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 스카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스카롱은 1610년 파리에서 태어나 17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다. 그는 귀족 가문 출신으로, 1643년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희극, 뷔를레스크 시, 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다. 대표작으로는 뷔를레스크 시집, 희극 《조들레, 또는 주인인 하인》, 소설 《로망 코믹》 등이 있으며, 스페인 희곡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류머티즘으로 인한 장애를 겪었으며, 루이 14세의 부인이 되는 프랑수아즈 도비녜와 결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장애인 - 레옹 강베타
    레옹 강베타는 프랑스 제3공화국 수립에 기여한 정치가이자 변호사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중 국방 정부의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공화국 정부 수립을 선언했고, 온건 공화주의 노선을 추구하다 총리가 되었으나 곧 사임했으며 의문사로 생을 마감했다.
  • 프랑스의 장애인 - 장마리 르펜
    프랑스의 극우 정치인 장마리 르펜은 국민전선을 창당하여 이민 배척, 치안 강화, EU 탈퇴 등을 주장하고 홀로코스트 관련 논란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대선에 여러 번 출마, 당수 자리에서 물러난 후 당에서 제명되었다.
  • 17세기 프랑스 작가 - 앙투안 갈랑
    프랑스의 동양학자이자 고고학자인 앙투안 갈랑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히브리어와 아랍어를 배우고 중동 지역을 탐험하며 여러 언어를 익혔으며, 왕립 도서관에서 동양어 사본 목록 작성에 참여하고 『동방 도서관』 집필을 완성했을 뿐만 아니라 『천일야화』를 최초로 프랑스어 및 유럽어로 번역하여 유럽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세기 프랑스 작가 - 테오필 드 비오
    테오필 드 비오는 위그노 반란 참여와 이단적 견해로 추방과 투옥을 겪었지만, 자유로운 문체로 다양한 형태의 시를 남긴 프랑스의 시인이자 극작가이다.
  • 1610년 출생 -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1610년)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페르디난트 2세의 딸로 태어나 막시밀리안 1세와 결혼하여 바이에른 선제후비가 되었으며, 남편 사후 아들의 섭정을 맡아 바이에른 정치에 참여하다가 뮌헨에서 사망했다.
  • 1610년 출생 -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는 1621년부터 1670년까지 토스카나 대공으로 재위했으며, 과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과학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뇌졸중과 수종으로 사망하여 산 로렌초 성당에 안치되었다.
폴 스카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폴 스카롱
출생일1610년 7월 10일
출생지파리
사망일1660년 10월 6일
직업극작가
언어프랑스어
국적프랑스
문학 사조고전주의
대표 작품

2. 생애

폴 스카롱은 귀족 집안 출신으로, 1643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638년 류머티즘으로 추정되는 병으로 장애를 얻은 후 평생을 고통 속에 살았으며, 그의 묘비명은 이러한 삶의 애환을 보여준다.

1640년 파리로 돌아와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 1643년 ''몇몇 우스꽝스러운 시들의 모음''을 출판했고, 이듬해 ''티폰 혹은 거인과의 전투''를 출판했다. 1645년 희극 ''조들레, 혹은 주인인 하인''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1648년 프롱드의 난 당시 쥘 마자랭을 비판하는 글을 써서 연금이 중단되기도 했으며, 1651년 ''라 마자리나드''를 저술하여 마자랭에 대한 적개심을 드러냈다.

1652년 프랑수아즈 도비녜와 결혼했으나, 류머티즘이 악화되어 1660년 10월 6일 파리에서 사망했다.

2. 1. 출생과 가문

스카롱은 파리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사망했다. 그는 로브 귀족(Nobles of the Robe)이자 파리 의회(Parlement)의 회원이였던 폴 스카롱(Paul Scarron)과 가브리엘 고게(Gabrielle Goguet)의 일곱 번째 자녀였다.[1]

2. 2. 초기 생애와 문학적 교류

스카롱은 파리의 로브 귀족(Nobles of the Robe)이자 파리 의회(Parlement) 회원이던 폴 스카롱(Paul Scarron)과 가브리엘 고게(Gabrielle Goguet)의 일곱 번째 자녀로 태어났다.[1] 그는 1610년 7월 10일 파리에서 태어났으며, 스카롱 가문은 15세기 이래 법조계, 재계, 정계에 종사해 온 명문가였다.[7] 열아홉 살에 아베(abbé)가 되었다.[1]

