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레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레민은 1920년 레프 세르게예비치 테레민에 의해 개발된 세계 최초의 전자 악기이다. 두 개의 안테나에 손을 가까이하거나 멀리하는 것으로 음높이와 음량을 조절하며, 신체 접촉 없이 연주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테레민은 소련 정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블라디미르 레닌 앞에서 시연되기도 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쇠퇴했지만, 로버트 무그와 같은 전자 음악 애호가들에 의해 제작되었고, 1994년 영화 《테레민: 일렉트로닉 오디세이》 개봉 이후 다시 관심을 받았다. 현재 클래식, 대중음악,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옹드 마르트노, 마트료민 등 유사 악기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테레민 | |
---|---|
개요 | |
이름 | 테레민 |
종류 | 전자 악기 |
개발 | 1920년 |
발명가 | 레온 테레민 |
특허 | 1928년 |
분류 | 전자 악기 |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 531.1 |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설명 | 전기 악기 |
![]() | |
다른 이름 | 테르멘복스 (러시아어: Терменвокс) 테레민복스 (영어: Thereminvox) 테레민 (영어: Theremin) |
2. 역사
소련의 물리학자 레프 세르게예비치 테레민이 1920년 10월에 근접각 센서 연구 중 개발한 테레민은, 러시아 내전이라는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탄생했다.[109][110] 레온 테레민이라는 이름으로 서방 세계에 알려진 그는 유럽 순회공연을 통해 악기를 널리 알렸고, 1928년에는 미국에서 특허를 취득했다.[111] 이후 RCA가 테레민의 상업적 제작 권리를 획득했다.[111]
1920년 페트로그라드 물리 기술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레프 테레민은 가스 유전율 측정 장치를 개발하던 중, 헤드폰에서 들리는 음의 높이가 압력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을 발견했다.[95][96] 그는 콘덴서 용량 변화와 음높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한쪽 전극은 안테나로, 다른 한쪽은 사람으로 대체하여 콘덴서 용량을 제어하는 독창적인 "악기"를 고안했다.[94] 1920년 11월, 페트로그라드 기술 연구소에서 열린 야회에서 테레민은 처음으로 일반 청중 앞에서 자신의 발명품을 시연했다.[97]
1921년 10월 5일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제8회 전 러시아 전기 기술 회의에서 테레민은 자신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 악기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97] 소련 정부 기관지 『이즈베스티야』는 이 악기를 "Терменвокс테르멘복스"라고 명명했으며,[98] 테레민 자신은 "음극관에 의한 음악 장치"라는 이름으로 1921년 7월 특허를 출원, 1924년 8월에 등록했다.[94]
1922년, 레프 테레민은 블라디미르 레닌 앞에서 테레민 연주를 선보였다.[106] 레닌은 테레민 연주에 깊은 인상을 받아 직접 연주법을 배우기도 했으며, 글린카의 곡을 연주할 수 있을 정도였다.[99] 레닌의 주문으로 600대의 테레민이 생산되어 소비에트 연방 전역에 판매되었고, 테레민은 소련의 첨단 기술과 전자 음악을 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수행했다.
RCA가 제조한 "RCA Thereminvox"는 대공황의 여파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클라라 록모어와 같은 뛰어난 테레민 연주자들은 미국 전역에서 클래식 레퍼토리를 연주하며 폴 로브슨과 협연하는 등 폭넓은 찬사를 받았다.
1930년대에는 루시 비게로 로슨과 월터 비게로 로슨 부부가 테레민의 개발과 대중화에 선구자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112][113]
1938년, 레프 테레민은 미국을 떠나 소련으로 돌아갔다. 그의 귀국 이유는 여전히 논란거리인데, NKVD 요원(KGB의 전신)에 의해 뉴욕 시 아파트에서 납치되어[114] 시베리아 마가단의 샤라샤카 감옥 연구소로 강제 이송되었다는 주장과, 개인적인 빚 때문에 도피했다가 스탈린의 정치적 숙청에 휘말렸다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115] 그는 30년이 지난 후에야 다시 모습을 드러냈으며, 알버트 글린스키의 2000년 자서전 《테레민: 에테르 뮤직과 간첩 행위》는 후자의 주장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테레민은 더 쉽게 연주할 수 있는 새로운 전자 악기들의 등장으로 점차 잊혀 갔다. 그러나 로버트 무그와 같은 전자기기 애호가들은 테레민에 대한 끈을 놓지 않았다. 무그는 고등학생 시절부터 테레민을 제작하고 관련 문서를 출간하며, 구매자가 직접 조립할 수 있는 테레민 키트를 판매했다. 이러한 경험은 훗날 무그 개발로 이어졌다. 1955년경, 무그의 동료이자 전자 음악의 선구자인 레이먼드 스콧은 무그의 테레민 부품을 활용하여 건반이 달린 테레민인 클라비복스를 개발했다.[116]
1994년, 영화 《테레민: 일렉트로닉 오디세이》의 개봉은 테레민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고, 현대 음악가들이 테레민을 널리 사용하는 계기가 되었다.[14]
2. 1. 개발 배경
소련 정부의 지원을 받아 레프 세르게예비치 테레민이 근접각 센서 연구 중 개발했다.[109][110] 1920년 10월, 러시아 내전 중에 개발이 완료되었다.[1] 유럽 순회 공연과 미국 특허 취득(1928년) 후, RCA가 상업적 제작 권리를 획득했다.[111]RCA 테레민복스(Thereminvox)는 상업적으로 실패했으나, 클라라 록모어 같은 연주자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록모어는 폴 로베슨과 협연하며 클래식 레퍼토리를 공연했다.[111]
1930년대 루시 비게로 로슨 부부가 개발과 대중화를 지원했다.[112][113] 1938년 테레민의 미국 출국 배경은 논쟁 중이다. NKVD 요원에 의한 강제 송환설과 빚으로 인한 도피 후 스탈린 숙청 연루설이 있다.[114][115]
제2차 세계 대전 후, 새로운 전자 악기 등장으로 테레민은 잊혀졌으나, 로버트 무그 등 전자기기 애호가들은 관심을 가졌다. 무그는 1950년대부터 테레민 제작, 문서 출간, 조립 키트 판매를 통해 무그 개발의 기반을 다졌다.[116]
1994년 영화 《테레민: 일렉트로닉 오디세이》 이후 다시 주목받아 현대 음악가들이 사용하고 있다.[117] 현재 무그 뮤직 등에서 테레민 악기 및 키트를 판매한다.
