탤컷 파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탤컷 파슨스는 미국의 사회학자이며, 20세기 사회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는 1902년 콜로라도스프링스에서 태어나 애머스트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했으나 사회과학으로 전향하여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사회학과의 창설을 주도했고, 미국 사회학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파슨스는 사회를 상호 의존적인 시스템으로 분석하는 구조 기능주의 이론을 제시했으며, AGIL 도식을 통해 사회의 기능적 요건을 설명했다. 또한, 행위 이론과 사회 시스템 이론을 통해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 진화론을 통해 사회 변화를 설명하려 했다. 그의 이론은 1960년대 이후 비판에 직면했지만, 현대 사회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사회적 행위의 구조》, 《사회 체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능주의 - 니클라스 루만
니클라스 루만은 독일의 사회학자로, 자기생산 개념을 도입한 사회 시스템 이론을 정립하여 사회를 의사소통 네트워크로 규정하고 기능적 분화와 복잡성 감소를 통해 사회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설명했으며, 그의 이론은 추상성과 인간 소외 문제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기능주의 - 허버트 스펜서
허버트 스펜서는 진화론적 관점으로 철학 체계를 구축하고 '적자생존' 용어를 만든 영국의 철학자, 사회학자, 생물학자, 정치사상가로, 자유주의적 입장을 견지했으나 사회 다윈주의 비판과 함께 재평가되고 있다. - 법사회학자 - 게오르크 옐리네크
게오르크 옐리네크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 국가법인설과 국가의 자기구속설을 주장했으며, 그의 저서 《일반 국가론》과 《인권선언론》은 법학 및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사상은 일본의 천황기관설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법사회학자 - 니클라스 루만
니클라스 루만은 독일의 사회학자로, 자기생산 개념을 도입한 사회 시스템 이론을 정립하여 사회를 의사소통 네트워크로 규정하고 기능적 분화와 복잡성 감소를 통해 사회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설명했으며, 그의 이론은 추상성과 인간 소외 문제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구조기능주의 - 빌프레도 파레토
빌프레도 파레토는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로, 로잔 학파를 이끌며 일반균형이론 발전과 후생경제학 개척에 기여했고, '파레토 효율성', '파레토 법칙' 등의 개념을 제시했으며, 《일반사회학 논고》에서 엘리트 순환 이론을 제시하며 사회학 발전에도 공헌했지만, 만년에 파시즘을 옹호했다는 비판도 받았다. - 구조기능주의 - 에밀 뒤르켐
에밀 뒤르켐은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철학자로, 사회학을 독립적인 학문으로 정립하고 사회적 사실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구조 기능주의와 구조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탤컷 파슨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탈콧 파슨스 |
출생일 | 1902년 12월 13일 |
출생지 | 콜로라도스프링스, 콜로라도, 미국 |
사망일 | 1979년 5월 8일 |
사망지 | 뮌헨, 서독 |
국적 | 미국 |
배우자 | (정보 부족으로 번역 생략) |
학력 및 경력 | |
모교 | 애머스트 대학교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학위 논문 제목 | (정보 없음)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정보 없음) |
사상적 경향 | 구조 기능주의 |
박사 지도교수 | 에드가 잘린 |
영향을 준 인물 | 에밀 뒤르켐 월턴 헤일 해밀턴 로렌스 조지프 헨더슨 빌프레도 파레토 막스 베버 앨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
학문 분야 | 사회학 |
근무 기관 | 하버드 대학교 |
박사 과정 제자 | 로버트 F. 베일스 로버트 N. 벨라 조지프 버거 프랭크 보니야 앨버트 K. 코헨 르네 폭스 해럴드 가핑켈 클리포드 기어츠 미리아M. 존슨 에드워드 라우만 매리언 J. 레비 주니어 진 리프먼-블루먼 윌버트 E. 무어 마리 오거스타 닐 제시 R. 피츠 피에르 L. 반 덴 베르게 에즈라 보겔 모리스 젤디치 |
주목할 만한 제자 | 노먼 번바움 킹슬리 데이비스 니클라스 루만 제임스 올즈 닐 스멜서 |
연구 분야 및 사상 | |
주요 관심사 | (정보 없음) |
주요 저서 | 사회 행위의 구조 (1937) 사회 체계 (1951) |
주요 사상 | 행위 이론 AGIL 패러다임 환자 역할 |
영향 | |
영향을 받은 인물 | 제프리 C. 알렉산더 클라이드 클럭혼 칼 더이치 데이비드 이스턴 위르겐 하버마스 로드 기든스 벤턴 존슨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로버트 K. 머턴 리하르트 뮌히 에드워드 실스 |
2. 생애
1902년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에서 태어난 탤컷 파슨스는 회중 교회 성직자이자 마리에타 대학교 총장을 지낸 아버지 에드워드 파슨스의 영향을 받았다. 애머스트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다 사회과학으로 전과한 경험은 훗날 그의 사회학 이론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런던 정치경제대학교를 거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막스 베버의 저작을 접하고, 그의 이론을 미국에 소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27년 하버드 대학교 강사로 시작해 1973년 명예 교수로 물러날 때까지 재직했으며, 1942년에는 미국 사회학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학문적으로 막스 베버와 에밀 뒤르켐의 영향을 받아 사회학 이론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사회 시스템 이론과 구조 기능주의의 대표적인 학자로 꼽힌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냉전 시기에는 하버드 대학교 내 러시아 연구 센터 설립에 관여했으며, 나치즘의 위협을 경고하고 반전 운동에 참여하는 등 사회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매카시즘 시기에는 공산주의 동조자로 몰리기도 했으나, 혐의를 벗고 활동을 이어갔다.
1979년 독일 뮌헨에서 강연 여행 중 급작스럽게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02년 콜로라도주 콜로라도스프링스에서 회중 교회 목사이자 대학교수인 아버지 에드워드 파슨스와 어머니 메리 오거스타 잉거솔 사이에서 태어났다. 파슨스 가문은 미국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가문 중 하나로, 그의 조상들은 17세기 전반에 영국에서 건너왔다.[20]애머스트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했으나, 3학년 때 사회과학으로 전과했다. 이때의 생물학 전공 경험은 훗날 그의 사회학 이론에 영향을 미쳤다.[21]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공부했으며, 이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교환학생으로 수학하며 막스 베버의 저작을 접하고 큰 영향을 받았다.
학교 | 전공 | 학위 | 년도 |
---|---|---|---|
애머스트 대학교 | 생물학[21] (사회과학으로 전과) | 학사 | 1924년 |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 1924년 ~ 1925년 |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사회학 및 경제학 | 박사 | 1927년 |
2. 2. 학문적 경력
1927년 하버드 대학교에 강사로 취임하여[30] 1973년 명예 교수로 물러날 때까지 재직하였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그는 알프레드 마셜의 경제학 강의를 들은 F. W. 타우시그를 따랐고, 하버드 경영대학원 설립자인 경제사학자 에드윈 게이와 친구가 되었다. 또한 요제프 슘페터와 가까운 관계를 맺고 그의 일반 경제학 강좌를 수강했다.[30]파슨스는 당시 기술적이고 수학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던 하버드 경제학과와 의견이 달랐다. 그는 하버드 내에서 "사회 윤리"와 "종교 사회학" 강좌를 개설하는 등 다른 선택지를 모색했다. 경제학과를 통해 하버드에 입학했지만, 그의 활동과 관심은 사회학으로 향했다. 그러나 그가 하버드에서 처음 몇 년 동안은 사회학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1930년, 피티림 소로킨의 지휘 아래 하버드 대학교 사회학과가 설립되면서 파슨스는 사회학으로 전향했다. 1923년 러시아 혁명을 피해 러시아에서 탈출한 소로킨에게 사회학과를 설립할 기회가 주어졌다. 파슨스는 칼 짐머만과 함께 신설된 학과의 두 강사 중 한 명이 되었다.[31]
파슨스는 생화학자이자 사회학자인 로렌스 조셉 헨더슨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는데, 헨더슨은 파슨스의 하버드 경력에 개인적인 관심을 보였다. 파슨스는 L. J. 헨더슨의 파레토 연구 그룹에 참여했는데, 여기에는 크레인 브린턴, 조지 C. 호만스, 찰스 P. 커티스 등 하버드의 주요 지식인들이 참여했다. 파슨스는 파레토의 이론에 대한 논문을 썼고[32] 나중에 "사회 시스템" 개념을 받아들였다.
파슨스는 경제학자 프랭크 H. 나이트, 사업가 체스터 바나드와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서신을 주고받았다. 파슨스와 소로킨의 관계는 악화되었는데, 소로킨이 미국 문명을 감각적인 문화로 여기고 쇠퇴하고 있다고 혐오했기 때문이다. 소로킨의 저술은 후기에 반과학주의적인 경향을 띠었고, 이는 파슨스와의 간극을 넓혔다. 소로킨은 자신의 저술 외 다른 사회학적 경향을 경시했고, 1934년까지 하버드에서 인기가 없었다.
