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오피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오피틴은 엽록소 분자에서 중심의 마그네슘 이온이 제거된 형태의 화합물이다. 약산으로 처리된 엽록소에서 생성되며, "어스레함"을 뜻하는 "pheo"와 "초목"을 뜻하는 "phyt"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페오피틴화는 엽록소의 마그네슘이 수소 원자로 대체되는 과정으로, 광계 II의 1차 전자 수용체 역할을 하며, 홍색세균과 광계 II 반응에서 전자 전달체로 작용한다. 엽록소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기도 하며, 짙은 갈색을 띠는 특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합성 색소 - 카로티노이드
    카로티노이드는 4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테트라테르페노이드 색소로, 폴리엔 탄화수소 사슬 형태를 띠며, 사슬 끝에 고리 구조나 산소 원자가 결합될 수 있고, 친유성이며 광합성, 항산화 작용 등 생리 활성을 가지며 식물, 동물, 미생물 등에서 발견된다.
  • 광합성 색소 - 엽록소
    엽록소는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빛 에너지를 흡수하는 데 중요한 색소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엽록체 내에서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고 식품 첨가물 등으로도 활용된다.
  • 테트라피롤 - 엽록소
    엽록소는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빛 에너지를 흡수하는 데 중요한 색소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엽록체 내에서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고 식품 첨가물 등으로도 활용된다.
  • 테트라피롤 - 헴 C
    헴 C는 헴 B의 비닐기 곁사슬이 티오에테르 결합으로 아포단백질에 연결된 형태로, 사이토크롬 c에 주로 존재하며 전자 운반체로서 다양한 생물체에서 발견되고 산화환원전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세포 자멸사에도 관여한다.
페오피틴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화학 정보
CAS 등록번호603-17-8 (a)
3147-18-0 (b)
KEGGC05797 (a)
(b)
ChEBI44898 (a)
38256 (b)
화학식C55H74N4O5 (a)
C55H72N4O6 (b)
외관갈색
일반 정보
설명중심 Mg2+ 이온이 없는 클로로필 분자

2. 구조

생화학에서 페오피틴은 중심에 Mg2+ 이온이 없는 엽록소 분자이다. 엽록소를 약산으로 처리하면 짙은 푸른빛을 띠는 밀랍 색소를 생성할 수 있다.[6]

클로로필이 산성 조건에 놓여 마그네슘이 탈락하면 그 대신 수소 원자가 결합하는데, 이를 '''페오피틴화'''라고 부른다. 클로로필 ''a''가 페오피틴화된 것을 페오피틴 ''a'', 박테리오클로로필 ''a''가 페오피틴화된 것을 박테리오페오피틴 ''a''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천연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오)클로로필이 페오피틴화된 것의 명칭은 "클로로필" 부분을 "페오피틴"으로 변경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클로로필의 분해 생성물로 이해되지만, 광화학 반응 중심 내의 이차 또는 삼차 전자 수용체로도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3. 역사와 발견

1977년 클레바니크(Klevanik), 클리모프(Klimov), 슈발로프(Shuvalov)는 광계 II에서 1차 전자 수용체 역할을 하는 것이 플라스토퀴논이 아니라 페오피틴임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전자 스핀 공명 등 일련의 실험을 통해 페오피틴의 광환원 및 광계 II 반응 중심과의 관계를 밝혀냈다.

이들은 페오피틴이 환원 가능하고, 따라서 P680과 플라스토퀴논 사이의 주요 전자 수용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페오피틴을 엽록소 분해의 부산물로만 여겼기 때문에 이 발견은 격렬한 반대에 부딪혔다. 이후 추가 실험을 통해 페오피틴이 실제로 P680과 플라스토퀴논 사이에서 작동하는 광계 II의 1차 전자 수용체임을 입증하였다.

이와 관련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
1페오피틴의 광환원은 광계 II의 반응 중심을 포함하는 다양한 혼합물에서 관찰되었다.
2페오피틴의 양은 광계 II의 반응 중심의 수에 정비례한다.
3페오피틴의 광환원은 100K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며 플라스토퀴논의 환원 후에 관찰된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모두 반응 중심 구성 요소의 광변환의 특징이다.

4. 홍색세균에서의 반응

페오피틴은 홍색세균의 광반응 중심체(RC P870)에서 첫 번째 전자 운반체 중간체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은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단계는 세균엽록소(Chl)2, 즉 특수한 엽록소 쌍이 빛을 받아 들뜬 상태가 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들뜬 엽록소 쌍이 페오피틴에 전자를 전달하여 전하가 분리된다. 세 번째 단계는 전자가 메나퀴논(QA)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이어서 두 번째 퀴논(QB)으로 전달되는 과정이다. 네 번째 단계는 두 번의 전자 전달을 통해 퀴논(QB)이 환원된다. 마지막 단계는 사이토크롬 c에서 전자를 받아 원래 상태로 돌아가고, 기질을 재생한다.

