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티림 소로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티림 소로킨은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망명한 사회학자이다. 그는 사회 변동, 사회 계층, 이타주의 등을 연구했으며, 1930년부터 1959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사회학과를 설립했다. 소로킨은 37권의 저서와 400편이 넘는 논문을 저술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혁명의 사회학》, 《사회이동》, 《사회적 ·문화적 동학》 등이 있다. 그는 반공주의자였으며, 탤컷 파슨스와의 학문적 견해 차이로 갈등을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미 공화국 출신 - 발레리 레온티예프
러시아 가수 발레리 레온티예프는 1971년 음악 경력을 시작해 파격적인 무대와 해외 투어로 인기를 얻었으며, World Music Awards 러시아 최고 아티스트 선정, 골든 그래모폰 9회 수상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러시아의 사회학자 - 표트르 라브로프
표트르 라브로프는 19세기 러시아의 사회학자이자 철학자, 혁명가로서 인민주의 이론가이며, 사회 혁명을 위한 인민 교육과 선전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역사 서한》을 통해 사회학에서 주관적 방법을 주장하며 인텔리겐치아의 역할을 강조했으며, 망명 생활 중 국제노동자협회에서 활동하고 잡지 《전진》을 발행하며 인민주의를 선전하고 《노동자 마르세예즈》의 가사를 작사하기도 했다. - 러시아의 사회학자 - 니콜라이 미하일롭스키
니콜라이 미하일롭스키는 러시아의 인민주의 사상가이자 문학 평론가로, 영웅과 군중 이론을 통해 개인의 역할과 대중의 심리적 영향력을 강조하며, 테러리즘을 지지하고 자본주의를 비판했다. - 비교문화연구 -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는 영국의 인류학자이자 문화 진화론의 선구자로, 문화를 복합적인 전체로 정의하며 문화인류학의 기초를 세웠고,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문화의 진화적 발전을 연구했으며, 애니미즘을 종교의 초기 형태로 제시하고 잔존 개념을 통해 과거 문화의 흔적을 설명했다. - 비교문화연구 - 비교 문화 연구
비교 문화 연구는 문화 상대주의와 전체론적 관점에서 다양한 문화 현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객관적으로 비교·분석하여 문화 간 이해 증진과 상호 존중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지만, 문화적 상대주의의 문제점, 서구 중심주의적 시각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피티림 소로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피티림 알렉산드로비치 소로킨 |
출생일 | 1889년 2월 4일 (구 러시아력 1889년 1월 23일) |
출생지 | 코미 공화국, 러시아 투랴, 야렌스키 |
사망일 | 1968년 2월 10일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윈체스터 |
국적 | 러시아 제국 (1889–1917) 무국적 (1922–1930) 미국 (1930–1968) |
민족 | 러시아 민족 |
학문 분야 | |
분야 | 사회학 |
근무지 |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미네소타 대학교 |
모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대학교 |
주요 제자 | 로버트 K. 머턴 |
수상 | 미국 사회학 협회 55대 회장 |
배우자 | 엘레나 페트로브나 소로키나 (결혼 전 성은 바라틴스카야) (1894–1975) |
자녀 | 표트르 소로킨, 세르게이 소로킨 |
2. 생애
피티림 알렉산드로비치 소로킨은 러시아 제국의 코미 지역 투르야 마을에서 코미족 어머니와 러시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어머니와 아버지를 여의고 형과 함께 떠돌이 장인 생활을 하다가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사회학과 범죄학을 공부하고 교수가 되었다.
젊은 시절부터 차르 체제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여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며, 이러한 경험은 그의 학문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혁명당 당원으로서 러시아 혁명에 참여하여 러시아 제헌 의회 의원이 되었고,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10월 혁명 이후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 정권을 비판하며 반공주의 노선을 걸었다. 이로 인해 케렌스키파로 몰려 체포되고 사형 선고까지 받았으나, 구명 운동과 특사로 풀려나 다시 대학에서 가르쳤다.[41] 그러나 계속되는 정치적 탄압으로 인해 결국 1922년(혹은 1923년) 소련을 떠나 미국으로 망명했다.
미국에서는 1924년부터 미네소타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고, 1930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고 하버드 대학교로 옮겨 사회학과를 창설하고 1959년까지 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미국 사회와 학계에서도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동료 교수 탤컷 파슨스를 비판하거나 미국 사회의 변화를 예견하기도 했다.[41] 그는 공산주의를 "인간의 해충"이라 부르며 강하게 비판했으며, 후기에는 인류 문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타적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연구 센터를 설립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러시아 시기)
피티림 알렉산드로비치 소로킨은 1889년 1월 23일 (1889년 2월 4일) 러시아 제국 볼로그다 현 야렌스키 군(현재 러시아 코미 공화국 크냐즈포고스트스키 구)의 작은 마을 투르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벨리키우스튜크 출신의 러시아인으로 금과 은 세공을 전문으로 하는 순회 장인 알렉산드르 프로코피예비치 소로킨이었고, 어머니는 제샤르트 출신의 코미족 농민 펠라게야 바실리예브나였다. 형 바실리(1885년생)와 남동생 프로코피(1893년생)가 있었다.1894년 3월 7일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소로킨은 형 바실리와 함께 아버지를 따라 일거리를 찾아 여러 곳을 떠돌았다. 남동생 프로코피는 고모 부부에게 맡겨졌다. 코미족 공동체 속에서 보낸 어린 시절은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훗날 그의 사상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아버지 알렉산드르는 알코올 의존증에 빠져 불안 증세와 함께 아들들에게 신체적 학대를 가했다. 소로킨이 11살 되던 해, 심한 구타로 입술 윗부분에 흉터가 남는 일을 겪은 후 형과 함께 아버지 곁을 떠나 독립했다.
