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시 이메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시 이메일은 이메일 서버가 새로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즉시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직접 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서버에 접속하는 폴링 방식과 대조된다. 푸시 이메일은 모바일 환경에서 특히 유용하며, 블랙베리, 아이폰,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기기와 운영체제에서 지원된다. IMAP 프로토콜은 폴링과 알림을 모두 지원하며, 푸시 이메일은 주로 독점적인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IETF의 Lemonade Profile과 같은 개방형 표준도 개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푸시 이메일 | |
---|---|
개요 | |
유형 | 이메일 전달 방법 |
특징 | 이메일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메일을 즉시 전달 |
기술적 측면 | |
연결 방식 | IMAP IDLE 확장 Exchange Server와 ActiveSync |
장점 | |
즉시성 | 새로운 이메일 메시지를 즉시 사용자에게 알림 |
효율성 | 사용자가 수동으로 메일을 확인할 필요 없음 |
단점 | |
배터리 소모 | 지속적인 연결로 인해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소모 증가 가능성 |
데이터 사용량 | 실시간 동기화로 인해 데이터 사용량 증가 가능성 |
구현 | |
서버 측 | 이메일 서버 소프트웨어 (예: Exchange Server) |
클라이언트 측 | 이메일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예: 모바일 이메일 앱) |
보안 | |
고려 사항 | 보안 연결 (SSL/TLS)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보호해야 함 |
2. 폴링 이메일과의 비교
폴링 이메일은 클라이언트가 주기적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새 메일 유무를 확인하는 방식이고, 푸시 이메일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알림을 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일반적으로 보내는 메일은 단순 메일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발신자로부터 최종 메일 전달 에이전트로 (그리고 중간 메일 서버를 거쳐) ''푸시'' 방식으로 전송된다. 수신자가 폴링 이메일 전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지막 메일 전달 에이전트에서 클라이언트로의 마지막 단계는 폴링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2. 1. 폴링 방식의 작동 원리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클라이언트)는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메일 배달 에이전트(서버)에 접속하여 새 메일이 있는지 확인한다. 새 메일이 있으면 사용자 컴퓨터의 메일함으로 다운로드한다. 대표적인 폴링 이메일 전달 프로토콜로는 POP3가 있다.서버 메일 전달 에이전트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반면, 클라이언트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는 그렇지 않으므로 폴링이 메일 전달의 마지막 단계에 자주 사용된다. 클라이언트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는 가끔 연결되고 네트워크 주소도 자주 변경되기 때문에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찾는 방법을 반드시 알 수는 없다. 예를 들어 Wi-Fi에 연결된 랩탑 사용자에게는 네트워크 DHCP 서버로부터 다른 주소가 주기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영구 네트워크 이름이 없을 수 있다. 새 메일이 메일 서버에 도착하면 클라이언트에 현재 할당된 주소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인터넷 메시지 접속 프로토콜(IMAP)은 폴링 및 알림을 지원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알림을 받으면 서버에서 새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선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새 메시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순수 푸시 시스템보다 새 메시지 검색이 더 유연하다.
2. 2. 푸시 방식이 필요한 이유
서버 메일 전달 에이전트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클라이언트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를 찾는 방법을 반드시 알 수는 없기 때문에 폴링이 메일 전달의 마지막 단계에 자주 사용된다. 클라이언트는 가끔 연결하며 네트워크 주소도 자주 변경된다. 예를 들어 Wi-Fi에 연결된 랩탑 사용자에게는 네트워크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서버로부터 다른 주소가 주기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영구적인 네트워크 이름이 없을 수 있다. 새 메일이 메일 서버에 도착하면 클라이언트에 현재 할당된 주소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2. 3. IMAP의 폴링 및 알림 지원
IMAP은 폴링 및 알림을 지원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알림을 받으면,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새 데이터를 가져올지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새 메시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메시지 검색을 순수한 푸시 시스템보다 더 유연하게 만든다.3. 모바일 환경에서의 활용
푸시 이메일은 유선 시스템에서 먼저 발전했지만, 항상 전원이 켜진 상태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휴대 기기에서 유용하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어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IMAP(인터넷 메시지 접속 프로토콜)은 폴링 및 알림을 모두 지원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알림을 받으면 새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으며, 새 메시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유연하다.
