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합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합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일대기를 다룬 작품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가장 유명한 작품은 오세 호안이 저술한 『태합기』로, 1626년에 처음 발행되었으며, 저자의 이름을 따서 『부안태합기』라고도 불린다. 에도 시대에 여러 차례 발금 조치를 당했음에도 널리 읽혔다. 이 외에도 히데요시를 소재로 한 다양한 군기물, 예능 작품, 서적,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등이 존재한다. '태합기'라는 제목을 사용하지만,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작품들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소재로 한 작품 - 임진왜란 1592
임진왜란 1592는 2016년 KBS에서 방영된 역사 드라마로, 이순신과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중심으로 조선, 일본, 명나라의 갈등과 전쟁 상황을 묘사하여 높은 시청률과 함께 여러 상을 수상했다. -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소재로 한 작품 - 태합기 (1965년 드라마)
1965년 NHK에서 방영된 드라마 《태합기》는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신초 태합기》를 원작으로, 센고쿠 시대에 미천한 어린 시절을 보낸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의 통치자가 되는 과정을 그린 시대극으로, 현대적 재해석과 신인 기용으로 차별화된 연출을 선보이며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 17세기 책 - 오륜서
미야모토 무사시가 밀교의 오륜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유파인 니텐이치류의 검술과 전략, 철학을 담아 저술한 병법서인 오륜서는 땅, 물, 불, 바람, 공의 다섯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17세기 책 - 17세기 프랑스 문학
17세기 프랑스 문학은 르네상스 인문주의 영향 아래 귀족적 가치와 고전주의 미학을 추구하며 살롱과 아카데미를 중심으로 발전했고, 바로크, 프레시오지테, 리베르탱 등 다양한 사조와 몰리에르의 풍자극, 마담 드 라파예트의 심리 소설, 그리고 코르네유, 라신, 몰리에르 등의 극작가들을 통해 다채로운 면모를 보였다.
태합기 | |
---|---|
개요 | |
![]() | |
본명 | 기노시타 도키치로 (木下 藤吉郎) |
다른 이름 | 하시바 히데요시 (羽柴 秀吉) 도요토미 히데요시 (豊臣 秀吉) |
칭호 | 기나시 (킨시, 킨츄) 지쿠젠노카미 간파쿠 다이조다이진 태합 |
생몰년 | 에이쇼 3년 음력 2월 6일 (1537년 3월 17일) ~ 게이초 3년 음력 8월 18일 (1598년 9월 18일) |
출생지 | 오와리국 아마군 나카무라 (현재의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
사인 | 병사 |
묘소 |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아미다봉 정상의 도요쿠니묘 고다이지 |
가족 | 아버지: 기노시타 야에몬 어머니: 오만도코로 정실: 고다이인 (네네) 측실: 요도도노 마쓰노마루도노 가모우 사다히데의 딸 자녀: 도요토미 히데요리 |
정치 경력 | |
직위 | 우대신 간파쿠 태정대신 종1위 태합 |
주요 활동 | 오다 노부나가 섬김 혼노지의 변 후 하시바 히데요시로 개명 야마자키 전투 승리 시즈가타케 전투 승리 오사카성 축성 규슈 평정 오다와라 정벌 분로쿠·게이초의 역 |
타이코우키 (太閤記) | |
장르 | 군담 소설 |
작가 | 오제 호안 |
발표 연도 | 겐나 6년 (1620년) 경 |
2. 오세 호안의 태합기
오세 호안이 저술한 『태합기』는 간에이 3년(1626년)에 초판이 발행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일대기를 다룬 전 20권의 저작이다. 여러 종류의 『태합기』 중 가장 유명하며, 저자의 이름을 따서 『'''부안태합기'''』라고도 불린다. 에도 시대에 여러 차례 발금 조치를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판을 거듭하며 널리 읽혔다.
『태합기』는 히데요시 전기의 저본(底本)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저자 오세 호안의 독자적인 역사관과 사료 해석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가가 번에서 봉록을 받았던 관계로,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마에다 도시이에의 철수와 관련된 내용이 누락되거나, 전후 관계와 무관하게 마에다 도시이에의 활약상이 삽입되는 등 특정 인물에 대한 편향적인 서술이 나타나기도 한다.[6]
2. 1. 비판적 관점
오세 호안의 『태합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미화하고 영웅시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임진왜란과 같은 침략 행위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부족하며, 조선 백성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준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 문제는 거의 다루지 않고 있다.[6]3. 군기・전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일대기를 다룬 군기(軍記) 및 전기(伝記)는 여러 종류가 있다. 초기 기록들을 바탕으로 오세 호안(小瀬甫庵)은 이야기 형식의 『태합기(太閤記)』를 저술했다. 이는 강담(講談) 등의 소재가 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해졌고, 후세의 히데요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5] 에도 시대 중기에는 강담을 바탕으로 한 혹본(読本) 『에혼 태합기(絵本太閤記)』가 유행했고, 가부키(歌舞伎)와 조루리(浄瑠璃)에서 이를 바탕으로 한 『에혼 다이코키(絵本太功記)』를 시작으로 하는 '태합기물(太閤記物)'이 인기를 끌었다.