형과 함께 마을을 떠나 여행 장인으로 일하며 생계를 꾸렸고, 러시아의 작은 마을 야렌스크에 정착했다. 장학금을 받아 초등학교 고등과에 입학했고, 이후 사범학교에 진학했으나 1906년 정치 활동 혐의로 체포되어 졸업하지는 못했다.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가서 야간 학교와 심리 신경과 학교를 거쳐 상트페테르부르크 제국 대학교에 입학했다. 대학에서는 사회학과 범죄학을 공부했으며, 졸업 후 모교에서 사회학 교수가 되었다.
소로킨은 차르 체제에 반대하는 활동을 벌였다. 17세 때 처음 체포된 것을 시작으로 반 차르 활동으로 총 세 차례 투옥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범죄학과 형벌학을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1910년 레프 톨스토이의 죽음은 젊은 소로킨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1912년 발표한 논문 "철학자로서의 L.N. 톨스토이"에서 톨스토이의 종교적, 도덕적 가르침을 체계적인 철학으로 분석했다. 특히 사랑, 악에 대한 비폭력 저항, 악행 금지 등 톨스토이의 기독교 윤리 원칙은 소로킨의 평생에 걸친 사상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사회혁명당 당원이었던 소로킨은 러시아 혁명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러시아 제헌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끄는 임시 정부에서 총리 비서로 일했다.
그러나 1917년 10월 혁명으로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자, 소로킨은 공산주의 노선에 반대하며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정권에 의해 여러 차례 체포되었고 결국 사형 선고까지 받았다. 다행히 6주간의 수감 생활 끝에 특사로 풀려나 다시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로 돌아가 사회학을 가르치고 사회학과를 설립했다. 하지만 레닌 정권 하에서 반공주의자였던 그는 계속해서 적군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었다.
결국 1922년, 소로킨은 소련 정부에 의해 국외로 추방되거나 스스로 탈출하여 러시아를 떠나게 된다.
2. 2. 러시아 혁명과 망명
차르 체제에 반대하는 활동을 했던 소로킨은 17세 때 처음 체포되었고, 이후에도 반 차르 활동으로 두 차례 더 투옥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범죄학과 형벌학을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교수가 되었다.소로킨은 사회혁명당 당원으로서 러시아 혁명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러시아 제헌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임시 정부에서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의 비서(보좌관)를 맡기도 했다. 또한 백군을 지지하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10월 혁명 이후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의 노선을 비판하며 공산주의 지도자들과 계속해서 대립했다. 이 때문에 새로운 정권에 의해 케렌스키파로 분류되어 여러 차례 체포되었고, 결국 사형 선고까지 받았다.[41] 다행히 6주간의 수감 생활 끝에 특사로 풀려나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교수로 복귀하여 사회학과를 창설했다.
하지만 레닌이 권력을 공고히 하면서 볼셰비키 세력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었다. 소로킨은 반공주의자로서 공산주의를 "인간의 해충"이라 부르며 강하게 비판했다. 결국 1922년, 소련 정부에 의해 국외로 추방되었거나 스스로 탈출하여 미국으로 망명했다.