3. 1. 일본의 초기 도입 사례
일본에서는 1999년부터 i모드 메일과 같은 휴대 전화의 전자 메일에 푸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아시아 이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실현한 것은 리서치 인 모션의 블랙베리이다.3. 2. 블랙베리의 등장과 푸시 이메일의 대중화
1998년 리서치 인 모션(RIM)이 블랙베리를 출시하면서, 무선 이메일 클라이언트와 기존 이메일 시스템을 연결하는 블랙베리 엔터프라이즈 서버(BES)를 사용했다.[4] BES는 이메일 서버를 감시하고, 블랙베리 사용자에게 새로운 메일이 도착하면 그 복사본을 가져와(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블랙베리 휴대 기기로 푸시한다.[4]블랙베리 엔터프라이즈 서버는 기업용 솔루션이기에 서버를 별도로 준비해야 했다. 반면 개인용 푸시형 전자 메일 및 메신저 서비스인 블랙베리 인터넷 서비스(BIS)는 별도 서버 없이도 POP, IMAP, Gmail이나 Hotmail 등 웹 메일에서 푸시형 전자 메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4] 이는 리서치 인 모션이 BES의 ASP와 같은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블랙베리는 이메일을 즉시 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큰 인기를 얻었다.[4] 사용자는 별다른 조작 없이도 도착하는 이메일을 바로 확인할 수 있었고, 휴대 기기는 사용자의 메일함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모바일 사본 역할을 했다.[4] 블랙베리의 성공 이후, 심비안 기반 휴대폰 등 다른 제조업체들도 각자의 휴대 기기용 푸시형 전자 메일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했다.[4]
3. 3. 다양한 모바일 운영체제에서의 지원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터치는 핫메일, Gmail, Exchange ActiveSync, 아이클라우드 등의 푸시 이메일을 지원한다.[1][2]안드로이드의 내장 Gmail 앱은 구글 클라우드 메시징을 통해 푸시 이메일을 제공하며,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계정도 기본 메일 앱을 통해 지원한다. 캘린더 이벤트는 양방향 동기화된다.[4][5]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Mobile은 DirectPush 기술을 통해 푸시 이메일을 지원한다.[6]
일부 노키아 심비안 S60 모델은 IMAP IDLE을 지원하며, Mail for Exchange 소프트웨어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와 연동하여 푸시 이메일, 연락처, 캘린더, 작업을 동기화할 수 있다.[7][8]
3. 4. 기타 모바일 솔루션
소니 에릭슨의 일부 모델은 IMAP IDLE 또는 내장 ActiveSync 클라이언트를 통해 푸시 이메일을 지원한다.[12] 팜 OS에서는 ChatterEmail 등의 서드 파티 소프트웨어를 통해 IMAP IDLE을 사용할 수 있었다.[12] webOS를 사용하는 팜 프리는 Gmail, IMAP, Exchange 계정에 대한 푸시 이메일을 지원했다.4. 한국 이동통신사의 푸시 알림 서비스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한국 이동통신사의 푸시 알림 서비스에 대한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1. NTT 도코모의 mopera U
NTT 도코모는 mopera U를 이용할 때, 일부 스마트폰에 푸시 이메일을 제공한다. 대상 기종은 M1000, F1100, HT1100 등의 윈도우 폰이다. SMS를 수신하면 단말기가 메일 서버를 확인하는 방식이다.[1] 배송 시 통신 불가 지역이거나 전원이 꺼져 있어도, 통신 가능 지역으로 복귀하면 메일이 수신된다.[1] mopera U 스탠다드 플랜과 정액 데이터 요금제에서 이용할 수 있다.[1]4. 2. NTT 도코모의 sp모드
NTT 도코모에서는 mopera U를 사용한 푸시형 전자 메일이 제공되어 왔으나, mopera 메일에서는 이동통신사 이메일인 @docomo.ne.jp 도메인의 메일 송수신이 불가능했다. 그 때문에 2010년 9월 1일부터 @docomo.ne.jp를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sp모드가 제공되었다. NTT 도코모의 Windows Mobile 및 안드로이드 OS 스마트폰에서 지원한다.4. 3. 기업용 푸시 알림
NTT 도코모는 기업용으로도 스마트폰 및 휴대폰용 푸시형 전자 메일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면, 기업 도메인의 메일도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으로 푸시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메일 서버에 푸시 에이전트 서버를 연결하고, 이것이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에 메일을 푸시 방식으로 알린다. NTT 도코모는 푸시 에이전트 서버로 MM-QUBE라는 메일 서버 및 웹 서버 기능도 갖춘 올인원 서버를 준비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비즈니스 mopera 액세스 Pro나 ExCast라고 불리는, 기업과 NTT 도코모를 FLET'S 접속 등으로 연결하는 CUG 구성을 취할 필요가 있다.5. 전통적인 이메일을 이용한 푸시 이메일 에뮬레이션
전통적인 모바일 메일 클라이언트는 새 메일을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하는 것과 관계없이, 빈번한 간격으로 폴링하여 푸시 이메일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IMAP은 언제든지 많은 알림을 보낼 수 있지만, 메시지 데이터는 보낼 수 없다. IDLE 명령은 실행 중인 명령 외부에서 전송된 알림을 클라이언트가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알리기 위해 자주 사용되며, 이는 푸시와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6. 프로토콜
블랙베리는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사용한다.[13] 푸시-IMAP 및 SyncML 표준은 개방형 솔루션을 개발하려는 시도이다. IETF 레모네이드 프로파일은 IMAP 및 SMTP를 모바일 환경에 적합하도록 확장한 것이다.