4. 1. 반응 메커니즘

홍색세균의 반응 중심(RC P870)에 있는 첫 번째 전자 운반체이자 중간생성물인 페오피틴의 반응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이 5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세균엽록소(Chl)2 또는 특수한 엽록소 쌍의 여기(excitation):

::*(Chl)2 + 1 광자 → (Chl)2*

2. (Chl)2가 페오피틴으로 전자를 전달하여 전하 분리가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음으로 하전된 라디칼(페오피틴)과 양으로 하전된 라디칼(특별한 엽록소 쌍)이 생성된다.

::*(Chl)2* + Pheo → ·(Chl)2+ + ·Pheo

3. 전자가 단단히 결합된 메나퀴논(QA)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메나퀴논(QA)은 전자를 즉시 느슨하게 결합된 두 번째 퀴논(QB)으로 전달한다.

4. 두 번의 전자 전달이 QB를 환원된 형태인 QBH2로 전환시킨다.

::*2·Pheo + 2H+ + QB → 2Pheo + QBH2

5. 사이토크롬 c으로부터 나온 전자로 특별한 엽록소 쌍의 "공백(hole)"을 채운다. 이는 기질을 재생하고 순환을 완료하여 후속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5. 광계 II에 참여

광계 II에서 페오피틴은 홍색세균과 매우 유사하게 첫 번째 전자 운반체 중간생성물로 작용한다. P680이 P680*으로 여기된 후 전자를 페오피틴으로 전달하면, 음전하를 띤 페오피틴 라디칼은 여분의 전자를 두 개의 연속된 플라스토퀴논 분자로 빠르게 전달한다. 이후 전자는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를 거쳐 광계 II를 떠난다.[1]

1977년 클레바닉, 클리모프, 슈발로프는 실험을 통해 페오피틴이 플라스토퀴논이 아닌 광계 II의 주요 전자 수용체임을 증명했다. 전자 상자성 공명(EPR) 등 여러 실험을 통해 페오피틴이 환원될 수 있으며, P680과 플라스토퀴논 사이의 주요 전자 수용체임을 보였다.[1]

처음에는 페오피틴을 엽록소 분해의 부산물로만 여겨 이 발견에 대한 반대가 있었으나, 이후 추가 실험을 통해 페오피틴이 P680과 플라스토퀴논 사이에서 PSII의 주요 전자 수용체라는 사실이 입증되었다.[1]

다음은 페오피틴의 광환원 관련 실험 결과이다.[1]


  • 페오피틴의 광환원은 PSII 반응 중심을 포함하는 다양한 혼합물에서 관찰되었다.
  • 페오피틴의 양은 PSII 반응 중심의 수에 정비례한다.
  • 페오피틴의 광환원은 100K와 같은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며, 플라스토퀴논의 환원 후에 관찰된다.

5. 1. 반응 메커니즘

페오피틴은 자색세균의 광반응 중심체(RC P870)에서 첫 번째 전자 전달체 중간체이다. 이 시스템에서 페오피틴의 관여는 다음과 같은 5가지 기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여기: 박테리오클로로필(Chl)2 또는 특수 클로로필 쌍이 광자를 흡수하여 들뜬 상태((Chl)2*)가 된다.

  • (Chl)2 + 1 광자 → (Chl)2*

2. 전하 분리: 들뜬 상태의 (Chl)2*가 페오피틴(Pheo)으로 전자를 전달하여 음전하를 띤 페오피틴 라디칼(·Pheo)과 양전하를 띤 특수 클로로필 쌍 라디칼(·(Chl)2+)을 생성한다.

  • (Chl)2* + Pheo → ·(Chl)2+ + ·Pheo

3. 플라스토퀴논 환원: 페오피틴 라디칼은 빠르게 결합된 메나퀴논 QA로 전자를 전달하고, QA는 다시 두 번째 퀴논(QB)으로 전자를 전달한다. 두 번의 전자 전달과 수소 이온(2H+)의 결합을 통해 QB는 환원형(QBH2)으로 변환된다.

  • 2·Pheo + 2H+ + QB → 2Pheo + QBH2

4. 기질 재생: 사이토크롬 c의 헴에서 나온 전자가 특수 쌍의 "구멍"(·(Chl)2+)을 채워 기질((Chl)2)을 재생성하고, 다음 반응을 위한 준비를 한다.