미국으로 건너간 소로킨은 1924년부터 1929년까지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사회학 교수로 재직했다. 1930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여 귀화했으며, 같은 해 하버드 대학교로 초빙되어 사회학과를 창설하고 초대 학과장이 되었다. 그는 1959년까지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2. 3. 미국에서의 학문 활동 (미국 시기)
러시아의 11월 혁명 이후 케렌스키파로 몰려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구명 운동 덕분에 1923년 국외 추방령을 받아 미국으로 건너갔다.[41] 그는 러시아 혁명 당시 사회혁명당 소속으로 활동하며 러시아 제헌 의회 의원, 케렌스키 임시 정부 보좌관 등을 지냈으나, 10월 혁명 이후 레닌의 노선을 비판하다 체포되어 사형 선고까지 받았다가 특사로 풀려난 경험이 있다. 결국 레닌 세력에게 쫓기게 되어 망명길에 올랐다.미국으로 이주한 소로킨은 1924년부터 1929년까지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사회학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1930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여 귀화했으며, 같은 해 하버드 대학교 총장의 초빙을 받아 하버드로 옮겨 사회학과를 창설하고 초대 학과장이 되었다. 그는 1959년까지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그의 제자 중에는 작가 마이라 페이지도 있었다. 하버드 재직 당시 동료 교수였던 탤컷 파슨스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연도 | 주요 경력 |
---|---|
1923년 | 미국 망명 (국외 추방) |
1924년 ~ 1929년 | 미네소타 대학교 사회학 교수 |
1930년 | 미국 시민권 취득 및 귀화 |
1930년 ~ 1959년 | 하버드 대학교 사회학 교수 (사회학과 창설 및 초대 학과장) |
소로킨은 반공주의자로서 공산주의를 "인간의 해충"으로 간주하며 강하게 반대했다. 그의 주요 저작으로는 Social and Cultural Dynamics|사회문화 역학eng이 꼽히는데, 이 책에서 그는 사회를 '문화적 정신'에 따라 분류했다. 이 분류는 현실을 영적이고 비물질적인 것으로 보는 관념적(Ideational), 진실을 물질적이고 유동적인 것으로 보는 감각적(Sensate), 그리고 이 둘을 종합한 관념론적(Idealistic) 정신으로 나뉜다.[17] 그는 서구 문명과 같은 주요 문명이 관념적 정신에서 관념론적 정신으로, 그리고 결국 감각적 정신으로 발전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각 문화 발전 단계는 현실의 본질뿐만 아니라 인간의 필요와 목표, 충족 방법 등을 규정한다고 보았다. 소로킨은 당시 현대 서구 문명을 기술 발전에 몰두하는 감각적 문명으로 진단하며, 이것이 결국 퇴폐로 이어져 몰락하고 새로운 관념적 또는 관념론적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른 저작 Fads and Foibles in Modern Sociology and Related Sciences|유행과 어리석음eng에서는 루이스 터먼의 『천재에 대한 유전적 연구』를 비판했다. 소로킨은 터먼이 선정한 높은 IQ를 가진 아이들 그룹이 비슷한 가정 환경에서 무작위로 뽑은 아이들 그룹과 비교했을 때 성과 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지적했다.[5][18] 또한 미국인들의 성적 집착이 심화될 경우, 혼외 출산, 이혼, 동성애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 인식이 크게 변할 것이라고 예견하기도 했다.[41]
2. 4. 개인사
피티림 알렉산드로비치 소로킨은 1889년 1월 23일 (1889년 2월 4일) 러시아 제국 볼로그다 현 야렌스키 우예즈드의 투르야 마을(현재 러시아 코미 공화국 크냐즈포고스트스키 구)에서 태어났다.[41] 아버지는 벨리키우스튜크 출신의 러시아인으로 금과 은을 다루는 순회 장인이었고, 어머니는 제샤르트 출신의 코미 농민 가정 출신이었다. 위로 형 바실리(1885년생)가 있었고, 아래로 남동생 프로코피(1893년생)가 있었다. 1894년, 소로킨이 3세 때 어머니가 사망하자 그는 형과 함께 아버지를 따라 일자리를 찾아다녔고, 동생은 고모 부부에게 맡겨졌다. 코미족 공동체에서 보낸 어린 시절은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교육을 받으며 형성되었으며, 이는 훗날 그의 학문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아버지 알렉산드르 프로코피예비치는 알코올 의존증에 시달렸고, 이로 인한 불안과 공황 발작을 겪으며 아들들에게 신체적 학대를 가했다. 결국 11살 때 심한 구타를 당해 입술 윗부분에 흉터가 남은 후, 소로킨은 형과 함께 아버지를 떠나 독립했다. 그는 장인과 사무원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어린 시절부터 반차르주의 성향을 보였으며, 17세 때 처음 체포된 것을 포함하여 반체제 활동으로 총 세 차례 투옥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범죄학과 형벌학을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장학금을 받아 초등학교 고등과를 졸업하고 사범학교에 입학했으나 1906년 정치 활동 혐의로 체포되어 졸업하지 못했다. 이후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가서 야간 학교와 심리 신경과 학교를 거쳐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 입학, 사회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동 대학 교수가 되었다.
소로킨은 사회혁명당 당원으로서 러시아 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러시아 제헌 의회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끄는 임시 정부에서 케렌스키의 비서(또는 보좌관)로 활동했다.[41] 10월 혁명 이후에는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의 독재 노선을 비판하며 반공주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정권에 의해 여러 차례 체포되었고 결국 사형 선고까지 받았다. 그러나 6주간의 수감 생활 후 특사로 석방되어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로 돌아와 사회학 교수로 활동하며 사회학과를 창설했다.[41] 하지만 레닌 정권의 탄압은 계속되었고, 그는 적군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었다.
1922년, 소로킨은 소련을 떠나 미국으로 망명했다. 망명 과정에 대해서는 소련 정부에 의해 추방되었다는 설과 국가를 탈출하기 전에 몇 달 동안 숨어 지냈다는 설이 있다.[41] 미국으로 건너간 그는 1924년부터 1929년까지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사회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30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여 귀화했다.[41] 같은 해 하버드 대학교 총장의 초빙을 받아 하버드로 옮겨 사회학과를 창설하고 초대 학과장이 되었으며, 1959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 하버드 재직 중 동료 교수인 탤컷 파슨스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그의 제자 중에는 작가 마이라 페이지가 있었다.