7. 제품
모질라 썬더버드[17], 시몽키[18], 블랙베리, mopera U,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 소니 에릭슨, 윈도우 모바일, Funambol, Z-push 등이 푸시 이메일을 지원한다.
- 모질라 썬더버드[17]: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이메일 클라이언트
- 시몽키[18]: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브라우저/이메일 클라이언트
- 블랙베리
- mopera U: 푸시 메일 지원 ISP
- 지원 기종: M1000, HT1100, F1100, HTC-Z, HT-01A, HT-02A, T-01A, T-01B, SC-01B, SC-02B, SC-01C, Xperia, SH-10B, SH-03C (T-01A 이후는 sp 모드도 대상)
- 아이폰
- 마이크로소프트 익스체인지 서버: 2003 SP2 이후
- 소니 에릭슨
- 윈도우 모바일: 6 이후 또는 5.0 및 MSFP 업데이트(AKU2) 이후
- 다트머스 대학교 BlitzMail
- [https://www.forge.funambol.org/ Funambol]: 오픈 소스 푸시 이메일 솔루션
- [http://z-push.sourceforge.net/soswp/ Z-push]: 액티브싱크의 오픈 소스 구현
참조
[1]
웹사이트
Corporate E-mail Coming to iPhone - Look Out BlackBerry! - Switched
http://www.switched.[...]
[2]
웹사이트
Apple Introduces MobileMe Internet Service
https://www.apple.co[...]
2011-06-29
[3]
뉴스
Apple halts "push" email services in Germany
https://www.reuters.[...]
[4]
웹사이트
Use IMAP with mobile devices
https://web.archive.[...]
Google Inc.
2015-09-11
[5]
웹사이트
Hotmail now supports push email, calendar, and contacts with Exchange ActiveSync
http://windowsteambl[...]
2010-08-30
[6]
웹사이트
Mobile-review.com
http://www.mobile-re[...]
[7]
웹사이트
Nokia Support Discussions - Open letter to Nokia Messaging dev team: Imap idle... - Nokia Support Discussions
https://web.archive.[...]
2011-07-12
[8]
웹사이트
Nokia - Mail for Exchange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Nokia - Nokia Email service
https://archive.toda[...]
[10]
웹사이트
Nokia - Nokia Email Service
https://web.archive.[...]
2008-10-31
[11]
웹사이트
Nokia Support Discussions - Re: Unable to connect with the information provide... - Page 2 - Nokia Support Discussions
http://discussions.n[...]
2013-02-17
[12]
웹사이트
Palm.com
http://www.palm.com/[...]
[13]
웹사이트
Yopmail - Disposable Email Account - Temporary Email
https://www.yopmail.[...]
2017-05-28
[14]
웹사이트
SEVEN
http://www.seven.com
[15]
웹사이트
Gmail (and POP/IMAP!) gets Push support in Ultimate Inbox
http://www.heliocity[...]
[16]
웹사이트
Apple Introduces MobileMe Internet Service
http://www.apple.com[...]
[17]
웹사이트
What's going on with Thunderbird?
http://www.mozilla.o[...]
[18]
웹사이트
SeaMonkey Suite
http://www.seamonk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