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프 잇 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펌프 잇 업(Pump It Up)은 안다미로에서 제작한 아케이드 리듬 게임 시리즈이다. 1999년 첫 번째 버전인 1st Dance Floor가 출시된 이후, 다양한 버전과 모드를 통해 인기를 얻었다. 게임은 댄스 패드를 밟아 음악에 맞춰 진행되며, 2000년대 중반부터는 국제적으로 확장되어 월드 펌프 페스티벌과 같은 대회를 개최하며, 전용 USB 메모리와 AM.PASS를 통해 게임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2021년 서버 손상으로 인한 데이터 소실 등의 문제점도 있었으나, 현재까지도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며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펌프 잇 업 - Warak
Warak은 게임, 광고, 드라마 음악 제작, 앨범 참여, 믹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음악 프로듀서이다. - 펌프 잇 업 - 안다미로
안다미로는 아케이드 게임 Pump it up 시리즈를 개발한 대한민국의 기업이며, 1999년 The 1st Dance Floor를 시작으로 2023년 피닉스 버전까지 출시했다. - 과자 - 누가
누가는 설탕이나 꿀, 견과류를 넣어 만든 과자로, 아랍의 할바에서 유래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초콜릿 바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 과자 - 사탕
사탕은 설탕을 주원료로 다양한 맛과 형태로 만들어지는 과자로, 사탕수수 발견 이후 꿀을 이용한 캔디 제조를 거쳐 산업혁명 이후 대량 생산되었지만, 유해한 식품 첨가물 사용 문제로 식품 안전 규제가 시작되었고, 현재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과다 섭취 시 건강에 유해할 수 있고 문화적 행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댄스 게임 - 비트 세이버
비트 세이버는 가상현실 컨트롤러로 빛나는 검을 휘둘러 음악 비트에 맞춰 블록을 베는 리듬 게임이며, 정확한 베기로 점수를 얻고, 에너지 바가 소진되면 레벨이 종료된다. - 댄스 게임 - 댄스매니악스
댄스 매니악스는 코나미에서 제작한 아케이드 리듬 게임으로, 화면의 노트에 맞춰 팔다리를 움직여 센서에 인식시키는 방식으로 플레이하며, 다양한 게임 모드와 난이도, 코나미 오리지널 곡 및 댄스매니아 수록곡을 제공하여 인기를 얻었다.
펌프 잇 업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펌프 잇 업 |
영어 제목 | Pump It Up |
장르 | 리듬 게임 |
플랫폼 | 아케이드 PC 플레이스테이션 2 엑스박스 PSP iOS 안드로이드 |
개발사 | 안다미로 F2 시스템 프리볼트 넥스케이드 네오뉴스 M 프로젝트 |
배급사 | 안다미로 |
출시일 | 아케이드/PC: 1999년 9월 20일 Xbox, PS2, PSP: 2005년 모바일: 2019년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멀티플레이어 |
게임 플레이 | |
입력 장치 | 10개의 발판 |
플레이 인원 | 1 ~ 2인 (3 ~ 5인) |
기타 | |
관련 항목 | 음악 게임 엘비스 코스텔로의 노래: Pump It Up DA PUMP의 노래: Pump It Up! |
2. 역사
펌프 잇 업은 1999년 첫 출시 이후 다양한 버전으로 발전해왔다. 각 버전별 출시일과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버전 | 출시일 | 주요 특징 |
---|---|---|
1st Dance Floor ⓐ | 1999년 9월 20일 | 대한민국 내수용 첫 출시. 이지, 하드, 더블, 논스톱 리믹스, 배틀 모드. 초기 수록곡 김현정의 실루엣은 패치 후 삭제, 허니 패밀리의 랩교 2막으로 대체. |
2nd Dance Floor ⓐ | 1999년 12월 27일 | 1st와 동일 인터페이스. 리믹스 더블 모드는 커맨드 입력 필요. 히든 리믹스 존재. |
The Fusion / 1st & 2nd Dance Floor ⓟ | 2000년 1월 | 첫 PC용 가정용 버전. 1st와 2nd의 모든 곡 수록. |
3rd Dance Floor: The O.B.G. ⓐ | 2000년 5월 7일 | 신규 인터페이스. 크레이지 모드 히든으로 첫 등장.[18] 게이지바에 DANGER 표시 추가.[19] 90년대 스타일 곡 수록. |
The O.B.G. : Season Evolution ⓐ | 2000년 9월 3일 | Summer Edition에서 변경. 이지 모드 → 노멀 모드. 컨츄리 꼬꼬 Kiss 저작권 문제로 삭제. |
The Collection ⓐ | 2000년 11월 14일 | SE까지 모든 곡 수록. 이그니션 스타츠, 힙노시스 난이도 조정. |
Perfect Collection ⓐⓟ | 2000년 12월 7일 | The Collection + 신곡 17곡. 베토벤 바이러스 첫 정식 수록. 크레이지 모드 정식 승격. 곡 선택 화면 간소화.[20] |
EXTRA ⓐ | 2001년 1월 20일 | 크레이지 → 엑스트라 익스퍼트. 롱노트 첫 등장. F2시스템 제작. 커맨드 변경. 클론 초련 테크노, 엑스트라 리믹스 곡[25] 저작권 문제로 삭제. |
The Premiere / The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01년 6월 | 첫 수출용, 유럽 전용. Perfect Collection 이전 곡 + 미국 팝송 신곡. 한국어 곡 제목 번역/로마자 표기. 리믹스 삭제. 브라질용 버전 별도 존재. |
The PREX ⓐ | 2001년 11월 | 남미 전용. Premiere + Extra 곡. 인터페이스는 Premiere와 동일. |
REBIRTH : The 8th Dance Floor ⓐ | 2002년 1월 10일 | 국내 전용. 노멀 → 이지. 더블 → 풀 더블. 하프더블, 디비전 첫 등장. 신곡 36곡 수록. |
The Premiere 2 : The 2nd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02년 3월 | 유럽 수출용. Premiere + 리버스 곡. |
PREX 2 ⓐ | 2002년 11월 | 남미 수출용. 인터페이스 Extra와 유사. 프렉스 + 리버스 곡. |
Premiere 3 / The 3rd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03년 5월 | 유럽 전용. 인터페이스 Extra와 유사. 미국, 라틴 아메리카 대중가요 신곡. |
PREX 3 / The 4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03년 10월 4일 | 남미 전용, 국내 역수입. 나이트메어 모드 첫 등장. 이그니션 스타츠, 힙노시스, 젝스키스 컴백 외 크레이지/나이트메어 모드 추가. |
Exceed / The 5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04년 4월 2일 | 한국, 세계 동시 겨냥. 채널 인터페이스. 신규 하드웨어. |
Exceed 2 / The 6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04년 11월 30일 | 스테이션 인터페이스. 최고 난이도 추가. 리믹스 모드 부활. |
Pump It Up: In The Groove 2 ⓐ | 2005년 6월 | 록서 게임즈 제휴. 4개 발판. |
Exceed SE ⓟ | 2005년 8월 | PS2, Xbox용 이식. |
Zero / The 7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06년 1월 28일 | 이지 스테이션. 어나더, 미션 모드. 은지원 올빼미 저작권 문제로 삭제. |
EXCEED Portable ⓟ | 2006년 | PSP용 이식. |
NX / New Xenesis / The 8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06년 12월 16일 | 인터페이스 재채용. 월드 투어. 별, 해골, 물음표 난이도 표기. |