1632년부터 1640년까지 르망에 거주했고, 1635년에는 그의 후원자인 르망 주교 샤를 드 보몽누아르(Charles de Beaumanoir)와 함께 로마로 여행을 갔다.[1] 르망에서는 화가 니콜라 푸생과 극계의 후원자로 유명했던 브랑 백작을 만났으며, 브랑 백작은 극작가 장 메레와 장 로트루도 보호하고 있었으므로, 그들과도 교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8]

루이 13세의 정식 애첩(maîtresse-en-titre)인 마리 드 오트포르(Marie de Hautefort)의 후원을 받게 되면서 그는 문학계와 사교계에서 유명 인사가 되었다.[1] 르망에서 요양 중이던 스카롱은 루이 14세의 애첩 마리 드 오토포르를 만나 총애를 받았다.[8]

1638년, 스카롱은 류머티즘에 걸려 장애를 갖게 되었다. [1] 사육제 밤에 알몸으로 온몸에 꿀을 바르고 새의 깃털을 붙이고 얼어붙은 호수에 뛰어들어 물새를 흉내 낸 것이 원인이라고 하며, 이 병 때문에 몸이 심하게 뒤틀려 "Z씨 (''Monsieur Z'')"라는 별명까지 얻게 되었다.[8] 원인이 무엇이든, 스카롱은 고난과 고통을 겪기 시작했다.[1] 그의 상체는 영구적으로 뒤틀리고 다리는 마비되었으며, 휠체어를 사용해야 했고,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많은 양의 아편(opium)을 복용하기 시작했다. [1]

1640년경 파리로 돌아온 그는 왕비로부터 연금을 받게 되어 "왕비의 병자 (''Malade de la Reine'')"라는 별명을 얻었다.[8] 그는 서적 판매상 퀴네(Quinet)에게 고용되어 자신의 작품을 "퀴네의 후작령(marquisat de Quinet)"이라고 불렀다.[1] 또한 니콜라 푸케(Nicolas Fouquet)와 여왕으로부터 연금을 받았다.[1]

아버지의 재산을 두고 계모와 일련의 소송에 휘말렸고,[1] 재정적으로 자매들을 부양해야 했다.[1] 스카롱의 어머니는 그가 세 살 때 사망했기 때문에, 아버지는 1617년에 후처를 맞이했다. 그러나 스카롱은 이 후처와 이복형제들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 1629년에는 계모의 뜻에 따라 집을 나와 자립하게 되었다. 그는 이 생활을 즐겼던 것으로 보이며, 매일같이 사교계에 드나들며 트리스탕 르에르미트와 조르주 드 스퀴데리 등과 교류를 깊게 했다.[7]

2. 3. 질병과 장애

스카롱은 1638년 장애를 갖게 되었다. 한 자료에 따르면 류머티즘 때문이라고 하는데, 르망에 거주하던 스카롱이 사육제에서 타르와 깃털을 칠하고 시민들을 피해 늪에 숨어야만 했다는 것이다.[1] 또 다른 이야기는 카니발 기간 동안 얼음물 목욕탕에 빠진 스카롱에 대한 것이다. 물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그가 소아마비(polio)로 장애를 갖게 된 것이 더욱 그럴듯해 보인다. 다른 설로는 1638년 사육제 밤에 알몸으로 온몸에 꿀을 바르고 새의 깃털을 붙이고 얼어붙은 호수에 뛰어들어 물새를 흉내 낸 것이 원인이라고 한다.[8]

원인이 무엇이든, 스카롱은 고난과 고통을 겪기 시작했다.[1] 그의 상체는 영구적으로 뒤틀리고 다리는 마비되었으며, 휠체어를 사용해야 했고,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많은 양의 아편(opium)을 복용하기 시작했다. 후에 이 병 때문에 몸이 심하게 뒤틀려 "Z씨 (''Monsieur Z'')"라는 별명까지 얻게 되었다.[8] 불행을 더하는 것은, 그는 아버지의 재산을 두고 계모와 일련의 소송에 휘말렸고,[1] 재정적으로 자매들을 부양해야 했다.[1]

그는 자신의 묘비명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Celui qui cy maintenant dort|여기 잠든 이 자는프랑스어

