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튜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튜턴족은 라틴어로 기록된 고대 게르만족의 명칭으로, 기원전 2세기 말 킴브리족, 암브로네스족과 함께 로마 공화정을 위협했다. 튜턴족은 일반적으로 게르만족으로 분류되지만, 켈트족 기원설도 존재하며, 켈트어 명칭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튜턴족은 윌란반도, 스칸디나비아 등지에 거주했으며, 킴브리 전쟁에서 로마군에 패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게르만족 - 앵글로색슨족
    앵글로색슨족은 5세기경 브리튼 섬에 정착한 게르만족 앵글족, 색슨족, 주트족으로 형성된 민족 집단으로, 고대 영어를 사용하며 여러 소왕국을 건설하고 웨섹스 왕국으로 통일되었으나, 노르만 정복 이후 지배가 종식되었지만 그들의 언어와 문화는 현대 영어와 영국 문화의 기반이 되었으며, "앵글로색슨" 용어는 영어권 국가들과 문화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역사적 정확성과 정치적 함의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고대 게르만족 - 동고트족
    동고트족은 3세기부터 로마 기록에 나타난 고트족의 한 분파로, 다뉴브 강 하류와 흑해 북부에서 거주하며 로마와 경쟁하고 용병을 제공하다가, 5세기 말 테오도리크 대왕의 지휘 아래 이탈리아에 동고트 왕국을 건설했으나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멸망했고, 그들의 고트어와 문화는 다른 유럽 민족에게 흡수되었다.
튜턴족
개요
"기원전 300년경부터 서기 300년경까지의 북유럽의 고고학 문화."
명칭
라틴어Teutones (테우토네스)
고대 그리스어Τεύτονες (테우토네스)
영어Teutons (튜턴족)
역사
기원유틀란트 반도
주요 활동 시기기원전 2세기 말
킴브리 전쟁기원전 2세기 말 ~ 기원전 1세기 초
관련 민족킴브리족, 암브로네스족
주요 전투아라우시오 전투 (기원전 105년)
아쿠아에 섹스티아에 전투 (기원전 102년)
베르켈라이 전투 (기원전 102년)
지리
거주 지역원래 유틀란트 반도 추정
이후 갈리아 남부, 이탈리아 반도 북부 침입
사회 및 문화
언어게르만어 추정
족장테우토보드 (기원전 2세기 말)
로마와의 관계
주요 교전 상대로마 공화정
로마군 지휘관퀸투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
가이우스 마리우스

2. 명칭

튜턴족은 일반적으로 게르만족 부족으로 분류된다.[17][18] 일부 역사가들은 튜턴족이 켈트족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하며, 튜턴족의 명칭이 켈트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8]

민족명은 라틴어로 ''Teutonēs'' 또는 ''Teutoni''(복수), 더 드물게 ''Teuton'' 또는 ''Teutonus''(단수)로 기록되어 있다.[2] 이는 프로토-인도-유럽어족(PIE) 어근 *''tewtéh₂-''('사람들, 부족, 무리')에 접미사 ''-ones''가 붙은 것에서 유래하는데, 이 접미사는 로마 시대 켈트어와 게르만어 부족 명칭에서 흔히 발견된다. 이 어근은 엘리트 집단과는 대조적으로 하층 계급을 암시하며, 원래 의미는 '무장한 사람들'이었을 수 있다.[3]

''Teutones''라는 명칭은 프로토-켈트어 *''towtā''('사람들, 부족')에서 유래했거나, 제1 음운 변화 이전의 게르만어 발전 단계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나중에 증명된 게르만어 형태 *''þeudō''- '국가, 사람들, 민족'; 예를 들어 고트어 ''þiuda''에 구현됨) 그러나 그리스어와 라틴어 저술가들에 의한 원래 명칭의 가능한 오류는 실제 발음이 철자에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3]

서게르만어파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Teuton''의 훨씬 후대의 용례는 9세기 수도원 저술가들의 라틴어에서 나타났으며 현대까지 이어져 왔다. 원래는 유사한 발음의 "테오디스쿠스" 대신 사용되는 학문적인 고전 라틴어 단어로 쓰였는데, 이는 당시 관련 서게르만어 단어("사람들의")의 현재 발음을 라틴어화한 더 오래된 용어였다.[4] "Teutonic"이라는 단어는 종종 "게르만족"과 같은 의미로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2]

3. 기원 및 언어

튜턴족은 일반적으로 게르만족 부족으로 분류된다.[17][18] 일부 역사가들은 튜턴족이 켈트족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하며, 비록 논쟁거리이기는 하지만 튜턴족의 명칭이 켈트어라고 주장한다.[18] 특정 고대 저술가들은 튜턴족을 켈트족으로 분류하기도 했는데, 이는 그 당시 저술가들이 켈트족과 게르만족 사이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

