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라콤팩트 공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라콤팩트 공간은 위상 공간의 한 종류로, 모든 열린 덮개가 국소 유한 열린 세분을 가지는 공간을 의미한다. 파라콤팩트 공간은 콤팩트 공간, 메조콤팩트 공간, 메타콤팩트 공간, 직교 콤팩트 공간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 간의 포함 관계가 존재한다. 파라콤팩트 공간은 콤팩트 공간과 곱공간, 닫힌 집합 등과 관련하여 몇 가지 성질을 가지며, 마이클의 정리, 스미르노프 거리화 정리 등과 같은 중요한 정리가 존재한다. 모든 콤팩트 공간과 모든 정규 린델뢰프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에 해당하며, 거리 공간 역시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반면, 긴 직선, 조르겐프라이 평면 등은 파라콤팩트 공간이 아닌 예시로 제시된다. 파라콤팩트 공간의 개념은 1940년대에 튜키와 디외도네에 의해 정의되었으며, 스톤과 모리타에 의해 연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상 공간의 성질 - 점렬 콤팩트 공간
    점렬 콤팩트 공간은 위상 공간에서 모든 점렬이 수렴하는 부분 점렬을 갖는 공간으로, 가산 개의 곱공간, 닫힌집합, 연속적 상에 대해 점렬 콤팩트성을 유지하며, 거리 공간에서는 콤팩트 공간과 동치이지만 일반적인 위상 공간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 위상 공간의 성질 - 하우스도르프 공간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서로 다른 두 점을 서로소 열린 근방으로 분리할 수 있는 위상 공간으로, 부분 공간과 곱에 대해서는 닫혀 있으나 몫 공간은 그렇지 않을 수 있으며, 해석학의 많은 공간과 위상군, 위상 다양체에서 중요한 조건을 이룬다.
파라콤팩트 공간
정의
정의모든 열린 덮개가 국소 유한 열린 세분(細分, refinement)을 갖는 위상 공간
성질
포함 관계모든 콤팩트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모든 거리화 가능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모든 CW 복합체는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모든 제2 가산 국소 콤팩트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모든 파라콤팩트 공간은 정칙 공간이다.
모든 파라콤팩트 공간은 정규 공간이다.
모든 파라콤팩트 공간은 베르 공간이다.
모든 린델뢰프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곱공간파라콤팩트 공간의 곱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 아닐 수 있다.
파라콤팩트 공간과 콤팩트 공간의 곱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파라콤팩트 공간의 닫힌 부분 공간파라콤팩트 공간의 닫힌 부분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완비 정규 공간이다.
역사
이름장 디외도네가 "파라콤팩트"라는 이름을 붙였다.

2. 정의

위상 공간 X의 임의의 열린 덮개에 대하여 국소 유한 열린 덮개인 세분을 찾을 수 있다면, X를 '''파라콤팩트 공간'''이라고 한다.[14]

여기서,


  • 덮개: 집합 ''X''의 부분 집합의 모임으로, 그 합집합이 ''X''를 포함하는 것이다.
  • 열린 덮개: 위상 공간 ''X''의 덮개의 모든 원소가 열린 집합인 경우이다.
  • 세분: 공간 ''X''의 어떤 덮개의 모든 집합이 이전 덮개의 어떤 집합의 부분 집합인 새로운 덮개이다.
  • 국소 유한: 공간 ''X''의 열린 덮개가 ''국소 유한''하다는 것은, 공간의 모든 점이 덮개의 유한 집합 개의 집합과만 교차하는 근방을 갖는다는 것이다.

2. 1. 관련 개념

위상 공간의 열린 덮개에 대한 조건을 변경하여 파라콤팩트 공간과 관련된 여러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는 메조콤팩트 공간, 메타콤팩트 공간, 직교 콤팩트 공간 등이 있다.[14]

이러한 개념들은 주어진 공간의 열린 덮개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열린 세분을 갖는지에 따라 정의된다. 예를 들어, 모든 열린 덮개가 국소 유한 열린 세분을 가지면 파라콤팩트 공간, 점 유한 열린 세분을 가지면 메타콤팩트 공간이 된다.

2. 1. 1. 세분 조건

개념세분의 조건
파라콤팩트 공간국소 유한 열린 덮개
메조콤팩트 공간콤팩트 유한 열린 덮개[15]
메타콤팩트 공간점 유한 열린 덮개
직교 콤팩트 공간내부 보존 열린 덮개


2. 2. 가산 파라콤팩트 공간

위상 공간의 정의에서 "임의의 열린 덮개"를 "가산 열린 덮개"로 약화시키면 다음과 같은 개념들을 얻는다.

  • '''가산 파라콤팩트 공간'''(countably paracompact space영어)
  • '''가산 메조콤팩트 공간'''(countably mesocompact space영어)
  • '''가산 메타콤팩트 공간'''(countably metacompact space영어)
  • '''가산 직교 콤팩트 공간'''(countably orthoparacompact space영어)


예를 들어, '''가산 파라콤팩트 공간'''은 모든 가산 열린 덮개가 국소 유한 열린 덮개인 세분을 갖는 위상 공간이다.