Pro | 2007년 6월 | 북미 전용. 스텝매니아 기반. |
Zero Portable ⓟ | 2007년 10월 | PSP용. 제로, NX 신곡. |
NX2 / Next Xenesis / The 9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07년 12월 14일 | USB 시스템. 월드 맥스. 2+1 스테이지 방식. |
NXA / NX Absolute / The 10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08년 11월 25일 | USB 시스템 강화. 브레인 샤워. |
2010 Fiesta / Pump it Up: 10th Anniversary Version ⓐ | 2010년 3월 6일 | 10주년 기념. 싱글/더블 난이도 체계. |
Pro 2 ⓐ | 2010년 7월 | 북미 전용. 신곡 78곡. |
2011 Fiesta EX / The 12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11년 3월 6일 | Auto Velocity. UCS 공개. 샤이니 링 딩 동 저작권 문제로 삭제. |
2013 Fiesta 2 / The 13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12년 11월 24일 | 450곡 이상 수록. 2PM 핸즈 업 (이스트4A 믹스) 저작권 문제로 삭제. |
Infinity ⓐ | 2013년 1월 | 북미, 유럽 전용. 하프더블 모드 부활. |
2015 Prime / The 14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14년 12월 24일 | HD 화질, 랭크 모드. 이그니션 스타츠, 힙노시스 부활. 일본 발매. |
2017 Prime 2 / The 15th International Dance Floor ⓐ | 2016년 11월 25일 | |
XX / 20th Anniversary Edition ⓐ | 2019년 1월 7일 | 20주년 기념작. 칭호 시스템, 온라인 매칭 도입. |
2023 PHOENIX ⓐ | 2023년 7월 | 100만점 만점제, 프리미엄 모드 도입. |
각 버전은 새로운 곡, 모드, 시스템을 도입하며 펌프 잇 업 시리즈를 발전시켰다. 특히, 저작권 문제로 일부 곡이 삭제되기도 했지만, 꾸준한 업데이트와 개선을 통해 현재까지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99년 ~ 2000년대 초반)
1999년 9월 20일, 펌프 잇 업의 첫 번째 버전인 'Pump It Up: The 1st Dance Floor'가 대한민국에서 출시되었다.[1] 이 버전은 내수용으로 제작되었으며, 일반곡 15곡과 리믹스 4곡을 포함하고 있었다. 초기에는 김현정의 '실루엣'이 수록되었으나, 패치 이후 '허니 패밀리의 랩교 2막'으로 교체되었다. 1st의 배틀 모드는 독특하게도, 플레이어가 밟는 스텝이 상대방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방식이었다.1999년 12월 27일에는 후속작인 'Pump It Up: The 2nd Dance Floor'가 출시되었다.[1] 이 버전은 1st 버전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으며, 1st의 곡 5개, 구곡 리믹스 1개, 신곡 17개, 리믹스 6개를 수록했다. 특히, 리믹스 더블 모드는 커맨드를 입력해야만 선택할 수 있었고, 히든 리믹스도 존재했다.
2000년 1월에는 PC용 가정용 버전인 'The Fusion / 1st & 2nd Dance Floor'가 출시되었다. 이 버전은 1st와 2nd의 모든 곡(일반곡 32곡, 리믹스 10곡)을 수록하고 있었으며, '퓨전'이라는 이름은 PC용 버전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2000년 5월 7일에는 'Pump It Up: The 3rd Dance Floor: The O.B.G.'가 출시되었다.[18] 이 버전부터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적용되었으며, 크레이지 모드가 히든 모드로 처음 등장했다.[18] 또한, 체력이 부족할 때 게이지바에 'DANGER' 표시가 나타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19] O.B.G.는 'Oldies But Goodies'의 약자로, 90년대 인기곡들과 반야의 신곡들이 90년대 스타일로 수록되었다.
2000년 9월 3일에는 'The O.B.G. : Season Evolution'이 출시되었다. 이 버전은 원래 'Summer Edition'으로 기획되었으나, 제작 기간이 길어져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지 모드의 난이도가 높아져 노멀 모드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컨츄리 꼬꼬의 'Kiss'는 저작권 문제로 삭제되었다.
2000년 11월 14일에는 'The Collection'이 출시되었다. 이 버전은 SE까지의 모든 곡을 수록하고 있었으며, 이그니션 스타츠와 힙노시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2000년 12월 7일에는 'Perfect Collection'이 출시되었다.[20] 이 버전은 The Collection의 모든 곡과 신곡 17곡을 추가로 수록했으며, 베토벤 바이러스가 처음으로 정식 버전에 등장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또한, 크레이지 모드가 정식 모드로 승격되었다. 많은 곡 수록으로 인해 곡 선택 화면이 간소화되었다.[21]
2001년 1월 20일에는 'EXTRA'가 출시되었다. 이 버전에서는 크레이지 모드가 엑스트라 익스퍼트로 이름이 바뀌었고, 롱노트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F2시스템이 제작에 참여했으며, 커맨드가 크게 변경되었다. 또한, 클론의 '초련 테크노'와 엑스트라 리믹스 곡[25]은 저작권 문제로 이후 버전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다.
2000년, 코나미는 펌프 잇 업이 댄스 댄스 레볼루션의 디자인권을 침해했다며 대한민국 서울에서 안다미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법원은 코나미의 손을 들어줬지만, 안다미로는 항소했다. 동시에 안다미로는 캘리포니아 주에서 코나미를 상대로 DDR이 펌프 잇 업의 특허를 침해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두 소송은 결국 법정 밖에서 합의되었으며,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다.[2]
이러한 법적 분쟁 과정에서 안다미로는 한국 기업으로서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를 극복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해 나갔다. 특히, 펌프 잇 업은 독창적인 게임성과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DDR과는 차별화된 매력을 선보이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다.
2. 2. 국제적 확장과 발전 (2000년대 중반 ~ 2010년대)
Premiere와 PREX 시리즈는 각각 유럽과 남미 시장을 겨냥한 국제 버전이다. Premiere는 Perfect Collection 이전까지의 곡들과 미국 팝송 신곡으로 구성되었고, PREX는 Premiere와 Extra의 곡들을 결합했다.[2]NX (New Xenesis)는 와이드스크린 LCD 모니터를 도입하고, 월드 투어 모드를 통해 미션의 수를 늘렸다. 난이도는 별, 해골, 물음표로 표기되었다.[5] 후속작인 NX2 (Next Xenesis)는 펌프 잇 업 전용 USB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자 플레이 정보를 저장하고, 인터넷 랭킹 방식을 변경했다. NXA (NX Absolute)는 USB 시스템을 강화하고 브레인 샤워 모드를 추가했다.
