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털꼬리박쥐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털꼬리박쥐속(Lasiurus)은 애기박쥐아과에 속하는 박쥐 속이다. 털꼬리박쥐속은 털꼬리박쥐족에 속하며, 털꼬리박쥐속, Aeorestes, Lasiurus를 포함한다. 털꼬리박쥐속에는 아레키파 계피색 붉은박쥐, 더 큰 붉은박쥐, 남부 붉은박쥐, 동부 붉은박쥐, 타카르쿠나 박쥐, 흰털박쥐, 자메이카 붉은박쥐, 털꼬리박쥐, 남부 노란박쥐, 큰 붉은박쥐 등 다양한 종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털꼬리박쥐속 - 작은붉은박쥐
    작은붉은박쥐는 단독 생활을 하는 곤충식성 박쥐로, 밤에 날벌레를 잡아먹고 낮에는 동굴 등에서 휴식을 취하며, 개체 수 감소와 서식지 파괴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털꼬리박쥐속 - 염전붉은박쥐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털꼬리박쥐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흰박쥐
흰박쥐 (Lasiurus cinereus)
학명Lasiurus
명명자Gray, 1831
모식종Vespertilio borealis
모식종 명명자(Müller, 1776)
종 수20, 본문 참조

2. 계통 분류

털꼬리박쥐속의 계통 분류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다.[5][2]

첫째, 2005년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에서는 털꼬리박쥐속이 털꼬리박쥐족으로 분류되어 혹코박쥐속과 함께 묶였다.

둘째,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이전의 털꼬리박쥐속은 털꼬리박쥐속(''Dasypterus'')과 Aeorestes, '''''Lasiurus'''''의 세 속으로 나뉜다. 이 연구에서 털꼬리박쥐속은 작은황금발박쥐(''M. lucifugus'')를 외집단(outgroup)으로 하여 서부황금털꼬리박쥐, 남부황금털꼬리박쥐, 쿠바황금털꼬리박쥐, 북부황금털꼬리박쥐를 포함한다.

2. 1. 털꼬리박쥐족의 계통 분류

다음은 2005년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이다.[5]

{| class="wikitable"

|-

| 애기박쥐아과

|-

|

{| class="wikitable"

|-

| 알렌큰귀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토끼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바르바스텔레박쥐속

|-

| 흰세점박이박쥐속

|-

| 사막긴귀박쥐속

|-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노랑박쥐속

|-

| 흰배박쥐족

|-

|

{| class="wikitable"

|-

| 알렌노랑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아메리카노랑박쥐속

|-

|

반겔더박쥐속
흰배박쥐속



|}

|}

|}

|}

|-

|

{| class="wikitable"

|-

|

동부집박쥐속
서부집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문둥이박쥐족

|-

|

할리퀸박쥐속
문둥이박쥐속



|-

| 저녁박쥐족

|-

|

{| class="wikitable"

|-

|



|-

|

은색털박쥐속
아리엘룰루스속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



|-

|

{| class="wikitable"

|-

| 검은집박쥐속

|-

|



|}

|}

|}

|-

| 대나무박쥐속

|}

|-

| 애기박쥐족

|-

|

{| class="wikitable"

|-

| 애기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작은집박쥐속

|-

|



|}

|}

|}

|}

|}

|}

|}

다음은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기반으로, 이전에 ''털꼬리박쥐속''에 포함되었던 세 속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2]

{| class="wikitable"

|-

| ''M. lucifugus'' (outgroup)

|-

! 털꼬리박쥐족

|-

|

{| class="wikitable"

|-

! ''털꼬리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D. xanthinus''

|-

|

{| class="wikitable"

|-

| ''D. ega''

|-

|

D. insularis
D. intermedius



|}

|}

|}

|-

|

{| class="wikitable"

|-

! ''Aeorestes''

|-

! '''''Lasiurus'''''

|-

|

{| class="wikitable"

|-

| ''A. egregius''

|-

|

{| class="wikitable"

|-

| ''A. villosissimus''

|-

|

A. semotus
A. cinereus



|}

|}

|}

|-

|

{| class="wikitable"

|-

|

L. blossevillii
L. frantzii



|-

|

{| class="wikitable"

|-

| ''L. borealis''

|-

|

L. pfeifferi
L. seminolus



|}

|}

|}

|}

|}

|}

2. 2. 털꼬리박쥐속의 계통 분류

다음은 애기박쥐아과의 계통 분류이다.[5]