3. 성질

콤팩트 공간과 파라콤팩트 공간의 곱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며,[20] 콤팩트 공간과 메타콤팩트 공간의 곱공간은 메타콤팩트 공간이다.

파라콤팩트 공간의 닫힌집합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20] 메조콤팩트 공간, 메타콤팩트 공간, 직교 콤팩트 공간, 가산 파라콤팩트 공간의 닫힌집합은 각각 해당 공간들이다.[21]

파라콤팩트성은 유전적 성질이 아니므로, 파라콤팩트 공간의 임의의 부분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 아닐 수 있다. 또한, 티호노프 정리에 의해 콤팩트 공간들의 곱공간은 콤팩트 공간이지만, 파라콤팩트 공간의 임의의 곱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 되지 않는다.[20]

3. 1. 콤팩트성과의 관계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콤팩트 공간파라콤팩트 공간메조콤팩트 공간메타콤팩트 공간직교 콤팩트 공간
가산 콤팩트 공간가산 파라콤팩트 공간가산 메조콤팩트 공간가산 메타콤팩트 공간가산 직교 콤팩트 공간



이 밖에도,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 파라콤팩트 희박 콤팩트 공간은 콤팩트 공간이다.
  • 메타콤팩트 가산 콤팩트 공간은 콤팩트 공간이다.
  • 파라콤팩트 정칙 공간준파라콤팩트 공간이다.
  • 모든 열린 덮개가 국소 유한 세분을 갖는 정칙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 ('''모리타 정리''') 정칙 린델뢰프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20] 특히, 모든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제2 가산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반대로, 가산 강하향 반사슬 조건을 만족시키는 파라콤팩트 공간은 린델뢰프 공간이다. 특히, 분해 가능 파라콤팩트 공간은 린델뢰프 공간이다.
  • 국소 콤팩트 연결 위상군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20]
  • 완전 정규 공간은 가산 파라콤팩트 공간이다.[21]
  • 순서 위상을 갖춘 전순서 집합의 임의의 부분 집합은 직교 콤팩트 공간이자 가산 파라콤팩트 공간이다.[18]
  • 순서 위상을 갖춘 전순서 집합이 메타콤팩트 공간이라면, 파라콤팩트 공간이다.[19]
  • ('''마이클의 정리''') 정규 공간은 모든 열린 덮개가 열린 것이 아닌 국소 유한 세분성을 가질 때 파라콤팩트이다. 특히, 모든 정규 린델뢰프 공간은 파라콤팩트이다.
  • ('''스미르노프의 거리화 정리''') 위상 공간이 거리화 가능할 필요충분조건은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국소 거리화 가능일 때이다.
  • 마이클 선택 정리는 바나흐 공간의 비어있지 않은 닫힌 볼록 부분 집합으로의 하반 연속 다중 함수가 ''X''가 파라콤팩트일 때만 연속적인 선택을 허용한다고 말한다.


파라콤팩트 공간과 콤팩트 공간의 곱은 파라콤팩트 공간이지만, 메타콤팩트 공간과 콤팩트 공간의 곱은 메타콤팩트 공간이다.

콤팩트성과 파라콤팩트성의 정의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다. 파라콤팩트성은 "부분 덮개"는 "열린 세분"으로, "유한"은 "국소 유한"으로 대체된다. 이 두 가지 변화는 모두 중요하다. 파라콤팩트 정의에서 "열린 세분"을 다시 "부분 덮개"로 변경하거나 "국소 유한"을 다시 "유한"으로 변경하면 두 경우 모두 콤팩트 공간이 된다.

파라콤팩트성은 콤팩트성의 개념과는 거의 관련이 없지만, 위상 공간의 개체를 관리 가능한 조각으로 나누는 것과 더 관련이 있다.
파라콤팩트성과 콤팩트성의 유사점
파라콤팩트성과 콤팩트성의 차이점

  • 하우스도르프 공간의 파라콤팩트 부분 집합은 닫힐 필요가 없다. 실제로, 거리 공간의 경우 모든 부분 집합이 파라콤팩트하다.
  • 파라콤팩트 공간의 곱은 파라콤팩트일 필요가 없다. 하한 극한 위상에서의 실선 '''R'''의 제곱이 이에 대한 전형적인 예이다.

3. 2.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파라콤팩트 공간에 하우스도르프 공간 조건을 추가하면 유용한 성질들이 성립한다. 이러한 성질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디외도네 정리'''(Dieudonne’s theorem영어)로, 모든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정규 공간이라는 것이다.[20]

하우스도르프 공간에 대해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다.