Pro 시리즈는 북미 시장에서 DDR과의 경쟁에서 개발이 중지된 스텝매니아 데이터 대응 댄스 게임 인 더 그루브 시리즈의 제작진 일부가 참여하여 개발되었다. 스텝매니아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플레이 옵션 설정이 가능하며, USB를 이용한 커스텀 패턴 삽입 기능을 지원했다. 후속작인 Pro 2는 78곡의 신곡을 투입하여 콘텐츠를 강화했다. Infinity는 스텝매니아 5 엔진을 개량한 것과, 피에스타와 같은 엔진을 사용하여 개발되었고, 프렉스 3 이후 사라진 하프더블 모드가 Infinity에서 재부활했다.
2010년대에는 Fiesta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Fiesta는 난이도 체계를 싱글/더블로 변경하고 인터페이스를 혁신했다. 후속작인 Fiesta EX는 Auto Velocity 기능을 추가하고, Fiesta 2는 450곡 이상의 방대한 수록곡과 3000개 이상의 스텝 차트를 제공했다.
Prime 시리즈는 HD 화질과 랭크 모드를 지원하는 최초의 시리즈이다. Prime 2는 자동 속도(Auto Velocity) 시스템을 도입하고, SD, SX, DX 및 GX 캐비닛을 지원하는 마지막 버전이 되었다.
2. 3. 20주년 기념과 현재 (2019년 ~ 현재)
20주년 기념작인 'XX'는 2019년 1월 7일에 출시되었다.[17] 이 버전은 칭호 시스템, 온라인 매칭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여 펌프 잇 업 시리즈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Pump It Up XX영어는 시리즈의 주요 특징들을 유지하면서, 고등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더 쉽게 접근하고 즐길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주요 특징:'''
- 칭호 시스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얻을 수 있는 칭호가 추가되어, 플레이어들에게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시했다.
- 온라인 매칭: 멀리 떨어진 플레이어와 점수 대결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 경쟁의 재미를 더했다.
2023년에는 '펌프 잇 업 2023 피닉스'가 출시되었다. 2023년 5월 10일에 처음 발표되었으며,[3] 고대 신화의 피닉스를 주제로 하여 주황색과 노란색을 사용한 인터페이스를 선보였다.[3] 2023년 7월 17일에 대한민국에서 먼저 출시되었고, 이후 8월에 해외 시장에도 출시되었다.[3]
'''피닉스의 주요 변경점:'''
- 100만점 만점제 도입: 기존의 누적 점수 방식에서 100만점 만점제로 변경되어, 점수 체계에 변화를 주었다.
- 프리미엄 모드: CO-OP 악보와 전용곡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모드가 추가되었다.
'피닉스'는 출시 이후 여러 차례 소규모 업데이트를 거쳤으며, 최신 버전은 1.08이다. 그러나 2023년 12월 11일, '펌프 잇 업 XX'에 대한 온라인 지원이 종료되면서 일부 유저들 사이에서 아쉬움의 목소리가 나왔다.
2024년 5월 16일에는 '펌프 잇 업 2024 피닉스' 업데이트가 발표되었다.[4] 이 업데이트는 2024년 5월 27일에 '2023 피닉스' 기기에 무료로 제공될 예정이며, 짙은 파란색과 밝은 파란색을 사용한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한다.[4]
3. 게임 플레이
펌프 잇 업의 게임 플레이는 아케이드 기계의 발판과 본체 화면을 이용한다. 발판은 양쪽에 각각 5개씩 총 10개가 있으며, 게임 모드에 따라 5개 또는 10개 모두를 사용한다. 게임은 동전을 넣고 시작하며, 화면에 나타나는 화살표에 맞춰 해당 발판을 밟는 방식으로 진행된다.[16]
화살표는 화면 위쪽의 판정선에 맞춰 밟아야 하며, 정확도에 따라 퍼펙트(Perfect), 그레잇(Great), 굿(Good), 배드(Bad), 미스(Miss) 등의 판정을 받는다. 화면 위쪽의 게이지는 좋은 판정을 받으면 증가하고, 나쁜 판정을 받으면 감소한다. 스테이지 브레이크 설정에 따라 게이지가 모두 소진되면 게임이 종료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3~4 스테이지를 플레이할 수 있다.[16]
게임 진행 방식1. 게임 시작: 코인, USB 메모리, 또는 엔트리 카드를 사용하여 게임을 시작한다.
2. 곡 선택: 파란색 패널로 곡을 선택하고, 노란색 패널로 난이도를 선택한다. 빨간색 패널은 취소 기능을 한다.
3. 플레이: 화면에 나오는 화살표에 맞춰 발판을 밟는다. 판정에 따라 게이지가 변동한다.
4. 결과 표시: 플레이 결과에 따라 랭크(SSS, SS, S, A, B, C, D, F)가 표시된다.
난이도 체계는 버전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숫자로 표시된다. 과거에는 다양한 난이도 카테고리(Normal, Hard, Crazy, Freestyle, Nightmare 등)가 있었으나, 현재는 Single과 Double로 간소화되었다.
콤보, 롱 노트, 랭크
- 콤보: Perfect 또는 Great 판정을 연속으로 얻는 것을 의미하며, 4콤보부터 화면에 표시된다.
- 롱 노트: Extra Mix 이후 추가된 요소로, 화살표가 끝날 때까지 발판을 밟고 있어야 한다.
- 동시 밟기: 동시에 2개 이상의 화살표가 판정선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다.
- 랭크: 플레이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SSS, SS, S, A, B, C, D, F 등으로 나뉜다. Fiesta 버전부터는 S 랭크가 세분화되어 실버 S, 골드 S, 골드 SS 등으로 구분된다.
이전 게임 모드에는 노멀, 하드, 크레이지, 프리스타일, 나이트메어, 리믹스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베이직 모드와 풀 모드로 간소화되었다. 풀 모드에서는 작품별, 장르별, 난이도별, Random, Short Cut, Remix, Full Songs 등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옵션 설정을 통해 화살표 스크롤 속도, 방향, 배치, 스킨 등을 변경할 수 있다.
