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앵트 슈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앵트 슈즈는 발레에서 여성 무용수들이 발끝으로 서서 춤을 출 수 있도록 특별히 제작된 신발이다. 17세기 굽이 있는 발레 슈즈에서 시작하여, 18세기 마리 카마르고가 굽을 없앤 신발을 착용하면서 변화를 겪었다. 19세기 샤를 디들로의 '플라잉 머신' 발명과 마리 탈리오니의 '라 실피드' 공연을 통해 푸앵트 기법이 발전했다. 현대적인 토슈즈는 안나 파블로바의 개조된 신발에서 유래되었으며, 토 박스와 생크를 포함한 구조로 발을 지지한다. 토슈즈는 여성 댄서에게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남성 무용수들도 코믹한 효과나 젠더 경계를 넘어 사용하기도 한다. 푸앵트 슈즈는 다양한 제조사에서 다양한 모델로 생산되며, 사용 전 길들이기 과정을 거치고, 토 패드, 테이프 등의 보호 장치를 사용한다. 푸앵트 기법은 발레 훈련을 통해 습득해야 하며, 뼈가 충분히 굳어진 후 착용해야 한다. 푸앵트 슈즈는 발과 발목에 부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물집, 굳은살, 내성 발톱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푸앵트 슈즈는 생크 마모, 토 박스 연화, 외부 직물 손상 등의 마모를 겪으며, 사용 시간, 댄스 기술, 체중 등에 따라 수명이 달라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레 - 파 드 되
파 드 되는 두 무용수가 함께 추는 발레 춤으로, 특히 마리우스 프티파의 '그랑 파 드 되'는 앙트레, 아다주, 바리에이션, 코다로 구성되어 발레의 화려함과 우아함을 보여주며 여러 발레 작품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발레 - 코르 드 발레
코르 드 발레는 발레 공연에서 앙상블을 이루어 분위기를 설정하고 무용수들 간의 연결과 동지애를 형성하는 집단으로, 어린 무용수들의 성장 발판이 되기도 하지만 21세기에는 다재다능함과 뛰어난 기교가 요구되며 과중한 업무와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기도 한다. - 신발 - 슬리퍼
슬리퍼는 실내에서 편안하게 신는 신발로,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로 제작되며 여러 문화에서 사용되었고, 대중문화 속 상징적인 아이템으로도 등장한다. - 신발 - 웰링턴 부츠
웰링턴 부츠는 궂은 날씨나 습한 환경에서 발을 보호하기 위해 신는 종아리 길이의 고무 또는 폴리염화 비닐 장화로, 18세기 헤시안 부츠에서 유래하여 웰링턴 공작의 이름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무 생산 기술 발달과 세계 대전을 거치며 널리 알려졌다.