Fit plus de pitié que d'envie,|선망보다는 동정을 샀으며프랑스어

Et souffrit mille fois la mort|죽음을 천 번은 맛보다가프랑스어

Avant que de perdre la vie.|목숨을 잃고 말았도다.프랑스어

Passant, ne fais ici de bruit|지나가는 이여, 여기선 조용히 하게나프랑스어

Garde bien que tu ne l'éveilles :|이 자를 깨우지 않도록 조심하기를프랑스어

Car voici la première nuit|왜냐하면 이 밤은 처음으로프랑스어

Que le pauvre Scarron sommeille.|가엾은 스카롱이 잠이루는 밤이기에.프랑스어

2. 4. 파리 귀환과 문단 데뷔

1640년 파리로 돌아온 스카롱은 1643년에 ''몇몇 우스꽝스러운 시들의 모음(Recueil de quelques vers burlesques)''[1]을 출판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이듬해에는 ''티폰 혹은 거인과의 전투(Typhon ou la gigantomachie)''를 출판했다.[1] 르망에서 구상했던 ''희극 소설(Roman comique)''의 첫 번째 부분은 1651년에 인쇄되었다.[1]

1645년, 그는 희극 ''조들레, 혹은 주인인 하인(Jodelet, ou le maître valet)''을 발표했는데, 주연 배우도 조들레(Jodelet)라고 불렸다.[1] ''조들레''는 하인이 주인의 역할을 하는 프랑스 희극 중 첫 번째 작품이었으며, 스카롱은 이 아이디어를 스페인에서 빌려왔다.[1]

스카롱은 서적 판매상 퀴네(Quinet)에게 고용되어 자신의 작품을 "퀴네의 후작령(marquisat de Quinet)"이라고 불렀다.[1] 그는 또한 니콜라 푸케와 여왕으로부터 연금을 받았다.[1] 스카롱은 처음에 ''티폰''을 쥘 마자랭에게 헌정했으나, 마자랭은 이 작품에 감명받지 않았고, 스카롱은 그것을 마자랭을 풍자하는 작품으로 바꿨다.[1] 1651년 그는 폭력적인 반 마자랭 팸플릿인 마자리나드를 쓰면서 프롱드의 난에 대한 충성을 표명했고, 그로 인해 연금을 잃었다.

젊은 시절 스카롱은 방탕한 생활을 했으나,[1] 1649년 빈곤하지만 명문가 출신의 여성 셀레스트 드 팔레지외(Céleste de Palaiseau)가 앵페르 거리(Rue d'Enfer)에 있는 그의 집을 관리하면서, 스카롱과 그의 주변 사람들의 습관을 개혁하려고 했다.[1]

1652년, 스카롱은 가난하지만 아름다운 프랑수아즈 도비녜(Françoise d'Aubigné)(후에 루이 14세의 두 번째 부인이 됨)와 결혼했다.[1]

2. 5. 프롱드의 난과 마자랭과의 대립

1648년 프롱드의 난이 발발하자 스카롱은 정치적인 문제로 쥘 마자랭과 대립하게 되었다.[10] 그는 마자랭을 비판하는 팸플릿 라 마자리나드를 1651년에 저술하여 적의를 드러냈고,[10] 이로 인해 1649년에 연금이 중단되었다. 스카롱은 처음에 ''티폰''을 마자랭에게 헌정했으나, 마자랭이 이에 감명받지 않자 마자랭을 풍자하는 작품으로 바꾸기도 했다.[1]

2. 6. 결혼과 말년

1652년, 스카롱은 가난하지만 아름다운 프랑수아즈 도비녜(몽테농 부인)와 결혼했다. 몽테농 부인은 훗날 루이 14세의 두 번째 부인이 된다.[1] 스카롱은 1660년 10월 6일 파리에서 사망했다.[1]

스카롱은 류머티즘으로 인해 평생 동안 고생했다. 사육제 밤에 알몸으로 온몸에 꿀을 바르고 새의 깃털을 붙인 채 얼어붙은 호수에 뛰어들어 물새를 흉내 낸 것이 원인이라고 한다.[8] 이 병으로 인해 몸이 심하게 뒤틀려 "Z씨 (''Monsieur Z'')"라는 별명까지 얻게 되었다.[8]

thumb

스카롱은 상체가 영구적으로 뒤틀리고 다리가 마비되는 등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냈다.[1] 휠체어를 사용해야 했으며,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많은 양의 아편을 복용했다.[1]

스카롱은 자신의 묘비명을 통해 이러한 애환을 드러냈다.

:여기 잠든 이 자는

:선망보다는 동정을 샀으며

:죽음을 천 번은 맛보다가

:목숨을 잃고 말았도다.