기원전 4세기 초 여행가 피테아스는 튜턴족이 구토네스족과 같이 대서양 해안가를 따라 사는 거주민이라고 언급했다. 스트라본(기원전 64년 또는 63년 ~ 서기 24년)과 마르쿠스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기원전 19년 ~ 서기 31년)는 이들을 게르만족으로 분류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도에 따르면, 튜턴족들은 본래 윌란반도에 거주했으며, 이는 튜턴족을 스칸디나비아(코다노이아)에 위치시킨 폼포니우스 멜라의 지도와 일치하는데, 튜턴족이 과거 두 지역에 모두 거주했음을 암시한다. 덴마크의 튀 지역은 튜턴족의 고향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19]

민족명은 라틴어로 'Teutonēs' 또는 'Teutoni'(복수), 더 드물게 'Teuton' 또는 'Teutonus'(단수)로 나타난다.[2] 이는 프로토-인도-유럽어족(PIE) 어근 *'tewtéh₂-'('사람들, 부족, 무리')에 접미사 '-ones'가 붙은 것에서 유래하는데, 이 접미사는 로마 시대 켈트어(Lingones, Senones 등)와 게르만어(Ingvaeones, Semnones 등) 부족 명칭에서 흔히 발견된다. 이 어근은 엘리트 집단이나 지배 계급과는 대조적으로 하층 계급을 암시하는 의미를 지녔던 것으로 보이며, 히타이트어 'tuzzi'-와 루위어 'tuta'('군대')에서 제시된 것처럼 PIE 시대의 원래 의미는 '무장한 사람들'이었을 수 있다.[3]

'Teutones'라는 명칭은 프로토-켈트어 *'towtā'('사람들, 부족')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고, 제1 음운 변화("게르만어 이전 단계") 이전의 게르만어 발전 단계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나중에 증명된 게르만어 형태 *'þeudō'- '국가, 사람들, 민족'; 예를 들어 고트어 'þiuda'에 구현됨) 그러나 그리스어와 라틴어 저술가들에 의한 원래 명칭의 가능한 오류는 실제 발음이 철자에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3]

서게르만어파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Teuton'의 훨씬 후대의 용례는 9세기 수도원 저술가들의 라틴어에서 나타났으며 현대까지 이어져 왔다. 원래는 유사한 발음의 "테오디스쿠스" 대신 사용되는 학문적인 고전 라틴어 단어로 쓰였는데, 이는 당시 관련 서게르만어 단어("사람들의")의 현재 발음을 라틴어화한 더 오래된 용어였다.[4] 확장하여 "Teutonic"이라는 단어는 종종 "게르만족"과 같은 의미로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2]

튜톤족은 일반적으로 게르만 부족으로 분류되지만, 증거가 단편적이지만 게르만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튜톤족과 그들의 동맹인 킴브리족의 이름이 게르만족이 아닌, 켈트족일 가능성이 있는 형태인 것과 이 부족들로부터 알려진 고유명사들 때문에 일부 역사가들은 튜톤족의 기원을 켈트족으로 추측하기도 한다.[5][6]

가장 초기의 고전 작가들은 튜톤족을 켈트족으로 분류했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켈트족과 게르만족을 구분하지 않았다. 이러한 구분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처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주된 관심사는 지중해 문명에 의해 온화해지지 않은 북방 민족들의 남부 갈리아와 이탈리아 침략을 로마가 미래에 반복될 수 있는 체계적인 문제로 인식하여 선제적인 군사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그의 북부 갈리아 침공의 정당화였다.[7]

율리우스 카이사르 이후, 스트라본(서기 24년경 사망)[8]마르쿠스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서기 31년경 사망)[9]는 튜톤족을 게르만족으로 분류한다. 플리니우스 또한 그들을 이렇게 분류했으며, 그들이 킴브리족과 카우키족과 관련된 인게아보네스에 속한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했다.[10]

4. 거주 지역

기원전 4세기 초 여행가 피테아스는 튜턴족이 구토네스족과 같이 대서양 해안가를 따라 거주한다고 언급했다.[11] 스트라본 (기원전 64년 또는 63년 – 서기 24년)과 마르쿠스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기원전 19년 – 서기 31년)도 이들을 게르만족으로 분류했다.[17][18]

폼포니우스 멜라는 튜턴족이 본래 윌란반도에 거주했으며, 스칸디나비아 (코다노이아)에도 위치했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튜턴족이 과거 두 지역에 모두 거주했음을 암시한다. 덴마크의 튀 지역은 튜턴족의 고향이라고 주장한다.[19]

플루타르코스는 마리우스의 전기에서 테우토니족과 킴브리족이 "다른 민족들과 교류한 적이 없고, 광대한 지역을 이동했기 때문에 그들이 어떤 민족인지, 어디에서 출발했는지 알 수 없었다"고 적었다.[11]

