아든 후, 호숫가를 따라 새로운 정착지들이 생겨났다.

3. 1. 18세기 이전

탈 호수와 주변 지역


탈 호수는 한때 인근 발라얀 만의 내만이었으며, 쉽게 항해할 수 있었다. 18세기 초 일련의 대규모 분화로 인해 호숫가 마을들은 지진과 화산 잔해로 큰 피해를 입었다.[7] 이 활동은 1754년 탈 화산의 최대 규모의 분화로 절정에 달했는데, 이 분화로 판시핏 강이 화산재로 막히면서 호수의 바다로 통하는 유일한 출구가 차단되었다. 이로 인해 수위가 상승하여 결국 여러 호숫가 마을이 물에 잠겼고, 그 잔해는 오늘날까지 수중에서 볼 수 있다고 한다.[8][9] 1754년 분화 이후 수면 고도는 해발 0m에서 5m로 상승했으며, 한때 염수였던 호수는 수세기 동안의 강수로 담수가 되었다.

3. 2. 18세기 분화



탈 호수는 한때 인근 발라얀 만의 내만이었으며, 배가 쉽게 드나들 수 있었다. 18세기 초 일련의 대규모 분화로 호숫가 마을들은 지진과 화산 잔해로 큰 피해를 입었다.[7] 이 활동은 1754년 탈 화산의 최대 규모의 분화로 절정에 달했는데, 이 분화로 판시핏 강이 화산재로 막히면서 호수의 바다로 통하는 유일한 출구가 막혔다. 이로 인해 수위가 상승하여 결국 여러 호숫가 마을이 물에 잠겼고, 그 잔해는 오늘날까지 수중에서 볼 수 있다고 한다.[8][9] 1754년 분화 이후 수면 고도는 해발 0m에서 해발 5m로 상승했으며, 한때 염수였던 호수는 수세기 동안의 강수로 담수가 되었다.

리파, 탈, 살라, 바우안, 타나우안의 ''포블라시온''(마을 중심지)는 화산 활동이 잦아든 후 호숫가에서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으로 옮겨 다시 세워졌다. 1세기가 넘는 시간이 지난 후, 더 큰 마을에서 호숫가를 따라 새로운 정착지들이 생겨났다.

설립 연도정착지분리된 지역
1869년탈리사이
1877년쿠엔카산호세
1910년알리타타그바우안[10]
1932년마타아스나카호이리파
1949년아곤실로레메리
1955년산 니콜라스옛 탈의 폐허 위에 건설
1961년산타 테레시타탈, 산 루이스, 산 니콜라스
1969년로럴탈리사이
1969년발레테리파[11]


3. 3. 20세기 이후 분화

타알 화산은 활화산이며, 20km × 25km의 칼데라 안에는 탈호가 있다. 호수 중앙에는 직경 5km~8km 정도의 화산섬이 있으며, 높이는 호수면으로부터 약 300m이다.

화산섬 중앙에는 직경 약 2km의 분화구가 있다. 이 섬에는 47개의 화구와 화산 언덕이 있는데, 그중 26개는 응회암콘, 5개는 스코리아구, 4개는 마르이다.[30]

역사 시대의 분화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 초기인 1572년부터 1977년 사이에 33회가 기록되어 있다.[30][31] 주요 분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11년 1월 30일대폭발로 화산섬 주민 대부분인 1,334명 사망.[31]
1965년화산섬 서해안에서 마그마 수증기 분화 발생. 베이스 서지 현상이 세계 최초로 기록되었고,[31] 200명 사망.[32][30]
1977년수증기 폭발 발생.[30]
2010년 4월 19일화산섬에서 유감 지진 발생. 7월에 경계 레벨이 1에서 2로 상향 조정되어 전 주민 대피.[31]
2020년 1월43년 만에 분화 발생.[33]



이 섬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원칙적으로 거주가 금지되어 있다.[31]

4. 생태

탈호는 과거 바다와 연결되어 담수화에 적응하며 진화한 많은 고유종을 포함한 독특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4. 1. 고유종

과거 바다와 연결되었던 이 호수는 호수 수질의 담수화에 적응하며 진화한 많은 고유종을 보유하고 있다. 이 호수에는 담수에 적응한 전갱이과 어류인 ''가시복전갱이''가 서식한다. 판시피트 강에서도 발견되는 이 물고기는 현지어로 ''말리푸토''라고 불린다. 가장 인기 있는 고유종은 남획된 민물 정어리인 ''타윌리스 정어리''이다. 타알 호수의 다른 두 가지 고유 어종은 망둑어과 어류인 ''Gnatholepis volcanus''와 ''Rhinogobius flavoventris''이다.[12][13]

타알 호수에는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바다뱀 중 하나인 ''Hydrophis semperi''도 서식한다. 이 종은 담수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두 종의 "진정한" 바다뱀 (바다뱀)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시부아 강에 서식하는 ''Hydrophis sibauensis''이다).[14][15][16] 황소상어는 한때 이 호수의 다양한 생태계의 일부였으며, 아마도 고유한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이다. 그러나 1930년대까지 지역 주민들에 의해 절멸되었다.