파슨스의 제자로는 로빈 윌리엄스 주니어, 로버트 K. 머튼, 킹슬리 데이비스, 윌버트 무어, 에드워드 C. 드보로, 로건 윌슨, 니콜라스 데머레스, 존 라일리 주니어, 마틸다 화이트 라일리, 해리 존슨, 버나드 바버, 매리언 레비, 제시 R. 피츠 등이 있었다. 파슨스는 학생들의 요청으로 아담스의 집에서 비공식 스터디 그룹을 만들었다. 니클라스 루만도 파슨스의 강의를 들었다.
1939~1940학년도에 파슨스와 슘페터는 하버드에서 합리성 개념을 논의하는 비공식 세미나를 열었다. 에이브럼 버그슨, 바실리 레온티예프, 고트프리트 하버러, 폴 스위지 등이 참여했다. 슘페터는 "경제학에서의 합리성", 파슨스는 "사회적 행동에서 합리성의 역할"이라는 논문을 제출했다.[34] 슘페터는 파슨스와 함께 합리성에 관한 책을 쓰자고 제안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1942년에는 미국 사회학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30년 여름, 파슨스는 독일에서 나치당이 권력을 잡는 분위기를 목격했다. 그는 친구 에드워드 Y. 하트숀을 통해 나치즘 부상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1930년대 후반부터 나치의 위협을 미국 대중에게 경고했지만, 여론 조사에서 미국인의 91%가 제2차 세계 대전에 반대했기 때문에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36]
많은 미국인들은 독일이 대공황에서 벗어났고 강력한 반공주의 국가였기에 독일에 동정심을 느꼈다. 파슨스는 "나치가 승리할 경우 새로운 암흑기가 도래할 것"이라는 기사를 썼고, 하버드 방위 위원회 발기인으로 활동했다. 보스턴 라디오 방송에서 나치즘에 반대하는 연설을 하고, 하버드에서 반전 운동가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연설을 이어갔다. 대학원생 찰스 O. 포터와 함께 대학원생들을 전쟁 노력에 결집시켰다. 전쟁 동안 파슨스는 나치즘의 원인을 분석하는 특별 연구 그룹을 이끌었다.
1944년,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제안에 하버드는 파슨스를 학과장 및 정교수로 승진시키고 사회 관계 학과 신설을 이끄는 재조직 과정을 수용했다. 파슨스는 전략 사무국 합류 제안을 거절했다.[58]
1946년, 파슨스는 하버드 대학교 사회관계학과를 설립하여 사회학, 인류학, 심리학 간의 학제 간 연구를 주도했다.
매카시즘 시대인 1952년, J. 에드거 후버 연방 수사국 국장은 파슨스가 하버드 공산주의 동조자 그룹의 지도자라는 제보를 받았다.[89] 1954년, 동료 스토퍼는 파슨스 때문에 기밀 문서 접근이 거부되었다고 알렸다.[89] 파슨스는 선서 진술서를 통해 스토퍼를 옹호하고 자신에 대한 혐의를 부인했다.[90] 파슨스는 유네스코 회의에 참여하지 못하다가 1955년에 혐의에서 벗어났다.
1948년, 파슨스는 하버드 대학교 러시아 연구 센터 설립에 참여하고 집행 위원이 되었다. 센터 책임자는 클라이드 클루크혼이었다. 파슨스는 연합군 점령 하의 독일에서 러시아 연구 센터 연락 담당자로 활동하며, 독일 억류 러시아 난민들에게 관심을 가졌다. 그는 독일에서 러시아 해방군 구성원들을 인터뷰했다.[61]
1973년, 파슨스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은퇴했지만, 저술, 강의 등 활동을 계속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브라운 대학교 등에서 가르쳤다.
1979년, 파슨스는 뮌헨에서 사망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학위 50주년 기념 방문 중이었고, 전날 하버마스, 니클라스 루만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회 계급에 대한 강연을 했다.
3. 이론
'''AGIL도식'''은 탤컷 파슨스가 제시한 기능 요건 도식이다. R.F. 베일스가 소집단에서의 상호작용 과정 분석을 통해 정식화했지만, 이후 이론적으로 정비되어 사회 시스템뿐만 아니라 행위 시스템 전반에 일반화되었고, 경험적 연구에도 적용되고 있다.[209]
AGIL 도식은 행위 시스템이 직면하는 문제를 외부적-내부적 문제와 수단-목적의 문제라는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네 가지 체계 문제로 구분한다.
- A기능(adaptation: 적응): 외부적·수단적 기능 요건
- G기능(goal-attainment: 목표 달성): 외부적·목적적 기능 요건
- I기능(integration: 통합): 내부적·목적적 기능 요건
- L기능(latency·pattern-maintenance: 잠재성·패턴 유지): 내부적·수단적 기능 요건
이 네 가지 차원에서 체계 내의 다양한 행위는 시간적으로 분화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네 가지 차원 중 어느 하나에서 우세하거나 극대화된다. 이 극대치를 각 위상(位相)의 특질로 보며, 위상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각 위상은 AGIL의 네 가지 차원이며, 베일스의 실험에 따르면 A→G→I→L 순서로 위상 운동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처럼 AGIL 도식은 사회 체계의 모든 것을 기술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과정을 분석할 수 있다고 한다.[209]
3. 1. 구조기능주의
파슨스는 사회학적 연구의 초점을 개인의 행위에서 사회 구조로 전환시켰다. 그는 사회를 상호 의존적인 부분들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보았으며, 각 부분은 사회 전체의 유지와 안정에 기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았다. 사회 질서는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와 규범에 의해 유지된다고 보았다.파슨스는 권력을 개인이 독점할 수 없는 사회 전체의 자산으로 보았으며, 사회 시스템 내에서 순환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권력을 사회 전체의 목표 달성을 위해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했다. 그의 권력 이론은 사회에 내재하는 권력의 양은 일정하며, 그 분배는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는 불변합적 접근법을 취한다는 비판을 받는다.[209]
파슨스의 이론은 사회 통합과 질서 유지에 초점을 맞추지만, 사회 변화와 갈등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3. 1. 1. AGIL 도식
'''AGIL도식'''은 탤컷 파슨스가 제시한 기능 요건 도식이다. R.F. 베일스가 소집단에서의 상호작용 과정 분석을 통해 정식화했지만, 이후 이론적으로 정비되어 사회 시스템뿐만 아니라 행위 시스템 전반에 일반화되었고, 경험적 연구에도 적용되고 있다.[209]
파슨스는 사회 시스템이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네 가지 기능적 요건을 제시했는데, 이것이 바로 AGIL 도식이다. AGIL 도식은 사회 시스템을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각 기능은 서로 의존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AGIL 도식은 행위 시스템이 직면하는 문제를 외부적-내부적 문제와 수단-목적의 문제라는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네 가지 체계 문제로 구분한다.
- A기능(adaptation: 적응): 외부적·수단적 기능 요건
- G기능(goal-attainment: 목표 달성): 외부적·목적적 기능 요건
- I기능(integration: 통합): 내부적·목적적 기능 요건
- L기능(latency·pattern-maintenance: 잠재성·패턴 유지): 내부적·수단적 기능 요건
이 네 가지 차원에서 체계 내의 다양한 행위는 시간적으로 분화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네 가지 차원 중 어느 하나에서 우세하거나 극대화된다. 이 극대치를 각 위상(位相)의 특질로 보며, 위상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각 위상은 AGIL의 네 가지 차원이며, 베일스의 실험에 따르면 A→G→I→L 순서로 위상 운동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처럼 AGIL 도식은 사회 체계의 모든 것을 기술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과정을 분석할 수 있다고 한다.[209] 파슨스는 시스템과 하위 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해 ''AGIL 패러다임'' 또는 ''AGIL 스키마''라고 불리는 발견적 방식을 사용했다.[201]
어떤 시스템이든 생존하거나 환경과 관련하여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 환경에 적응 (Adaptation)
- 목표 달성 (Goal Attainment)
- 구성 요소 통합 (Integration)
- 잠재적 패턴 유지 (Latency, Pattern Maintenance): 일종의 문화적 틀
이 개념들은 AGIL로 약칭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기능적 필수 요소라고 불린다. 파슨스의 AGIL 모델은 이론적 "생산"을 위한 분석적 스키마이지만, 단순한 "복사"나 경험적 현실의 직접적인 역사적 "요약"은 아니다. 또한, 이 스키마 자체는 주기율표가 자연 과학에서 아무것도 설명하지 않는 것처럼 "어떤 것도" 설명하지 않는다. AGIL 스키마는 설명을 위한 도구이며, 그것이 처리되는 이론과 설명의 질보다 더 나을 수 없다.