:지나가는 이여, 여기선 조용히 하게나

:이 자를 깨우지 않도록 조심하기를

:왜냐하면 이 밤은 처음으로

:가엾은 스카롱이 잠이루는 밤이기에.

스카롱 사후에도 미발표 작품이 계속 출판되었다. 남겨진 가족들이 경제적 곤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였다.[13]

3. 작품 세계

17세기 희극 및 뷔를레스크 사조를 대표하는 작가인 스카롱은 희극적 소설을 출간하여 당시 소설계의 주류에 역행하는 풍자적이고 직설적인 문체를 선보였다. 1651년에 1부가, 1657년에 2부가 출간되었으나, 3부는 미완성으로 남았다.

스카롱의 희곡은 대부분 스페인 희곡, 특히 티르소 데 몰리나와 프란시스코 데 로하스 소릴라의 작품을 각색한 것이다.[1] 또한, 단편 소설 『쓸데없는 주의』는 세다앵의 『예기치 못한 내기; 위선자들』[1]몰리에르타르튀프에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스카롱은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20년 후』에 등장인물로 나오기도 한다.

3. 1. 뷔를레스크 양식

17세기 희극 및 뷔를레스크 사조를 대표하는 작가로서, 1643년에 낸 《뷔를레스크 시구 모음》은 큰 인기를 얻었다. 1644년에는 《르 티퐁》(Le Typhon)을, 1648년부터 1652년까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를 풍자한 《가면을 쓴 베르길리우스》를 출판했다.[1]

스카롱은 많은 작품을 쓴 작가였다. 당대에 가장 유명했던 작품은 《아이네이스》를 풍자한 《뷔르질 트라베스티》(1648~1653)였지만[1], 후대에 이 작품의 명성은 쇠퇴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에서는 《뷔르질 트라베스티》를 "지금은 기발한 능력을 익살극에 낭비한 다소 불명예스러운 작품으로 여겨진다"[1]고 평가한다.

3. 2. 주요 작품


  • Le Recueil de quelques vers burlesques프랑스어 (뷔를레스크 시구 모음, 1643년) - 뷔를레스크 사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대유행을 일으켰다.
  • Le Typhon프랑스어 (르 티퐁, 1644년)
  • La Suite de la 1re partie des Œuvres burlesques프랑스어 (익살시집 제1부 속편, 1644년)
  • Les Boutades de Captaine Matamore프랑스어 (마타모르 대위의 기지, 1647년)
  • 가면을 쓴 베르길리우스 (1648년~1652년) -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를 풍자한 작품이다.
  • 희극적 소설 (1651년 1부, 1657년 2부 출간, 3부 미완) - 풍자적이고 직설적인 문체로 쓰였으며, 당시 주류 소설계에 역행하는 작품이다. 떠돌이 배우단의 이야기를 다루며, 테오필 고티에의 Fracasse|프라카스 대위프랑스어에 영감을 주었다.[1]
  • 쓸데없는 주의 - 단편 소설로, 세다앵의 Les Amants ignorants|예기치 못한 내기; 위선자들프랑스어에 영감을 주었고, 몰리에르타르튀프에도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1]
  • 조들레 (1645년)
  • 아르메니아의 돈 자페 (1653년)
  • 살라망카의 학생 (1654년)
  • 우스꽝스러운 후작 또는 급조된 백작 부인 (1655년)
  • 가짜 외관 (1657년)
  • 해적 왕자 (1658년)


스카롱의 희곡 대부분은 스페인 희곡, 특히 티르소 데 몰리나와 프란시스코 데 로하스 소릴라의 작품을 모방하거나 각색한 것이다.[1]

3. 3. 희곡의 특징

스카롱의 희곡은 거의 대부분 스페인 희곡을 모방한 것이다.[1] 티르소 데 몰리나와 프란시스코 데 로하스 소릴라의 스페인 작품을 각색하여 많은 작품을 썼다.[1] 스카롱 희곡의 특징은 "겉모습과 실제의 괴리"를 들 수 있다. "왕자라고 생각했더니, 단지 하인이었던" 식의 기법은 여러 번 등장한다.[14]

스카롱의 주요 희곡은 다음과 같다.