2. 2. 초기 발전과 보급
테레민은 소련 정부가 근접각 센서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개발되었다. 이 악기는 러시아 내전 발발 뒤인 1920년 10월에 러시아의 젊은 물리학자 레프 세르게예비치 테레민에 의해 개발되었다.[109][110] 레온 테레민으로 서방 세계에 알려진 그는 유럽 순회공연을 통해 악기를 만원 관중에게 시연했고,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1928년 그곳에서 특허를 취득했다.[111] 이후 RCA가 테레민에 대한 상업적 제작 권리를 획득했다.[111]1920년부터 페트로그라드 물리 기술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레프 테르민은 가스 유전율 측정 장치를 개발하던 중, 헤드폰에서 들리는 음의 높이가 가해지는 압력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하는 것을 발견했다.[95][96] 그는 콘덴서 용량 변화에 따라 음높이가 변하는 것을 악기에 응용하여, 1920년에 가변 콘덴서의 전극 한쪽을 안테나로, 다른 한쪽을 사람으로 대체하여 콘덴서 용량을 제어하는 "악기"를 개발했다.[94] 같은 해 11월, 그는 페트로그라드 기술 연구소 기계과의 학생들이 주최하는 야회에서 처음으로 일반 청중 앞에서 시연 연주를 했다.[97]
1921년 10월 5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8회 전 러시아 전기 기술 회의에서 테르민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 악기가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97] 소련 정부 기관지 『이즈베스티야』의 기자에 의해 이 세계 최초의 전자 악기는 "Терменвокс테르멘복스"라고 명명되었다.[98] 테르민 자신은 이 발명을 "음극관에 의한 음악 장치"라고 명명하고 1921년 7월에 특허를 출원했으며, 1924년 8월에 이 명칭으로 등록되었다.[94]
1922년에 레프 테르민은 소련의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 앞에서 테르민 연주를 선보였다.[106] 레닌은 매우 감명받아 주법에 관심을 보였고, 결국 레프 테르민의 도움 없이 글린카의 곡을 연주했다.[99] 레닌의 주문으로 600대의 테르민이 생산되어 소비에트 연방 각지에 판매되었으며, 테르민 자신도 소련의 최신 기술과 전자 음악의 탄생을 선보이기 위해 세계 각지로 파견되었다.
RCA가 제조한 "RCA Thereminvox"는 대공황의 영향으로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해 수백 대밖에 판매되지 않았다. 비록 RCA 테레민복스는 상업적으로 실패하였으나, 악기는 미국과 해외의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저명한 테레민 연주자 클라라 록모어는 폭넓게 찬사받은 순회공연을 돌았다. 그는 미국 곳곳에서 클래식 레퍼토리로 구성된 콘서트를 열어 공연을 했고 종종 폴 로비슨과 함께 협연하기도 했다.
1930년대 무렵에는 루시 비게로 로슨이 남편 월터 비게로 로슨과 함께 악기의 개발 및 대중화에 대한 선구자적 그리고 예술적 지지를 했다.[112][113] 1938년, 테레민은 미국을 떠났다. 그러나 그의 전출에 대한 정황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많은 문헌은 그가 뉴욕 시 아파트에서 NKVD 요원(KGB의 전신)에 의해[114] 소련으로 끌려가 시베리아 마카단에 위치한 샤라샤카 감옥 연구소에서 일을 하도록 지시받았음을 주장한다. 그는 30년이 지난 뒤에야 다시 모습을 드러내었다. 그의 2000년 자서전인 《테레민: 에테르 뮤직과 간첩 행위》에서 알버트 글린스키는 그가 개인적인 빚 때문에 도피행을 결정하였고, 그러다 스탈린의 정치적 숙청에 휘말린 것이라는 제안을 했다.[115]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미국에서 테레민에 대한 관심이 줄었으나, 새로운 전자 악기가 도입되면서 테레민은 곧 진지한 음악가들 사이에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전자기기 애호가나 키트 조립 취미가들을 중심으로 틈새시장의 관심을 끈질기게 이어졌다. 그러한 전자기기 팬 중에 로버트 무그가 있었다. 그는 고교 시절이던 1950년대부터 시작해 테레민을 제작했다. 무그는 이후로 테레민을 제작하는 각종 문서를 출간했으며 구매자가 직접 조립할 수 있는 테레민 키트를 발명해 판매했다. 무그는 이 경험을 토대로 획기적인 신시자이저, 무그를 발명하게 된다. 1955년 경에는 무그의 대학 동료이자 전자음악의 선구자인 레이몬드 스콧이 무그의 테레민 하위부품을 구입하여 이를 조합해 새로이 클라비복스를 개발한다. 이 기기는 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건반이 달린 테레민으로 고안되었다.[116]
영화 《테레민: 일렉트로닉 오디세이》가 1994년 개봉한 뒤 악기는 다시 관심을 받았고 동시대 음악가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
2. 3. 레프 테레민의 귀환과 논란
1938년, 레프 테레민은 미국을 떠났으나, 그가 미국을 떠난 정황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많은 문헌에 따르면 그는 뉴욕 시 아파트에서 NKVD 요원(KGB의 전신)에 의해[114] 소련으로 끌려가 시베리아 마가단에 위치한 샤라샤카 감옥 연구소에서 일을 하도록 지시받았다고 한다. 그는 30년이 지난 뒤에야 다시 모습을 드러내었다. 알버트 글린스키는 2000년 자서전 《테레민: 에테르 뮤직과 간첩 행위》(Theremin: Ether Music and Espionage)에서 레프 테레민이 개인적인 빚 때문에 도피행을 결정하였고, 그러다 스탈린의 정치적 숙청에 휘말린 것이라는 주장을 했다.[115] 어쨌든, 레프 테레민은 1991년까지 미국으로 돌아오지 않았다.[11]레프 테레민은 1938년 미국을 떠나 소련으로 돌아갔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향수병 설과 납치설이 있어 현재도 불분명하다. 이후 테레민은 강제 노동에 종사하거나 군사 연구에 종사하는 등 기구한 인생을 보냈고,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에야 미국을 다시 방문하여 클라라 록모어 등과 재회했다.[100]
2. 4.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침체와 부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테레민은 더 쉽게 연주할 수 있는 새로운 전자 악기들이 등장하면서 진지한 음악가들 사이에서 점차 잊혀졌다.[12] 그러나 전자기기 애호가나 키트 조립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테레민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이어졌다.[12] 이러한 애호가 중 한 명인 로버트 무그는 고등학생 시절부터 테레민을 제작했고, 나중에 테레민 제작에 관한 여러 글을 발표하고 직접 조립할 수 있는 테레민 키트를 판매했다.[12] 무그는 이 경험을 바탕으로 획기적인 신시사이저인 무그를 발명하게 되었다.[12] 1955년경, 무그의 동료이자 전자 음악의 선구자인 레이먼드 스콧은 무그의 테레민 부품을 구입하여 건반이 달린 테레민인 클라비복스를 개발했다.[12]1994년에 개봉한 영화 《테레민: 일렉트로닉 오디세이》는 테레민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고, 현대 음악가들이 테레민을 널리 사용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14] 많은 현대 신시사이저가 테레민과 거의 동일한 소리를 낼 수 있지만, 일부 음악가들은 여전히 실제 테레민의 풍부함, 참신함, 그리고 독창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14] 영화 자체도 매우 호평받았다.[14]
현재 무그 뮤직, 번스 테레민스 등 여러 제조사에서 테레민 악기 및 키트를 판매하고 있다.