소로킨은 공산주의를 "인간의 해충"으로 간주하며 강력히 반대했다. 그의 급진적인 사상과 변화를 추구하는 입장은 일부에게는 지도자로 받아들여졌지만, 다른 이들에게는 이단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이는 그의 망명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그는 미국인들의 성적 집착이 급격히 상승할 경우 혼외출산, 이혼, 동성애에 대한 역사적인 배척 풍조가 급격히 변할 것이라고 예언하기도 했다.[41]
그는 헬렌 바라틴스카야 박사와 결혼하여 두 아들, 피터와 세르게이를 두었다. 아들 피터 P. 소로킨은 저명한 물리학자가 되어 색소 레이저를 공동 발명했다.
소로킨은 말년에 심각한 질병으로 2년간 투병하다가 1968년 2월 10일, 79세의 나이로 매사추세츠주 윈체스터 자택에서 사망했다.[25] 자택에서 가족들을 위한 러시아 정교회식 장례가 치러졌고, 이후 하버드 대학교 기념 교회에서 여러 종교 형식이 혼합된 추모식이 열렸다.[26]
사후 그의 논문들은 캐나다 서스캐처원 대학교에 보관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2009년 3월에는 그의 고향인 코미 공화국 시크티프카르의 시크티프카르 국립 대학교 내에 소로킨 연구 센터가 설립되어 그의 학문적 유산을 연구하고 관련 자료를 출판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18][27]
3. 학문적 업적 및 사상
피티림 소로킨은 37권의 책과 400편이 넘는 논문을 저술한 다작의 사회학자였다.[5] 그의 학문적 여정은 초기 다양한 주제의 저술에서 시작하여, 사회 문화 역학과 사회 비판으로 이어졌고, 말년에는 이타주의 연구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1924년 미국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하기 전, 그는 러시아 혁명 시기의 경험을 담은 ''러시아 일기''를 출판했다. 이 책은 1917년 2월 혁명 이후 임시 정부 수립에 참여했으나, 같은 해 10월 볼셰비키에게 권력을 빼앗기고 망명하게 된 과정을 담은 개인적이고 솔직한 기록이다. 1950년에는 '그 후 30년'이라는 부록을 추가하여 출판하기도 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방대한 저서인 ''사회 문화 역학''(4권, 1937–41; 개정 및 요약판 1957)이다. 이 책에서 그는 독창적인 문화 유형론과 사회 변동 이론을 제시했으며,[17] 현대 서구 문명을 지나치게 물질주의적인 감각적(Sensateeng) 문명으로 진단하고, 이것이 결국 퇴폐로 이어져 새로운 관념적(Ideationaleng) 또는 관념론적(Idealisticeng) 시대로 전환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러한 감각적 문화에 대한 비판은 1937년 이후 그의 모든 저술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주제였다.[12][17] 그는 또한 사회 계층, 사회 이동, 사회 갈등, 사회학 이론의 역사 등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가졌다. 다만, ''사회 문화 역학''의 통계 분석에 대해서는 호넬 하트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중 출판된 ''러시아와 미국''(1944)은 평화를 위한 선전물의 성격도 지닌다. 소로킨은 미국과 러시아 문화가 다양성 속의 통일, 국제주의, 타 문화에 대한 관용 등 유사점을 공유하므로, 전후 주요 강대국이 될 두 나라가 우호 관계를 맺을 기반이 있다고 주장했다.[17]
소로킨은 이타주의 연구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타적 사랑이 사회 문제 해결의 핵심이라고 믿었다. 엘리 릴리(Eli Lilly)의 재정 지원을 받아 창의적 이타주의 연구를 심화시켰고, 이는 그에게 "이타주의 사회학의 창시자"라는 명성을 안겨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1949년 하버드 대학교에 "창의적 이타주의 연구 센터"를 설립했다.[20]
농촌 사회학 연구에도 기여하여 칼 C. 짐머만(Carle Zimmerman)과 협력하며 농촌-도시 사회학의 관점을 확장했다.[20]
하버드 대학교에서는 탤컷 파슨스와 동료였으나,[37] 미국 문명에 대한 비판적 시각 등 학문적 견해 차이로 인해 둘 사이에는 긴장이 존재했다. 하버드와 미국 사회학계가 파슨스를 더 선호하면서 소로킨의 입지가 약화되기도 했다.[20][21] 그의 제자 중에는 저명한 사회학자 로버트 K. 머튼 등이 있다.