푸앵트 슈즈 | |
---|---|
개요 | |
![]() | |
종류 | 발레 신발 |
용도 | 발레에서 푸앵트 기법을 사용하는 데 사용됨 |
구조 및 재료 | |
갑피 | 새틴, 캔버스 |
밑창 | 가죽 |
내부 | 종이, 판지, 직물 층, 접착제 |
기능 및 역할 | |
목적 | 발레 무용수가 발가락 끝으로 설 수 있도록 지원 다리 라인을 길어 보이게 함 우아함과 가벼움을 표현하는 데 기여 |
역사 | |
기원 | 19세기 초, 발레가 낭만주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발전 |
초기 형태 | 천이나 가죽으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슬리퍼 형태 발가락을 지지하는 기능은 미미 |
현대적 형태의 발전 | 19세기 후반, 이탈리아의 무용수들이 발가락 끝으로 서는 기법을 발전시키면서 토슈즈의 형태도 변화 발가락 부분을 단단하게 만들어 지지력을 높임 |
주요 인물 | 마리 탈리오니: 푸앵트 기법을 처음 사용한 무용수로 알려짐 |
제작 | |
제작 과정 | 수작업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음 여러 겹의 천과 판지를 사용하여 발가락 부분을 만듦 밑창은 가죽으로 제작 겉은 새틴 천으로 감싸 마무리 |
중요 요소 | 착용자의 발 모양에 맞게 제작하는 것이 중요 |
착용 및 관리 | |
착용 전 준비 | 발가락 보호를 위해 토 패드를 착용 리본과 탄성 밴드를 발에 맞게 꿰매어 고정 |
관리 | 사용 후에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건조 습기를 제거하여 형태 유지 |
수명 | 숙련된 무용수도 한 켤레로 10~12시간 정도 사용 |
참고 | |
Bill Nye | 발레 슈즈를 발명함 |
2. 역사
여성들은 1681년, 루이 14세 국왕이 아카데미 로얄 드 당스 설립을 명령한 지 20년 후에 발레를 시작했다.[7] 당시 여성 발레 슈즈는 굽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730년대에 파리 오페라 발레의 무용가 마리 카마르고는 굽이 없는 신발을 처음으로 신었는데, 이는 당시의 더 전통적인 신발로는 어렵거나 불가능했을 점프를 할 수 있게 해 주었다.[8] 프랑스 혁명 이후 굽은 일반적인 발레 슈즈에서 완전히 제거되었다. 이 평평한 바닥의 현대적인 푸앵트 슈즈의 전신은 리본으로 발에 고정되었고, 무용수들이 점프하고, 회전하고, 발을 완전히 뻗을 수 있도록 발가락 아래에 주름을 넣었다.
최초로 발가락으로 일어선 무용수들은 1796년 샤를 디들로가 발명한 기기의 도움을 받았다.[9] 그의 "플라잉 머신"은 무용수들을 위로 들어 올려 지면에서 떨어지기 전에 발가락으로 설 수 있게 했다.[8] 이러한 가볍고 덧없는 품질은 관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고, 그 결과 안무가들은 작품에 더 많은 푸앵트 작업을 통합할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19세기에 춤이 발전하면서 기술적인 기량에 대한 강조가 커졌고, 와이어의 도움 없이 푸앵트에서 춤을 추고 싶은 욕구도 커졌다. 마리 탈리오니가 처음으로 '라 실피드'를 푸앵트로 춤을 췄을 때, 그녀의 신발은 개조된 새틴 슬리퍼에 불과했다. 밑창은 가죽으로 만들어졌고 옆면과 발가락은 신발이 형태를 유지하도록 꿰매졌다.[10] 이 시대의 신발은 지지력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무용수들은 편안함을 위해 발가락을 패딩 처리하고 발과 발목의 힘에 의존하여 지지했다.
다음으로 실질적으로 다른 형태의 푸앵트 슈즈는 19세기 말 이탈리아에서 등장했다. 피에리나 레냐니와 같은 무용수들은 이전 모델의 더 날카로운 발가락 대신 신발 앞쪽에 튼튼하고 평평한 플랫폼이 있는 신발을 신었다. 이 신발에는 또한 발가락을 담을 수 있는 상자(여러 겹의 천으로 만들어짐)와 더 뻣뻣하고 튼튼한 밑창이 포함되었다. 못 없이 제작되었고 밑창은 발가락 부분만 뻣뻣하게 만들어 거의 소리가 나지 않았다. 1880년대에는 구두 제작자 살바토레 카페치오도 푸앵트 슈즈 수리 작업을 한 후 푸앵트 슈즈 제작을 개선했다.[11][12]