3. 1. 기본 구성 요소
아케이드용 펌프 잇 업 기계는 전선으로 연결된 발판과 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발판은 왼쪽(1P)과 오른쪽(2P)에 각각 5개씩 총 10개가 있다. 게임 플레이어는 게임 모드에 따라 한쪽 5개의 발판만 사용하거나, 10개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기계 본체에 동전을 넣고 게임 모드와 곡을 선택하면 게임이 시작된다. 본체 화면에는 각 발판에 대응되는 화살표가 올라오며, 이 화살표가 화면 위쪽 판정선에 도달했을 때 해당 발판을 밟는 것이 게임의 목적이다. 화살표가 판정선 근처에 있을 때 발판을 밟으면 정확도에 따라 퍼펙트(Perfect), 그레잇(Great), 굿(Good), 배드(Bad) 등의 판정이 나타난다. 화살표가 판정선을 지나가는 동안 발판을 밟지 않으면 미스(Miss) 판정을 받는다.[16]
화면 위쪽에는 게이지가 표시된다. 플레이어가 퍼펙트 등 높은 판정을 연속으로 받으면 게이지가 증가하고, 배드나 미스 판정을 받으면 감소한다. 기계의 스테이지 브레이크(Stage Break) 설정이 켜져 있으면(브레이크 온), 게이지가 모두 소진되면 게임이 종료된다. 스테이지 브레이크 설정이 꺼져 있으면(브레이크 오프) 게이지가 모두 소진되어도 연속으로 51개의 미스를 받지 않는 한 곡이 끝날 때까지 게임이 종료되지 않는다. 미스 콤보 51개를 받거나, 피에스타 EX에 등장한 노라조의 슈퍼맨 더블 23과 같이 51개의 노트를 놓치면 게임이 종료된다. 게임이 종료되지 않으면 플레이어는 동전을 넣은 뒤 대체로 3~4 스테이지 정도를 플레이할 수 있다.[16]
펌프 잇 업의 캐비닛은 여러 버전이 존재하며, 모니터 크기 및 해상도가 각 종류마다 다르다.
『Pump It Up』은 상단에 모니터, 내부에 컴퓨터를 탑재한 캐비닛과 이에 연결된 하나의 큰 댄스 패드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는 5개의 패널 × 2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 플레이 사이드에는 각각 좌상, 우상의 레드 패널, 좌하, 우하의 블루 패널, 중앙의 옐로우 패드가 배치되어 있다. 위의 5개 패널은 좌우 플레이 사이드에 각각 X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댄스 패드 후면에는 위험 방지용 바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댄스 패드의 형태는 코나미에서 발매된 『'''pop'n stage'''』와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캐비닛 부분에는 USB 단자가 탑재되어 있으며, 여기에 전용 USB 메모리를 꽂아 자신의 플레이 기록이나 달성률 등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Pump It Up의 많은 기기에는 선택 및 결정 버튼이 없으며, 이들은 모두 패널 조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곡 플레이 중을 제외하고는 레드 패널과 블루 패널이 선택 버튼, 옐로우 패드가 결정 및 시작 버튼 역할을 한다.
3. 2. 게임 진행 방식
펌프 잇 업의 게임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16]1. 게임 시작:
- 코인을 투입하고 화면에 노란색 패드 아이콘이 표시되면 아무 쪽이든 노란색 패드를 밟아 시작한다.
- USB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USB 메모리를 꽂고 화면 상단에 플레이어 정보가 표시된 후 시작한다.
- 엔트리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카드를 리더기에 가까이 대고 화면 상단에 플레이어 정보가 표시된 후 시작한다.
2. 곡 선택:
- 좌우 파란색 패널로 곡을 스크롤하고 노란색 패드를 밟아 난이도 선택으로 들어간다.
- 곡 선택 후 빨간색 패널을 밟으면 곡 선택을 취소하고, 곡 선택 화면에서 빨간색 패널을 밟으면 게임 모드 선택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 곡 선택 후 난이도를 파란색 패널로 선택하고, 노란색 패드를 두 번 밟으면 플레이가 시작된다.
- 기기에 따라 다르지만, 발판 위에서의 조작 외에, 모니터 아래에 있는 좌우 시프트 버튼, 또는 좌하단과 우하단의 버튼으로 선택하고, 중앙의 선택 버튼을 누르면 플레이가 시작된다. 빨간색 취소 버튼 또는 좌상단이나 우상단의 버튼으로 취소 조작을 한다.
3. 선택한 곡 플레이:
- 기기 화면 위로 흘러내려오는 화살표(모드에 따라 명칭이 바뀜) 또는 롱 노트(후술)에 해당하는 패널을 타이밍에 맞춰 밟음으로써 해당 화살표의 판정이 발생한다.
- 판정은 올바른 타이밍 순서대로 Perfect, Great, Good, Bad 또는 Miss로 분류되어 표시되며, 해당 판정에 따라 플레이 중의 게이지가 변동한다.
- 기본 설정에서는 도중에 게이지가 없어지더라도, 51회 연속 이상의 Miss가 발생하지 않는 한 강제 종료되지 않고, 끝까지 플레이할 수 있다.
- 단, Rank Mode 등의 일부 게임 모드를 제외하고, 오퍼레이터 설정에 의해 「Stage Break」 옵션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게이지가 없어지는 시점에서 강제 종료된다.
4. 플레이한 곡의 결과 표시:
- 곡이 종료된 후 플레이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며, 상위 랭크부터 순서대로 SSS, SS, S, A, B, C, D, F로 분류된다. PRIME2까지는 상위 랭크부터 순서대로 SS, S(금색), S(파란색), A, B, C, D, F로 분류되었다.
- 또한, 일정 랭크 이상을 달성하면 라이프가 회복되어, 플레이 가능한 곡 수가 늘어난다.
- 현행작인 XX에서는 플레이 중에 게이지가 바닥났을 경우, 랭크가 금이 간 디자인으로 표현된다.
- 2017 PRIME 2에서는 리절트 화면 상단에서 ☆의 유무, 2015 Prime에서는 리절트 화면의 「DANCE GRADE」 부분에서 플레이 중에 게이지가 바닥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게이지가 한 번이라도 도중에 바닥났을 경우에는 「DANCE★GRADE」로 표시된다).
난이도 체계:
버전마다 난이도 체계에 차이가 있지만, 모두 숫자로 구분된다.
- Exceed 이전:
- PREX3까지는 난이도가 각 난이도 카테고리별로 1-10으로 나뉘었고, 모든 카테고리가 공통으로 적용되지 않았다.
- Hard의 난이도가 Crazy의 난이도보다 숫자가 더 큰 경우에도 Crazy가 더 어려운 경우가 많아, 다소 이해하기 어려웠다.
- 예외적으로 Premiere2에서 "Vook"가 수록되었을 때 Double에서 난이도 12가 표시되었다.
- Exceed ~ Zero:
- Exceed에서 모든 난이도 카테고리가 공통으로 1-20으로 재분배되었다.
- Exceed2에서는 20을 넘는 난이도가 Crazy, Nightmare 각 모드에 추가되었다.
- Zero에서는 1-23까지 재분배되었고, 일부 레벨 평가 불가능한 곡도 존재하여 23을 상한으로 정했다.
- NX ~ NX Absolute:
- NX에서는 저난이도, 고난이도의 구분을 별과 해골 아이콘 수의 표시로 변경했다.
- 아이콘은 난이도 1-8이 작은 별, 9-16이 큰 별, 17-24가 해골로 표시된다.
- NX 시리즈 최종작인 NX Absolute에서는 난이도 1-24와 그 이상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의 25단계로 되어 있다.
