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놀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미놀박쥐는 Lasiurini 족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으로, 동부붉은박쥐 및 Pfeiffer's red bat과 가까운 관계를 갖는다. 붉은색을 띠며, 털 끝이 희어 하얗게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로 곤충을 먹는 식충성 동물로, 미국 남동부 지역에 분포하며, 숲이 우거진 지역을 선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털꼬리박쥐속 - 작은붉은박쥐
작은붉은박쥐는 단독 생활을 하는 곤충식성 박쥐로, 밤에 날벌레를 잡아먹고 낮에는 동굴 등에서 휴식을 취하며, 개체 수 감소와 서식지 파괴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털꼬리박쥐속 - 염전붉은박쥐
- 1895년 기재된 포유류 - 베어드뒤쥐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베어드뒤쥐는 털 색깔이 계절에 따라 변하며 두 개의 아종으로 나뉜다. - 1895년 기재된 포유류 - 큰멕시코작은귀땃쥐
큰멕시코작은귀땃쥐는 땃쥐과에 속하며 멕시코 고유종으로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세미놀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asiurus seminolus |
명명자 | (Rhoads, 1895) |
멸종 위기 등급 | LC |
멸종 위기 등급 기준 | IUCN3.1 |
멸종 위기 등급 참고 | Solari, S. 2019. Lasiurus seminol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9: e.T11353A22119113. doi:10.2305/IUCN.UK.2019-1.RLTS.T11353A22119113.en. 2021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속 | 털꼬리박쥐속 |
분포 | |
![]() |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Wilkins, Kenneth (27 February 1987). Lasiurus Seminolus. Mammalian Species. |
참고 문헌 | Barkalow, Frederick S., Jr.; Jones, Gardiner F.; Guilday, John E.; Koford, Carl B.; Koford, Mary R.; Krutzsch, Philip H.; Banfield, A. W. F.; Frum, W. Gene; Miller, F. W. (1948-12-01). General Notes. Journal of Mammalogy. 29 (4): 415–422. doi:10.2307/1375132. |
2. 분류
핵 및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세미놀박쥐(''L. seminolus'')는 Lasiurini 족에 속하며, 동부붉은박쥐(''L. borealis''), Pfeiffer's red bat(''L. pfeifferi'')와 가까운 관계를 갖는다.[2]
```wikitable
{| class="wikitable"
|-
! Lasiurini
|-
|
{| class="wikitable"
|-
|
- ''Dasypterus''
|-
|
{| class="wikitable"
|-
|
- ''Aeorestes''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L. borealis''
|-
|
세미놀박쥐는 붉은박쥐와 혼동을 일으키곤 하는데, 이는 적갈색(마호가니색)을 띠는 세미놀박쥐의 색깔 때문이다.[10][4] 등쪽은 털 끝이 희기 때문에 하얗게 보인다.[10] 털 색은 성적 이형성을 보이지 않고, 암수 색깔이 서로 유사하다.[10][4] 평균 몸무게는 약 12g이고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10][4]
세미놀박쥐는 식충성 동물로, 주로 곤충을 먹는다.[12][5] 비교적 많은 양의 벌목(개미, 꿀벌, 말벌), 딱정벌레목(딱정벌레), 나비목(나방) 곤충을 먹는다.[12][5] 작은 양의 노린재목(매미)과 파리목(파리) 곤충을 먹기도 한다.[12][5]
세미놀박쥐는 미국 남동부에서 발견된다.[10][4] 루이지애나, 조지아, 앨라배마, 미시시피, 사우스캐롤라이나와 텍사스, 테네시, 아칸소, 노스캐롤라이나의 일부가 포함된다.[10][4] 멕시코에서도 기록이 있다.[4] 이 종은 이동성 종으로, 겨울에는 걸프만 연안, 캐롤라이나, 아칸소 남부에서 서식한다. 여름에는 미주리 및 켄터키 북부까지 이동한다.[6]
[1]
간행물
"''Lasiurus seminolus''"
2019
|}
|}
|}
|}
|}
|}
```
세미놀박쥐는 1895년 Samuel N. Rhoads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3] 모식표본은 1892년 William S. Dickinson에 의해 플로리다 타폰스프링스에서 수집되었다. Rhoads는 현재 폐지된 속인 ''Atalpha''에 배치하여, 학명이 ''Atalpha borealis seminolus''인 아종 동부붉은박쥐로 식별했다. 1932년 얼 링컨 풀에 의해 처음으로 분류군에 ''Lasiurus seminolus''라는 이름이 적용되었다.[4]
3. 특징
4. 먹이
5. 분포 및 서식지
2015년에는 노스캐롤라이나 북서부에서 처음으로 기록되었다.[7]
이 박쥐는 숲이 우거진 지역을 선호한다. 겨울철에는 낙엽과 스페인 이끼를 쉼터의 단열재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스페인 이끼는 또한 세미놀박쥐의 연중 환경에서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며, 이 박쥐의 분포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여겨진다.[4]
참조
[2]
학술지
Nuclear and mtDNA phylogenetic analyses clarify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wo species of native Hawaiian bats and the taxonomy of Lasiurini (Mammalia: Chiroptera)
[3]
학술지
Descriptions of new mammals from Florida and southern California
https://www.jstor.or[...]
[4]
학술지
Lasiurus seminolus
1987-02-27
[5]
학술지
Partitioning of Food Resources by Syntopic Eastern Red (Lasiurus borealis), Seminole (L. seminolus) and Evening (Nycticeius humeralis) Bats
2004-01-01
[6]
학술지
Migration and recent range expansion of Seminole bats (Lasiurus seminolus) in the United States
2018-10-22
[7]
학술지
New Distribution Records for Bats in Northwestern North Carolina
2015-03-23
[8]
학술지
Male Seminole Bat Winter Roost-Site Selection in a Managed Forest
2008-11-01
[9]
간행물
Lasiurus seminolus
[10]
저널
Lasiurus Seminolus
http://www.science.s[...]
1987-02-27
[11]
저널
General Notes
http://www.jstor.org[...]
1948-12-01
[12]
저널
Partitioning of Food Resources by Syntopic Eastern Red (Lasiurus borealis), Seminole (L. seminolus) and Evening (Nycticeius humeralis) Bats
http://www.bioone.or[...]
2004-01-01
[13]
저널
New Distribution Records for Bats in Northwestern North Carolina
http://dx.doi.org/10[...]
2015-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