3. 작동 원리
테레민은 신체 접촉 없이 연주하는 독특한 악기이다. 연주자는 두 개의 금속 안테나 근처에서 손을 움직여 소리를 조절한다. 이 안테나들은 라디오 안테나처럼 전파를 송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캐패시터의 판 역할을 한다.[18] 한 안테나는 주파수(음높이)를, 다른 안테나는 진폭(볼륨)을 제어한다. 음높이 안테나에 손을 가까이하면 높은 음이, 볼륨 안테나에서 손을 멀리하면 큰 소리가 난다.
일반적으로 오른손이 음높이를, 왼손이 볼륨을 제어하지만, 일부 연주자는 반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저가형 테레민은 음높이 안테나만 있고, 볼륨 조절은 일반적인 노브를 사용한다.
테레민은 헤테로다인 원리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음높이 회로는 두 개의 라디오 주파수 발진기를 포함하며, 라디오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500 Hz 미만으로 설정된다.[18] 한 발진기는 고정된 주파수에서 작동하고, 다른 발진기의 주파수는 연주자의 손과 음높이 조절 안테나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연주자의 손은 신체 정전 용량을 가지므로, 발진기의 LC 회로에서 가변 커패시터의 접지된 판으로 작용하여 발진 주파수를 결정한다. 가장 간단한 디자인에서는 안테나가 발진기의 튜닝 회로에 직접 연결되어, 안테나 근처의 거리에 따른 음높이 변화('피치 필드')가 비선형적이다. 안테나에 가까울수록 거리 변화에 따른 커패시턴스 변화가 크기 때문이다.
피치 필드를 부분적으로 선형화하기 위해 안테나는 인덕터와 직렬로 연결되어 직렬 공진 회로를 형성한다. 이는 안테나의 커패시턴스와 연주자 손의 커패시턴스 조합과 공진한다. 이 직렬 공진 회로는 가변 음높이 발진기의 병렬 공진 회로와 병렬로 연결된다. 안테나 회로가 연결되지 않으면 발진기는 안테나 회로의 독립 공진 주파수보다 약간 높은 주파수로 튜닝된다. 안테나와 선형화 코일을 연결하면 발진 주파수가 높아진다. 안테나 회로의 공진 주파수에 가까울수록 유효 인덕턴스는 작고 발진기에 미치는 영향은 커진다. 손이 멀어질수록 유효 인덕턴스는 커지고 발진기에 대한 변화는 줄어든다.
손이 안테나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안테나 직렬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가장 높다. 즉, 발진기의 자유 실행 주파수에 가장 가깝고, 안테나 커패시턴스의 작은 변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주의 깊게 튜닝하면 작동 중심 2~3 옥타브에 걸쳐 거의 선형적인 피치 필드 영역을 만들 수 있다. 최적화된 피치 필드 선형화에서는 연주자와 악기 사이의 커패시턴스가 약 0.01 피코패럿 정도 변하면 한 옥타브 전체의 주파수 이동을 만들 수 있다.[18]
믹서는 두 발진기 주파수 간의 오디오 범위 차이를 생성하며, 이 톤은 파형이 형성되고 증폭되어 스피커로 전달된다.
볼륨 제어를 위해 연주자의 다른 손은 또 다른 가변 커패시터의 접지된 판 역할을 한다. 톤 회로와 마찬가지로, 손과 볼륨 조절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커패시턴스를 결정하며, 이는 다른 고정 LC 발진기 회로에 유도적으로 연결된 LC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한다. 손이 안테나에 접근하면 회로의 주파수가 낮아져 발진기가 디튜닝되고 공진 판 전류가 낮아진다.
초기 테레민에서는 발진기의 라디오 주파수 판 전류가 다른 권선에 의해 픽업되어 다른 트라이오드의 필라멘트에 전원을 공급하여 출력 진폭을 변경했다.[19] 출력의 음색은 순수한 톤이 아니었으며 테레민의 중요한 특징이었다.[20] 원래 디자인에는 오디오 주파수 직렬/병렬 LC 포먼트 필터와 고조파를 제어하기 위한 3-권선 가변 포화 변압기가 포함되었다.[6]
현대 회로 설계는 종종 이 회로를 단순화하여 단일 음높이 발진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방식은 안정성이 떨어지고 낮은 주파수를 생성하기 어렵다. 더 나은 설계(예: Moog, Theremax)는 음높이와 볼륨 모두에 두 쌍의 헤테로다인 발진기를 사용한다.[21]
테레민의 가장 큰 특징은 본체에 손을 대지 않고 공간상의 손 위치에 따라 음높이와 음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테레민은 콘덴서를 가진 고주파 발진기를 2개 내장하고 있다. 한쪽 발진 주파수는 고정되어 있지만, 다른 한쪽은 가변이다.[91] 악기 정면을 향해 오른쪽에 수직으로 뻗은 안테나는 음높이를 결정하는 "피치 안테나"이고, 왼쪽에 수평으로 뻗은 안테나는 음량을 결정하는 "볼륨 안테나"이다.[92] 피치 안테나에 오른손을 가까이하거나 멀리하면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 가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가 변동한다.[91] 2개의 발진기 주파수 차이로 비트를 일으켜 가청 주파수를 추출하고, 앰프와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낸다.[93] 볼륨 안테나에 왼손을 가까이하면 음량이 감소하고, 멀리하면 증가한다.[92] 왼손을 빠르게 움직여 스타카토 주법도 가능하다.[94]
미세한 정전 용량 차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연주자의 체격, 장신구, 연주 환경 등에 따라 튜닝이 필요하며, 안정된 음을 내기 위해서는 높은 기량이 요구된다. 일반적인 테레민의 음색은 순수한 사인파에 가깝고, 뮤직 소우와 비슷하다. 공포 영화나 SF 영화의 효과음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4. 연주 기법
테레민의 음 표현에서 중요한 것은 볼륨 제어 안테나의 사용이다. 클라라 록모어는 테레민 연주자는 "음표뿐만 아니라 쉼표도 연주"해야 한다고 언급했다.[22]
음표 사이를 이동할 때 볼륨 손을 먼저 낮추지 않고 피치 손을 움직이면, 스와니 휘슬이나 바이올린에서 연주되는 글리산도와 유사한 "스우핑" 소리가 난다. 비브라토 효과를 내기 위해 피치 손을 작게 떨 수 있다. 뚜렷한 음표를 내려면 피치 손의 위치를 옮기는 동안 볼륨 손으로 쪼는 동작을 하여 볼륨을 음소거해야 한다.
