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론스코고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론스코고 섬은 면적 12km²의 평평한 섬으로, 쿠릴 자연 보호구역의 일부이며, 시코탄 섬과 젤레니 섬 사이에 위치한다. 역사를 살펴보면, 에도 시대에는 아이누족이 거주하며 어업 활동이 이루어졌고, 1945년 소련군에 의해 점령된 후 현재는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하고 있다. 일본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나, 러시아 해안경비대가 주둔하고 있으며, 2009년 러시아인의 거주 사실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보마이 군도 - 오스콜키섬
  • 하보마이 군도 - 하르카르섬
    하르카르섬은 유루리섬 동쪽 해상에 위치한 여러 섬으로 구성된 총 면적 2제곱킬로미터의 섬으로, 과거 아이누족이 이용했으며 현재 러시아 연방이 점령 및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 또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해달의 번식지로 알려져 있다.
  • 네무로시의 지리 - 네무로만
    네무로만은 러시아령 쿠릴 열도와 오호츠크해에 접해 있으며, 노쓰케 반도에 둘러싸인 노쓰케 만과 에토로후섬 부근의 풍부한 어장을 포함하고, 네무로 항 등 여러 항구가 위치하며 겨울철에는 유빙으로 덮인다.
  • 네무로시의 지리 - 오스콜키섬
  • 쿠릴 열도 - 쿠릴 열도 분쟁
    쿠릴 열도 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는 쿠릴 열도에 대해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발생하는 영토 분쟁으로, 1855년 러일 화친 조약 이후 역사적 사건들과 국제법 해석 차이, 제3국의 입장 등이 얽혀 2000년대 이후에도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 쿠릴 열도 - 오스콜키섬
폴론스코고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다른 이름다라쿠 섬 (多楽島)
러시아어 이름오스트로프 폴론스코고 (Остров Полонского)
러시아어 이름 (로마자 표기)Ostrov Polonskogo
지리
위치태평양
면적0.23 km²
행정 구역
국가러시아
사할린주
도시 관구[[File:Flag of Yuzhno-Kurilsky rayon (Sakhalin oblast).png|25px]] 남쿠릴 관구
국가 주장일본
국가 주장 군/시정촌[[File:Flag of Nemuro, Hokkaido.svg|25px]] 네무로시
인구
인구0 명
기타 정보
이미지

2. 지리

폴론스코고 섬의 면적은 12km2이며, 평평하고 최대 높이는 16m이다. 섬은 녹색이며 습지다. 섬 해역은 물고기가 풍부하며, 특히 연어, 대구, 등이 많이 서식하고 쿠릴 자연 보호구역의 일부이다.[1]

2. 1. 주변 섬

폴론스코고 섬은 시코탄 섬과 스판베르크 해협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남동쪽에는 오스콜키 섬들이 있다. 남서쪽으로 11km 떨어진 젤레니 섬과는 폴론스코고 해협으로 분리된다.[2] 하보마이 군도 최북단에 위치하며, 최고 지점은 해발 30미터로 평탄하다. 수목은 거의 없고, 전전(戰前) 인구는 231세대, 1,457명이었다. 양호한 항만이 없어 다시마 어업을 비롯한 해조류 채취가 중심이었으며, 소와 말을 방목하기도 했다.

3. 역사

에도 시대에는 "주위는 5리 14정 정도이며, 평평하지만 중간은 조금 높다. 떡갈나무 작은 나무가 있다고 한다. 해안은 바위가 많고, 해산물이 풍부하여 아이누가 집을 짓고 늦은 시기까지 청어를 잡고 있다"는 기록이 있다.[3]



일본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현재도 러시아 연방의 점령·실효 지배 하에 있으며, 러시아 해안경비대가 상주하고 있다. 전후부터 현재까지 무인도로 여겨졌지만, 2009년에 러시아인이 2007년부터 거주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5]

해당 지역의 영유권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쿠릴 열도북방 영토 항목을, 현 상황에 관해서는 사할린 주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3. 1. 에도 시대 이전

에도 시대에는 "주위는 5리 14정 정도이며, 평평하지만 중간은 조금 높다. 떡갈나무 작은 나무가 있다고 한다. 해안은 바위가 많고, 해산물이 풍부하여 아이누가 집을 짓고 늦은 시기까지 청어를 잡고 있다"는 기록이 있다.[3]

  • 1799년, 네모로(네무로)와 앗케시(앗케시) 두 지역의 아이누가 입회하여 아키유리 섬 등과 함께 쌍방의 입회지가 되었다.[4]

3. 2. 18세기 ~ 19세기

에도 시대에는 "주위는 5리 14정 정도이며, 평평하지만 중간은 조금 높다. 떡갈나무 작은 나무가 있다고 한다. 해안은 바위가 많고, 해산물이 풍부하여 아이누가 집을 짓고 늦은 시기까지 청어를 잡고 있다"는 기록이 있다.[3]

  • 1799년, 네모로(네무로)와 앗케시(앗케시) 두 지역의 아이누가 입회하여 아키유리 섬 등과 함께 쌍방의 입회지가 되었다.[4]


메이지 시대부터는 고요마이 촌의 일부가 되었고, 후에 하보마이 촌에 속했다.

3. 3. 20세기 이후



일본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현재도 러시아 연방의 점령·실효 지배 하에 있으며, 러시아 해안경비대가 상주하고 있다. 전후부터 현재까지 무인도로 여겨졌지만, 2009년에 러시아인이 2007년부터 거주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5]

해당 지역의 영유권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쿠릴 열도북방 영토 항목을, 현 상황에 관해서는 사할린 주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3. 4. 영유권 분쟁

폴론스코고섬은 현재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지역이다.

해당 지역의 영유권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쿠릴 열도북방 영토 항목을, 현 상황에 관해서는 사할린 주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3. 4. 1. 일본의 입장

에도 시대에는 "주위는 5리 14 정도이며, 평평하지만 중간은 조금 높다. 떡갈나무 작은 나무가 있다고 한다. 해안은 바위가 많고, 해산물이 풍부하여 아이누가 집을 짓고 늦은 시기까지 청어를 잡고 있다"는 기록이 있다.[3]

일본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현재도 러시아 연방의 점령·실효 지배 하에 있으며, 러시아 해안경비대가 상주하고 있다. 전후부터 현재까지 무인도로 여겨졌지만, 2009년에 러시아인이 2007년부터 거주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5]

해당 지역의 영유권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쿠릴 열도북방 영토 항목을, 현 상황에 관해서는 사할린 주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3. 4. 2. 러시아의 입장

1945년 소련군이 침공하여 점령했고,[5] 1991년 소련의 붕괴 후 성립한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를 계승했다.[5]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현재 러시아 연방의 실효 지배 하에 있으며, 러시아 해안경비대가 상주하고 있다.[5] 2009년에는 2007년부터 러시아인이 거주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5]

참조

[1] 웹사이트 Kuril State Nature Reserve https://zapoved.ru/c[...] 2019-08-19
[2] 웹사이트 Detailed map of the Habomai Islands(JPG) http://nkr.2084.ru/k[...] 2019-08-20
[3] 서적 蝦夷日誌
[4] 문서 場所境調書
[5] 뉴스 「北方墓参早く自由に」 第4陣が多楽島から帰港(2009年8月27日付の北海道新聞の記事より)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 2009-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