- 2010 Fiesta, 2011 Fiesta EX:
- Single, Double 공통으로 1-25, ??의 26단계로 구분된다.
- Performance라는 특수한 구분이 있으며, 해당 악보에는 사용 패널 수 아이콘 옆에 댄서 아이콘이 표시된다.
- PRO, PRO2:
- 모든 난이도 카테고리가 공통으로 1-16의 16단계로 구분되며, 선곡 화면에서는 악보 난이도별로 총 노트 수, 동시 밟기 수, 홀드 노트 수 등의 세부 정보가 표시된다.
- PRO2에서 신설된 난이도인 Routine만, 난이도 20의 악보가 존재한다.
- 2013 Fiesta 2, 2015 Prime, 2017 PRIME 2, XX -20th Anniversary Edition-, PHOENIX:
- Single, Double 공통으로 1-27, ??의 28단계로 구분되며, Prime 이후에는 1-28, ??의 29단계로 확대되었다.
- Performance 악보는 난이도 틀이 파란색으로 변경되었고, Routine 악보도 Performance 악보로 취급된다.
- Infinity:
- Single, Double 공통으로 1-27, ??의 28단계로 구분된다.
- Routine 악보에는 플레이 인원이 표시되게 되었고, 최대 5인 플레이의 악보도 존재한다.
과거에는 악보 난이도별 카테고리가 존재했지만, 「2010 Fiesta」이후에는 Single과 Double의 2개로 간략화되었다. 과거 작품의 악보 난이도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다.
- Normal (Easy): 몇몇 버전에서는 Easy로 표기되었지만, 기본적으로는 Normal로 표기되었다. 난이도는 1-7 정도로 분류되며, 초급자를 위한 악보다.
- Hard: 대부분의 곡에 8분~16분 이상의 화살표나 3곳 이상의 동시 밟기가 등장한다. 난이도는 대체로 5-16까지의 폭으로 분류된다.
- Crazy: 5패널에서의 플레이에서는 가장 어려운 악보가 된다. 대부분의 악곡에 16분, 24분, 32분 등의 화살표가 존재한다. Exceed에서 난이도가 재검토된 이후 7 이상의 난이도로 분류되게 되었고, Exceed2에서는 상한이 20, Zero에서는 상한이 21까지 올라갔다. NX 이후에는 더욱 상한이 올라가고 고난이도 악곡이 추가되어, 선곡 화면의 난이도 아이콘에 1-8의 해골이 표시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 Freestyle (Double): Premiere3까지 Double이라고 불렀던 악보 난이도였지만, PREX3에서 Freestyle로 변경되었다. 1명이 10개의 패널을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Single과 비교하면 난이도의 향상이 매우 크다. 난이도는 3-12 정도가 대부분이지만, 일부 악곡에서는 Freestyle로 난이도 아이콘에 해골이 표시되는 악곡도 존재한다.
- Nightmare: PREX3에서, 궁극의 도전을 위해 Freestyle보다 더 상위의 악보가 추가되었다. PREX3에서는 모든 악곡이 99로 표기되었지만, Exceed에서는 8-20의 난이도 설정이 이루어졌다. Exceed2에서 21, 22, ??까지 올라갔고, Zero에서는 "Love is a Danger Zone 2"가 "23"을 기록, 아이콘으로 표기가 바뀐 NX에서는 더욱 상위의 카테고리가 생기게 되었다. 난이도 9 이상으로 분류되며, 24를 초과하는 난이도의 것은, 아이콘 란에 "DANGER"라고 표시되는 "?? "라는 난이도 표기가 된다.
콤보:
Perfect 또는 Great 판정을 연속으로 얻는 경우를 콤보라고 한다. 4콤보부터는 판정 아래에 현재의 콤보가 표시된다. 배드나 미스 판정을 받으면 콤보는 0으로 돌아간다. 3rd O.B.G 버전부터는 미스 판정을 연속 4회 이상 받으면 미스콤보가 표시된다. 퍼펙트 콜렉션까지의 버전에서는 굿을 받아도 콤보가 끊겼으나, 엑스트라 버전 및 그 이후의 리버스를 제외한 모든 버전에서는 굿을 받았을 때 콤보가 이어지는 대신 콤보 수치는 올라가지 않는다. 곡의 처음부터 끝까지 콤보가 끊기지 않고 모든 스텝을 맞추는 경우를 "올 콤보"라고 한다.
롱 노트:
Extra Mix 이후에 추가되어 PREX 시리즈부터 정식으로 탑재된 화살표로, 홀드 노트라고도 불린다. 일반 화살표와 달리, 화살표가 늘어난 것처럼 보인다. 이 화살표가 화면에 나타났을 경우, 화살표가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밟고 있어야 한다. 펌프 잇 업의 롱 노트는 화살표의 집합체로 취급되기 때문에, 밟지 않을 경우 Miss로 계속해서 카운트된다. 롱 노트의 시작점에서 밟지 못하거나 도중에 발을 떼더라도, 중간부터 롱 노트를 밟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동시 밟기:
동시에 2개 이상의 화살표가 판정선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다. 3개 이상은 주로 어려운 난이도에만 등장하는데, 한 발로 2개의 발판을 밟거나, 손이나 무릎 등을 이용해 처리할 수 있다. 더블의 경우에는 4개짜리 스텝도 간혹 나오기도 한다.
- 최초의 3스텝곡: 1st의 이그니션 스타츠!-Hard, 1st 디바 리믹스-Single, 1st 디스코 리믹스-Single
- 최초의 4스텝곡: 2nd의 2nd 히든 리믹스-Double
- 최초의 5스텝곡: Extra의 이박사 리믹스-Single / 반야의 미스'S 스토리-Crazy
- 최초의 10스텝곡: 익시드2의 익시드2 오프닝(無言歌 RAW딩중...)-Nightmare
랭크:
플레이 결과에 따라 랭크가 결정된다.
- SSS, SS, S, A, B, C, D, F: 랭크는 상위 랭크부터 순서대로 SSS, SS, S, A, B, C, D, F로 분류된다.
- 실버 S, 골드 S, 골드 SS: 2010년에 출시된 Fiesta 버전부터는 S랭크가 세분화되었다.
- 미스가 없지만 굿, 배드가 섞여 있으면 실버S
- 굿, 배드, 미스가 모두 없이 퍼펙트와 그레이트만 있으면 골드S
- 모두 퍼펙트로 밟으면 골드SS
- PRIME2 이전: PRIME2까지는 상위 랭크부터 순서대로 SS, S(금색), S(파란색), A, B, C, D, F로 분류되었다.
3. 3. 이전 게임 모드
- '''노멀(Normal)''', '''이지(Easy)''': 펌프에서 가장 쉬운 난이도의 싱글 모드(한 명의 플레이어 당 5개의 발판만을 사용하는 모드)이다. 3rd 이전 버전과 REBIRTH에서는 이지로 표기되었다. 게임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를 위한 모드로, 정박(4분음표) 이외의 박자는 거의 없다.