파슨스에 따르면 사회적 행동 시스템 분석의 경우, AGIL 패러다임은 네 개의 상호 연관되고 상호 침투하는 하위 시스템을 생성한다. 이는 구성원의 행동 시스템(A), 해당 구성원의 성격 시스템(G), 사회 시스템(그 자체로)(I), 그리고 해당 사회의 문화 시스템(L)이다. 사회를 사회 시스템(행동의 I 하위 시스템)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람들은 지위와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지위와 역할은 어느 정도 분화되며, 현대 사회에서는 직업, 정치, 사법 및 교육 역할과 같은 것들과 관련된다.
이러한 전문화된 역할과 기능적으로 분화된 집단 (기업 및 정당과 같은)의 상호 관계를 고려하여, 사회는 상호 관련된 기능적 하위 시스템의 복잡한 시스템으로 분석될 수 있다.
파슨스는 닐 스멜서와 함께 1956년에 출판한 『경제와 사회』[79]에서 AGIL 구성표의 첫 번째 기본 모델을 제시했다. 이 모델은 패턴 변수의 기본 개념을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사이버네틱 계층 구조의 아이디어를 조직 원리로 사용하여 시스템 이론적 접근 방식 내에서 해결책을 제시했다. 이 모델의 진정한 혁신은 전체 사이버네틱 계층 구조의 중요한 열쇠가 된 "잠재적 기능" 또는 패턴 유지 기능의 개념이었다.
AGIL 스키마를 기반으로 한 파슨스의 사회 시스템 분석은 『경제와 사회』에서 확립되었으며, 이후의 모든 작업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AGIL 시스템은 처음에는 "초보적인" 형태로 존재했으며, 이후 수십 년 동안 점차 정교해지고 확장되었다. 파슨스의 AGIL 스키마에 대한 간략한 소개는 ''아메리카 대학교''의 2장에 나타난다.[202] 그러나 그의 저술에는 전체 AGIL 시스템이 시각적으로 표시되거나 설명되는 단일 장소가 없다. 완전한 시스템은 그의 저술의 여러 곳에서 재구성되어야 한다. "아메리카 대학교"에 표시된 시스템은 가장 기본적인 요소만 가지고 있으며 전체 시스템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모든 생명 시스템, 사회 시스템, 일반적인 행동, 문화적 수준에서 AGIL 모델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된다.
모든 생명 시스템 | 사회 시스템 수준 | 일반적인 행동 수준 | 문화적 수준 | |
---|---|---|---|---|
A (적응) | 경제 | 행동 유기체 (또는 시스템, 나중 버전에서는 일반화된 "지능"의 초점) | 인지적 상징화 | |
G (목표 달성) | 정치 | 성격 시스템 | 표현적 상징화 | |
I (통합) | 사회 공동체 | 사회 시스템 | 평가적 상징화 (때로는 도덕적-평가적 상징화라고도 함) | |
L (잠재성) | 신탁 시스템 | 문화 시스템 | 구성적 상징화 |
파슨스는 각 시스템이 사회 공동체에서의 영향력과 같이 경제에서의 돈과 유사한 상호 작용의 전문화된 상징적 메커니즘을 개발한다는 아이디어를 상세하게 설명했다. 사회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 간의 다양한 "교환" 프로세스가 가정되었다.
일반화된 상징적 매체는 사회 시스템 수준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 (A) 경제 시스템: 돈
- (G) 정치 시스템: 정치 권력
- (I) 사회 공동체: 영향력
- (L) 신탁 시스템 (문화적 전통): 가치 헌신
3. 1. 2. 파슨스의 권력 이론
파슨스는 권력을 사회 전체의 목표 달성을 위해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일반화된 능력으로 보았다. 그는 권력이 개인이 독점할 수 없는 사회 전체의 자산이며, 사회 시스템 내에서 순환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파슨스의 권력 이론은 사회에 내재하는 권력의 양은 일정하며, 그 분배는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는 불변합적 접근법(zero-sum approach)을 취한다는 비판을 받는다.[209]1963년에 파슨스는 정치 권력[121]과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두 개의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122] 이 논문들은 파슨스가 AGIL 시스템 내의 교환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일반화된 상징적 매체의 개념을 연구한 최초의 결과물이었다. 파슨스는 일반화된 상징적 매체의 주요 모델로 돈을 예로 들면서, 돈의 기능적 특징이 경제 시스템에만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하위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질문했다. 그는 각 매체가 고유한 특성을 갖지만, 권력 (정치 시스템의 경우)과 사회적 영향력 (사회 공동체의 경우)이 돈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제도적 기능을 갖는다고 주장했다. 로만 야콥슨의 "코드"와 "메시지" 개념을 사용하여, 파슨스는 매체의 구성 요소를 "코드 구조"에 대한 가치 원칙 대 조정 표준의 문제와 "메시지" 구성 요소를 전달하는 사회적 과정 내의 요인 대 제품 통제의 문제로 나누었다. 그는 "효용성"이 경제(매체: 돈)의 가치 원칙, "효과성"이 정치 시스템(정치 권력에 의해)의 가치 원칙, 사회적 연대가 사회 공동체(사회적 영향력에 의해)의 가치 원칙이라고 보았다. 파슨스는 궁극적으로 진실성을 가치 원칙으로 하는 신탁 시스템의 일반화된 상징적 매체로 가치 헌신의 개념을 선택했다.[123]
3. 2. 행위 이론
파슨스는 "분석적 사실주의"와 "자발적 행동"이라는 존재론적 가정에 기초하여 사회 분석을 위한 일반 이론 시스템인 "행위 이론"[210]을 제시했다. 파슨스의 분석적 사실주의는 현실과 인간 지식에 대한 명목주의자와 현실주의자의 견해 사이의 일종의 타협으로, 객관적인 현실은 특정 조우에만 관련될 수 있으며 개념 체계와 이론을 통해 일반적인 지적 이해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객관적인 현실과의 상호작용은 항상 접근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믿었으며, 헨더슨의 "사실은 개념 체계에 대한 경험에 대한 진술이다"[211]라는 말을 인용하여 이를 설명했다.파슨스는 자신의 분석적 사실주의가 한스 바이힝거의 "소설주의"와는 매우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며 객관적인 현실에 대한 언급을 중요하게 생각했다.[212] 그는 과학적 지식은 아는 사람과 알려진 물체의 실체를 모두 가정하며, 서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지식인 집단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12]
파슨스의 행위 이론은 실증주의의 과학적 엄격성을 유지하면서도 인간 행동의 "주관적 차원", 즉 목적, 의도, 이상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정한다.[214] 그는 사회과학이 인간 행동을 분석할 때 목적과 이상에 관한 문제를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행동주의 이론이나 순수한 물질주의적 접근에 반대했다. 그는 인간의 삶을 심리적, 생물학적, 물질주의적 힘으로 축소하려는 시도를 비판하며, 문화적 요소의 성문화가 인간 삶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파슨스는 알프레드 슈츠와의 서신 교환과 대화를 통해 자신의 이론, 특히 《사회 행동의 구조》의 핵심 개념을 더욱 발전시켰다.[35] 또한, 조나단 H. 터너와의 논쟁에서 행위 이론과 상징적 상호작용론이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겹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인정하며, 조지 허버트 미드의 이론을 가치 있는 공헌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허버트 블루머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행위의 개방성에 대한 결론이 없다고 비판하며, 자신의 행위 이론이 두 극단 사이의 중간 지점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162][163][164]
3. 3. 사회 시스템 이론
파슨스는 사회를 상호 관련된 하위 시스템(경제, 정치, 사회 공동체, 문화)으로 구성된 복잡한 시스템으로 보았다. 각 하위 시스템은 AGIL 도식에 따라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호 간의 교환 과정을 통해 사회 전체의 균형을 유지한다. 그는 시스템 이론과 사이버네틱스의 개념을 사회학에 도입하여, 사회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자 했다.[209]파슨스가 시스템과 하위 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발견적 방식은 '''AGIL 패러다임''' 또는 '''AGIL 스키마'''라고 불린다.[201] 어떤 시스템이든 생존하거나 환경과 관련하여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을 어느 정도 수행해야 한다.
- 환경에 적응('''A'''daptation)
- 목표 달성('''G'''oal attainment)
- 구성 요소 통합('''I'''ntegration)
- 잠재적 패턴 유지('''L'''atent pattern maintenance), 일종의 문화적 틀
이 개념들은 AGIL로 약칭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기능적 필수 요소라고 불린다. 파슨스의 AGIL 모델은 이론적 "생산"을 위한 분석적 스키마이지만, 경험적 현실의 직접적인 역사적 "요약"은 아니다. 또한, 이 스키마 자체는 주기율표가 자연 과학에서 아무것도 설명하지 않는 것처럼 "어떤 것도" 설명하지 않는다. AGIL 스키마는 설명을 위한 도구이며, 그것이 처리되는 이론과 설명의 질보다 더 나을 수 없다.