{| class="wikitable"

|-

! 애기박쥐아과

|-

|

{| class="wikitable"

|-

| 알렌큰귀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토끼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바르바스텔레박쥐속

|-

| 흰세점박이박쥐속

|-

| 사막긴귀박쥐속

|-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노랑박쥐속

|-

! 흰배박쥐족

|-

|

{| class="wikitable"

|-

| 알렌노랑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아메리카노랑박쥐속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문둥이박쥐족

|-

|

할리퀸박쥐속
문둥이박쥐속



|-

! 저녁박쥐족

|-

|

{| class="wikitable"

|-

|



|-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



|-

|

{| class="wikitable"

|-

| 검은집박쥐속

|-

|



|}

|}

|}

|-

| 대나무박쥐속

|}

|-

! 애기박쥐족

|-

|

{| class="wikitable"

|-

| 애기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작은집박쥐속

|-

|



|}

|}

|}

|}

|}

|}

|}

다음은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기반으로, 이전에 ''털꼬리박쥐속''에 포함되었던 세 속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2]

{| class="wikitable"

|-

| ''M. lucifugus'' (outgroup)

|-

! 털꼬리박쥐족

|-

|

{| class="wikitable"

! ''털꼬리박쥐속''

|-

|

{| class="wikitable"

|-

| ''D. xanthinus''

|-

|

{| class="wikitable"

|-

| ''D. ega''

|-

|

D. insularis
D. intermedius



|}

|}

|-

! ''Aeorestes''

! '''''Lasiurus'''''

|-

|

{| class="wikitable"

|-

| ''A. egregius''

|-

|

{| class="wikitable"

|-

| ''A. villosissimus''

|-

|

A. semotus
A. cinereus



|}

|}

|-

|

{| class="wikitable"

|-

|

L. blossevillii
L. frantzii



|-

|

{| class="wikitable"

|-

| ''L. borealis''

|-

|

L. pfeifferi
L. seminolus



|}

|}

|}

|}

|}

3. 하위 종

다음은 털꼬리박쥐속에 속하는 종 목록이다.


  • 아레키파계피색붉은박쥐 (''Lasiurus arequipae'')[3]
  • 서부붉은박쥐 (''Lasiurus frantzii'')
  • 하와이흰털박쥐 (''Lasiurus semotus'')
  • 남아메리카흰털박쥐 (''Lasiurus villosissimus'')
  • 염전붉은박쥐(''Lasiurus salinae'')는 이전에 남부붉은박쥐의 아종으로 간주되었다.[3]

3. 1. 붉은박쥐류

학명한국어 이름
L. atratus핸들리붉은박쥐
L. blossevillii사막붉은박쥐
L. borealis동부붉은박쥐
L. castaneus타카르쿠나박쥐
L. cinereus흰박쥐
L. degelidus자메이카붉은박쥐
L. ebenus털꼬리박쥐
L. ega남부노랑박쥐
L. egregius큰붉은박쥐
L. insularis쿠바노랑박쥐
L. intermedius북부노랑박쥐
L. minor작은붉은박쥐
L. pfeifferi파이퍼붉은박쥐
L. salinae염전붉은박쥐
L. seminolus세미놀박쥐
L. varius황갈색붉은박쥐
L. xanthinus서부노랑박쥐


3. 2. 노랑박쥐류

더 큰 붉은박쥐 (''Lasiurus atratus'')

남부 붉은박쥐 (''Lasiurus blossevillii'')

동부 붉은박쥐 (''Lasiurus borealis'')

타카르쿠나 박쥐 (''Lasiurus castaneus'')

흰털박쥐 (''Lasiurus cinereus'')

자메이카 붉은박쥐 (''Lasiurus degelidus'')

털꼬리박쥐 (''Lasiurus ebenus'')

남부 노란박쥐 (''Lasiurus ega'')

큰 붉은박쥐 (''Lasiurus egregius'')

서부 붉은박쥐 (''Lasiurus frantzii'')

Cuban Yellow Bat|쿠바노랑박쥐영어 (''Lasiurus insularis'')

북부 노란박쥐 (''Lasiurus intermedius'')

작은 붉은박쥐 (''Lasiurus minor'')

Pfeiffer's red bat|파이퍼 붉은박쥐영어 (''Lasiurus pfeifferi'')

세미놀 박쥐 (''Lasiurus seminolus'')

하와이 흰털박쥐 (''Lasiurus semotus'')

계피색 붉은박쥐 (''Lasiurus varius'')

남아메리카 흰털박쥐 (''Lasiurus villosissimus'')

서부 노란박쥐 (''Lasiurus xanthinus'')

Arequipa Cinnamon Red Bat|아레키파 계피색 붉은박쥐영어(''Lasiurus arequipae'')[3]

3. 3. 기타

다음은 털꼬리박쥐속에 속하는 종이다.

참조

[1]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9-10-02
[2] 논문 Nuclear and mtDNA phylogenetic analyses clarify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wo species of native Hawaiian bats and the taxonomy of Lasiurini (Mammalia: Chiroptera)
[3] 논문 Una especie nueva de Lasiur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del suroeste de Perú http://www.revista.i[...] 2020-03-23
[4] 인용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9-10-02
[5] 저널 Trib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Vespertilioninae (Chiroptera: Vespertilionid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 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