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 (단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坪)은 중국에서 유래된 면적 단위로, 1보는 1평과 같다. 1평은 6자(尺)의 정사각형 넓이를 의미하며, 미터법으로는 약 3.3058 제곱미터에 해당한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부동산 면적의 표준 단위로 사용되었으나, 1961년 미터법 시행으로 공식 사용이 금지되었고, 2007년부터는 상업적 사용이 범죄화되었다. 하지만 비공식적인 사용은 계속되고 있으며, 부동산 관련 웹사이트에서 제곱미터와 함께 병기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 대만에서도 사용되었으나, 일본에서는 1966년부터 부동산 거래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척관법 - 자 (단위)
    척(尺)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길이 단위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길이가 다양하게 변화했으며, 현재는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 척관법 -
    되는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부피 단위로, 일본에서 다이호 율령 시기부터 사용되어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크기로 존재했으며, 에도 시대 신쿄 되가 표준으로 사용되다 메이지 시대 미터법에 따라 크기가 정의되었으나 현대에는 사용이 금지되었고, 일본 문화에서 번성을 기원하는 상징으로도 활용되었다.
  • 넓이의 단위 - 제곱마일
    제곱마일은 야드파운드법과 미국 단위계에서 사용되는 면적 단위로, 한 변이 1마일인 정사각형의 넓이이며, 2.589988110336 제곱킬로미터 또는 640 에이커에 해당한다.
  • 넓이의 단위 - 제곱킬로미터
    제곱킬로미터는 한 변의 길이가 1킬로미터인 정사각형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1,000,000 m², 100 헥타르, 247.105381 에이커와 같으며, 지도에서 축척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고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면적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데 활용된다.
  • 부피의 단위 - 리터
    리터는 10 센티미터 정육면체의 부피와 같은 부피 단위로, 미터법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재정의되었고, SI 단위는 아니지만 SI와 함께 사용이 허용되며, 실생활과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단위 기호로 l과 L이 함께 쓰인다.
  • 부피의 단위 - 세제곱미터
    세제곱미터(m³)는 부피를 나타내는 SI 단위로, 1m x 1m x 1m의 공간을 차지하며, 1,000 리터와 같고, 물의 질량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평 (단위)
평 (단위)
유형면적 단위
단위계척관법
SI약 3.305785124 제곱미터
정의400/121 제곱미터
유래한 변이 6척인 정사각형의 면적
한국어 정보
한글
한자
로마자 표기pyeong
일본어 정보
일본어坪、歩
로마자 표기tsubo, bu

2. 역사

평의 기원은 고대 중국 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사람들은 자신의 몸을 기준으로 길이를 쟀는데, 두 걸음(오른발을 내딛고 왼발을 내딛는 거리)을 '보'라는 단위로 사용했다. 이 '보'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가 바로 '보'였고, 이것이 넓이 단위 '보'의 시작이었다. 처음에는 1보의 넓이가 지금보다 작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6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넓이로 정해졌다.

1평은 1보(步)라고도 표기할 수 있으며, 6자 평방, 즉 "6자×6자"를 뜻한다.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약 3.3058제곱미터(400/121 m2)이며, 보통 3.3제곱미터를 1평으로 본다.[11] 1 m2는 정확히 0.3025평이다.

평의 배수 단위는 다음과 같다.

단위환산 (제곱미터)환산 (아르)
0.1평
0.1합
30평약 99.174 m2약 1 아르
(단)10묘약 991.74 m2약 10 아르
(정보)10반약 9917.4 m2약 1 ha



묘, 반, 정의 값은 1아르, 10아르, 1헥타르의 값과 매우 비슷하여, 면적 단위에서는 미터법으로의 전환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평은 미터법으로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2. 1. 어원

'평'이라는 명칭은 중국에서 유래된 보(步)의 다른 이름으로, 6 평방을 기준으로 한다.[11] 경지, 임야의 면적에는 보가, 가옥, 부지의 면적에는 평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중국 나라 시대에 보폭 2보(오른발을 내딛고, 다음에 왼발을 내딛었을 때, 기점에서 내딛은 왼발까지의 길이)를 보라는 길이의 단위(신체척)로 하였다. 그 보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면적을 "보"라고 부른 것이 면적 단위 "보"의 시작이다. 이때의 1보(면적)는 현재의 보보다 작은 면적이었지만, 후에 6자 사방의 면적으로 정해졌다.

2. 2. 한국

한국에서 평은 일제강점기에 1평이 제곱미터로 규정되었다.[3] 1961년 미터법 도입 이후 공식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으나,[3] 비공식적으로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07년 7월 1일부터는 상업적 사용이 범죄화되어 이를 위반하면 5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11][3]

1966년 4월 1일 이후에는 부동산 거래에서도 평을 사용할 수 없다.[5] 거래나 증명에 제곱미터와 함께 참고치로 병기하는 것은 가능하나, 괄호를 사용하여 참고치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6] 그러나 부동산 등기 실무에서는 참고치로도 평을 사용하지 않는다.[7]

부동산 면적당 가격을 표시할 때도 평 대신 제곱미터를 사용해야 한다.[8] 3.3 m2당 가격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미터법에 따른 표시이며 척관법에 의한 표시가 아니다. 3.3 m2당 가격은 평당 가격과 약 0.18%의 차이가 있다.