파슨스에 따르면 사회적 행동 시스템 분석의 경우, AGIL 패러다임은 네 개의 상호 연관되고 상호 침투하는 하위 시스템을 생성한다. 이는 구성원의 행동 시스템(A), 해당 구성원의 성격 시스템(G), 사회 시스템(그 자체로)(I), 그리고 해당 사회의 문화 시스템(L)이다. 사회를 사회 시스템(행동의 I 하위 시스템)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람들은 지위와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지위와 역할은 어느 정도 분화되며, 현대 사회에서는 직업, 정치, 사법 및 교육 역할과 같은 것들과 관련된다.
이러한 전문화된 역할과 기능적으로 분화된 집단 (기업 및 정당과 같은)의 상호 관계를 고려하여, 사회는 상호 관련된 기능적 하위 시스템의 복잡한 시스템으로 분석될 수 있다.
모든 생명 시스템을 위한 순수한 AGIL 모델, 사회 시스템 수준, 일반적인 행동 수준, 문화적 수준에서의 각 하위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모든 생명 시스템 | 사회 시스템 수준 | 일반적인 행동 수준 | 문화적 수준 | |
---|---|---|---|---|
A | 적응 | 경제 — 행동 및 비행동 환경 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적응 | 행동 유기체 (또는 시스템), 나중 버전에서는 일반화된 "지능"의 초점. | 인지적 상징화 |
G | 목표 달성 | 정치 — 집단적 목표 달성 | 성격 시스템 | 표현적 상징화 |
I | 통합 | 사회 공동체 — 다양한 사회적 구성 요소의 통합 | 사회 시스템 | 평가적 상징화 (때로는 도덕적-평가적 상징화) |
L | 잠재성(패턴 유지) | 신탁 시스템 — 역사적 문화를 "직접적인" 사회적 내포물로 재생산하는 기능을 하는 프로세스 | 문화 시스템 | 구성적 상징화 |
일반화된 상징적 매체는 다음과 같다.
- (A) 경제 시스템: 돈
- (G) 정치 시스템: 정치 권력
- (I) 사회 공동체: 영향력
- (L) 신탁 시스템(문화적 전통): 가치 헌신
파슨스는 이러한 각 시스템이 사회 공동체에서의 영향력과 같이 경제에서의 돈과 유사한 상호 작용의 전문화된 상징적 메커니즘을 개발한다는 아이디어를 상세하게 설명했다. 사회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 간의 다양한 "교환" 프로세스가 가정되었다.
AGIL 스키마를 기반으로 한 파슨스의 사회 시스템 분석 사용은 그의 저서 ''경제와 사회''(N. 스멜서와 함께, 1956)에서 확립되었으며 그 이후의 모든 작업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AGIL 시스템은 처음에는 "초보적인" 형태로 존재했으며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점차 정교해지고 확장되었다. 파슨스의 AGIL 스키마에 대한 간략한 소개는 ''아메리카 대학교''의 2장에서 나타난다.[202]
3. 4. 사회 진화론
파슨스는 사회 진화를 분화, 적응, 포함, 가치 일반화라는 네 가지 하위 과정으로 설명했다.[124]과정 | 설명 |
---|---|
분화 | 사회가 주요 기능에 따라 여러 하위 시스템으로 나뉜다. |
적응 | 하위 시스템은 더 효율적으로 변화한다. |
포함 | 이전에는 배제되었던 요소들이 사회 시스템에 포함된다. |
가치 일반화 | 복잡해지는 시스템을 정당화하는 가치가 증가한다. |
파슨스는 사회 발전 단계를 원시, 고대, 현대로 구분하고, 서구 문명을 현대 사회의 정점으로 보았다. 특히 미국을 가장 역동적으로 발전한 사회로 평가하며 미국 예외주의를 옹호했다.[63]
3. 5. 일반화된 상징적 매체
파슨스는 사회 시스템 내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매개체로 돈, 권력, 사회적 영향력, 가치 헌신 등의 개념을 제시했다. 각 매체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며, 사회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 간 교환 과정을 통해 기능한다. 예를 들어, 돈은 경제 시스템에서, 권력은 정치 시스템에서, 사회적 영향력은 사회 공동체에서, 가치 헌신은 신탁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23]3. 6. 가족 기능 이론
탤컷 파슨스는 가족의 기능으로 사회화와 안정화라는 두 가지 기능을 주장했다.[91]; 사회화의 기능
: 사회화란 인간이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해당 사회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이다. 파슨스는 가족도 사회와 마찬가지로 지위와 역할의 기능을 가지며,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화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보았다.
; 안정화의 기능
: 인간은 가족 안에서 정신적 안정을 찾고, 남녀 간의 성적 조절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가족의 기능은 변화해 왔지만, 그러한 가운데 가족의 안정화 기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4. 학문
파슨스는 1944년 초 하버드 대학교에서 사회 관계 학과의 신설을 이끌며 학과장 및 정교수로 승진했다.[58] 같은 해 중앙 정보국(전략 사무국) 합류 제안을 거절하고, 케임브리지 커뮤니티 위원회 후원 하에 보스턴 지역 내 민족 및 인종 간 긴장을 조사하는 프로젝트를 지휘했다.[59] 1946년에는 사회 과학 연구 위원회(SSRC)의 요청으로 사회 과학이 현대 세계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이는 1948년에 "사회 과학: 기본 국가 자원"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었다.[60]
1955년부터 1956년까지 코넬 대학교 교수진들과 파슨스의 저작을 논의하는 세미나가 열렸고, 이 논의는 맥스 블랙이 편집한 책 『탤컷 파슨스의 사회 이론: 비판적 고찰』에 요약되었다.[97] 이 책에는 파슨스의 에세이 "저자의 관점"과 더불어 에드워드 C. 데버루 주니어, 로빈 M. 윌리엄스 주니어, 챈들러 모스, 앨프리드 L. 볼드윈, 우리 브론펜브레너, 헨리 A. 랜드버거, 윌리엄 푸트 화이트, 블랙, 앤드루 해커 등의 글이 포함되었다. 1960년에 출판된 파슨스의 에세이 "패턴 변수 재고찰"[98]은 그의 이론적 전략과 이론 구축에 대한 접근 방식의 기본 원칙을 설명했다.
1973년 파슨스는 제럴드 M. 플랫과 함께 『미국 대학』을 출간했다.[152] 이 책은 1969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의뢰로 시작되어 1972년에 완료되었으며, 파슨스의 교육 혁명 개념과 "인지 복합체"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다. 인지 복합체는 인지적 합리성과 학습이 사회의 일반적 행위 체계 수준에서 상호 작용하는 영역을 설명하며, 현대 지식 기반 사회를 이해하는 이론적 기반이 된다.
파슨스는 1973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은퇴했지만,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브라운 대학교, 러트거스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등에서 강의와 저술 활동을 계속했다.[153][154] 1979년 뮌헨에서 사망하기 전까지 마틴 U. 마텔 교수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과 교류했다.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파슨스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학자 중 한 명이었지만, 그의 이론은 너무 추상적이고 사회적으로 보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8][203] 그러나 최근 제프리 알렉산더, 브라이언 터너, 리하르트 뮌흐, 롤랜드 로버트슨과 같은 학자들이 그의 사상을 부활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우타 게르하르트는 전기적, 역사적 관점에서 파슨스에 대해 저술했다. 현재 파슨스에 대한 주요 관심은 미국 외에 독일, 일본, 이탈리아, 영국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파슨스는 랄프 다렌도르프, 알랭 투렌, 니클라스 루만, 하버마스와 같은 많은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가장 유명한 제자는 머튼이었다.[18] 파슨스는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이었다.[204]
4. 1. 분석적 사실주의와 자발적 행동
파슨스는 "분석적 사실주의"라는 방법론과 "자발적 행동"이라는 존재론적 가정을 바탕으로 "행동 이론"[210]이라고 불리는 사회 분석 이론 체계를 만들었다. 분석적 사실주의는 객관적 현실과 인간 지식 간의 관계에 대한 유명론과 철학적 실재론의 절충안으로 볼 수 있다. 파슨스는 객관적 현실은 특정한 만남을 통해서만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개념 체계와 이론을 통해 일반적인 지적 이해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지적 수준에서 객관적 현실과의 상호작용은 항상 접근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헨더슨의 말을 인용해 "사실은 개념 체계에 대한 경험에 대한 진술이다."[211]라고 설명했다.파슨스는 로렌스 조셉 헨더슨과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에게서 분석적 사실주의에 대한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했다.[182] 그는 자신의 분석적 사실주의가 한스 바잉거(Hans Vaihinger)의 "허구주의"와 매우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며 객관적 현실에 대한 언급을 중요하게 생각했다.[183]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파슨스의 행동 이론은 실증주의의 과학적 엄격함을 유지하면서도, 해석학적 사회학 이론에 통합된 인간 행동의 "주관적 차원"의 필요성을 인정한다. 그는 인간 행동이 동기적 요소와 함께 이해되어야 하며, 사회 과학은 목적, 의도, 이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행동주의나 유물론적 접근 방식이 목적, 의도, 이상을 분석에서 제거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파슨스는 인간의 삶에서 문화적 요소의 부호화가 본질적이며, 문화는 사회 시스템의 다른 요소에서 "추론"될 수 없는 독립 변수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방법론적 의도는 《사회적 행위의 구조》에서 가장 정교하게 제시되었다.