제목초연 연도특징원작 (해당하는 경우)
조들레, 또는 주인이 된 하인 (Jodelet ou le Maître valet)1643년당시 유명했던 희극 배우 조들레를 모티브로 함. 피에르 코르네유의 『르 시드』 등 당시 유행하던 희곡 대사 패러디가 특징.[15]스페인 희곡
결투자 조들레 (Jodelet duelliste)1643년세 개의 작품을 원작으로 하여 구성에 어려움이 있었음. 인기 배우 조들레의 활약으로 흥행에는 성공.[16]스페인 희곡 3개
웃기는 상속인 ('LHèritier ridicule ou la Dame intèressèe'')1649년권선징악적 테마, 하인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장면과 주된 줄거리를 밀접하게 연결.[17]
돈 자페 달메니 ('Dom Japhet dArmènie'')?뷔를레스크 희극, 17세기 희극을 대표하는 걸작. 루이 14세도 좋아했던 작품.[18]
살라망카의 학생, 또는 관대한 적 ('LEcolier de Salamanque ou les Enemis gènèreux'')1654년스카롱은 이 작품을 "스페인을 소재로 한 것 중에서 『르 시드』 이후 프랑스 연극에 나타난 최고의 작품 중 하나"라고 자평함.[19]스페인 희곡
자신의 보호자 (Le Gardien de soi-mème)1654년"시칠리아의 왕자가 상인으로 변장하고, 늙은 부호라고 생각했던 남자는 단지 하인이었던"이라는 묘사가 특징.[20]스페인 희곡
웃기는 후작, 또는 서둘러 만들어진 백작 부인 (Le Marquis ridicule ou la Comtesse à la hâte)1656년몰리에르의 『여자 학교』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있음.[21]안토니오 코엘료(Antonio Coello)의 『관여하지 않는 편이 낫다(Peor es urgallo)』
거짓된 외관 (La Fausse apparence)1658-59?사후 발표. 웃음 요소가 줄고, "겉모습과 실제의 괴리"를 중심으로 줄거리가 구성됨.[22]
해적의 왕자 (Le Prince corsaire)?사후 발표. 스페인 작품에 의존하지 않았고, 웃음 요소가 없음.[23]


3. 4. 《희극 소설(Le Roman comique)》

《희극적 소설(Le Roman comique)》은 폴 스카롱이 쓴 소설로, 풍자적이고 직설적인 문체로 쓰여졌다. 이는 감성적이고 문어체의 당시 소설계 주류에 역행하는 것이었다. 1651년에 1부가, 1657년에 2부가 출간되었으며, 3부는 미처 쓰지 못하고 작고하였다.[1]

이 소설은 현실적인 배경 속에서 순회 공연하는 배우들의 모험을 그려, 당시 배우들의 관습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주요 줄거리는 데스탱(Destin) 극단의 여러 해프닝을 보여주며, 데스탱, 라 카베른(La Caverne), 라 가루피에르(La Garouffiere) 등의 인물들이 자신의 삶을 이야기할 때 사라지는 개입적인 화자가 등장한다. 이들의 이야기는 귀족들의 과거 연애담을 다루는 만큼 주요 줄거리보다 더 높은 격조를 지닌다. 결국 독자는 소설의 많은 미스터리를 풀 수 있으며, 과거의 영웅적인 이야기와 현재의 코믹한 모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게 되는데, 이는 르스투아르(L'Estoile)가 변장한 귀족 레오노르(Leonore)이기 때문이다.[2]

소설은 부분적으로 라고탱(Ragotin)에게서 드러나는 유머를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와 메니페우스 풍자에서 차용한다.[3] 또한 주로 스페인 출처에서 가져온 네 개의 삽입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알론소 데 카스티요 솔로르자노(Alonso de Castillo Solorzano)의 더 심각한 이야기를 코믹하게 각색한 "보이지 않는 여주인"이라는 단편 소설이다.[4]

가장 초기의 영어 번역본은 1665년 존 불틸이 번역한 ''The Comical Romance''이다. "브라운-새비지(Brown-Savage)" 번역본은 1700년에 출판되었다.[6]

참조

[1] 백과사전 Scarron, Paul
[2] 논문 The Narrative Stance in Scarron's Roman Comique 1974
[3] 서적 Menippean Elements in Paul Scarron's Roman comique American University Studies, Series II. Romance Languages and Literature 1992
[4] 서적 Paul Scarron Twayne 1972
[5] 논문 Ironic Inversion in Eliza Heywood's Fiction Fantomina and ‘The History of the Invisible Mistress,’ 2010
[6] 서적 Robert Drury's journal and other studies http://archive.org/d[...]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61
[7]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8]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9]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10]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11]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12]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13]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14]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15]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16]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17]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18]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19]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20]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21]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22]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23]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24] 서적 フランス十七世紀の劇作家たち 中央大学出版部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