거래 또는 증명이 아닌 경우(예: 부동산 거래 이전 구두 사용)에는 계량법의 규제 대상이 아니므로 평 사용이 금지되지 않는다. 또한 부동산 거래 당사자 간의 의사소통에서 "평"을 염두에 두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9]

2. 3. 일본

일본에서는 부동산 면적의 일반적인 척도로 다다미를 사용하며, 1평(坪)은 2개의 다다미로 계산된다. 다다미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현대 표준은 일반적으로 약 1.653m2의 나고야 다다미로 간주되며, 이에 따라 1평은 3.306m2가 된다.[5] 1966년 4월 1일 이후에는 부동산 거래에서 평을 사용할 수 없다.[5]

거래·증명에 사용하는 제곱미터와 함께, 거래 또는 증명에 사용하지 않는 참고치로서 병기하는 것은 금지되지 않는다. 단, 괄호 ( )를 붙이는 등 참고치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6] 예시는 다음과 같다.

  • 167.32 m2 (약 50.6평)


그러나 부동산 등기의 실무에서는 참고치로도 평이 사용되는 일은 없다.[7]

부동산의 면적당 가격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평"을 사용할 수 없고, "제곱미터"를 사용해야 한다.[8] 평의 면적에서 유래하여 종종 3.3 m2당 가격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미터법에 의한 표시이며, 척관법에 의한 표시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거래 또는 증명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부동산 거래 이전의 교섭 단계에서 구두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다른 모든 계량 단위와 마찬가지로, 계량법의 규제 대상이 아니므로 금지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동산 거래 당사자 간의 사고상 "평"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9]

2. 4. 대만

일본 통치 시대에 도입된 타이완의 평(坪, ping)은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약 3.305m2이다.[1] 평은 일본에서 유래된 단위이지만, 과거 일본의 통치 하에 있었던 대한민국과 타이완에서도 사용되었다.[1]

타이완에서는 1945년 국민 정부가 일부 정부 문서를 제외하고는 평 대신 제곱미터를 사용한다고 선언했지만, 민간에서는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1]

타이완에서 평의 면적은 일본과 같지만, "핑()・페이(pêⁿ중국어)/피(pîⁿ중국어)"라고 한자 음으로 부른다.[1]

3. 정의 및 환산

1평은 6 평방으로, 여섯 자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넓이를 나타낸다. 즉, "6자×6자"를 뜻한다.[3]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약 3.3058제곱미터(400/121 m2)이다. 보통 3.3제곱미터를 1평으로 본다. 이 단위는 한 사람이 팔과 다리를 벌리고 누울 수 있는 넓이에서 기원했다. 1평은 1보(步)라고도 한다.[11]

메이지 시대에 1척 = (10/33) m로 정해졌으므로, 1평 = (10/33×6)2 m2 = 400/121 m2 = 약 3.3058m2이다. 1 m2 = 정확히 0.3025평이다.

3. 1. 다른 면적 단위와의 관계

평 또는 보는 척관법에서 면적의 기본 단위이다. 평의 배수 단위는 다음과 같다.

단위환산
1합 = 0.1평
1작 = 0.1합
1묘 = 30평약 99.174 m2 = 약 1아르
(단)1반 = 10묘약 991.74 m2 = 약 10아르
(정보)1정 = 10반약 9917.4 m2 = 약 1 ha



묘, 반, 정의 값은 1아르, 10아르, 1헥타르의 값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면적 단위는 미터법으로 쉽게 바꿀 수 있었지만, 평(보)만은 미터법으로 딱 떨어지는 숫자로 나타낼 수 없다.

4. 현대적 사용

대한민국에서 평은 헝겊, 유리, 벽 등의 면적을 나타낼 때 자 평방, 치 평방 등의 단위로 사용되기도 한다. 헝겊, 유리, 벽 따위의 한 자 평방은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약 918.2736cm2이다. 조각, 동판 따위의 한 치 평방은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약 9.182736cm2이다.

부피 단위로서 1평은 6자 입방으로,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약 6.0105m3이다.[10]

제지 및 인쇄 업계에서는 종이의 질량을 나타내는 평량이라는 단위가 사용된다. 원래 평량은 척평(尺坪)당 질량을 돈으로 나타낸 것이었지만, 오늘날에는 1제곱미터당 질량을 그램 단위로 나타낸 미터 평량 또는 미국 평량(g/m2)이 사용되고 있다.