《사회적 행위의 구조》의 주제 중 일부는 "사회학 이론에서 궁극적 가치의 위치"라는 에세이에서 먼저 제시되었다.[186]
탤컷 파슨스와 알프레드 슈츠 사이의 격렬한 서신 교환과 대화는 《사회적 행위의 구조》의 핵심 개념의 의미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4. 2. 사회적 행동의 구조
파슨스의 대표작 ''사회 행동의 구조''(1937)는 막스 베버, 에밀 뒤르켐, 빌프레도 파레토 등의 사상을 종합하여 사회학 이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185] 이 책에서 파슨스는 자발적 행위 이론을 제시하고, 사회 시스템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1998년 국제 사회학 연맹은 이 책을 20세기 사회학 서적 중 아홉 번째로 중요한 것으로 선정했다.[185]파슨스는 엘리 할레비의 ''철학적 급진주의의 형성''(La formation du radicalisme philosophique, 1901–1904)을 읽고 큰 영향을 받았는데, "할레비는 정말 다른 세계였고... 영국 공리주의 사상의 주된 흐름에 특유한 가정들, 즉 '이익의 자연적 동일성' 등에 대한 많은 설명을 얻는 데 도움을 주었다. 나는 여전히 그것이 지적 역사의 진정한 걸작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라고 설명했다.[35]
4. 3. 시스템 이론과 사이버네틱스
파슨스는 시스템 이론과 사이버네틱스가 사회 및 행동 과학의 최전선에 있던 시기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215] 그는 사회 및 행동 과학에서 다루는 관련 시스템이 "개방형", 즉 다른 시스템과 환경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았다. 사회 및 행동 과학에서 가장 큰 시스템은 "행동 시스템"인데, 이는 인간의 상호 관련된 행동이 물리적-유기적 환경에 포함된 것이다.[215]파슨스는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사이버네틱스 및 시스템 이론 분야와 점점 더 밀접하게 연관되었으며, 에머슨의 항상성 개념[188]과 에른스트 마이어의 "목적론적 과정" 개념도 활용했다.[189] 그는 메타이론 수준에서 심리학적 현상학과 관념론, 그리고 파슨스가 공리주의-실증주의적 복합체라고 부르는 순수한 유형들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고 시도했다.
파슨스의 이론은 사회문화 진화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과 세계사의 주요 동인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포함한다. 그의 역사 및 진화 이론에서, 행동-시스템적 수준의 사이버네틱 계층 구조의 구성적-인지적 상징화는 원칙적으로 DNA가 생물학적 진화를 제어하는 유전 정보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그러나 그 메타시스템적 제어 요인은 어떤 결과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 자체가 실제 길을 찾는 사람의 방향 설정을 정의한다. 파슨스는 사회의 구성적 수준을 노엄 촘스키의 "심층 구조" 개념과 비교했다.
파슨스는 "심층 구조는 그 자체로 일관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어떤 문장도 명확하게 표현하지 않는다. 표면 구조가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수준을 구성한다. 이 둘을 연결하는 것은 촘스키의 표현을 빌리자면 변환 규칙 집합이다."라고 썼다.[190] 변환 과정과 개체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경험적 분석의 한 수준에서는 신화와 종교에 의해 수행되거나 실현되지만,[191] 철학, 예술 시스템 또는 심지어 기호학적 소비 행동도 원칙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92]
파슨스의 이론은 사회 과학의 통일된 개념, 그리고 일반적으로 생명 시스템에 대한 비전을 반영한다.[193] 그의 접근 방식은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 시스템 이론과 본질적으로 다르다. 파슨스는 시스템이 개별 행위자의 실제 행동 시스템을 제외하고는 자기 생성적일 수 있다는 생각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시스템은 내재적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결국 개별 행위자의 역사적 노력인 행동 시스템의 제도화된 과정의 결과일 뿐이다. 루만이 시스템의 내재성에 집중한 반면, 파슨스는 자기 촉매적이고 항상성적인 과정에 대한 질문과 궁극적인 "최초 동인"으로서의 행위자에 대한 질문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항상성 과정은 필요하다면 발생할 수 있지만, 행동은 필연적이다.
파슨스의 격언(역사에서 상위 사이버네틱 시스템은 사이버네틱 계층의 하위 수준에서 조직된 사회적 형태를 제어하는 경향이 있다)은 오직 행동의 궁극적인 참조 관점에서만 이해되어야 한다. 파슨스에게 일반적인 행동 수준에서 사이버네틱 계층의 최고 수준은 그가 문화 시스템의 구성 부분(L의 L)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나 시스템의 상호 작용 과정 내에서 특히 문화-표현주의적 축(AGIL의 L-G선)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파슨스는 일반적으로 "구성적"이라는 용어로 특히 종교적 요소를 포함한 매우 고도로 코드화된 문화적 가치를 언급했다(그러나 "구성적"이라는 용어에 대한 다른 해석도 가능하다).[194]
문화 시스템은 사회 시스템의 규범적이고 지향적인 패턴과 독립적인 지위를 가진다. 어느 시스템도 다른 시스템으로 환원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순수한 역사적 실체로서의 사회 시스템의 "문화 자본"( "신탁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에 대한 질문은 해당 시스템의 더 높은 문화적 가치와 동일하지 않다. 즉, 문화 시스템은 주어진 사회 시스템으로 환원될 수 없거나 사회 시스템의 "필요성" (또는 그 경제의 "필요성")으로부터 물질주의적(또는 행동주의적) 추론으로 간주될 수 없는 메타 구조적 논리를 구현한다.[195]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는 실제 사회 문화적 단위(예: 서구 문명)의 요소로서뿐만 아니라, 원래의 문화적 기반이 고대 그리스 및 고대 이스라엘과 같이 상호 침투를 통해 "보편화"되고 많은 수의 사회 시스템으로 확산되는 방식, 즉 원래 사회적 기반이 소멸되었지만 문화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문화적 패턴으로 살아남은 방식(예: 그리스 철학 또는 기독교의 경우, 이스라엘에서 기원한 변형된 파생물)과 같이 독립적인 전환력을 가질 것이다.[196]
4. 4. 사회과학의 통일 개념
파슨스는 사회과학의 통일된 개념을 추구했다. 그는 사회 현상을 다양한 학문 분야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사회 시스템 이론을 통해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일반 이론을 제시하고자 했다.[217] 파슨스는 자신의 이론이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 시스템 이론과 다르다고 주장하며, 행위자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시스템이 자동적인 것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거부하고, 시스템은 개별 행위자들의 노력의 결과라고 보았다. 루만이 체계의 본질에 초점을 맞춘 반면, 파슨스는 행위자와 항상성적 과정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217]파슨스는 문화 시스템이 사회 시스템의 규범적 패턴으로부터 독립적인 지위를 가지며, 어느 시스템도 다른 시스템으로 축소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는 문화 시스템이 고도로 성문화된 문화적 가치, 특히 종교적 요소를 언급하며, 이는 사회 시스템으로 환원될 수 없는 전이 논리를 구현한다고 설명했다.[218][219]
파슨스는 신고전학파 경제학과 제도학파 경제학 사이의 논쟁에서 미묘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신고전학파의 공리주의적 편향을 비판했지만, 그들의 이론적, 방법론적 접근 방식에는 부분적으로 동의했다. 그는 제도학파의 방법론적 입장에 대해 슘페터와 논쟁하며, 제도학파가 주로 기술적이고 이론적 초점이 없는 경험적 학문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35]
파슨스는 알프레드 슈츠와 현상학적 사회학에 대해 논쟁했다. 슈츠는 파슨스의 이론을 높게 평가했지만, 그의 사회화된 현상학과 파슨스의 자발적 행위 개념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파슨스는 슈츠의 입장이 너무 사변적이고 주관적이며, 사회적 과정을 ''생활세계'' 의식의 표현으로 축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했다.[43] 파슨스는 과학과 철학을 구분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경험적 이론 구성을 위한 개념적 체계는 시대마다 인식론적 균형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44][45]
파슨스는 에릭 뵈겔린과 서신을 통해 자본주의, 서구의 부상, 나치즘의 기원에 대해 논의했다. 두 학자는 칼뱅주의의 특징에는 동의했지만, 그 역사적 영향에 대해서는 다른 견해를 보였다. 뵈겔린은 칼뱅주의를 전체주의 이념으로 간주한 반면, 파슨스는 칼뱅주의가 현대 사회 제도의 부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47][48][49]
파슨스는 스튜어트 C. 도드의 "S-이론"이 사회 과학의 일반적인 패러다임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도드의 이론이 인간 상호 작용의 문화적, 동기적 차원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52]
파슨스는 나치즘의 원인을 분석하고 전후 독일 문제를 논의하는 회의에 참여하여, 로렌스 S. 쿠비의 환원주의적 주장에 반대했다. 그는 독일 민족성을 "파괴적"이라고 보는 쿠비의 견해와 독일 교육 시스템을 직접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에 반박하며, 독일인의 재정향 문제를 정신의학적 용어로만 보는 것을 경계했다.[53] 또한 파슨스는 극단적으로 가혹한 모겐소 플랜에도 반대했다.[54]