1963년에는 미국 사회학회(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제55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이는 그의 전 제자들과 동료 사회학자들의 지지로 이루어진 결과였으며, 기입식 지명(write-in nomination)으로 회장에 당선된 최초의 사례였다.[22] 회장 연설 "어제의 사회학, 오늘의 사회학, 그리고 내일의 사회학"에서 그는 사회학이 단순한 탐구를 넘어 현실에 영향을 미치는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문화 시스템, 사회 시스템, 그리고 개인 간의 상호작용 연구의 중요성을 역설했다.[23]
소로킨은 정치에도 참여하여 권력의 정당성, 러시아의 민주주의, 민족 문제 등을 연구했다. 그는 공산주의 몰락 이후 러시아의 변화를 예측하며, 이러한 위기 속에서 세계가 이타적 사랑을 받아들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세계 헌법 초안 작성을 위한 협약에 서명했으며,[14][15] 이는 이후 세계 구성 의회 소집과 지구 연방 헌법 채택으로 이어졌다.[16] 냉전이 심화되던 1961년에는 존 F. 케네디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내 미소 간의 평화적 관계 수립을 촉구하며 자신의 연구를 참고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24]
그의 사상은 후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역사학자 앨런 칼슨은 소로킨의 공산주의 비판과 친가족주의적 관점에 동의했으며,[20] 제48대 미국 부통령 마이크 펜스는 2006년 동성 결혼 반대 연설에서 "역사상 사회 붕괴는 항상 결혼과 가족의 쇠퇴 이후에 초래되었다"는 소로킨의 주장을 인용하기도 했다.[20]
3. 1. 사회 변동 이론
소로킨의 연구는 사회 분화, 사회 계층화, 사회 갈등이라는 세 가지 주요 이론을 다룬다. 사회 분화 개념은 세 가지 유형의 사회 관계를 설명하는데, 그중 하나는 가장 연대성이 높고 구성원의 가치를 고려하며 상호 작용이 활발한 가족주의적 관계이다. 사회 계층화는 모든 사회가 상하 계층으로 나뉘며 부, 권력, 영향력이 불평등하게 분배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 계층 사이에는 항상 어느 정도의 사회 이동성이 존재하여 개인이나 집단이 위계 내에서 상승 또는 하락할 수 있다. 사회 갈등은 주로 그의 전쟁 이론으로 설명되는데, 평화는 국가 내부 또는 국가 간 가치관의 유사성에 기반하며, 전쟁은 가치가 파괴되는 단계와 일부 가치가 회복되는 쇠퇴 단계를 거친다고 보았다. 소로킨은 연대성이 증가하고 적대감이 감소하면 전쟁이 줄어들며, 사회 가치가 이기주의 대신 이타주의를 강조하면 전쟁 빈도가 감소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그의 대표작인 『사회문화 역학』(Social and Cultural Dynamicseng)에서 소로킨은 사회를 '문화적 정신'에 따라 분류했다. 이는 현실을 영적이고 비물질적인 것으로 보는 관념적(Ideationaleng), 진실을 물질적이고 유동적인 것으로 보는 감각적(Sensateeng), 또는 이 둘의 종합인 관념론적(Idealisticeng)으로 나뉜다.[17] 그는 주요 문명이 관념적 정신에서 관념론적 정신으로, 그리고 결국 감각적 정신으로 진화한다고 주장했다. 각 문화 발전 단계는 현실의 본질뿐만 아니라 인간의 필요와 목표, 충족 방법까지 규정한다. 소로킨은 현대 서구 문명을 기술 발전에 몰두하는 감각적 문명으로 진단하고, 퇴폐로 나아가 결국 새로운 관념적 또는 관념론적 시대로 전환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한 『유행과 어리석음』(Fads and Foibles in Modern Sociology and Related Scienceseng)에서는 루이스 터먼의 『천재에 대한 유전적 연구』를 비판하며, 터먼이 선정한 높은 IQ를 가진 아이들 그룹이 비슷한 환경의 무작위 아이들 그룹과 성과 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지적했다.[5][18]
엘리 릴리의 재정 지원을 통해 소로킨은 창의적 이타주의 연구를 심화시킬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그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고 "이타주의 사회학의 창시자"로 불리게 했다. 이를 바탕으로 1949년 하버드 대학교에 "창의적 이타주의 연구 센터"를 설립했으며, 알프레도 고츠키와 탤컷 파슨스 등이 강사로 참여했다.[20] 그러나 소로킨은 동료였던 파슨스의 연구를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미국 문명이 쇠퇴하고 있다고 본 소로킨의 시각은 미국 사회학자였던 파슨스와의 긴장을 유발했다. 결국 하버드 대학교와 미국 사회학계가 파슨스의 견해를 더 선호하면서 소로킨의 입지는 약화되었다.[20][21]
소로킨은 농촌 사회에도 관심을 기울였으며, 이는 칼 C. 짐머만과의 협력으로 이어져 농촌-도시 사회학 연구를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들은 농촌 생활 방식이 보수적 가치, 전통적 가족 구조, 수공업 또는 가족 중심 경제 등에 기반한다고 보았다.[20]
3. 2. 창조적 이타주의
피티림 소로킨은 이타주의 연구의 선구자로서, 사랑의 에너지가 최소 다섯 가지 차원을 갖는다고 보았다. 이 다섯 차원은 강도, 범위, 지속 시간, 순수성, 그리고 내면의 목적에 대한 객관적인 행동에서의 적절성이다.[19]- 강도: 사랑의 세기는 0에서 이론상 무한대까지 다양하다.
- 범위: 사랑은 자신에 대한 사랑(0점)에서 시작하여 모든 인류, 모든 생물, 나아가 우주 전체로 확장될 수 있다.
- 지속 시간: 사랑은 찰나의 순간부터 개인이나 집단의 전 생애에 걸쳐 지속될 수 있다.