광계 II에서 페오피틴은 위와 매우 유사한 역할을 한다. P680이 P680*으로 여기된 후 전자를 페오피틴으로 전달하여 음전하를 띤 라디칼로 변환한다. 두 개의 음전하를 띤 페오피틴 라디칼은 과량의 전자를 두 개의 연속적인 플라스토퀴논 분자로 빠르게 전달한다. 결국 전자는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를 통과하여 광계 II를 떠난다.

6. 엽록소 분해

식물 플랑크톤이 죽거나 포식되어 분해될 때 페오피틴화가 일어난다. 낙엽 등의 생체 내에서 프로그램된 클로로필 분해 시에는 페오피틴화가 일어나지 않아 페오피틴을 경유하지 않는다. 이 경우 클로로필은 클로로필라아제|Chlorophyllase영어에 의해 분해되어 장쇄 알코올(피톨 등)이 제거되고 클로로필리드가 된 후,[4] Mg-데켈라타제가 촉매 작용을 하여 마그네슘이 제거되어[5]페오포르비드로 분해된다.[4] 추가적인 분해는 여러 효소에 의해 연쇄적으로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6. 1. 페오피틴화

클로로필이 산성 조건에 놓이는 등 마그네슘이 탈락하고 그 대신 수소 원자가 결합하는 것을 '''페오피틴화'''라고 부른다.[1] 클로로필 ''a''가 페오피틴화된 것을 페오피틴 ''a'', 박테리오클로로필 ''a''가 페오피틴화된 것을 박테리오페오피틴 ''a''라고 부르며, 마찬가지로 천연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오)클로로필이 페오피틴화된 것의 호칭은 명칭의 "클로로필" 부분을 "페오피틴"으로 변경한 것이다.

페오피틴화는 식물 플랑크톤이 죽거나 포식되어 분해될 때 일어난다. 한편, 낙엽 등 생체 내에서 프로그램된 클로로필 분해 시에는 페오피틴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페오피틴을 경유하지 않는다. 이 경우 클로로필은 클로로필라아제|Chlorophyllase영어에 의해 분해되어 장쇄 알코올(피톨 등)이 제거되고 클로로필리드(Chlorophyllide)가 된 후,[4] Mg-데켈라타제가 촉매가 되어 마그네슘이 제거되어[5]페오포르비드로 분해된다.[4] 추가적인 분해는 여러 효소에 의해 연쇄적으로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6. 2. 분해 과정

엽록소는 클로로필라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장쇄 알코올(피톨 등)이 제거되고 클로로필리드[4]가 된다. 이후 Mg-데켈라타제가 촉매하는 반응을 통해 마그네슘이 제거되어 페오포르비드[4]로 분해된다.

7. 광흡수

페오피틴은 짙은 갈색에 가까운 색으로 보인다. 이는 마그네슘이 탈락하고 두 개의 수소 원자로 치환된 데 기인한다.

포르피린 고리에서 유래하는 빛의 흡수는 단파장 쪽(B 밴드, 소레 띠)과 장파장 쪽(Q 밴드)으로 나누어 해석된다. 엽록소와 거기에서 유래하는 페오피틴에서는 단파장 쪽의 흡수에는 거의 변화가 없지만, 장파장 쪽의 흡수에 큰 변화가 일어난다. 장파장 쪽의 흡수는, 페오피틴에서는 4개 정도의 비교적 약한 흡수 극대가 존재하지만, 엽록소에서는 1~2개로 보이는 매우 강한 흡수 극대가 존재한다. 페오피틴에서 장파장 쪽의 흡수가, 여러 개의 약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은, 중심에 결합하고 있는 것이 두 개의 수소 원자이기 때문에, 흡수에 관여할 수 있는 상태가 여러 개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엽록소에서 장파장 쪽의 흡수의 수가 줄어들고 강해지는 것은, 중심에 금속 이온이 배위함으로써, 중심 부근의 전자 상태가 제한되어 빛 흡수에 관여할 수 있는 상태가 한정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참조

[1] 웹사이트 Merriam-Webster Medical Dictionary definition of Pheophytin http://dictionary.re[...]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pheo in The American Heritage Stedman's Medical Dictionary http://dictionary.re[...]
[3] 웹사이트 phyt http://www.collinsdi[...] Collins English Dictionary - Complete & Unabridged 11th Edition 2012-10-19
[4] 서적 陸水の事典 クロロフィル分解物 講談社 2006-03-31
[5] 웹사이트 野菜花き研究部門:クロロフィル http://www.naro.affr[...] 農研機構 2020-05-09
[6] 웹사이트 Merriam-Webster Medical Dictionary definition of Pheophytin http://dictionary.re[...]
[7] 웹사이트 Definition of pheo in The American Heritage Stedman's Medical Dictionary http://dictionary.re[...]
[8] 웹사이트 phyt http://www.collinsdi[...] Collins English Dictionary - Complete & Unabridged 11th Edition 2012-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