파슨스는 공산주의와 파시즘을 동일한 문제의 두 측면으로 보고, "경험적 최종론"이라고 칭하며 비판했다. 그는 미국적 가치가 "도구적 행동주의" 원칙에 기반한다고 강조하며, 이는 청교도주의의 결과라고 보았다. 파슨스는 모든 유형의 "근본주의"가 인류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이라고 주장했다.[63][64]
파슨스는 미국 예외주의를 옹호하며, 영국사에서 종교 개혁의 영향이 특정 강도에 도달하여 칼뱅주의적 가치 패턴이 제도화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청교도 혁명의 급진적 경향이 미국 정착민들에게 영향을 미쳐, 개인주의, 평등주의, 국가 권력에 대한 회의주의, 종교적 소명에 대한 열정을 가진 새로운 국가가 탄생했다고 보았다.[69] 파슨스는 미국이 기본적인 혁명적 칼뱅주의 가치 패턴을 유지하며, 이는 다원적이고 고도로 개별화된 사회, 두텁고 네트워크 지향적인 시민 사회를 통해 산업화 과정에서 선두를 차지하게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특징이 미국을 세계 선두의 위치에 있게 했지만, 이는 "사물의 본질"이 아닌 역사적 과정이라고 강조했다.[71]
5. 비판
파슨스의 이론은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복잡하며 현실 세계를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의 구조기능주의는 사회 변화와 갈등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보수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8][203]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학생 반란 시기에 좌파 학자들과 지식인들은 파슨스의 이론이 본질적으로 보수적이며, 심지어 반동적이라고 주장했다.[99] 앨빈 굴드너는 파슨스가 뉴딜 정책의 반대자였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파슨스의 이론은 사회 변화, 인간의 고통, 빈곤, 박탈, 갈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더불어, 개인을 "과잉 사회화"되었거나 억압적인 규범에 순응하는 존재로 묘사한다는 비판도 받았다.[99] 위르겐 하버마스[100] 등은 파슨스의 시스템 이론과 행위 이론이 서로 대립되며, 특히 시스템 이론이 "기계적", "실증주의적", "반개인주의적"이라고 비판했다.
파슨스의 진화론은 "단선적", "기계적", "생물학주의적"이며, 세계 시스템의 현상 유지를 옹호하거나 "자본주의 국가"를 위한 숨겨진 설명서라는 비판도 있었다. 이러한 비판은 루이스 코저[101], 랄프 다렌도르프[102], 데이비드 록우드,[103] 존 렉스,[104] C. 라이트 밀스[105], 톰 보토모어[106], 굴드너[107] 등이 제기했다. 테다 스코치폴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시스템이 파슨스 이론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주장했다.[99]
6. 영향 및 유산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파슨스는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사회학자 중 한 명이었지만, 동시에 가장 논쟁적인 인물 중 한 명이기도 했다.[18] 그의 후기 작품들은 비판을 받았고, 1970년대에는 그의 이론이 너무 추상적이고, 접근하기 어렵고, 사회적으로 보수적이라는 시각으로 인해 대체로 무시되었다.[18][203]
최근, 파슨스의 사상, 특히 종종 간과되는 후기 작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제프리 알렉산더, 브라이언 터너, 리하르트 뮌흐, 롤랜드 로버트슨과 같은 파슨스 학파 사회학자 및 사회 과학자들이 그의 사상을 부활시키려는 시도를 해왔으며, 우타 게르하르트는 전기적, 역사적 관점에서 파슨스에 대해 글을 썼다. 현재 파슨스에 대한 주요 관심 지역은 미국 외에 독일, 일본, 이탈리아, 영국 등이다.
파슨스는 랄프 다렌도르프, 알랭 투렌, 니클라스 루만, 하버마스와 같은 많은 미국 및 국제 학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초기 멘토 역할을 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제자는 머튼이었다.[18] 파슨스는 미국 철학 학회 회원이었다.[204]
7. 주요 저서
- 《사회적 행위의 구조》
- 1983년, 《사회 체계의 구조와 변화》(The Structure and Change of the Social System), 쿠라타 와시오 편집 (파슨스의 두 번째 일본 방문 강연).
- 1986년, 《사회 과학: 기본적인 국가 자원》(Social Science: A Basic National Resource), S.Z. 클라우스너 & 빅터 리즈 편집 (1948년경 작성).
- 1991년, 《초기 에세이》(The Early Essays)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에세이), 찰스 카믹 편집.
- 1993년, 《민족 사회주의에 관하여》(On National Socialism)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에세이), 우타 게르하르트 편집.
- 2007년, 《미국 사회: 사회 공동체 이론을 향하여》(American Society: Toward a Theory of Societal Community), 주세페 시오르티노 편집.
- 탤컷 파슨스, 케네스 B. 클라크 (공저), 《흑인 미국인》(The Negro American), 비콘 프레스, 1967.
- 탤컷 파슨스 (편집), 《지식과 사회: 미국 사회학》(Knowledge and Society: American Sociology), 뉴욕: 베이직 북스, 1968. (탤컷 파슨스의 서문이 있는 에세이 모음집)
- 탤컷 파슨스, 빅터 M. 리즈 (공저), 《전근대 사회 읽기》(Readings in Premodern Societies), 잉글우드 클리프스, 프렌티스-홀, 1972.
-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1905년), 파슨스 1930년 번역. (이 책의 최초 영어 번역본)
- 막스 베버, 《사회경제 조직의 이론》(1921–22), 파슨스와 알렉산더 모렐 헨더슨이 1947년에 공동 번역.
참조
[1]
서적
Transcending Capitalism: Visions of a New Society in Modern American Thought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
논문
The Amherst Essays: Talcott Parsons's Initial Foray into Sociology
[3]
문서
"On the Foundations of the Theory of Action in Whitehead and Parsons"
The Free Press
[4]
웹사이트
Robert Freed Bales
https://news.harvard[...]
2006-04-20
[5]
논문
The 'Bellah Affair' at Princeton: Scholarly Excellence and Academic Freedom in America in the 1970s
[6]
웹사이트
PRdream Mourns the Passing of Frank Bonilla, 1925–2010
http://www.prdream.c[...]
2010-12-29
[7]
논문
Review of ''In the Field: A Sociologist's Journey'', by Renée C. Fox
[8]
서적
Ethnomethodology's Program: Working Out Durkheim's Aphoris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9]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a Multicultural World: The Cultural Politics of Facts and Artifact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서적
Modernization as Spectacle in Africa
Indiana University Press
[11]
논문
Toxic Leadership: A Rejoinder
[12]
논문
The Sociology of the Sacred: A Conversation with Jeffrey Alexander
https://repositorio.[...]
[13]
간행물
Kluckhohn, Clyde
Sage Reference
[14]
서적
Talcott Parsons and American Sociology
https://archive.org/[...]
Nelson
[15]
서적
Habermas and the Dialectic of Reason
Yale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Content Pages of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Social Science
http://hirr.hartsem.[...]
[17]
문서
Social Systems and The Evolution of Action Theory
The Free Press
[18]
문서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Theory: Theorists, Concepts, and their Applicability to the Twenty-First Century
Wiley
[19]
문서
"A Christian Critique of Socialism"
[20]
논문
"Some Remarks on Talcott Parsons's Family"
2004-09
[21]
논문
On Building Social System Theory: A Personal History
http://www.jstor.com[...]
1970
[22]
논문
"The Theory of Human Behavior in its Individual and Social Aspects."
1996
[23]
논문
"A Behavioristic Concept of the Nature of Morals"
1996
[24]
논문
"Beyond the Myth of "Radical Breaks" in Talcott Parsons's Theory: An Analysis of the Amherst Papers."
1996
[25]
문서
"Between Discursivity and Sensus Communis: Kant, Kantianism and the Social Media Theory of Talcott Parsons"
[26]
문서
"The Circumstances of My Encounter with Max Weber"
Ablex
[27]
논문
"Much More than a Mere Translation Talcott Parsons' Translation into English of Max Weber's Protestantische Ethik und der Geist der Kapitalismus: An Essay in Intellectual History."