- 순수성: 사랑은 오직 사랑 자체만을 동기로 하는 순수한 상태에서부터, 유용성, 쾌락, 이익 등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변질된 '오염된 사랑'까지 다양하다. 순수한 사랑에는 이기적인 동기가 없다.
- 적절성: 사랑의 표현은 각 개인이 사랑을 보여주고 친절하며, 자신의 행동 결과를 이해할 것이라는 기대에 기반한다.
소로킨은 그의 저서 "이타적 사랑(Altruistic Loveeng)"에서 어떤 유형의 사람들이 성스럽거나 이웃에게 친절하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는지 연구했다. 이를 통해 그는 궁극적으로 사회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이타적인 사람들을 더 많이 양성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그는 성인과 평범한 이웃들의 삶을 성별, 인종, 사회경제적 지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했다.[17]
소로킨은 하버드 대학교에 창의적 이타주의 연구 센터(Harvard Research Center in Creative Altruismeng)를 설립하여 사랑과 사회적 연대의 윤리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연구를 수행했다. 이 센터는 다양한 문화와 종교 전통에서 나타나는 이타적 사랑의 사례를 연구하며, 훈련을 통해 이타적 사랑을 함양함으로써 인간 사회의 갈등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소로킨은 정치 활동을 통해 권력의 정당성, 러시아의 대의 민주주의, 그리고 민족 문제와 민주적 구조의 연관성을 탐구했다. 그는 공산주의 몰락 이후 러시아가 겪게 될 갱신기를 예측했으며, 이러한 위기 속에서 세계가 이타적 사랑이라는 가치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열릴 것이라고 보았다. 이타적 사랑은 그의 후기 연구에서 핵심적인 주제가 되었다.
3. 3. 사회 계층과 사회 이동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피티림 소로킨의 "사회 계층과 사회 이동" 이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원본 자료는 주로 그의 창의적 이타주의 연구, 탤컷 파슨스와의 학문적 대립, 칼 C. 짐머만과의 농촌 사회학 연구, 후대 인물(앨런 칼슨, 마이크 펜스)에게 미친 영향, 그리고 냉전 시기 존 F. 케네디 대통령에게 보낸 서신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해당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을 작성하기 어렵다.3. 4. 탤컷 파슨스와의 관계
하버드 대학교에서 탤컷 파슨스와 동료였다.[37] 파슨스가 소로킨의 작품을 무단으로 차용했다는 비판도 있다.[39][40]3. 5. 기타 연구 분야
소로킨의 학문적 저술은 방대하여 37권의 책과 400편이 넘는 논문을 남겼다.[5] 그의 연구는 초기 다양한 저술에서 시작하여, 사회 문화 역학과 사회 비판으로 이어졌고, 이후 이타주의 연구로 나아가는 경향을 보였다.1924년 미국에서 교수로 활동하기 전, 그는 러시아 혁명 시기의 경험을 담은 ''러시아 일기''를 출판했다. 이 책은 1917년 2월 혁명 이후 임시 정부 수립에 참여했으나, 같은 해 10월 볼셰비키에게 권력을 빼앗기고 망명하게 된 과정을 기록한 개인적이고 솔직한 기록이다. 1950년에는 '그 후 30년'이라는 부록을 추가하여 출판했다.
그의 저서 중 하나인 ''러시아와 미국''(1944)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평화를 위한 선전물 성격도 지닌다. 소로킨은 미국과 러시아 문화가 다양성 속의 통일, 국제주의, 타 문화에 대한 관용 등 유사점을 공유하므로, 전후 주요 강대국이 될 두 나라가 우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주장했다.[17]
소로킨은 ''유행과 어리석음''이라는 저서에서 루이스 터먼의 『천재에 대한 유전적 연구』를 비판했다. 그는 터먼이 선정한 높은 IQ를 가진 아이들 그룹이 비슷한 가정 환경에서 무작위로 뽑은 아이들 그룹과 비교했을 때 성과 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지적하며,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5][18]
그의 연구는 농촌 사회학, 전쟁, 혁명, 사회 이동, 사회 변화 등 매우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다.[10] 그러나 그의 대표작인 ''사회 문화 역학''에 대해서는 호넬 하트와 같은 학자로부터 통계 분석의 문제점을 지적받기도 했다.[13]
소로킨은 또한 세계 헌법 초안 작성을 위한 협약 소집에 동의한 서명자 중 한 명이었다.[14][15] 이 노력은 이후 인류 역사상 최초로 세계 구성 의회를 소집하여 지구 연방 헌법을 초안하고 채택하는 결과로 이어졌다.[16]
하버드 대학교에서는 탤컷 파슨스와 동료였으나,[37] 파슨스가 소로킨의 연구 성과를 제대로 된 인용 없이 무단으로 차용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39][40] 그의 제자 중에는 훗날 저명한 사회학자가 된 로버트 K. 머튼 등이 있다.