- '''하드(Hard)''': 노멀보다 어려우며, 가장 많은 사람들이 플레이하는 싱글 모드이다. 대부분의 곡에 반박(8분음표)이 등장하며, 5개의 발판만을 사용한다.
- '''크레이지(Crazy)''': 하드보다 어려우며, 전통적으로 가장 어려운 싱글 모드이다. 대부분의 곡에 4분박(16분음표) 혹은 6분박(24분음표)이 있으며, 3rd 버전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The Collection'까지는 숨겨진 모드였으나, 'Perfect Collection'부터 정식으로 바뀌었다.
- '''프리스타일(Freestyle)''', '''더블(Double)''', '''퍼포먼스(Performance)''': 기존의 여러 버전에서는 더블로 표시되었으나, 프렉스 3 버전부터는 프리스타일로 이름이 바뀌었다. 또한 NXA버전에서는 퍼포먼스로 명칭이 바뀌었다. 한 명의 플레이어가 양쪽 10개의 발판을 모두 사용하며, 대체로 스텝의 패턴과 난이도는 하드 모드와 비슷하다.

- '''나이트메어(Nightmare)''': 프렉스 3 버전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10개의 발판을 사용하며, 더블 모드보다 난이도가 높다. 프렉스 3에서는 모든 나이트메어 곡의 레벨이 99로 책정되어 있었고, 화면 끝에서 끝까지 조그만 해골이 늘어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익시드에서는 곡에 따라 8에서 20 사이의 난이도가 배정되었다.
- '''논스톱 리믹스(Nonstop Remix)''': 여러 개의 곡을 섞어서 만든 리믹스를 플레이하는 모드이다. 리믹스의 길이는 대략 2~3분 가량으로 일반 곡에 비해 상당히 길다. 1st에서는 1Credit에 1스테이지밖에 못한다는 설정이었다. 따라서 2nd부터는 더블까지 수록된 동시에 2스테이지로 늘렸다. 대부분의 버전에서 일반 모드에서는 3스테이지가 기본인 데 반해, 리믹스 모드에서는 2스테이지 정도만으로 플레이가 끝난다. 엑스트라 후의 버전에서는 사라지고 프리미어 1 ~ 익시드 1까지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익시드 2부터 부활한다. 단, ms군의 히스토리: 우리는 열정이다와 같은 4분 40초로 가장 긴 시간을 가진 최초의 리믹스 곡은 피에스타부터 등장하고, 펌프 클래식 리믹스 A, 펌프 클래식 리믹스 B와 같은 6분 이상 넘은 곡이 피에스타 1.20부터 최초로 등장하였다.
- '''하프더블(Half-Double)''': 리버스, 프리미어 2, 프리미어 3, 프렉스 3 버전에만 등장한 모드이다. 10개의 발판 중 바깥쪽 4개를 제외한 안쪽의 6개만을 사용하며, 난이도는 더블 모드보다 조금 더 쉬운 편이다.
- '''엑스트라 익스퍼트(eXtra eXpert)''': 엑스트라 버전에만 등장한 모드로, 줄여서 "XX"로 표기한다. XX 싱글과 XX 더블로 나뉘는데, XX 싱글은 다른 버전의 크레이지와 큰 차이가 없으며, XX 더블은 나중에 등장할 나이트메어 모드와 비슷하다. 싱글 스텝과 더블 스텝이 같은 모드에 진열되는 것은 XX 모드가 유일하다. 난이도는 처음 게임을 시작할 때 기준으로 1레벨(1st Level)에서 4레벨(4th Level)까지 있으며, 숨겨진 곡들은 5레벨(5th Level)과 파이널 레벨(Final Level)이 부여되어 있다.
- '''디비전(Division)''' : 리버스와 프리미어 2 버전에만 등장한 싱글 모드로서, 플레이 도중 화면 하단에 "Attention"(번역:주의)이라는 문구가 나온 후 화살표 대신 G나 W라는 글자가 올라온다. 이때 G에 대응되는 발판을 밟을 경우 그루브 스타일(Groove Style)의 쉬운 스텝(화살표의 배치)이, W에 대응되는 발판을 밟을 경우 와일드 스타일(Wild Style)의 어려운 스텝이 올라온다. 난이도는 대체로 G와 W 중 어느 쪽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노멀 수준에서 크레이지 수준까지 달라지나, 몇몇 곡의 경우 G를 밟지 않고 모든 W를 전부 밟을 경우 크레이지보다도 상당히 어려운 스텝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레이 도중에 지속적으로 난이도를 바꿀 수 있으므로, 디비전 모드의 곡들은 난이도가 "??"으로 표기되어 있다.
- '''배틀 모드(Battle Mode)''' : 두 명의 플레이어가 하드나 크레이지 모드의 곡을 하나 고른 뒤, 보다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경쟁하는 모드이다. 프리미어 버전에서는 상대방에게 배니쉬 모드 등을 거는 공격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생겼으나, 이는 잠시 유지되다가 엑스트라와 프렉스 버전에서 사라진 다음, 나중에 익시드 2에서 다시 생겼다. 이 모드에서는 스테이지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다. 프라임에서 콤보 배틀 모드와 함께 삭제되었다.
- '''콤보 배틀 모드(Combo Battle Mode)''' : 두 명의 플레이어가 보다 높은 최대 콤보(맥스 콤보, Max Combo)를 얻기 위해 경쟁하는 모드이다. 엑스트라~익시드2까지 존재 하다가 피에스타에서 부활했다.
3. 4. 현재 게임 모드 (2017 Prime 2 기준)
"2017 Prime 2"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게임 모드는 다음과 같다.; 베이직 모드 (Basic Mode)
"2017 Prime 2"에서 엔트리 카드 또는 USB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 시작할 때 나오는 게임 모드이다. 정해진 곡 수의 스테이지가 보장된다. 선택할 수 있는 곡의 보면(譜面)은 Single에서 3개, Double에서는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곡 선택 시 패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하여 풀 모드(Full Mode)로 변경할 수 있다(명령어는 자신의 플레이 사이드의 패널을 텐키 배열로 간주하여 175939571 순으로 입력).[5] "XX -20th Anniversary Edition-"에서는 Double용 보면(譜面)이 폐지되고 Single에서 3개만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 풀 모드 (Full Mode)
2017 Prime 2에서 엔트리 카드 또는 USB 메모리를 사용할 때의 일반 게임 모드이다. 라이프 잔여량에 따라 선택 가능한 모든 곡과 카테고리에서 선곡한다. 1인 플레이 시에는 Single, Double의 모든 보면(譜面)을, 2인 플레이 시에는 Single의 보면(譜面)을 선택하여 플레이한다. 또한, Full Mode로 플레이하는 동안에는 아래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 작품별, 장르별, 난이도별
음악의 첫 수록 작품, 음악 장르, 보면 난이도별로 세분화된 분류이다.
; Random
남은 라이프 수에 따라 선곡 가능한 모든 곡 중에서 무작위로 곡이 선택된다.