캐롤라이나 에이크와 같은 테레민 연주자는 옥타브당 고정된 팔 위치를 사용하고, 옥타브 내의 음표를 만들기 위해 손가락의 고정된 위치를 사용하여 인접한 음표 사이를 매우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23]
볼륨 기술은 피치 기술보다 덜 발전했지만, 일부 테레민 연주자들은 이를 확장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파멜리아 커스틴은 "워킹 베이스" 기술을 사용했으며,[24] 루퍼트 채플도 이러한 노력을 했다.
해럴드 C. 숀버그는 테레민의 소리를 "집에 가는 방법을 몰라 울고 있는 짙은 안개 속에 갇힌 첼로"라고 묘사했다.[25]
테레민의 가장 큰 특징은 본체에 손을 대지 않고, 공간상의 손 위치에 따라 음높이와 음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테레민은 콘덴서를 가진 고주파발진기를 2개 내장하고 있다. 한쪽 발진 주파수는 고정되어 있지만, 다른 한쪽의 주파수는 가변이다.[91] 악기 정면을 향해 오른쪽에서 수직으로 뻗은 안테나는 음높이를 결정하는 "피치 안테나"이며, 왼쪽 측면에서 수평으로 뻗은 안테나는 음량을 결정하는 "볼륨 안테나"이다.[92] 피치 안테나에 오른손을 가까이하거나 멀리하면, 연주자와 안테나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여 가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가 변동한다.[91] 두 발진기 주파수 차이로 비트를 일으켜 가청 주파수를 추출하고, 앰프와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낸다.[93] 볼륨 안테나에 왼손을 가까이하면 음량이 감소하고, 멀리하면 음량이 증가한다.[92] 왼손을 빠르게 상하로 움직여 스타카토 주법을 어느 정도 사용할 수도 있다.[94]
미세한 정전 용량의 차이를 연주에 이용하므로, 연주자의 체격, 장신구 등에 따른 정전 용량의 차이를 비롯하여 연주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연주 전에 면밀한 튜닝이 필요하며, 안정된 목표 음을 내기 위해서는 연주자의 높은 기량이 요구되어 숙련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테레민의 음색은 순수한 사인파에 가깝기 때문에 뮤직 소우와 비슷하며, 공포 영화나 SF 영화의 효과음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5.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테레민 전문 연주가는 극소수지만, 열렬한 애호가가 존재한다. 신시사이저의 선구자인 모그사에서도 테레민을 개발·판매하고 있다.
키쿠치 슌스케는 『가면라이더』 등의 TV 프로그램 악곡에 테레민을 사용하였다.
2001년 8월에서 9월까지 3일 동안 틴 에이지 메시지라는 성간 무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안 아래의 7개의 멜로디가 6번 연속으로 연주되었다.[77] ''최초의 테레민 외계인 콘서트''(The First Theremin Concert for Extraterrestrials)는 크림반도에 있는 예브파토리아 심우주 통신 센터에서 발신된 세계 최초의 음악 METI 방송으로,[77] NASA의 온 우주로 메시지보다 7년 먼저 전송되었다. 이 멜로디들은 모스크바 테레민 센터의 리디아 카비나, 야나 악세노바, 안톤 케르셴코가 테레민을 연주한 오디오 카세트 녹음에서 전송되었다.
번호 | 곡명 |
---|---|
1 | E. 샤시나의 "나는 홀로 길을 나선다" |
2 |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의 피날레 |
3 | 비발디의 사계: 봄, "알레그로" |
4 | 생상스의 "백조" |
5 |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제" |
6 | 거슈윈의 "썸머타임" |
7 | 러시아 민요 "칼린카-말린카" |
5. 1. 클래식 음악

테레민을 위해 작곡된 최초의 관현악 작품은 1924년에 초연된 안드레이 파센코의 "교향적 미스터리"였다.[26] 그러나 두 번째 공연 이후 악보 대부분이 유실되었다.[27]
이후 테레민을 위해 작곡한 콘서트 작곡가로는 보후슬라프 마르티누,[28] 퍼시 그레인저,[28] 크리스티안 볼프,[28] 조셉 실링거,[28] 모리츠 에거트,[29] 이라이다 유수포바,[29] 조르즈 안투네스,[28] 블라디미르 코마로프,[28] 아니스 풀레이한,[30][31] 파즐 사이가 있다.[32] 카레비 아호는 캐롤라이나 에이크를 위해 테레민과 실내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여덟 계절"(2011)을 작곡했다.
에드가르 바레즈는 1934년에 두 대의 테레민 첼로와 타악기를 위한 "적도"를 완성했다. 그의 작품은 프랭크 자파의 경력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되었으며,[33] 자파 또한 테레민을 위해 작곡했다.[34]
퍼시 그레인저는 악기의 완전한 '글라이딩' 피치 자유도 때문에 두 개의 초기 실험적인 "프리 뮤직" 작품(1935-1937)에 현악 사중주 대신 4대 또는 6대의 테레민 앙상블을 사용하기로 선택했다.[35][36]
찰스 아이브스의 교향곡 제4번[101], 아니스 프레이한의 「테레민 협주곡」, 칼레비 아호의 「테레민 협주곡 『팔계』」, 파질 사이의 「교향곡 제2번 『메소포타미아』」, 크리스토퍼 타르노프의 테레민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및 간주곡 등이 21세기에 작곡되었다.

5. 2. 대중 음악
테레민과 테레민과 유사한 소리는 1940년대 말부터 대중음악에 통합되기 시작했으며(일련의 사무엘 호프만/해리 레블 협업으로 시작), 다양한 인기를 누리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로타 앤 더 핸드 피플은 1965년 11월 테레민으로 라이브 공연을 한 최초의 록 밴드로 알려져 있다. 로타는 그들이 무그 테레민에 붙인 이름이었다.
비치 보이스의 1966년 싱글 "굿 바이브레이션"은 팝 음악에서 테레민과 유사한 악기가 사용된 예시이다. 이 곡은 폴 태너가 발명한 일렉트로-테레민이라는 악기를 사용했다. 싱글 발매와 함께 테레민이 예기치 않게 부활하고 아날로그 신시사이저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101] 밴드의 요청에 따라 무그 뮤직은 테레민의 소리를 모방한 자체 브랜드의 리본 컨트롤러 악기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프랭크 자파 또한 앨범 ''프릭 아웃!'' (1966)과 ''우린 단지 돈 때문에 이러는거야'' (1967)에 테레민을 포함시켰다.