피테아스는 플리니우스(서기 79년 사망)를 통해, 봄에 호박이 밀려드는 북쪽 섬 아발루스의 이웃으로 테우토니족을 묘사했다. 테우토니족은 호박을 거래했으며, 아발루스는 조수습지 또는 강어귀인 메투오니스에서 하루 항해 거리에 있었고, 거기에는 또 다른 게르만 부족인 구이오네스(아마도 인구아이오네스 또는 구토네스)가 살았다.[12]

폼포니우스 멜라(서기 45년경 사망)는 튜턴족이 코다누스 만에 있는 코다노비아 섬에 살았다고 말했다. 학자들은 이 만을 발트해[13]로, 코다노비아를 스칸디나비아로 해석했다.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술을 바탕으로 한 텍스트는 게르마니아에서 테우토니족과 "테우토노아로이"를 모두 언급했지만, 이는 사본에서 훼손된 텍스트의 일부이다. 구드문드 슈테는 두 민족을 하나로 이해해야 하지만,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술을 바탕으로 한 다른 저작에서는 플리니우스와 멜라와 같은 문헌 자료를 사용하여 킴브리족 근처(덴마크 제일랜드, 스칸디나비아, 또는 발트해 남쪽 해안)에 그들을 배치했다고 제안했다.[14]

유틀란트의 티 지방 이름은 테우토니족의 이름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그들이 그 지역에서 왔다는 고대 보고서와 일치한다.[3]

5. 킴브리 전쟁

기원전 2세기 말, 테우토보드가 이끄는 튜턴족은 킴브리족, 암브로네스족과 함께 스칸디나비아 남부와 덴마크 윌란반도의 본거지를 떠나 남쪽과 서쪽의 도나우강 유역으로 이동하여 확장 중이던 로마 공화정과 마주쳤다. 튜턴족과 킴브리족은 로마령 이탈리아를 공격하기 전 갈리아를 거쳐 서쪽으로 이동하였다.[20]

기원전 105년 노레이아와 아라우시오에서 로마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후, 킴브리족과 튜턴족은 병력을 나누었다. 이후 가이우스 마리우스는 기원전 102년과 기원전 101년에 이들을 각각 격파하여 킴브리 전쟁을 종식시켰다. 튜턴족은 아쿠아이 섹시타이 전투(오늘날 엑상프로방스 인근)에서 패배하였다.[20]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와 플로루스의 기록에 따르면, 튜턴족의 왕 테우토보드는 로마에 패한 뒤 쇠사슬에 묶였다. 항복 조건으로 튜턴족 기혼 여성 300명이 로마 측의 과 노예로 넘겨질 예정이었다. 튜턴족 부인들은 집정관 마리우스에게 케레스베누스 신전을 관리하는 일을 하게 해달라고 애원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러자 튜턴족 여성들은 자신들의 아이들을 죽이고, 밤 동안 서로의 목을 졸라 다음 날 아침 서로의 팔에 안긴 채 주검으로 발견되었다. 이들의 순교는 로마의 전설인 튜턴족의 분노로 전해졌다.[20]

일부 생존한 포로들은 기원전 73년-기원전 71년에 일어난 제3차 노예전쟁에서 봉기한 검투사로 참여했다고 전해진다.[21]

참조

[1]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1-25
[2] 웹사이트 Teuton, n. https://www.oed.com/[...] 2019
[3] 서적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https://www.academia[...] De Gruyter
[4] 서적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De Gruyter
[5] 서적 Encyclopedia of European People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6
[6]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CUP Archive 1957
[7] 서적 Die Germanen
[8] 웹사이트 Strabo IV.4 https://penelope.uch[...]
[9] 웹사이트 Velleius Paterculus 2.12 https://penelope.uch[...]
[10] 웹사이트 Pliny 4.28 http://www.perseus.t[...]
[11] 웹사이트 Plutarch, Marius, ch. 11 http://www.perseus.t[...]
[12] 서적 Cassiodorus, Jordanes and the History of the Goths https://books.google[...] Museum Tusculanum Press
[13] 웹사이트 Pomponius Mela's description of the world https://hdl.handle.n[...]
[14] 웹사이트 Ptolemy's maps of northern Europe, a reconstruction of the prototypes https://archive.org/[...] Kjøbenhavn, H. Hagerup
[15] 문서 Lucius Annaeus Florus, Epitome 1.38.16–17 and Valerius Maximus, Factorum et Dictorum Memorabilium 6.1.ext.3
[16] 서적 The Spartacus War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7] 서적 Encyclopedia of European People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9-10-04
[18]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https://books.google[...]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CUP Archive 2019-10-04
[19] 서적 Nudansk Ordbog Politikens Forlag 1986
[20] 문서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플로루스의 Epitome 1.38.16–17,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의 로마의 기억할 만한 이야기들 6.1.ext.3
[21] 서적 The Spartacus Wa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