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택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택군 (1948년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평택군 전 지역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용인군·안성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평택군·용인군·안성군 선거구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최석화, 안재홍, 황경수, 정존수, 이병헌, 유치송, 이윤용, 최영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택시의 정치 - 평택시 갑
    평택시 갑은 경기도 평택시 일부를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1995년 통합 신설 이후 선거구 획정을 거쳐 현재 비전동, 송탄동 등을 포함하며, 홍기원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평택시의 정치 - 평택시 을
    평택시 을은 경기도 평택시의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현덕면, 청북읍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평택시 통합 이후 신설되어 인구 변화에 따라 선거구 획정이 변경되었으며,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건설 이후 인구 유입에 따른 정치적 영향력 변화가 있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부여군(1963년 선거구)은 1963년 신설되어 1971년 폐지된 선거구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종필이, 제8대 선거에서는 신민당에서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이상익이 당선되었으며, 196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신민당 이상익이 당선되는 이변이 있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동대문구 을 선거구는 1958년 신설되어 1963년 양주군 구리면 일부가 편입되기도 했으나 1973년 동대문구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이영준, 장준하, 유옥우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평택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평택군
의회국회
지도(지도는 제공되지 않음)
큰 지도경기도
지도 연도(지도 연도는 제공되지 않음)
연도1948년
폐지1973년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이전 선거구 정보는 제공되지 않음)
이후 선거구평택군·용인군·안성군
유권자(유권자 정보는 제공되지 않음)
의원(의원 정보는 제공되지 않음)
정당(정당 정보는 제공되지 않음)
지방의회(지방의회 정보는 제공되지 않음)
지방 선거구(지방 선거구 정보는 제공되지 않음)
인구(인구 정보는 제공되지 않음)
의원 수1인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평택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용인군·안성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평택군·용인군·안성군 선거구를 구성하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평택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2. 2. 선거구 폐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용인군·안성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평택군·용인군·안성군 선거구를 구성하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선거정당의원
1948년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최석화
1950년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안재홍
1954년style="background-color: " |자유당황경수
1958년style="background-color: " |자유당정존수
1960년style="background-color: " |민주당이병헌
1963년style="background-color: " |민정당유치송
1967년style="background-color: " |민주공화당이윤용
1971년style="background-color: " |민주공화당최영희


3.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최석화 후보가 10,979표(29.5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오찬 후보는 10,192표(27.44%), 무소속 황경수 후보는 8,053표(21.68%), 무소속 이민홍 후보는 5,450표(14.67%), 무소속 김준석 후보는 2,465표(6.6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7,139표였다.

3.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안재홍 후보가 96.9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우국노인회 김대경 후보는 3.01%를 득표하였고, 최석화, 황경수, 최명환, 이병헌, 장범교, 양재현, 최규암, 이익호 후보는 득표에 실패했다.

3.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황경수 후보가 53.55%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이병헌 후보는 24.56%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자유당황경수21,45653.55
무소속이병헌9,84424.56
민주국민당1949최석화5,83714.56
무소속양재현2,4726.16
무소속윤부섭4571.14
합계40,066


3.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정존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정존수 후보는 50.99%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민주당1955 이병헌 후보는 18.92%를 득표하였고, 무소속 이민환 후보는 17.46%, 무소속 황경수 후보는 6.45%를 득표하였다. 그 외 무소속 황욱재 후보는 3.78%, 무소속 이병국 후보는 2.37%를 득표하였다.

3.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이병헌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병헌민주당15,86328.02
유치송민주당11,51120.33
김경하무소속7,50313.25
최석화무소속5,2309.24
안정용한국사회당4,4167.80
원근식무소속3,6946.52
황경수무소속3,1355.53
김진택무소속1,2362.18
송우근무소속1,1342.00
임승학자유법조단1,0451.84
유빈무소속1,0181.79
최승록한국통일촉진재건회8141.43
합계56,599


3. 6.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서는 민정당 유치송 후보가 44.30%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2위는 민주공화당 이윤용 후보(26.27%), 3위는 신흥당 한민수 후보(7.27%)였다. 그 뒤를 이어 이병헌 (국민의당, 6.72%), 임명산 (민주당, 5.05%), 유빈 (민정당, 3.95%), 김진택 (자유민주당, 3.02%), 황충영 (자유당, 1.97%), 최대식 (보수당, 1.43%) 후보가 차례로 득표하였다. 전체 유권자 수는 84,690명이었다.

3. 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이윤용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윤용민주공화당31,58747.37
유치송신민당27,47241.20
정존수자유당3,5085.26
안정용대중당1,2911.93
이병국한국독립당1,1581.73
김동진민중당9791.46
김진택민주당4920.73
정광순통한당1910.28
합계66,678


3. 8.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서는 101,084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했다. 민주공화당 최영희 후보가 51.4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신민당 유치송 후보는 45.10%를 득표하였고, 국민당1971 장기천 후보는 3.07%, 대중당 이진휘 후보는 0.32%를 득표하였다.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최석화 후보가 10,979표를 얻어 29.5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오찬 후보는 10,192표(27.44%), 무소속 황경수 후보는 8,053표(21.68%), 무소속 이민홍 후보는 5,450표(14.67%), 무소속 김준석 후보는 2,465표(6.63%)를 얻었다. 총 유효 투표수는 37,139표였다.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안재홍 후보가 96.9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우국노인회 김대경 후보는 3.01%를 득표하였다. 최석화, 황경수, 최명환, 이병헌, 장범교, 양재현, 최규암, 이익호 후보는 득표를 하지 못했다.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황경수 후보가 53.5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병헌, 최석화 후보 등이 출마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황경수자유당21,45653.55
이병헌무소속9,84424.56
최석화민주국민당19495,83714.56
양재현무소속2,4726.16
윤부섭무소속4571.14
합계40,066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서는 자유당 정존수 후보가 50.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당 이병헌 후보는 18.92%, 무소속 이민환 후보는 17.46%, 무소속 황경수 후보는 6.45%, 무소속 황욱재 후보는 3.78%, 무소속 이병국 후보는 2.37%를 득표하였다.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이병헌 후보가 28.0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같은 민주당의 유치송 후보는 20.33%를 득표하여 그 뒤를 이었다.

4. 6.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서는 민정당 유치송 후보가 44.3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이윤용 후보는 26.27%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그 뒤로 신흥당 한민수 후보가 7.27%, 국민의당 이병헌 후보가 6.72%, 민주당 임명산 후보가 5.05%, 민정당 유빈 후보가 3.95%, 자유민주당 김진택 후보가 3.02%, 자유당 황충영 후보가 1.97%, 보수당 최대식 후보가 1.43%를 득표하였다.

4. 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서는 민주공화당 이윤용 후보가 47.3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윤용 후보는 31,587표를 얻었으며, 신민당 유치송 후보는 27,472표(41.20%), 자유당 정존수 후보는 3,508표(5.26%)를 얻는 데 그쳤다. 그 외 대중당 안정용 후보는 1,291표(1.93%), 한국독립당 이병국 후보는 1,158표(1.73%), 민중당 김동진 후보는 979표(1.46%), 민주당 김진택 후보는 492표(0.73%), 통한당 정광순 후보는 191표(0.28%)를 얻었다.

4. 8.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최영희 후보가 51.4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신민당 유치송 후보는 45.10%, 국민당 장기천 후보는 3.07%, 대중당 이진휘 후보는 0.32%를 득표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