레드 제플린의 지미 페이지는 "홀 로타 러브"와 "노 쿼터" 공연 중에 테레민 변형(피치 안테나만)을 사용했으며, 1977년에는 테레민과 활로 연주하는 기타를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멀티 악기 솔로 연주를 선보였고, 1982년에 발매된 영화 ''데스 위시 2''의 사운드트랙에도 사용되었다.
롤링 스톤스의 브라이언 존스는 그룹의 1967년 앨범 ''Between the Buttons''과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에서도 이 악기를 사용했다.
테슬라 기타리스트 프랭크 해넌은 1991년 앨범 ''사이코틱 서퍼''의 수록곡 "에디슨의 메디슨"에서 테레민을 사용했다.
로타스는 1997년 초 보스턴 지역에서 결성된 밴드로, 그들의 CD에는 한 번에 4개의 테레민이 연주되는 모습을 담았다.
포티스헤드는 앨범 ''더미''의 "미스테론스" 트랙에 테레민과 유사한 악기를 사용했다. 실제로는 모노포닉 신시사이저를 사용하여 테레민과 유사한 효과를 냈으며, 에이드리언 어틀리가 이를 확인했다. 그는 "Half Day Closing", "Humming", "The Rip", "Machine Gun"에서 실제로 맞춤 제작된 테레민을 사용했다.
미국 록 밴드 피쉬의 키보디스트 페이지 맥코넬은 드물게 테레민을 연주한다. 그의 마지막 주목할 만한 공연은 2017년 8월 6일, 밴드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의 13일간의 레지던시의 마지막 날이었다.
사이먼 앤 가펑클은 2003년 12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더 복서"를 공연하면서 테레민을 사용했다. 테레미니스트 롭 슈위머가 솔로를 연주했다.
테레민 전문 연주가는 극소수지만, 열렬한 애호가가 존재한다. 신시사이저의 선구자인 모그사에서도 테레민을 개발·판매하고 있다.
대중음악에서는 토드 랑그렌, 머큐리 레브, 코넬리우스(오야마다 케이고), 타카노 히로시, 이마이 히사시 등의 뮤지션들이 종종 사용한다. 레드 제플린의 「가슴을 열어」의 간주 부분에서 사용되었다. 비치 보이스의 「굿 바이브레이션」에서 사용된 테레민과 유사한 악기는 폴 타너에 의해 만들어진 「일렉트로 테레민(타나린이라고도 한다)」이다. 키쿠치 슌스케는 『가면라이더』 등의 TV 프로그램의 악곡에 테레민을 사용하고 있다.
5. 3. 영화 음악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는 관현악(오케스트라) 곡에 테레민을 통합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으로, 영화 Одна|여인ru(1931)의 스코어에 사용했다.[57] 테레민은 클래식 음악 공연에서는 널리 사용되지 않았지만, 여러 영화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스펠바운드'', ''붉은 집'', ''잃어버린 주말''(이 세 작품은 모두 할리우드 스코어에서 이 악기의 사용을 개척한 작곡가인 미클로시 로자가 작곡했다), ''나선 계단'', ''로켓쉽 X-M'', ''지구가 멈추는 날'', ''다른 세상에서 온 존재'', ''하늘의 성'', ''십계'' 등에서 사용되었다.[57]테레민은 제리 루이스 영화 ''섬세한 불량배''에서 연주되고 식별된다. 헝가리 작곡가 머티어스 세이버가 사용한 1956년 단편 영화 ''짧은 환상''(에드 설리번 쇼에서 방영)의 스코어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58] 최근 영화 스코어에는 ''몬스터 하우스'', ''에드 우드'', ''머시니스트''[59], ''루이스 웨인의 전기적인 삶''[60] (2021)(마지막 세 편은 리디아 카비나가 출연), ''퍼스트 맨''(2018)이 있다.
금지된 행성의 사운드트랙에는 테레민이 사용되지 않았으며, 베베와 루이 배런은 영화에 사용된 전자적 음색을 만들기 위해 일회용 발진기 회로와 링 변조기를 제작했다.[61][62]
로스앤젤레스의 테레미니스트 찰스 리처드 레스터는 ''몬스터 하우스''의 사운드트랙에 참여했으며,[63] 2007년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과 에사페카 살로넨과 함께 가브릴 포포프의 1932년 작품 ''Komsomol – Patron of Electrification''의 미국 초연을 연주했다.[64]
레니 에이브러햄슨의 2014년 영화 ''프랭크''에서 매기 질렌할이 연기한 클라라 캐릭터는 Soronprfbs라는 밴드에서 테레민을 연주한다.[65]
5. 4. 기타
찰리 로젠은 브로드웨이 뮤지컬 ''비 모어 칠''의 오케스트레이터로, 이 쇼가 브로드웨이에서 밴드에 테레민을 사용한 최초의 작품이라고 평가했다.[66] 2007년 5월, 미국의 햄버거 체인점 화이트 캐슬은 밴드 ''더 로타스''의 음악가 존 번하르트가 테레민을 라이브로 연주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텔레비전 광고를 선보였는데,[67] 이는 테레민 연주가 광고의 중심이 된 유일한 사례로 알려져 있다.[68]셀리아 쉰은 ''미드소머 머더스'' 시리즈에서 테레민을 연주한다.[69] 2008년 10월, 코미디언이자 음악가, 테레민 애호가인 빌 베일리는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열린 "빌 베일리의 오케스트라에 대한 놀라운 가이드" 공연에서 테레민을 연주했으며, 이 공연은 이후 텔레비전으로 방영되었다. 그는 이전에 기사를 작성[70]하고, 라디오 쇼를 진행[71]했으며, 자신의 텔레비전 코미디 투어에 테레민을 포함시키기도 했다. 찰리 드레이퍼는 디즈니+에서 방영된 TV 시리즈 ''로키''의 사운드트랙(나탈리 홀트 작곡)에서 테레민을 연주한다.[72][73][74] 테레민에서 영감을 받은 곡이 NES판 ''매니악 맨션''의 에디슨 가족의 테마로 사용되었다.[75]
리디아 카비나의 테레민 독주곡은 2006년 MMORPG 컴퓨터 게임 ''소울 오브 더 얼티밋 네이션''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었으며, 하워드 쇼어가 작곡했다.[76]

''최초의 테레민 외계인 콘서트''(The First Theremin Concert for Extraterrestrials)는 크림반도에 있는 예브파토리아 심우주 통신 단지에서 발신된 세계 최초의 음악 METI 방송으로,[77] NASA의 온 우주로 메시지보다 7년 먼저 전송되었다. 모스크바 테레민 센터의 리디아 카비나, 야나 악세노바, 안톤 케르셴코가 테레민을 연주한 오디오 카세트 녹음에서 7개의 멜로디가 전송되었다.