4. 2. 외래종

과거 바다와 연결되었던 이 호수는 호수 수질의 담수화에 적응하며 진화한 많은 고유종을 보유하고 있다. 이 호수에는 담수에 적응한 전갱이과 어류인 ''가시복전갱이 (Caranx ignobilis)''가 서식한다. 판시피트 강에서도 발견되는 이 물고기는 현지어로 ''말리푸토 (maliputo)''라고 불린다. 가장 인기 있는 고유종은 남획된 남획된 민물 정어리인 ''타윌리스 정어리 (Sardinella tawilis)''이다. 타알 호수의 다른 두 가지 고유 어종은 망둑어과 어류인 ''Gnatholepis volcanus''와 ''Rhinogobius flavoventris''이다.[12][13]

타알 호수에는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바다뱀 중 하나인 ''Hydrophis semperi''도 서식한다. 이 종은 담수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두 종의 "진정한" 바다뱀 (바다뱀아과 (Hydrophiinae))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시부아 강에 서식하는 ''Hydrophis sibauensis''이다).[14][15][16] 황소상어는 한때 이 호수의 다양한 생태계의 일부였으며, 아마도 고유한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이다. 그러나 1930년대까지 지역 주민들에 의해 절멸되었다.

시클리드과 어류는 현지 주민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양식이나 애호가들의 방류를 위해, 또는 우연히 호수에 유입되었다.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종들, 예를 들어 대형이고 입이 크며 포식성인 자구아르 과포테가 불법적으로 호수에 유입된 것이 발견되었다. 이 외래 어종은 산란과 먹이 섭취에 이용하는 풍부한 수생 식물, 풍부한 야생 (종종 고유종인) 먹이, 그리고 원 서식지와 유사한 기후 때문에 호수 전역에서 번식할 수 있었다. 이들의 존재는 토착 어류 개체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

4. 3. 어류 폐사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이 2020년-2022년 폭발 당시 화산재로 뒤덮인 따알 화산과 따알 호수를 촬영한 사진


2008년 1월 5일, 필리핀 어업 및 수산자원국은 라우렐 레비스테와 발라킬롱 마을, 탈리사이 아야와 퀼링 마을의 양식 틸라피아 50톤(3250000KRW, 79268USD)이 따알 호수에서 1월 2일부터 4일까지 폐사했다고 발표했다. 퀼링에서는 5609USD 상당의 말리푸토 6,000마리도 폐사했다. 암불롱 지역의 높은 수준의 유독성 과 황화수소, 낮은 용존 산소 농도가 폐사의 원인이었다.[18]

2011년 5월 30일, 필리핀 어업 및 수산자원국은 750톤의 어류 폐사를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우기 시작으로 인한 수온의 급격한 하락이 호수의 산소 수준을 낮췄다고 설명했다.[19]

2020년-2022년 따알 화산 폭발 이후 호숫가에서 어류 폐사가 관찰되었다.[20] 그러나 필리핀 어업 및 수산자원국은 화산 활동이 원인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21]

5. 보호 및 관리

1992년 국립통합보호지역시스템(NIPAS)법(Republic Act No. 7586)에 따라, 1996년 10월 16일 제906호 선포령으로 탈 화산 보호경관(Taal Volcano Protected Landscape)으로 재지정되었다.[6] 이 보호지역은 보호지역관리위원회(PAMB)에서 관리하며, 보호지역관리관(Protected Area Superintendent)이 최고운영책임자 역할을 한다. 2009년 PAMB에서 호수 보존을 위한 관리계획을 청사진으로서 수립하고 승인하였다.

6. 관광

탈 호수에서는 정기 관광 상품이 제공된다. 관광객들은 호수를 건너 말을 타고 탈 화산섬 정상까지 이동할 수 있다. 산을 오르내리는 동안 방문객들은 호수와 그 주변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마닐라에서 택시로 약 2시간 거리인 타가이타이에서 화산성 구릉을 내려와 호숫가에서 보트를 빌리면 약 30분 만에 화산섬에 갈 수 있다. 또한 섬 정상까지는 도보나 말을 이용하여 약 30분 정도 소요된다.

6. 1. 탈 호수 요트 클럽

바탕가스주 탈리사이에는 '탈 호수 요트 클럽'(Taal Lake Yacht Club, TLYC)이 있다. TLYC는 필리핀 요트 대회인 호비 내셔널(Philippine Hobie Nationals)과 오즈 구스 내셔널(Oz Goose Nationals) 등을 개최한 클럽이었다.[22] 탈 호수는 윈드서핑과 카이트보딩을 즐기는 사람들에게도 인기 있는 곳이었다.