4. 저서
- 《혁명의 사회학》(Sociology of Revolution) (1925)
- 《사회이동》(Social Mobility) (1927)
- 《사회적 ·문화적 동학》(Social and Cultural Dynamics) (4권, 1937–1941)
- 《사회 ·문화 및 퍼스낼리티》(Society, Culture and Personality) (1947)
'''영어 또는 영어 번역본'''
- Leaves from a Russian Diary영어 (러시아 일기에서) (1924), 뉴욕, E. P. 더튼
- The Sociology of Revolution영어 (혁명의 사회학) (1925), 뉴욕, J. B. 린코트
- Social Mobility영어 (사회 이동성) (1927), 뉴욕, 하퍼
-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영어 (현대 사회학 이론) (1928), 뉴욕: 하퍼. [https://web.archive.org/web/20170312195237/http://www.dli.ernet.in/handle/2015/49994 온라인 무료][28]
- Principles of Rural-Urban Sociology영어 (농촌-도시 사회학의 원리) (1929, 칼 C. 짐머만 공저) 뉴욕: H. 홀트. 서문: "농촌 사회학 소스북(Source book in rural sociology)" 요약, 미국 농무부와 미네소타 대학교의 후원하에 준비되어 1930년 또는 1931년에 출판될 3권.[29]
- The Sociology of Revolution영어 ([https://archive.org/details/in.ernet.dli.2015.515710 혁명의 사회학]) (1935). 복간본, H. 페르티그, 1967.[30]
- Social and Cultural Dynamics영어 (사회 및 문화 역학) (1937–1941), 신시내티: 미국 도서 회사, 1937–1941. 4권.
- The Crisis of Our Age영어 (우리 시대의 위기) (1941), 뉴욕: 더튼, 1941 "저자 소로킨의 사회 및 문화 역학(Social and cultural dynamics) 4권에 기반함."[31]
- Man and Society in Calamity: The Effects of War, Revolution, Famine, Pestilence upon the Human Mind, Behavior, Social Organization and Cultural Life영어 (재앙 속의 인간과 사회: 전쟁, 혁명, 기근, 역병이 인간의 정신, 행동, 사회 조직 및 문화 생활에 미치는 영향) , E.P. 더튼 앤 컴퍼니, 1942
- Russia and the United States영어 (러시아와 미국) (1944)
- Society, Culture, and Personality: Their Structure and Dynamics, A System of General Sociology영어 (사회, 문화, 성격: 구조와 역학, 일반 사회학 시스템) (1947), 하퍼 & 브라더스 출판사: 뉴욕 & 런던.
- 게이일, 피터 및 툰비, 아놀드 J. 공저 The Pattern of the Past: Can We Determine It?영어 ([https://archive.org/details/in.ernet.dli.2015.184651 과거의 패턴: 우리가 그것을 결정할 수 있을까?]) (보스턴: 비콘, 1949)
- Social Philosophies of an Age of Crisis영어 (위기의 시대의 사회 철학) (1950)
- Altruistic Love: A Study of American "good Neighbors" and Christian Saints영어 (이타적 사랑: 미국의 "좋은 이웃"과 기독교 성인에 대한 연구) (1950)
- Leaves From a Russian Diary, and Thirty Years After영어 ([https://archive.org/details/Leaves_From_A_Russian_Diary 러시아 일기에서, 그리고 30년 후]) (1950), 보스턴: 비콘 출판사.
- The Ways and Power of Love: Types, Factors, and Techniques of Moral Transformation영어 (사랑의 방식과 힘: 도덕적 변화의 유형, 요인 및 기술) (원작 1954년 출판, 2002년 재판), 필라델피아: 템플턴 재단 출판사. ISBN 978-1-890151-86-7. (2002년 판 스티븐 G. 포스트 서문)
- Fads and Foibles in Modern Sociology and Related Sciences영어 (현대 사회학 및 관련 과학의 유행과 약점) (1956), 시카고: H. 레그너리사. 그린우드 출판 그룹에서 재인쇄, 1976, ISBN 978-0-8371-8733-4.
- The American Sex Revolution영어 (미국 성 혁명) (1956), 보스턴: 포터 서전트 출판사
- Social and Cultural Dynamics: A Study of Change in Major Systems of Art, Truth, Ethics, Law and Social Relationships영어 (사회 및 문화 역학: 예술, 진리, 윤리, 법 및 사회적 관계의 주요 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연구) (1957, 1970년 재판), 보스턴: 지평 확장 도서, 포터 서전트 출판사. ISBN 978-0-87558-029-6.
- (룬덴, W. A. 공저), Power and Morality: Who Shall Guard The Guardians?영어 (권력과 도덕: 누가 감시자를 지킬 것인가?) (1959), 보스턴, MA: 포터 서전트 출판사.
- A Long Journey: the Autobiography of Pitirim A. Sorokin영어 (긴 여정: 피티림 A. 소로킨의 자서전) (1963) 컬리지 앤 유니버시티 프레스.
- Social And Cultural Mobility영어 (사회 및 문화 이동성) (1959), 보스턴: 자유 출판사. ISBN 9780029302804.
- Sociology of Yesterday, Today, and Tomorrow영어 (어제의, 오늘의, 그리고 내일의 사회학) (1963)
- Sociological Theories of Today영어 (오늘의 사회학 이론) (1966), 뉴욕: 하퍼 & 로, 퍼블리셔스, 주식회사. ISBN 0405121210.[32]
- Hunger As a Factor in Human Affairs영어 ([https://archive.org/details/hungerasafactorinhumanaffairs 인간 문제에서 굶주림의 요인]) (1975), 플로리다 대학교 출판부.