번호 | 곡명 |
---|---|
1 | E. 샤시나의 "나는 홀로 길을 나선다" |
2 |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의 피날레 |
3 | 비발디의 사계: 봄, "알레그로" |
4 | 생상스의 "백조" |
5 |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제" |
6 | 거슈윈의 "썸머타임" |
7 | 러시아 민요 "칼린카-말린카" |
이 멜로디들은 2001년 8월에서 9월까지 3일 동안 틴 에이지 메시지라는 성간 무선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안 6번 연속으로 연주되었다.[77]
테레민 전문 연주가는 극소수지만, 열렬한 애호가가 존재한다. 신시사이저의 선구자인 모그사에서도 테레민을 개발·판매하고 있다.
대중음악에서는 토드 랑그렌, 머큐리 레브, 코넬리우스(오야마다 케이고), 타카노 히로시, 이마이 히사시 등의 뮤지션들이 종종 사용한다. 레드 제플린의 「가슴을 열어」의 간주 부분과 비치 보이스의 「굿 바이브레이션」에서 테레민이 사용되었다. 특히, 「굿 바이브레이션」에서 사용된 테레민의 음과 같은 악기는 폴 태너에 의해 만들어진 「일렉트로 테레민(타나린이라고도 한다)」이다. 키쿠치 슌스케는 『가면라이더』 등의 TV 프로그램의 악곡에 테레민을 사용하고 있다.
클래식 음악에서의 사용 사례는 많지 않지만, 이 악기를 사용한 초기의 예로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영화 음악 「여인」, 에드가 바레즈의 「에콰토리얼」(옹드 마르트노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찰스 아이브스의 「교향곡 제4번」[101], 퍼시 그레인저의 「프리 뮤직 제1번」(4개의 테레민을 위한), 「프리 뮤직 제2번」(6개의 테레민을 위한), 아니스 프레이한의 「테레민 협주곡」 등이 있다.
21세기에 작곡된 작품에는 칼레비 아호의 「테레민 협주곡 『팔계』」, 파질 사이의 「교향곡 제2번 『메소포타미아』」, 크리스토퍼 타르노프의 테레민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및 간주곡이 있다.
앨범 『전자음』은 나카무라 하치다이, 토미타 이사오의 커버를 중심으로, 모그사 Etherwave Theremin Pro의 음색 제작자 중 한 명인 이이 에리가 일본과 미국에서 발표했다. 모그 테레민과 모그 신시사이저만으로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CD와 함께 테레민 악곡으로는 세계 최초의 벨소리로도 발매되었다.
6. 유사 악기
- 옹드 마르트노(1928)는 이종 주파수 발진기 원리를 사용하지만, 키보드와 슬라이드 컨트롤러가 있으며 연주 시 터치하여 조작한다.[79]
- 1929년 마틴 타우브만이 발명한 일렉트론드는 안테나로 음높이(pitch)를 조절하고, 손으로 잡는 스위치로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을 조절하며, 발 페달로 볼륨을 조절한다.[80]
- 크루아 소노르(소리 십자가)는 테레민을 기반으로 하며, 러시아 작곡가 니콜라이 오브호프가 1924년 레프 테레민의 테레민 시연을 본 후 프랑스에서 개발했다.
- 테레민이 발명한 테르프시톤은 공간 제어 안테나가 장착된 플랫폼으로, 무용수가 이 플랫폼 위에서 움직이면서 음악 연주를 제어했다. 제작된 세 대의 악기 중 마지막 악기는 1978년 리디아 카비나를 위해 제작되었다.[78]
- Z.Vex 이펙트의 퓨즈 프로브, 와 프로브, 트레몰로 프로브는 테레민을 사용하여 해당 효과를 제어한다. 퓨즈 프로브는 피드백 진동을 통해 모든 음높이의 톤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테레민으로 사용할 수 있다.
- Roland의 MC-505는 통합된 D-빔 센서를 테레민처럼 사용할 수 있다.
- Percussa의 오디오큐브는 각 면에 4개의 센서(광학 테레민)가 있는 발광 스마트 블록이다. 센서는 손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효과나 소리를 제어한다.[81]
- 토모야 야마모토(山本智矢일본어)가 발명한 3중 라디오 테레민(Super Theremin, スーパーテレミン일본어)은 3개의 독립적인 라디오 세트로 구성된다. 라디오 세트 #1은 약 1600kHz에서 신호를 듣고 기록하며, 라디오 세트 #2는 1145kHz로 조정되어 약 1600kHz의 국부 발진기가 라디오 세트 #1에서 수신되도록 한다. 라디오 세트 #3도 1145kHz로 조정되어 국부 발진기가 라디오 세트 #2와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라디오 세트 #3의 바 안테나 주변에서 조작자의 손 움직임은 국부 발진기에 영향을 미쳐 음색 변화를 생성할 수 있다.[82]
- 마사미 타케우치의 매트료민은 마트료시카 인형 안에 장착된 단일 안테나 테레민 타입 장치이다.[83]
- ''키메라''는 테레민과 비접촉 리본 컨트롤러의 디지털 파생물이며, 영구 자석의 거리 감지를 기반으로 한다.
- 이니 아치봉의 Artefact #VII는 일본 츠가루 누리 옻칠 공예로 만든 "포드 모양 조각" 안에 둥지를 튼 테레민이다.[85][86][87]
- 더 델마토론: 전자 음악가 브루스 하크가 사용한 악기로, 자신과 상대에게 전극을 부착하고 피부에 접촉하여 연주한다.
- 마트료민: 세계적인 테레민 연주자인 다케우치 마사미가 개발한 소형 테레민.[105] 마트료시카 인형에 테레민과 스피커를 내장한다. 2013년 7월에는 하마마츠시에서 "최대 테레민 앙상블"에 도전하여 272명이 연주하여 기네스 세계 기록으로 인정받았다.[106][107]
- SP-555: 롤랜드사에서 제작한 샘플러. 모노포닉 신시사이저와 D-빔 컨트롤러(광학적으로 손과 센서의 거리를 감지하는 기구)를 채용하여 테레민처럼 연주가 가능하다.
- Simple Media Spook Keys영어 시리즈: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 테레민이 프리웨어로 제공된다. 터치패드나 마우스 외에 일반적인 MIDI 키보드로도 연주 가능하다.
- 슈퍼 테레민: 영미권 명칭은 three radio theremin. 1999년에 야마모토 토모야에 의해 고안되었다. 세 대의 라디오를 사용하여 연주한다.