오세 호안의 『태합기』는 간에이(寛永) 3년(1626년)에 초판이 나온, 전 20권으로 구성된 책이다. 여러 종류의 『태합기』 중 가장 유명하며, 저자의 이름을 따서 '부안태합기(甫庵太閤記)'라고도 불린다. 에도 시대에 여러 차례 발금(発禁)되었지만, 그 후에도 여러 번 판을 거듭하였다. 히데요시 전기의 저본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저자 고유의 역사관과 그에 따른 사료 해석, 개변도 지적되고 있다. 가가번(加賀藩)에서 봉록을 받고 있던 관계 때문인지, 시즈가타케 전투(賤ヶ岳の戦い)에서 마에다 도시이에(前田利家)의 철수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전후 관계를 무시하고 갑자기 마에다 도시이에의 활약이 삽입된 부분도 보인다.[6]
3. 1. 초기 기록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생전에 오무라 유코(大村由己)에게 명하여 저술하게 한 『천정기(天正記)』는 천정(天正) 연간의 공적을 기록한 책으로, 가장 오래된 히데요시 일대기로 여겨진다.[5] 히데요시를 섬겼던 오타 규이치(太田牛一)는 히데요시의 공적을 각서 형식으로 기록한 『태합군기(太閤軍記)』를 저술했다.[5] 『태합군기』 자체는 남아있지 않지만, 초본인 『대고우사마 군기의 우치(大かうさまくんきのうち)』(태합님 군기 중)가 현존한다.[5] 다나카 요시마사(田中吉政)의 가신이었던 가와카쿠 사부로에몬(川角三郎右衛門)이 전언을 정리한 『가와카쿠 다이코키(川角太閤記)』는 에도 시대 초기에 성립되었다.[7]3. 2. 후기 기록
4. '태합기' 이름을 가진 작품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소재로 한 작품 중에는 '태합기'라는 이름을 가진 경우가 많다.
4. 1. 예능
에도 시대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소재로 한 다양한 예능 작품이 만들어졌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9]- 교호 연간 근송문좌위문의 『본조삼국지』
- 다케다 이즈모의 『출세악호치이야기』
덴메이・간세이 연간에는 조루리에서 '태합기물(太閤記物)'이라는 큰 붐이 일었다. 조루리와 가부키에서는 "태합(太閤)" 대신 "대공(大功)"이나 "태공(太功)"이 사용되었고, 이러한 극을 바탕으로 한 『에혼무용대공기』 등의 독본에서도 사용되었다.
오사카에서는 『에혼태공기』가 특히 인기가 많았고, 에도 시대를 통틀어 상연 횟수는 『이모세야마부녀정훈』과 『가나데본추신구라』에 이은 것이었다.[10]
가부키에서는 히데요시나 태합기를 소재로 한 작품을 "태합기의 세계"라고 부르며, 기노시타 도키치로 시대의 작품은 특히 "출세야코(出世奴)의 세계"라고 불린다.[11] 단, 『에혼태공기』는 태합기물이지만 주인공은 마시바 히사키요시(히데요시)가 아니라 무치 미쓰히데(명치 광춘)이다. 태합기물 가부키로는 『기온마쓰리레이신앙기』, 『토키키쿄슈세세죠』 등이 알려져 있다.