; Short Cut, Remix, Full Songs
일부 곡의 롱 버전이나, 수록된 K-POP 리믹스 등 특정 아티스트만의 믹스 등이 제공되었다.
3. 5. 옵션
곡 선택 시 또는 악보 난이도 선택 시 좌우 파란색 패널을 번갈아 3번씩 밟으면 옵션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옵션 내용으로는 화살표 스크롤 속도 변경, 화살표 스크롤 방향 변경, 악보 배치 변경, 화살표 스킨 변경 등이 있다. 옵션 설정은 곡 선택 시와 마찬가지로 파란색 패널로 선택하고, 노란색 패드로 결정하며, 옵션 설정 화면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빨간색 패널을 밟는다.과거 시리즈에서는 옵션 설정을 모두 패널 명령 입력으로 수행했다. 참고로, 2인 플레이 시에는 한쪽 플레이어가 추가한 옵션이 양쪽 모두에게 적용되는 경우도 일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4. 전용 USB 메모리 및 AM.PASS
''펌프 잇 업 NX2''부터 기록 저장을 위해 전용 USB 메모리가 도입되었다. NX2 가동 시에 발매된 1GB, NX Absolute 가동과 함께 발매된 2GB, 2013년 Fiesta 2 시에 발매된 8GB의 3종류가 있으며, 현재는 8GB USB 메모리가 펌프 잇 업 공식 사이트 내에서 판매되고 있다. USB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는 기능으로는 각 게임 모드의 달성률 및 점수, 획득한 마일리지 포인트, 해금된 숨겨진 요소, 자신의 플레이 횟수, 칼로리 소비량, PumBi를 사용하여 구매한 아이템 등이 있다.[5]
PRO 시리즈에서도 USB 메모리를 사용하여 기록 저장이 가능하며, 시판 USB 메모리도 사용 가능하다(단, PumBi의 각 기능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2015년 Prime 이후부터는 PumBi를 사용하지 않고, 공식 사이트에서 액세스 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코드를 USB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단, 액세스 코드 생성에는 멤버 등록이 필요하다).[5]
펌프 잇 업 NX2부터 구현된 USB 매니저인 PumBi는 공식 사이트에서 "PumBi"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PC에 설치하여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되었다. 실행 시 공식 사이트에서 등록한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전용 USB 메모리를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었다. PumBi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5]
- 플레이 데이터 갱신 및 백업
- USB 메모리를 읽어들인 후 "Update" 아이콘을 클릭하면, 이전 갱신 이후 플레이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 마일리지 포인트나 게임 모드의 달성률 등이 PumBi에서의 데이터 열람 시에도 반영되며, 공식 사이트에서 배포된 신규 요소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 USB 메모리의 데이터가 손실된 경우에는 PumBi를 사용하여 데이터 복구를 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입한 전용 USB 메모리로 데이터 이전을 할 수도 있다.
- 마일리지 포인트를 이용한 아이템 및 경품 구매
- 게임 플레이를 통해 획득한 마일리지 포인트는, PumBi 내의 "Item Shop"에서 게임 플레이 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구매, 또는 공식 사이트 내 "PIU MALL"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로 변환하여 경품과 교환할 수 있다 (단, 변환 후 포인트는 마일리지 포인트의 1/2이 된다).
- "Item Shop"에서는 숨겨진 곡이나 World Max 모드에서의 어시스트 아이템 등을 구매할 수 있었고, "PIU MALL"에서는 티셔츠나 타월 등의 굿즈와 교환할 수 있었다.
- "PIU MALL"에서 경품과 교환할 경우, 경품의 포인트와는 별도로 배송료로 0 ~ 25,000 포인트를 소비했으며, 포인트 소비량은 경품을 발송하는 국가에 따라 달랐다.
- PumBi 설치 시 선택 가능한 언어는 한국어,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의 4개 국어였으며, 일본어판은 존재하지 않았다.
안다미로가 자체적으로 발행하는 게임 전용 엔트리 카드인 AM.PASS는 PRIME2부터 채용하고 있다. 멤버 등록을 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난이도별 리절트 기록 등 일부 요소만 사용할 수 없다. 모든 해금 요소나 아바타 등을 활용하려면 멤버 등록이 필요하다.[5]
5. World Pump Festival
펌프 잇 업 공식 세계 대회는 개최 시점의 최신 버전을 사용하며, 전 세계에서 예선이 진행되어 참가자 수가 많고 상위 입상자에게는 상금이 수여된다는 특징이 있다.[1] 지금까지 2005년, 2006년에는 대한민국, 2007년에는 멕시코, 2011년에는 중국, 2016년에는 인도네시아 발리 섬에서 개최되었다.[1]
대회는 크게 Speed 부문과 Free Style 부문으로 나뉜다.[1]
; Speed 카테고리
스코어에 따라 승패를 결정하는 부문으로, 남성 부문과 여성 부문이 있다.[1] 라운드가 진행될수록 과제 곡의 난이도가 높아져 진입 장벽이 높고, 더 많은 스텝을 밟는 실력이 요구된다.[1]
규칙은 다음과 같다:[1]
- 예선에서는 참가자 전원이 동일한 과제 곡 1곡에 도전하여, 스코어가 높은 상위 8명이 본선에 진출한다.
- 본선은 1대1 토너먼트 형식으로, 각 경기마다 선택된 과제 곡을 플레이하여 스코어가 높은 쪽이 승리한다.
- 각 경기의 과제 곡은 정해진 플레이 스타일, 난이도에서 추첨으로 결정된다.
- 예선: 남성 Single 17~19, 여성 Single 15~17
- 1회전: 남성 Single 20~23, 여성 Single 18~20
- 준결승: 남성 Double 21~23, 여성 Double 18~20
- 결승: 남성 Double 24 이상, 여성 Double 21~23 (결승전은 3곡 승부로 먼저 2승을 거둔 쪽이 우승)
- VJ 옵션 (통상보다 판정이 엄격해지는 대신, 스텝당 배점이 상승) 사용이 의무화된다.
- 바의 사용은 남녀 모두 허용된다. (2007년 대회까지는 남성 부문은 바 사용 금지, 여성 부문만 허용, 2011년 대회부터 현행 규칙으로 개정)[1]
; Free Style 카테고리
대회마다 선택되는 과제곡에서 각자 1곡을 선택하여 퍼포먼스 플레이의 능숙함에 따라 승패를 결정하는 부문이다.[1] 솔로(1인) 또는 페어(2인)로 출전 가능하며, 부문은 나누어져 있지 않고 동일 랭킹으로 집계된다.[1] 스코어는 심사위원에 의해 산출된다.[1]
이 부문에서는 스텝뿐만 아니라 퍼포먼스가 중요하기 때문에 저난이도 곡이나 난이도가 매우 선택되기 쉽다.[1] 스코어 판정은 다음과 같다:[1]
- 댄스 스킬 (55 points)
- 의상 & 메이크업 (20 points)
- 심사위원 판정 (10 points)
- 기체 스코어 (15 points)
- 기체에 표시되는 알파벳 평가를 의미하며, 최저 평가인 F 평가를 받으면 퍼포먼스 내용에 관계없이 강제 실격 처리된다.