- 오타마민: 예술 유닛 메이와 덴키가 개발한 『오타마톤』 시리즈 중 하나. 광원에 가까이하거나 멀리함으로써 소리가 난다.
- Stylophone Theremin: 영국 Dubreq사에서 제작한 『스타일로폰』 시리즈 중 하나. 신축식 안테나 1개(피치용)가 부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Revision of the Hornbostel-Sachs Classification of Musical Instruments by the MIMO Consortium
http://folk.instrume[...]
[2]
간행물
The London Mercury Vol. XVII No. 99
1928
[3]
웹사이트
Theremin ! Divine Hand Ensemble
https://www.divineha[...]
2024-06-01
[4]
서적
Theremin: Ether Music and Espionag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5]
Youtube
Leon Theremin playing his own instrument
https://www.youtube.[...]
[6]
특허
US1661058
[7]
웹사이트
MMCatalogue (All)
https://www.musicalm[...]
2024-08-08
[8]
문서
Glinsky pp. 127–128
[9]
웹사이트
The Theremin
http://www.thereminv[...]
Thereminvox
2007-05-09
[10]
뉴스
'Tell Me More'
https://www.bbc.co.u[...]
BBC
2008-05-20
[11]
문서
Glinsky pp. 185–187, 329
[12]
서적
Switched On: Bob Moog and the Synthesizer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13]
웹사이트
1993 interview with Robert Moog posted at RaymondScott.net
http://raymondscott.[...]
[14]
웹사이트
MRQE – Movie Review Query Engine – Theremin
http://www.mrqe.com/[...]
[15]
웹사이트
Sound and Oscillators
http://www.gaudi.ch/[...]
GaudiLabs
2018-05-17
[16]
웹사이트
MIDI Interface
https://www.gaudi.ch[...]
2022-08-04
[17]
학위논문
The Theremin in the emergence of electronic music
1992
[18]
웹사이트
Channel Road Amplification: Vacuum Tube Theremin
http://www.channelro[...]
[19]
웹사이트
RCA Theremin circuit diagram
http://www.pavekmuse[...]
[20]
웹사이트
How is the Electro-Theremin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heremin?
http://www.electroth[...]
[21]
뉴스
Leon Theremin: The man and the music machine
https://www.bbc.co.u[...]
BBC News
1929-03-12
[22]
웹사이트
Theremin Vox – In Clara's Words
http://www.thereminv[...]
Thereminvox.com
2002-10-26
[23]
Youtube
How to play a scale on the theremin | Carolina talks Theremin
https://www.youtube.[...]
[24]
웹사이트
The untouchable music of the theremin
https://www.ted.com/[...]
2002-02
[25]
뉴스
Leon Theremin, Musical Inventor, Is Dead at 97
https://www.nytimes.[...]
1993-11-09
[26]
웹사이트
Good Vibrations: The Story of the Theremin .
https://www.bbc.co.u[...]
BBC Radio 4
[27]
웹사이트
Сегодня нужно становиться "человеками эпохи Возрождения"
https://whitehall.sp[...]
Peter the Great St. 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
[28]
웹사이트
Lydia Kavina Music from the Ether
http://www.moderecor[...]
Mode Records
[29]
웹사이트
Barbara Buchholz / Lydia Kavina / Kammerensemble Neue Musik Berlin – Touch! Don't Touch! – Works For Theremin
http://www.discogs.c[...]
Discogs
2006-08-14
[30]
웹사이트
Anis Fuleihan (Composer, Arranger)
http://www.bach-cant[...]
bach-cantatas.com
2007-06-10
[31]
웹사이트
Ionisation: Thomas Arne, Ludwig van Beethoven, Edward Elgar, Anis Fuleihan, Edgard Varese, Arturo Toscanini, Henry J. Wood, Jean Sibelius, Leopold Stokowski, Nicolas Slonimsky, Wilhelm Furtwängler, BBC Symphony Orchestra, London Symphony Orchestra, New York Symphony Orchestra,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Clara Rockmore: Music
https://www.amazon.c[...]
Amazon
[32]
웹사이트
Carolina Eyck
http://www.carolinae[...]
[33]
서적
Frank Zappa – the Composer
Büchner-Verlag
[34]
논문
Danger! Retro-Affectivity! The Cultural Career of the Theremin
https://www.doi.org/[...]
1997
[35]
문서
'Grainger, Percy'
2007–2011
[36]
서적
A source guide to the music of Percy Grainger
Pro-Am Music Resources
[37]
웹사이트
Gdansk – 2005
http://www.jeanmiche[...]
Jeanmicheljarre.com
2012-03-13
[38]
웹사이트
BBC Proms Review: Spaghetti Western Orchestra
http://www.i-flicks.[...]
i-flicks.net
2012-01-14
[39]
웹사이트
Pamela Kurstin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7-02-14
[40]
웹사이트
All-Metal-Stars
http://www.vivaldime[...]
Vivaldi Metal Project
2017-02-14
[41]
웹사이트
Lydia Kavina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7-02-14
[42]
웹사이트
El instrumento que no se toca tiene su propio festival en GAM
http://radio.uchile.[...]
Diario Uchile
2015-04-02
[43]
서적
Electronic Rhapsody: Theremin and Matryomin
https://academicwork[...]
CUNY Academic Works
2024-03-26
[44]
웹사이트
Brussels Philharmonic plays Zorn, Zappa, Campo & Constant (Openingsconcert)
https://www.arsmusic[...]
2019-05-31
[45]
문서
Music out of the Moon
Capitol Records
[46]
논문
Danger! Retro-Affectivity!: The Cultural Career of the Theremin
1997-12
[47]
웹사이트
Sonic Wave
https://www.metmuseu[...]
2022-10-10
[48]
웹사이트
A Simple Theremin Project
http://online.physic[...]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49]
웹사이트
Burns Zep Theremin
http://www.soundslik[...]
[50]
Youtube
Tesla – Edison's Medicine
https://www.youtube.[...]
2009-06-16
[51]
뉴스
The Lothars revive the spooky sounds of the theremin
1998-09-17
[52]
문서
Glinsky p.341
[53]
웹사이트
Adrian Utley: Portishead Sound Shaper
https://www.soundons[...]
2023-12-02
[54]
웹사이트
Auction of No 1 Electronics theremin, A. Utley.
http://www.spheremus[...]
spheremusic.com
2018-08-18
[55]
간행물
Phish's 'Baker's Dozen' Residency: Breaking Down All 13 Blissful Nights
https://www.rollings[...]
2019-09-27
[56]
Youtube
Simon & Garfunkel – The Boxer (from Old Friends)
https://www.youtube.[...]