  •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 임의의 열린 덮개에 대해, 이에 종속되는 단위 분할이 존재한다.
  • 모든 열린 덮개는 열린 성형 세분을 갖는다.[21]
  • 모든 열린 덮개는 열린 무게 중심 세분을 갖는다.[21]


이처럼 파라콤팩트성은 미분기하학에서 중요한 단위 분할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또한, 스미르노프 거리화 정리에 따르면,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국소 거리화 가능 공간은 거리화 가능 공간과 동치이다.[20] 따라서 파라콤팩트 공간은 거리화 가능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모든 거리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이 외에도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에 대해 다음 성질들이 성립한다.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의 중요한 특징은 임의의 열린 덮개에 종속되는 단위 분할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즉, ''X''가 주어진 열린 덮개를 가진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라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연속 함수들의 모임이 ''X'' 위에 존재한다.

  • 모든 함수 ''f'': ''X'' → '''R'''에 대해, 덮개에 속하는 열린 집합 ''U''가 존재하여, ''f''의 support가 ''U''에 포함된다.
  • ''X''의 모든 점 ''x''에 대해, ''x''의 근방 ''V''가 존재하여, 이 모임의 함수 중 유한 개를 제외한 모든 함수가 ''V''에서 0이고, 0이 아닌 함수들의 합은 ''V''에서 항등적으로 1이다.


T1 공간이 하우스도르프이고 파라콤팩트인 것은, 임의의 열린 덮개에 종속적인 단위 분할을 허용하는 것과 필요충분조건이다.

4. 예


  • 모든 콤팩트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 모든 정규 공간 린델뢰프 공간은 마이클의 정리에 의해 하우스도르프인 경우 파라콤팩트 공간이다.[2] 특히, 모든 국소 콤팩트 공간 하우스도르프 공간 가산 제2 공리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 조르겐프라이 직선은 콤팩트, 국소 콤팩트, 가산 제2 공리, 거리화 가능 공간이 아님에도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 모든 CW 복합체는 파라콤팩트 공간이다.[3]
  • ('''A. H. Stone의 정리''') 모든 거리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4] 초기 증명은 다소 복잡했지만, M. E. Rudin에 의해 간단한 증명이 발견되었다.[5] 이 증명들은 비분리 가능 공간의 경우 선택 공리를 필요로 한다. ZF 이론은 약한 종속 선택 공리가 추가된 후에도 이를 증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6]
  • 콤팩트 집합에 의한 소진을 허용하는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이다.


파라콤팩트 공간이 아닌 공간의 예는 다음과 같다.

  • 가장 유명한 반례는 긴 직선으로, 비파라콤팩트 위상 다양체이다. (긴 직선은 국소 콤팩트이지만 가산 제2 공리가 아니다.)
  • 또 다른 반례는 비가산 집합 개수의 무한 이산 공간의 곱 공간이다. 특정점 위상을 갖는 모든 무한 집합은 파라콤팩트가 아니며, 사실 메타콤팩트 공간도 아니다.
  • Prüfer 다양체 ''P''는 비파라콤팩트 곡면이다.
  • Bagpipe 정리는 21개의 비파라콤팩트 곡면의 위상적 동치류가 있음을 보여준다.
  • 조르겐프라이 평면은 두 개의 파라콤팩트 공간의 곱임에도 불구하고 파라콤팩트 공간이 아니다.

5. 역사

1940년에 존 윌더 튜키는 "완전 정규 공간"이라는 개념을 정의하였다.[24][25] 1944년에 프랑스의 수학자 장 디외도네는 파라콤팩트 공간의 개념을 정의하였다.[25][26] 1948년에 아서 해럴드 스톤은 완전 정규 공간의 개념과 파라콤팩트 공간의 개념이 (하우스도르프 조건 아래) 서로 동치임을 증명하였다.[25][27]

모리타 정리는 모리타 기이치가 1948년에 증명하였다.[28][25]

참조

[1] 논문 The point of pointless topology https://www.ams.org/[...] 1983
[2] 문서
[3] 웹사이트 Vector bundles and K-theory http://pi.math.corne[...]
[4] 뉴스 Paracompactness and product spaces https://www.ams.org/[...] 1948
[5] 논문 A new proof that metric spaces are paracompact 1969-02
[6] 논문 On Stone's theorem and the axiom of choice 1998-04
[7] 서적 Loop Spaces, Characteristic Classes and Geometric Quantiz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8] 서적 Convergence and Uniformity in Top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 J.
[9] 웹사이트 Vector bundles and K-theory http://www.math.corn[...]
[10] 뉴스 Paracompactness and product spaces http://www.ams.org/m[...] 1948
[11] 뉴스 A new proof that metric spaces are paracompact http://www.ams.org/j[...] 1969-02
[12] 뉴스 On Stone's Theorem and the Axiom of Choice http://www.ams.org/p[...] 1998-04
[13] 서적 Loop Spaces, Characteristic Classes and Geometric Quantiz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14] 서적 위상수학 경문사 2010
[15] 서적
[16] 서적
[17] 문서
[18] 저널 https://archive.org/[...]
[19] 저널
[20] 서적 http://www.pearsonhi[...]
[21] 서적 https://archive.org/[...]
[22] 저널
[23] 서적
[24] 저널
[25] 서적 Springer
[26] 저널
[27] 저널
[28]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