2007
[28]
논문
"Review of Max Webers Wissenschaftslehre, by Alexander von Schelting"
[29]
문서
"Jean Calvin: Les hommes et les choses de son temps"
[30]
논문
"The Harvard Department of Economics from the Beginning to World War II"
[31]
웹사이트
Papers of Talcott Parsons
https://hollisarchiv[...]
[32]
문서
"Pareto's Central Analytical Schem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
문서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Susan Kingsbury
1933-04-15
[34]
문서
"Opening Doors: The Life and Work of Joseph Schumpeter Vol 2: America"
Transaction Publishers
[35]
문서
"Dialogues with Parsons"
[36]
간행물
Christian Science Monitor
1940-05-25
[37]
문서
"Talcott Parsons and the \"Far East\" at Harvard, 1941–48: Comparative Institutions and National Policy."
American Sociologist
2000
[38]
문서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Arthur U. Pope
Talcott Parsons collection. Harvard University Archives.
1941-12
[39]
문서
"Memorandum of a Proposed Sociological Study of Social Consequences of Conquest and Occupation in Certain European Countries."
Talcott Parsons Collection. Harvard University Archives.
[40]
서적
Talcott Parsons: An Intellectual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41]
논문
"The Limitation of Phenomenology: Alfred Schutz's critical dialogue with Edmund Husserl."
Husserl Studies
1984-12
[42]
서적
Der sinnhafte Aufbau der Sociale Welt: eine Einleitung in die verstehende Soziology
J. Springer
1932
[43]
서적
The Correspondence between Alfred Schutz and Talcott Parsons: The Theory of Social Ac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78
[44]
논문
"Talcott Parsons and the Phenomenological Tradition in Sociology: An Unresolved Debate."
Human Studies
1980
[45]
논문
"The Theoretical Quandary of Subjectivity: An Intellectual Historical Note on the Action Theories of Talcott Parsons and Alfred Schutz."
Review of European Studies
2009-06
[46]
문서
"A 1974 Retrospective Perspective."
Indiana University Press
1978
[47]
문서
"The Place of Max Weber in the Post-Structure Writings of Talcott Parsons"
Rowman & Littlefield
2001
[48]
논문
Critical Naïveté? Religion, Science and Action in the Parsons-Voegelin Correspondence
https://zenodo.org/r[...]
2019-07-05
[49]
논문
Correspondence, 1940–1944
https://dx.doi.org/1[...]
2013
[50]
문서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Eric Voegelin
Talcott Parsons collection. Harvard University Archive.
1941-10-19
[51]
서적
Dimensions of Society: A Quantitative Systematics for the Social Sciences
Macmillan
1942
[52]
논문
"Review of Dimensions of Society: A Quantitative Systematics for the Social Sciences by Stuart Carter Dodd."
1942-10
[53]
서적
Talcott Parsons: An Intellectual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4]
논문
"The Problem of Controlled Institutional Change: An Essay in Applied Social Science."
1945
[55]
문서
"Introduction: Talcott Parsons's Sociology of National Socialism."
Aldine de Gruyter
1993
[56]
논문
"Talcott Parsons and the Transformation from Totalitarianism to Democracy in the end of World War II."
1996
[57]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P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22
[58]
문서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Dean Paul Buck
Talcott Parsons Collection. Harvard University Archives.
1944-04-03
[59]
논문
"A World from Brave to New: Talcott Parsons and the War Effort at Harvard University".
1999
[60]
문서
"Social Science: A Basic National Resour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6
[61]
문서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alcott Parsons: The Second World War and its Aftermath".
Sage Publications
1991
[62]
서적
Vlasov and the Russian Liberation Movement: Soviet reality and émigré theo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63]
문서
"A Tentative Outline of American Values"
Sage Publication
1991
[64]
문서
"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Nature and Trends of Change of Ethnicity"
The Free Press
1977
[65]
서적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Roxbury Publishing Company
2002
[66]
문서
"Are there Cultural Limits to Inclusion? An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Social Evolution in Talcott Parsons' Theory."
FrancoAngeli
2001
[67]
문서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Eric Voegelin
Talcott Parsons collection, Harvard University Archive.
1941-05-13
[68]
논문
"Religious and Economic Symbolism in the Western World."
1979
[69]
서적
American Society: A Theory of Societal Community
Paradigm Publishers
2007
[70]
서적
Democracy in America
Schocken Books
1961
[71]
논문
Sociological Reflections on the United States in Relation to the European War
Aldine de Gruyter
1941
[72]
논문
In defence of Modernity: Talcott Parsons and the Utilitarian Tradition
1984-05
[73]
서적
Talcott Parsons on Economy and Society
Routledge
[74]
서적
Talcott Parsons: Economist Sociologist of the 20th Century
Blackwell
[75]
서적
The Social System
The Free Press
[76]
서적
Toward a General Theory of A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77]
간행물
Toward a General Theory of Action*
https://www.cambridg[...]
2022-05-20
[78]
서적
Working Papers in The Theory of Action
The Free Press
[79]
서적
Economy and Society
Routledge & Kegan Paul
[80]
논문
The Theory of Symbolism in Relation to Action
The Free Press
[81]
서적
Signs, Language and Behavior
Prentice-Hall
[82]
논문
The Superego and the Theory of Social Systems
The Free Press
[83]
서적
The Wisdom of the Body
Norton
[8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Experimental Medicine
Dover
[85]
논문
The Present Status of "Structural-Functional" Theory in Sociology
The Free Press
[86]
서적
Cybernetics: Or the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Man and the Machine
MIT Press
[87]
서적
Design for a Brain
Chapman & Hall
[88]
서적
Problems of Consciousness: Transactions of the Fourth Conference, March 29,30 and 31, 1953, Princeton, NJ
Corlies, Macy & Company, Inc
[89]
기타
Letter from Samuel Stouffer to Talcott Parsons
1954-02-05
[90]
기타
Affidavit of February 23, 1954, from Talcott Parsons: Before the Eastern Industrial Personnel Security Board: Matter of Samuel Stouffer"
1954-02-23
[91]
서적
Family, Socialization and Interaction Process
Routledge & Kegan Paul
[92]
서적
The Growth and Structure of Motives
The Free Press
[93]
기타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James Olds of March 21, 1956
1956-03-21
[94]
기타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François Bourricaud, February 7, 1955
1955-02-07
[95]
논문
The Untold Friendship of Kenneth Burke and Talcott Parsons
1997
[96]
논문
The Concept of Culture and the Social System
1958
[97]
서적
The Social Theories of Talcott Parsons: A Critical Examin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98]
논문
Pattern Variables Revisited: A Response to Robert Dubin
1960-08
[99]
서적
States and Social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논문
Talcott Parsons: Problems of Theory Construction
1981
[101]
서적
The Function of Social Conflict
The Free Press
[102]
논문
Out of Utopia
1958
[103]
논문
Some Remarks on the Social System
1958
[104]
서적
Problems in Sociological Theory
[105]
서적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06]
간행물
Out of this world.
New York Review of Books
1969-11-06
[107]
서적
The Coming Crisis of Western Sociology
Heineman
1970
[108]
서적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alcott Parsons: The Second World War and its Aftermath
Sage Publications
1991
[109]
편지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Robert N. Bellah
1960-11-25
[110]
서적
Talcott Parsons and the Capitalist Nation-Stat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85
[111]
간행물
Theoretical Approaches to Political Support.
Canad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1976-09
[112]
편지
Letter from Robert N. Bellah to Talcott Parsons
1959-03-23
[113]
편지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Robert N. Bellah
1960-08-19
[114]
서적
Errand into the Wilderne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115]
편지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Robert N. Bellah
1960-09-30
[116]
서적
The New England Mind: The Seventeenth Century.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117]
웹사이트
Neal, (Sister) Marie Augusta - Dictionary definition of Neal, (Sister) Marie Augusta - Encyclopedia.com: FREE online dictionary
http://www.encyclope[...]
2014-11-27
[118]
서적
The Link Between Character and Society.
The Free Press
1961
[119]
서적
The Lonely Crowd.
Yale University Press
1950
[120]
서적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Scribner's
1902
[121]
간행물
On the Concept of Political Power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63
[122]
간행물
On the Concept of Influence.
Public Opinion Quarterly
1963
[123]
간행물
On the Concept of Value-Commitment.
Sociological Inquiry
1968
[124]
서적
Max Weber and Sociology Today.
Harper & Row
1971
[125]
간행물
Evaluation and Objectivity in Social Science: An Interpretation of Max Weber's Contribution.
Free Press
1967
[126]
편지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Reinhard Bendix
1964-04-06
[127]
편지
Letter from Reinhard Bendix to Talcott Parsons
1964-04-06
[128]
간행물
Rationalization, Transformations of Consciousness and Intercivilizational Encounters: Reflections on Benjamin Nelson's Sociology of Civilizations.