2012-12-14
[57]
웹사이트
The Sound of Early Sci-Fi: Samuel Hoffman's Theremin
https://reverb.com/n[...]
2024-03-19
[58]
Youtube
A Short Vision
https://www.youtube.[...]
2009-05-19
[59]
웹사이트
Full cast and crew for Maquinista, El
https://www.imdb.com[...]
IMDb
2007-09-01
[60]
웹사이트
Full cast and crew for The Electrical Life of Louis Wain
https://www.imdb.com[...]
IMDb
2023-02-20
[61]
웹사이트
Forbidden Planet
http://www.moviediva[...]
MovieDiva
2006-08-16
[62]
웹사이트
Notes about film soundtrack and CD
http://www.moviegroo[...]
[63]
웹사이트
Monster House (2006)
https://www.imdb.com[...]
IMDb
2006-07-21
[64]
웹사이트
L. A. Philharmonic concert details
http://www.laphil.co[...]
Laphil.com
2012-03-13
[65]
뉴스
Hide and Seek
The New Yorker
2014-08-25
[66]
뉴스
4 Secrets You Never Knew About Broadway's Be More Chill
Playbill
2019-03-11
[67]
Youtube
White Castle Ad on YouTube
https://www.youtube.[...]
[68]
뉴스
The geek who captured the Castle
http://www.boston.co[...]
2007-05-07
[69]
뉴스
Clara Rockmore: Story of the theremin virtuoso who inspired Led Zeppelin and The Rolling Stones
https://www.telegrap[...]
2016-03-08
[70]
뉴스
Bill Bailey's Weird Science Guardian article, Oct 2004
https://www.theguard[...]
2012-03-13
[71]
웹사이트
Good Vibrations: The Story of the Theremin, Oct 2004
https://www.bbc.co.u[...]
BBC
2004-10-21
[72]
간행물
'Loki' Director Kate Herron on Shooting New 'Avengers: Endgame'-Era Footage
https://www.hollywoo[...]
Lynne Segall
2021-06-09
[73]
트윗
I'm proud to reveal my #theremin features in @filmmusicholt's stunning soundtrack to #Loki by @iamkateherron and @michaelwaldron. NH's combo of orchestra, electronics, clocks, and Norse instruments is just perfect for our god of mischief's run-in with the time police!
[74]
트윗
Time warping #Loki to the 70's… who knew that a Disco lead line would be so perfect on Theremin? @charlietheremin = bringing his incredible sound world to scores …also Spanish road trips 💚
[75]
웹사이트
8-Bit Terror: 'Maniac Mansion'
https://www.fangoria[...]
2019-12-23
[76]
웹사이트
Ode to Joystick
http://www.gamedaily[...]
GameDaily
2012-03-08
[77]
학술지
The first musical interstellar radio message
2008-09
[78]
웹사이트
Craft x Tech Tohoku Project, Prince Consort Gallery, V&A South Kensington
https://www.vam.ac.u[...]
2024-10-23
[79]
웹사이트
ONDES MARTENOT **** THOMAS BLOCH – the instrument : videos, pictures, works, facts...
http://www.thomasblo[...]
2010-03-11
[80]
문서
Taubman demonstrates his Electronde. Stills and a downloadable video at British Pathe news archive
http://www.britishpa[...]
1938-12-12
[81]
웹사이트
Create Optical Theremin using Percussa AudioCubes
http://land.percussa[...]
[82]
웹사이트
Super Theremin utilizing three radio sets
http://www3.kiwi-us.[...]
[83]
웹사이트
Mandarin Electronics: Matryomin
http://www.mandarine[...]
[84]
학회자료
CHIMAERA – The Poly-Magneto-Phonic Theremin – An Expressive Touch-Less Hall-Effect Sensor Array
https://web.archive.[...]
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
2014-07-30
[85]
웹사이트
Artifact #VII │ Tsugaru Nuri x Ini Archibong
https://craft-x-tech[...]
2024-10-23
[86]
웹사이트
Prefecture makes perfect
https://londondesign[...]
2024-10-23
[87]
웹사이트
Craft x Tech elevates Japanese craftsmanship with progressive technology
https://www.wallpape[...]
2024-06-02
[88]
서적
Theremin: Ether Music and Espion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89]
학술지
The Theremin and Its Inventor in Twentieth-Century Russia
https://muse.jhu.edu[...]
[90]
문서
標準音楽辞典 補遺
音楽之友社
1973
[91]
문서
竹内、34ページ
[92]
문서
竹内、33ページ
[93]
문서
竹内、35ページ
[94]
문서
同上
[95]
문서
竹内、25ページ
[96]
문서
竹内、26ページ
[97]
문서
竹内、29ページ
[98]
문서
竹内、30ページ
[99]
문서
竹内、43ページ
[100]
뉴스
ロシア大使館でTheremin Day(テルミンの日)!
http://japanese.ruvr[...]
VOICE OF RUSSIA
2014-09-17
[101]
문서
楽譜では「エーテル・オルガン」と表記されており、これがテルミンを指すのかは議論あり。詳細は当該記事参照。
[102]
문서
NIME 2007 - New Interfaces for Musical Expression
http://www.nime.org/[...]
2007-06-06
[103]
웹사이트
今日の必ずトクする一言
http://www3.kiwi-us.[...]
株式会社KIWI
1999-02-08
[104]
문서
Drawdio: A Pencil that Lets You Draw Music
http://web.media.mit[...]
MITメディアラボ
[105]
웹사이트
ロシアの民芸品っぽい「マトリョミン」 その正体は?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05-29
[106]
웹사이트
2013年07月20日 テレミンの世界記録は、日本でセットされた。
http://time-az.com/m[...]
Digital Creators Conference
2014-09-19
[107]
Youtube
272人でテルミン合奏 「最多人数」ギネス記録
http://www.youtube.c[...]
共同通信
2014-09-19
[108]
뉴스
アニメーション映画「きみの色」、世界最古の電子楽器「テルミン」をバンドに加えた理由とは
https://www.musicvoi[...]
2024-09-03
[109]
서적
Theremin: Ether Music and Espion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10]
Youtube
Léon Theremin playing his own instrument
https://www.youtube.[...]
[111]
특허
US1661058
[112]
문서
Glinsky
[113]
웹인용
The Theremin
http://www.thereminv[...]
Thereminvox
2010-07-13
[114]
웹사이트
Tell Me More
http://www.bbc.co.uk[...]
BBC
2008-05-20
[115]
문서
Glinsky
[116]
웹인용
1993 interview with Robert Moog posted at RaymondScott.net
https://web.archive.[...]
2017-08-01
[117]
웹사이트
MRQE – Movie Review Query Engine – Theremin
http://www.mrq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