6. 아티스트
''펌프 잇 업''의 곡들은 대부분 한국에서 만들어졌다. ''Premiere 3''와 ''Exceed'' 버전에서는 북미, 라틴 아메리카 등 다른 나라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국제적인 팝 음악을 많이 넣었지만, ''Exceed'' 이후에는 전 세계 플레이어들이 한국 오리지널 음악을 더 좋아해서 다시 K-pop 중심으로 돌아왔다.[1]
''펌프 잇 업'' 음악의 대부분은 BanYa라는 사내 그룹(대부분 익명)에서 만들었다. 주요 멤버인 Yahpp과 Msgoon은 최근 독립 아티스트가 되었다(NX와 Fiesta부터는 각자의 예명을 사용).[1] K-pop 라이선스 곡 외에도, ''펌프 잇 업''의 자체 제작 곡들은 대부분 한국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팝 음악부터 헤비 메탈, 힙합 음악, 재즈, 포크 음악, 스카 등 다양한 장르를 다루고 있다.[1] BanYa의 곡 중에는 캐논 변주곡 같은 클래식 곡을 심포닉 록 스타일로 편곡한 것도 있으며, 주로 160 BPM의 빠른 템포를 가지고 있다.[1]
코나미의 BEMANI 등 다른 아케이드 리듬 게임과 비교했을 때, ''펌프 잇 업''에서는 전자 음악이 덜 강조되었지만, ''NX2''에서 미국에서 제작된 스핀오프에 5곡의 크로스오버 곡이 실리면서 처음으로 전자 음악이 등장했다. 이 스핀오프는 반대로 전자 음악을 더 많이 다루고 있다.[2]
Pump It Up 시리즈의 곡은 기본적으로 (일부 SE 등을 제외하고) 모든 곡을 외부 아티스트에게 위탁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저작권 관계는 아티스트 측이 소유하고 있다. 따라서 Pump It Up 오리지널 곡이라 하더라도 아티스트 측의 사정에 따라 수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아티스트에 따라 여러 채널에 걸쳐 수록되는 경우도 있다.[4]
아티스트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채널 | 아티스트 |
---|---|
Original Tunes | |
K-POP | |
World Music | |
J-Music | (2015 PRIME부터 신설) |
XROSS | (2017 PRIME2부터 신설) |
7. 문제점
코나미와의 의장권 분쟁, 플레이 데이터 소실 사고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7. 1. 의장권 문제
2000년, 코나미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안다미로를 상대로 ''펌프 잇 업''이 자사의 ''댄스 댄스 레볼루션'' 디자인권을 침해했다는 소송을 제기했다. 법원은 코나미의 손을 들어주었지만, 안다미로는 항소했다.[2] 이와 동시에 안다미로는 캘리포니아 주에서 코나미를 상대로 ''DDR''이 ''펌프 잇 업''에 대한 자사의 특허를 침해했다는 소송을 제기했다.[2] 두 소송은 결국 법정 밖에서 합의되었으며,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다.[2]코나미는 의장권 침해로 펌프 잇 업 제작사인 손앤엔터테인먼트 사를 제소했다. 초심은 코나미 측 주장을 인정했고, 안다미로 사는 이에 불복하여 상소를 예정했지만, 결과적으로 코나미의 독점적 지적 재산(지적 소유권)을 이용한 대가로 화해금을 지불하며 양측은 화해했다.
7. 2. 플레이 데이터 소실 사고
2021년 12월 21일, 게임 서버의 저장 장치 손상으로 펌프 잇 업의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장기간 점검 후 같은 달 29일에 복구되었으나, 다음 데이터만 복구되었고 그 외 데이터는 소실되었다.[13][14]- 2018년 9월 6일까지의 공식 사이트 계정 데이터 및 UCS 데이터
- 2021년 8월 11일까지의 칭호 획득, 악보 해금, 보유 아바타 데이터
- 2021년 12월 20일까지의 카드 데이터
안다미로는 모든 계정에 300,000 포인트를 지급하고, 게임 내 아이템 가격을 모두 1포인트로 하는 보상 조치를 시행했다. 소실된 칭호 데이터는 2022년 1월 31일까지 증거 이미지나 동영상을 안다미로 지정 메일 주소로 전송하면 복구하는 대응을 진행했다.[13][14]
8. 스낵 제품
2000년 해태제과와 안다미로가 협업하여 펌프 잇 업 스낵 제품을 출시했다. 이 제품에는 과자뿐만 아니라 펌프 잇 업 족보(채보, 특히 2nd나 OBG의 노멀/하드 채보)와 스타 스티커 사진(핑클, 유승준 등)이 들어 있었다. 스낵은 매콤한 맛과 불고기 맛 두 가지였지만, 일부에는 아주 매운 맛도 포함되었다. 량현량하가 모델이었으며, 1999년 해태제과의 바밤바 광고에 펌프 잇 업이 등장하기도 했다. 2000년 4월 13일 국회의원 선거 광고에는 이홍렬이 출연했다. 그러나 스낵 제품 계약료 상승으로 2001년에 단종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ump It Up 1st Dance Floor information
http://www.arcade-hi[...]
Gaming History
2015-03-14
[2]
웹사이트
http://www.ampress.c[...]
2012-03-07
[3]
Citation
PUMP IT UP PHOENIX 2nd Teaser
https://www.youtube.[...]
2023-05-10
[4]
Citation
The 9th Content Update Teaser (V2.00.0)
https://www.youtube.[...]
2024-05-16
[5]
웹사이트
PIU 2015 PRIME :: NOTICE
http://www.piugame.c[...]
2015-11-24
[6]
웹사이트
Pump It Up (Video Game) – TV Tropes
http://tvtropes.org/[...]
2015-11-24
[7]
웹사이트
Pump It Up Pro comments
http://kyle-ward.com[...]
[8]
웹사이트
pump it up pro - www.kyleaward.com
http://www.kyle-ward[...]
2015-11-24
[9]
웹사이트
Andamiro Co., Ltd.1
http://www.andamiro.[...]
2015-11-24
[10]
웹사이트
Pump It Up Infinity arcade pcb by Andamiro Co., Ltd.(2013)
http://www.arcade-hi[...]
2015-11-24
[11]
Youtube
https://www.youtube.[...]
[12]
간행물
게임ラボ2009年3月号
三才ブックス
[13]
웹사이트
NOTICE {{!}} Server maintenance notice
http://www.piugame.c[...]
Andamiro Co., LTD
2021-12-29
[14]
뉴스
서버 손상, 펌프 잇 업 플레이 데이터가 모두 날아갔다
https://www.gamemeca[...]
JEUMEDIA Corp
2021-12-30
[15]
웹인용
PIU 역사
http://www.piugame.c[...]
안다미로
2016-06-11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