International Sociology
2001-09
[129]
간행물
Discussion of Industrialization and Capitalism by Herbert Marcuse.
Harper Torchbooks
1971
[130]
편지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Benjamin Nelson
1967-02-13
[131]
편지
Letter from Benjamin Nelson to Talcott Parsons
1967-09-18
[132]
편지
Letter from Benjamin Nelson to Talcott Parsons
1967-09-15
[133]
서적
American Kinship: A Cultural Account
Prentice-Hall
1968
[134]
서적
Religion as a Cultural System
Basic Books
1973
[135]
서적
Comment on 'Religion as a Cultural System' by Clifford Geertz
Beason
1968
[136]
편지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David Schneider
1968-04-25
[137]
편지
Letter from David M. Schneider to Talcott Parsons
1968-04-28
[138]
편지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Gene Tanke,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8-07-25
[139]
서적
The Sociology of Knowledge and the History of Ideas
LIT Verlag
2006
[140]
서적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1936
[141]
서적
Talcott Parsons' "Sociology of Knowledge: Introductory Comments"
LIT verlag, Wien
2006
[142]
논문
Subjective Social Distance and Urban Occupational Stratification
1965
[143]
서적
Bonds of Pluralism: The Form and Substance of Urban Social Networks
New York: Wiley Interscience
1973
[144]
논문
Subjective Social Distance, Occupational Stratification, and Forms of Status and Class Consciousness: A Cross-national Replication and Extension
1976
[145]
논문
A 45-Year Retrospective on Doing Networks
2006
[146]
서적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Vancouver: Empirical Press
2004
[147]
논문
Law as an Intellectual Stepchild
1977
[148]
서적
Embattled Reason: Essays on Social Knowled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149]
논문
'Review essay: Embattled Reason: Essays on Social Knowledge, by Reinhard Bendix'
1972-01
[150]
서적
Scholarship and Partisanship: Essays on Max Web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0
[151]
논문
'Review of Scholarship and Partisanship: Essays on Max Weber, by Reinhard Bendix and Guenther Roth'
1972-05
[152]
서적
The American Universit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153]
서적
Academentia Praecox: The Scope of Parsons' Multi-systemic Language Rebellion
Indianapolis: Bobbs-Merrill
1971
[154]
서적
A Seminar with Talcott Parsons at Brown University: "My Life and Work", March 10, 1973
Blackwell
2006
[155]
서적
A Paradigm of the Human Condition
New York: Free Press
1978
[156]
서적
Action, Symbols and Cybernetic Control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2
[157]
간행물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Adrian Hayes, March 20, 1979
Harvard University Archives
1979-03-20
[158]
간행물
Letter from Adrian Hayes to Talcott Parsons, March 28, 1975
Harvard University Archives
1975-03-28
[159]
논문
The Sick Role and the Role of the Physician Reconsidered
1975
[160]
서적
The Broken Covenant: American Civil Religion in Time of Trial
New York: Seabury Press
1975
[161]
서적
Law as an Intellectual Stepchild
San Francisco
1978
[162]
논문
Parsons as a symbolic interactionist: A Comparison of Action and Interaction theory
1974
[163]
논문
Comment on 'Parsons as a Symbolic Interactionist' by Jonathan Turner
1975
[164]
서적
Structural Anthropology
Garden City, New York
1963
[165]
논문
A Few Considerations on the Place of Rationality in Modern Culture and Society
1976
[166]
서적
Living Systems
New York: McGraw-Hill
1978
[167]
간행물
Letter from Talcott Parsons to A. Hunter Dupree, January 10, 1979
Harvard University Archives
1979-01-10
[168]
논문
Review Essay: Concrete Systems and Abstracted Systems
1979
[169]
논문
Talcott Parsons and Japan in the 1970s
2000
[170]
논문
Some Reflections on Post-Industrial Society
1973-09
[171]
간행물
The Problem of Balancing Rational Efficiency with Communal Solidarity in Modern Society
Tokyo: Japan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973
[172]
간행물
Nature and Extent of Changes in Value Systems of Modern Societies
Tokyo: Japan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973
[173]
서적
Growth, Development, and Structural Change of the Social System
New York: The Free Press
1976
[174]
강연
On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1978-11-17
[175]
강연
Modern Society and Religion
1978-11-18
[176]
논문
"An Approach to the Theory of Organizations"
1979-04
[177]
강연
"Enter the New Society: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of Work and Leisure in Relation to Economic and Cultural Values"
1978-12-01
[178]
강연
"A Sociologist Looks at Contemporary U.S. Society"
1978-12-05
[179]
서적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McGraw-Hill
1937
[180]
서적
Introduction to Meta-Theory
The Free Press
1976
[181]
서적
"On Building Social System Theory: A Personal History"
The Free Press
1977
[182]
서적
"On the Foundations of the Theory of Action in Whitehead and Parsons"
The Free Press
1976
[183]
서적
The Philosophy of "As If"
Barnes & Noble
1952
[184]
논문
"On Theory and Metatheory"
1979-1980
[185]
웹사이트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Books of the XX Century
https://www.isa-soci[...]
2023-08-26
[186]
서적
"The Place of Ultimate Values in Sociological Theory."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1991
[187]
서적
Talcott Parsons on institutions and social evol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188]
서적
"Homeostasis and comparison of systems"
New York: Basic Books
1956
[189]
서적
"Teleological and teleonomic: A New Analysis."
Leiden: E.J. Brill
1974
[190]
서적
"Action, Symbol, and Cybernetic Control."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2
[191]
서적
"The Central Significance of 'religion' in Social Theory: Parsons as an epical theorist."
London: Sage Publications
1991
[192]
논문
"Religion and Cybernetic Concepts in the Theory of Action."
1982
[193]
논문
"Concrete Systems and Abstracted" Systems: Review article of Living Systems by James Grier Miller"
1979-09
[194]
문서
[195]
학회발표
"Culture as a Subsystem of Action: Talcott Parsons and Cultural Sociology."
2003
[196]
서적
Societies: Evolutionary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ew Jersey
1966
[197]
서적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McGraw-Hill
1937
[198]
서적
"Introduction to Meta-Theory"
The Free Press
1976
[199]
논문
"The Prospects of Sociological Theory"
The Free Press
1954
[200]
서적
"General Introduction"
The Free Press
1976
[201]
서적
Fundamentals of Sociology
Hutchinson Educational
1981
[202]
서적
The American Universit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203]
뉴스
Improbable research: measuring the fog of prose
https://www.theguard[...]
2011-01-17
[20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11-30
[205]
논문
T.パーソンズとソヴェト社会論
2010-07
[206]
서적
家族の機能
清水書院
[207]
서적
社会化の機能
清水書院
[208]
서적
安定化の機能
清水書院
[209]
백과사전
AGIL schema, ─圖式
두산백과
[210]
서적
Talcott Parsons: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A Study in Social Theory with Special Reference to a Group of Recent European Writers, New York: McGraw Hill 1937, 775 + lxi S
http://dx.doi.org/10[...]
Springer Fachmedien Wiesbaden
2016
[211]
저널
"
[212]
서적
Parsons' voluntaristic theory
http://dx.doi.org/10[...]
Routledge
2014-08-21
[213]
서적
Contents
http://dx.doi.org/10[...]
transcript Verlag
2014-12-31
[214]
저널
The Place of Ultimate Values in Sociological Theory
http://dx.doi.org/10[...]
1935-04
[215]
저널
The Sociology of Talcott Parsons. By Francois Bourricaud. Translated by Arthur Goldhammer; The Theories of Talcott Parsons: The Social Relations of Action. By Stephen P Savage. and Talcott Parsons: On Institutions and Social Evolution--Selected Writings. Edited by Leon H. Mayhew
http://dx.doi.org/10[...]
1984-03-01
[216]
저널
Religion and Cybernetic Concepts in the Theory of Action
http://dx.doi.org/10[...]
1982
[217]
저널
Concrete Systems and "Abstracted" Systems
http://dx.doi.org/10[...]
1979-09
[218]
저널
THE SOCIAL SYSTEM. By Talcott Parsons. Glencoe, Illinois: The Free Press, 1951. 575 pp. $6.00 and TOWARD A GENERAL THEORY OR ACTION. Edited by Talcott Parsons and Edward A. Shils.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51. 506 pp. $7.50
http://dx.doi.org/10[...]
1952-05-01
[219]
저널
Book Reviews : Talcott Parsons, Societies : Evolutionary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1966, 120 pp. S. N. Eisenstadt, Modernization: Protest and Change,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1966, 166 pp
http://dx.doi.org/10[...]
1968-09-01
[220]
저널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2: Lifeworld and system: a critique of functionalist reason
http://dx.doi.org/10[...]
1988-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