4. 1. 부동산

대한민국에서는 부동산 거래 시 제곱미터와 함께 평이 비공식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주요 웹사이트의 부동산 매물에는 제곱미터와 평 환산이 함께 표시된다.[3]

1966년 4월 1일 이후에는 부동산 거래에서 평을 사용할 수 없다.[5] 거래·증명에 사용하는 제곱미터와 함께 참고치로서 병기하는 것은 금지되지 않지만, 괄호를 붙여 참고치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6]

  • 167.32 m2 (약 50.6평)


그러나 부동산 등기의 실무에서는 참고치로도 평이 사용되지 않는다.[7]

부동산의 면적당 가격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평을 사용할 수 없고, 제곱미터를 사용해야 한다.[8] 3.3 m2당 가격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미터법에 의한 표시이며, 척관법에 의한 표시가 아니다. 3.3 m2당 가격은 평당 가격과 약 0.18%의 차이가 있어, 단위 가격이 약 0.18%만큼 싸게 표시된다.

토지 면적총 가격m2당 가격3.3 m2당 가격평당 가격
227.87 m235,480,000엔155703JPY/m2513819JPY/3.3 m2514720JPY/평



거래 또는 증명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예: 부동산 거래 이전의 구두 사용)는 다른 모든 계량 단위와 마찬가지로 계량법의 규제 대상이 아니므로 금지되지 않는다. 또한, 부동산 거래 당사자 간의 사고상 "평"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9]

4. 2. 기타 분야

헝겊, 유리, 벽 등의 면적을 나타낼 때 자 평방, 치 평방 등의 단위가 사용되기도 한다. 헝겊, 유리, 벽 따위의 한 자 평방은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약 918.2736cm2이다. 조각, 동판 따위의 한 치 평방은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약 9.182736cm2이다.

부피 단위로서 1평은 6자 입방으로,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약 6.0105m3이다.[10]

제지 및 인쇄 업계에서는 종이의 질량을 나타내는 평량이라는 단위가 사용된다. 원래 평량은 척평(尺坪)당 질량을 돈으로 나타낸 것이었지만, 오늘날에는 1제곱미터당 질량을 그램 단위로 나타낸 미터 평량 또는 미국 평량(g/m2)이 사용되고 있다.

5. 비판 및 논란

평은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단위로, 한국 전통 단위 체계와 맞지 않아 혼란을 야기한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미터법과 함께 사용되면서 혼란을 더욱 가중시킨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예를 들어, 3.3m²를 1평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정확한 환산 값이 아니며, 실제 평당 가격보다 약 0.18% 정도 싼 가격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9][11]

5. 1. 법적 규제

대한민국에서는 1961년부터 평 단위의 공식적인 사용이 금지되었고, 2007년 7월 1일부터는 상업적인 사용이 범죄화되었다.[3] 그러나 비공식적인 사용은 계속되고 있으며, 심지어 '평' 단위와 동일한 면적의 미터 단위의 특이한 분수로 부동산을 사용하는 형태로도 나타난다. 다음(Daum)과 같은 주요 웹사이트의 부동산 매물에는 평 환산과 함께 제곱미터로 면적이 표시된다.

5. 2. 혼란 야기

미터법과 평 단위를 함께 사용하면서 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3.3m²를 1평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정확한 환산 값(약 3.3058제곱미터)이 아니다.[11] 평의 면적에서 유래하여 종종 3.3 m2당 가격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미터법에 의한 표시이며, 척관법에 의한 표시가 아니다. 3.3 m2당 가격은 평당 가격에 비해 약 0.18% 정도 싸다.[9]

참조

[1] 웹사이트 Unit conversion chart http://samo15.netian[...] 2005-12-28
[2] 웹사이트 ko:'평' :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 2017-08-25
[3] 간행물 The Hankyoreh The Hankyoreh Media 2007-06-23
[4] 문서 計量法施行法(1951年6月7日法律第208号 廃止:1993年11月1日)第4条第3項による定義
[5] 문서 不動産の表示に関する公正競争規約施行規則 http://www.rftc.jp/w[...]
[6] 웹사이트 単位に関するよくあるご質問と答え、2)計量単位に関する質問/取引又は証明に使用する際の質問、Q4-A4、経済産業省 https://www.meti.go.[...] 2015-12-09
[7] 문서 不動産登記のABC、登記記録(登記簿)とは?、「登記事項証明書」の例、表題部の「地積」の欄を参照のこと https://www.moj.go.j[...]
[8] 문서 不動産の表示に関する公正競争規約施行規則 http://www.rftc.jp/w[...]
[9] 문서 不動産鑑定にまつわるエトセトラ、土地の面積と価格 http://www.mitsuifud[...] 三井不動産 2010-03-08
[10] 문서 計量法施行法(1951年6月7日法律第208号 廃止:1993年11月1日)第5条第7項による定義
[11] 문서 계량에 관한 법률 제76조 제2항 제1호, 시행령 제53조 및 별표28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