'''일본어 번역본'''
- 와시야마 조지 역, 『사회학의 기초 이론: 사회·문화·퍼스낼리티』(우치다 로테르호 1961년) - Society, culture and personality: their structure and dynamics영어
- 교토노 마사키 역, 『도시와 농촌』(도에쇼인 1940년) - Principles of rural-urban sociology영어
- 기타 료키치 역, 『휴머니티의 재건』(문예춘추신사 1951년) - The Reconstruction of Humanity영어
- 기타 료키치 역, 『현대의 위기』(일본 경제 도덕 협회 1955년) - Crisis of Our Age영어
- 시모호 요시키 감역, 『이타애 ~선한 이웃과 성자의 연구~』(히로이케 학원 사업부, 1978년) - Altruistic Love영어
참조
[1]
웹사이트
Sorokin
http://dictionary.re[...]
[2]
학술지
Pitirim Sorokin and His Sociology
https://www.jstor.or[...]
1953
[3]
웹사이트
Pitirim Aleksandrovich Sorokin
https://www.asanet.o[...]
2019-10-10
[4]
학술지
Pitirim a. Sorokin and Sociological Theor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www.jstor.or[...]
1998
[5]
서적
Pitirim A. Sorokin in Review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1963
[6]
웹사이트
V.I. Lenin, "The Valuable Admissions of Pitirim Sorokin"
https://www.marxists[...]
1918-11-21
[7]
서적
Дальняя дорога: автобиография
Terra
1992
[8]
문서
Sorokin, Pitirim
Encyclopedia of Social Theory.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9]
문서
In "Fads and Foibles," Sorokin accuses Parsons of borrowing his work without acknowledgement.
[10]
학술지
Pitirim A. Sorokin (1889-1968): Pioneer and Pariah
https://doi.org/10.1[...]
1996-06-01
[11]
서적
In a Generous Spirit: A First-Person Biography of Myra P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8-08-04
[12]
학술지
Sorokin and Social Change
https://www.jstor.or[...]
1977
[13]
학술지
Sorokin's Data Versus His Conclusions
https://www.jstor.or[...]
1939
[14]
웹사이트
Letters from Thane Read asking Helen Keller to sign the World Constitution for world peace. 1961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1
[15]
웹사이트
Letter from World Constitution Coordinating Committee to Helen, enclosing current materials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3
[16]
웹사이트
Preparing earth constitution {{!}} Global Strategies & Solutions {{!}} The Encyclopedia of World Problems
http://encyclopedia.[...]
2023-07-15
[17]
학술지
Pitirim Sorokin and His Sociology
https://www.suz.uzh.[...]
2021-10-23
[18]
서적
Outliers
https://www.goodread[...]
[19]
웹사이트
The Five Dimensions of Love
https://www.filosofi[...]
2021-10-24
[20]
학술지
The legacy of Pitirim Sorokin in the transnational alliances of moral conservatives
https://zenodo.org/r[...]
2018-05
[21]
학술지
Altruism and Sociological Theory
1993-09
[22]
웹사이트
Pitirim Aleksandrovich Sorokin
https://www.asanet.o[...]
2021-10-19
[23]
학술지
Sociology of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https://www.jstor.or[...]
1965
[24]
웹사이트
Sorokin letter to President Kennedy
https://pitirimsorok[...]
2021-10-19
[25]
학술지
Pitirim A Sorokin: The interconnection between his life and scientific work
2011-11
[26]
웹사이트
Life With Pitirim Sorokin: A Younger Son's Perspective
http://cliffstreet.o[...]
[27]
웹사이트
Sorokin Research Center (Russia, Komi Republic, Syktyvkar)
http://www.pitirimso[...]
Sorokin Research Center
2009-09-11
[28]
학술지
Review of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ies.
https://www.jstor.or[...]
1928
[29]
웹사이트
WorldCat item record
https://www.worldcat[...]
[30]
웹사이트
WorldCat item record
https://www.worldcat[...]
[31]
웹사이트
worldCat item record
https://www.worldcat[...]
[32]
학술지
Review of SOCIOLOGICAL THEORIES OF TODAY
https://www.jstor.or[...]
1967
[33]
서적
利他愛
広池学園事業部
[34]
웹사이트
V.I. Lenin, "The Valuable Admissions of Pitirim Sorokin"
https://www.marxists[...]
1918-11-21
[35]
서적
Pitirim A. Sorokin in Review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1963
[36]
서적
Дальняя дорога: автобиография
Terra
1992
[37]
논문
T.パーソンズとソヴェト社会論
2010-07
[38]
간행물
Pitirim A. Sorokin (1889-1968): Pioneer and Pariah
https://doi.org/10.1[...]
1996-06-01
[39]
문서
"Sorokin, Pitirim," Encyclopedia of Social Theory
Sage Publications
[40]
서적
Fads and Foibles in Modern Sociology and Related Sciences
Praeger
1956
[41]
뉴스
괴물이 되어가는 청소년들
http://www.segy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