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레도 터널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레도 터널링은 IPv4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IPv6 전환 기술로, NAT 장치 뒤에 있는 호스트에게 IPv6 연결을 제공한다. UDP/IPv4 데이터그램 내에 IPv6 패킷을 캡슐화하여 NAT 환경에서도 작동하며, 테레도 클라이언트, 서버, 릴레이, 호스트별 릴레이 등 여러 노드 유형을 정의한다. 테레도 클라이언트는 공인 IPv6 주소를 할당받으며, 테레도 서버는 초기 구성을 돕고, 릴레이는 IPv6 트래픽을 중계한다. 하지만 모든 NAT 장치를 지원하지 않으며, 보안 취약점과 DoS 공격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6to4, 점대점 터널과 같은 대안이 있으며,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Pv6 전환 기술 - 6to4
6to4는 IPv4 네트워크를 통해 IPv6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전환 기술로, IPv4 주소 기반 IPv6 주소 할당, 캡슐화, 라우팅을 수행하며, 2002::/16 IPv6 주소 접두사를 사용하고 6to4 릴레이 라우터를 통해 네이티브 IPv6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 터널링 프로토콜 - IPsec
IPsec은 IP 네트워크에서 보안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위트로서, 전송 모드와 터널 모드를 지원하며, AH, ESP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무결성, 인증, 기밀성을 제공하고, IKE 프로토콜을 통해 보안 연결을 설정 및 키를 교환하는 개방형 표준이다. - 터널링 프로토콜 - PPPoE
PPPoE는 이더넷을 통해 PPP 연결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DSL과 같은 광대역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동작하며, 사용자의 컴퓨터를 ISP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디스커버리 및 PPP 세션 단계를 거쳐 연결을 설정하며 전 세계에서 널리 쓰인다. - 인터넷 구조 - 네트워크 접속 지점
네트워크 접속 지점(NAP)은 미국에서 ISP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연결점 중 하나이며, 미국 과학재단이 지원하여 설립되었고, 현재는 공용 교환 설비를 제공하지만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은 NAP를 거치지 않고 처리된다. - 인터넷 구조 - 사물인터넷
사물 인터넷은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통해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키지만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과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테레도 터널링 | |
---|---|
일반 정보 | |
![]() | |
약칭 | Teredo |
종류 | IPv6 전환 기술 |
IETF 표준 | RFC 4380 |
설계자 | 크리스티안 우이테마 |
포트 | UDP 3544 |
기술 정보 | |
목적 | IPv4 네트워크를 통해 IPv6 연결 제공 |
작동 방식 | IPv4 네트워크를 통해 IPv6 패킷을 캡슐화하여 전송 NAT 장비 뒤에 있는 호스트가 IPv6 인터넷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 |
장점 | IPv4 인프라를 활용하여 IPv6 연결을 확장 특별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없이 사용 가능 |
단점 | IPv4 네트워크 성능에 의존적 보안 문제 발생 가능성 존재 |
활용 | |
적용 분야 | IPv6로의 점진적인 전환 지원 IPv4 네트워크에서 IPv6 애플리케이션 사용 가능 |
운영체제 지원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기타 여러 운영체제에서 지원 |
참고 사항 | |
관련 기술 | 6to4 ISATAP IPv6 전환 기술 |
상태 | 사실상 사용 중단됨. |
2. 목적
6to4와 같은 일반적인 IPv6 over IPv4 터널링 프로토콜은 터널 종단점에 공인 IPv4 주소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많은 호스트들이 IPv4 주소 부족 문제 때문에 하나 이상의 NAT 장치를 통해 IPv4 인터넷에 연결된다. 이 경우, 유일한 공인 IPv4 주소는 NAT 장치에 할당되며, 6to4 터널 종단점은 NAT 장치 자체에 구현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배포된 많은 NAT 장치들은 기술적, 경제적 이유로 6to4를 구현하도록 업그레이드하기 어렵다.[17]
테레도는 6to4의 문제점을 완화한 기술이다. 6to4는 터널 종단점에 공인 IPv4 주소가 필요하지만, 많은 호스트가 NAT 장치를 통해 IPv4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 공인 IPv4 주소를 할당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테레도는 IPv6 패킷을 UDP/IPv4 데이터그램 안에 캡슐화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 이를 통해 NAT 뒤에 있는 IPv6 지원 호스트도 전용 공인 IPv4 주소 없이 테레도 터널 종단점 역할을 할 수 있다.[17]
테레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v6 패킷을 UDP/IPv4 데이터그램 안에 캡슐화한다. 대부분의 NAT는 UDP/IPv4 데이터그램을 제대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NAT 뒤에 있는 IPv6 지원 호스트는 전용 공인 IPv4 주소가 없어도 테레도 터널 종단점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테레도를 구현하는 호스트는 로컬 네트워크 환경의 도움 없이 IPv6 연결을 확보할 수 있다.[17]
장기적으로는 모든 IPv6 호스트가 자체적인 IPv6 연결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테레도 프로토콜은 임시적인 성격을 가지며, IPv6가 발전하고 안정적인 연결 메커니즘이 보편화되면 테레도 연결 사용을 중단하는 절차를 포함하고 있다. IETF89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2014년 상반기에 윈도우 클라이언트에 대한 테레도 서버를 비활성화하고, 공개적으로 운영되는 테레도 릴레이의 비활성화를 권장할 계획이었다.[17]
3. 작동 방식
테레도 프로토콜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UDP over IPv4 (UDPv4) 연결을 진단하고, STUN 프로토콜을 간소화한 대체 방식을 사용하여 현재 NAT 유형을 감지한다.
# 각 호스트에 전역적으로 라우팅 가능한 고유한 IPv6 주소를 할당한다.
# IPv6 패킷을 UDPv4 데이터그램 안에 캡슐화하여 IPv4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NAT 트래버설 포함)
# 테레도 호스트와 네이티브 IPv6 호스트 간의 트래픽을 라우팅한다.
3. 1. 노드 유형
테레도는 여러 종류의 노드를 정의한다.[1]2001::/32
)로 시작하는 IPv6 주소를 할당받는다.[2]3. 2. IPv6 주소 할당
서버 IPv4플래그 난독화된
UDP 포트난독화된 클라이언트
공인 IPv4부분 2001:0000 4136:e378 8000 63bf 3fff:fdd2 디코딩 65.54.227.120 콘 NAT 40000 192.0.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