제목 | 작가/방송사 | 비고 |
---|---|---|
에혼태공기 | 근송류・근송코스이켄・근송치바켄 공동 작품 | 전 13단, 1799년 인형조루리 초연, 1800년 가부키 초연 |
진쇼태합기 | 2대째 가와타케 신시치 | 메이지 3년 초연 |
태합기 | 일본텔레비전방송망 | 1956년 |
신서 태합기 | 매일방송 | 1959년 |
진판 태합기 | TBS텔레비전 | 1960년 |
태합기 | 일본방송협회 | 대하드라마, 1965년[12] |
아마카라 태합기 | 매일방송 | 1967년 |
청춘 태합기 이마니 미테오레! | 일본텔레비전 | 1970년 |
신서 태합기 | 텔레비 아사히 수요 저녁 9시대극, 텔레비 아사히 | 1973년 |
여자 태합기 | 일본방송협회 | 대하드라마, 1981년 |
태합기 | TBS 대형 시대극 스페셜, TBS텔레비전 | 1987년 |
태합기 원숭이라 불린 사나이 | 토요 프리미엄, 후지텔레비전 | 2003년 |
태합기 천하를 잡은 남자·히데요시 | 텔레비 아사히 화요 시대극, 텔레비 아사히 | 2006년 |
네네 여인 태합기 | 신춘 와이드 시대극, 텔레비 도쿄 | 2009년 |
4. 2. 서적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소재로 한 소설에는 야다 삽운(矢田挿雲)의 『태합기』, 요시카와 에이지(吉川英治)의 『신서 태합기(新書太閤記)』, 야마오카 소우하치(山岡荘八)의 『이본 태합기(異本太閤記)』, 야마다 후타로(山田風太郎)의 『요설 태합기(妖説太閤記)』,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郎)의 『신사 태합기(新史太閤記)』 등이 있다.4. 2. 1. 소설
- 야다 삽운(矢田挿雲)의 『태합기』(1926년~1934년)는 1934년과 1936년 신흥키네마(新興キネマ)에서 영화화되었다. 1970년에는 일본TV에서 《청춘 태합기》(青春太閤記)로 드라마화되었다.
- 요시카와 에이지(吉川英治)의 『신서 태합기(新書太閤記)』(1941년)는 1953년 도에이 교토(東映京都)에서 2편, 1958년 쇼치쿠 교토(松竹京都)에서 《태합기》로 영화화되었다. 1959년(마이니치 방송), 1965년(NHK 대하드라마), 1973년(NET 텔레비전)에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 야마오카 소우하치(山岡荘八)의 『이본 태합기(異本太閤記)』(1965년)
- 야마다 후타로(山田風太郎)의 『요설 태합기(妖説太閤記)』(1967년)
-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郎)의 『신사 태합기(新史太閤記)』(1968년)
4. 3. 영화
제목 | 감독 | 제작사 | 연도 |
---|---|---|---|
옛날극 태공기(태공기 십단목) | 남택숙 | M 파테 상회 | 1908년 |
태공기 | 나카가와 시로 | 제국키네마 | 1923년 |
콩알만한 태공기 | 소네 준조 | 마키노 프로덕션 | 1926년 |
출세 태공기 | 이나가키 고 | 니카츠 교토 | 1938년 |
태공기 풍기로 주졸의 권 | 타키자와 에이스케 | 신흥키네마 | 1935년 |
태공기 풍기로 출세 비약의 권 | 와타나베 신타로 | 신흥키네마 | 1936년 |
신랑 태공기 | 마루네 산타로 | 다이에이 교토 | 1945년 |
새로운 태공기 유전 히요시마루 | 하기와라 료 | 토에이 교토 | 1953년 |
새로운 태공기 급습 오케하자마 | 마츠다 사다쓰구 | 토에이 교토 | 1953년 |
태공기 | 오소네 다쓰야스 | 쇼치쿠 교토 | 1958년 |
허풍 태공기 | 후루사와 켄고 | 토호 | 1964년 |
만자이 태공기 | 사와다 류지, 타카야시키 히데오 | 쇼치쿠 | 1981년 |
5.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관련 없는 작품
6. 임진왜란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2년과 1597년, 두 차례에 걸쳐 조선을 침략한 임진왜란을 일으켰다. 이 전쟁으로 조선은 막대한 인명 피해와 국토 황폐화를 겪었으며,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민주당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임진왜란을 명분 없는 침략 전쟁으로 규정하고, 전쟁 과정에서 자행된 잔혹 행위와 문화재 약탈 등을 강하게 비판한다. 또한, 일본 정부가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과 사죄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서적
Ningyo: The Art of the Japanese Doll
Tuttle Publishing
[2]
학술지
The trouble with Hideyoshi: censoring ukiyo-e and the Ehon Taikōki incident of 1804
[3]
Kotobank
2023-10-25
[4]
Kotobank
2023-10-25
[5]
Kotobank
2023-10-25
[6]
문서
1584년의 말모리성 전투. 소목·장구의 전투와 관련하여 일어난 전투이지만, 히데요시 자신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고, 이야기 구성상으로는 부자연스럽다. 그리고 삽입 부분이 시간 순서를 거슬러 올라가고 있다.
[7]
Kotobank
2023-10-25
[8]
Kotobank
2023-10-26
[9]
웹사이트
絵本太功記・夏祭浪花鑑|文化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https://www2.ntj.jac[...]
2023-10-28
[10]
웹사이트
絵本太功記・夏祭浪花鑑|文化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https://www2.ntj.jac[...]
2023-10-28
[11]
웹사이트
가부키 용어 안내
https://enmokudb.kab[...]
2023-10-26
[12]
웹사이트
프로그램 에피소드 대하드라마 ‘다이코키’-NHK 아카이브스
https://www2.nhk.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