6. 2. 타가이타이



카비테타가이타이는 인근 바탕가스 주 관할인 탈 호수와 탈 화산으로부터 혜택을 받았다. 많은 관광객들이 호수와 화산의 탁 트인 전망을 보기 위해 타가이타이를 방문했다.[23]

6. 3. 한국 기업 건강 스파 건설 논란

2007년 중반, 한국 기업 '정안 인터벤처'가 화산섬 호숫가에 건강 스파를 건설할 수 있는 허가를 받으면서 논란이 일었다.[24][25] 여러 정부 관계자들이 이 건설 프로젝트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2007년 6월 28일, 필리핀 환경·천연자원부(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DENR)는 한국 기업의 환경 허가증을 취소하여, 필요한 다른 허가를 받을 때까지 섬에서의 추가 건설을 할 수 없게 만들었다.[26] 프로젝트에 대한 대중의 반발이 거셌기 때문에, 2007년 7월 초 DENR은 한국 기업의 허가를 영구적으로 취소했다.[27]

7. 교통

마닐라에서 택시로 약 2시간 걸리는 곳에 위치해 있다. 따가이따이에서 외륜화산으로 내려간 호수에서 보트를 빌려 약 30분에 걸쳐 화산섬으로 갈 수 있다. 또한 섬의 정상까지는 도보 또는 말을 빌려 약 30분 걸린다.[1]

참조

[1] 웹사이트 Lake Taal http://www.ilec.or.j[...] 2012-03-17
[2] 서적 The Inhabitants of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Library of Alexandria 1900-01-01
[3] 서적 Hernando de los Ríos Coronel and the Spanish Philippines in the Golden Ag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3-07-28
[4] 지도 Manila (Topographic map) http://www.lib.utexa[...] University of Texas in Austin Library 2014-08-03
[5] 웹사이트 List of initial components of Nipas Act http://www.pawb.gov.[...] 2012-01-13
[6] 웹사이트 Protected Areas in Region 4-A (CALABARZON) http://pawb.gov.ph/i[...] 2012-01-13
[7] 웹사이트 Taal flyer - Chronology of Historical Eruptions of Taal Volcano http://www.phivolcs.[...] 2014-08-03
[8] 서적 The Mysteries of Taal, a Philippine volcano and lake, her sea life and lost towns Bookmark, Manila 1991
[9] Youtube The Mysteries of Taal Pt.1 - Thomas Hargrove from Pep Talk w. Loren Legarda https://www.youtube.[...] 2012-12-08
[10] 웹사이트 Alitagtag, Batangas History http://wowbatangas.c[...] 2014-08-03
[1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talisayba[...] 2014-08-03
[12] FishBase 2012-11
[13] FishBase 2012-11
[14] IUCN Red List Hydrophis sibauensis 2018-08-06
[15] 웹사이트 Hydrophis sibauensis http://reptile-datab[...]
[16] 학술지 A new species of sea snake genus ''Hydrophis'' (Serpentes: Elapidae) from a river in West Kalimantan (Indonesia, Borneo) 2001
[17] 웹사이트 Biological Investigation of Jaguar Guapote Parachromis managuensis (Gunther) in Taal Lake, Philippines http://journals.uplb[...] 2006
[18] 뉴스 Taal Lake fishkill causes ₱3-M losses http://newsinfo.inqu[...] Philippine Daily Inquirer 2008-01-05
[19] 뉴스 Philippines struggles under mountain of dead fish https://www.google.c[...] AFP 2011-05-30
[20] 뉴스 Dead fish litter Taal Lake shoreline in Laurel, Batangas https://www.gmanetwo[...] 2020-01-15
[21] 뉴스 Over 100 metric tons of tilapia, bangus lost to fish kill in Taal Lake; did volcano unrest cause it? https://mb.com.ph/20[...] 2021-07-06
[22] 뉴스 Sailing action returns to Taal Lake https://news.abs-cbn[...] 2022-12-27
[23] 뉴스 How the Taal brouhaha started http://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1-10-25
[24] 뉴스 Batangas, Tagaytay execs oppose Taal spa project http://newsinfo.inqu[...] Inquirer.net 2007-06-25
[25] 뉴스 Vilma Santos takes oath, says vs Taal spa http://eleksyon2007n[...] Inquirer.net 2007-06-27
[26] 뉴스 DENR gives Taal spa firm 1-week ultimatum http://newsinfo.inqu[...] Inquirer.net 2007-06-30
[27] 뉴스 DENR cancels Taal spa permit http://www.newsflash[...] Philippine Headline News Online 2007-07-06
[28] 웹사이트 LAKE TAAL http://wldb.ilec.or.[...] 2017-05
[29] 문서 タアルの発音
[30] PDF フィリピン・タール火山における電磁気学的手法による火山監視 http://www.scc.u-tok[...] 2008
[31] PDF タール火山研究の新展開 http://www.eqh.dpri.[...] 2015
[32] 서적 1966
[33] 웹사이트 マニラ近郊のタール火山噴火 住民に避難指示、空の便にも影響 https://www.cnn.co.j[...] CNN 2019-01-13
[34] PDF タール火山研究の新展開 http://www.eqh.dpri.[...]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