현대 푸앵트 슈즈의 탄생은 종종 20세기 초 러시아 발레리나 안나 파블로바에게 기인하는데, 그녀는 당시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무용가 중 한 명이었다. 파블로바는 특히 높고 아치형의 발등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푸앵트로 춤을 출 때 부상에 취약하게 만들었다. 그녀는 또한 가늘고 좁은 발을 가지고 있어 엄지발가락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졌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녀는 추가적인 지지를 위해 튼튼한 가죽 밑창을 신발에 넣고 발가락 부위를 평평하게 하고 굳혀 상자를 만들었다.[10]
남성들은 역사적으로 코믹한 효과를 내기 위해 푸앵트 슈즈를 신는 것을 제외하고는 푸앵트 슈즈를 신고 공연하지 않았다.[13] 이러한 예로는 레 발레 트로카데로 드 몬테 카를로와 '한여름 밤의 꿈'의 보텀, '신데렐라'의 사악한 의붓자매와 같은 등장인물들이 있다.[8]
2. 1. 18세기 이전

오늘날 세계적으로 알려진 발레의 기초는 17세기의 프랑스에서 세워졌다. 처음에는 발레를 추는 것은 주로 남성이었지만, 17세기 후반부터 여성도 프로 댄서로서 무대에 서게 되었다. 1681년, 루이 14세 국왕이 아카데미 로얄 드 당스 설립을 명령한 지 20년 후에 여성들이 발레를 시작했다.[7] 당시의 발레 댄서는 힐이 달린 신발을 신었지만, 18세기 전반에 활약한 파리 오페라 발레의 무용가 마리 카마르고는 자신이 특기로 하는 섬세한 발놀림의 기교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당시 바닥까지 닿았던 치마의 길이를 발목까지 짧게 하고, 신발의 힐을 극도로 낮췄다고 한다. 마리 카마르고는 굽이 없는 신발을 처음으로 신었는데, 이는 당시의 더 전통적인 신발로는 어렵거나 불가능했을 점프를 할 수 있게 해 주었다.[8] 그 후, 무용 기술의 고도화와 함께 의상의 간소화가 진행된 결과, 프랑스 혁명 이후 굽은 일반적인 발레 슈즈에서 완전히 제거되었다. 이 평평한 바닥의 현대적인 푸앵트 슈즈의 전신은 리본으로 발에 고정되었고, 무용수들이 점프하고, 회전하고, 발을 완전히 뻗을 수 있도록 발가락 아래에 주름을 넣었다.
2. 2. 19세기: 토슈즈의 탄생
19세기 초, 샤를 디들로는 '플라잉 머신'을 발명하여 무용수들이 발끝으로 서는 푸앵트(Pointe) 기법을 선보일 수 있게 했다.[9] 그의 작품 '플로르와 제피르' (1796년 초연)에서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무용수가 공중을 나는 듯한 연출을 선보였다.[8] 1821년 석판화에는 파니 비아스가 푸앵트로 서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0]안무가 필리포 탈리오니와 그의 딸 마리 탈리오니는 푸앵트 기법을 단순한 곡예에서 예술적 표현으로 승화시켰다. 특히 마리 탈리오니는 '라 실피드'(1832년 초연)에서 푸앵트 기법으로 공기의 정령 실피드를 표현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당시 토슈즈는 부드러운 형태였고, 밑창은 가죽으로 만들어졌으며, 옆면과 발가락은 신발 형태 유지를 위해 꿰매졌다.[10] 무용수들은 신발 끝을 꿰매거나 솜을 채워 넣어 보강했지만, 장시간 푸앵트로 정지하거나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2. 3. 19세기 말 ~ 현대
19세기에 춤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술적인 기량에 대한 강조가 커졌고, 와이어의 도움 없이 푸앵트에서 춤을 추고 싶은 욕구도 커졌다.[10] 19세기 말 이탈리아에서 현대 푸앵트 슈즈와 유사한 형태가 등장했다. 피에리나 레냐니와 같은 무용수들은 이전 모델의 더 날카로운 발가락 대신 신발 앞쪽에 튼튼하고 평평한 플랫폼이 있는 신발을 신었다.[11][12] 이 신발에는 또한 발가락을 담을 수 있는 상자(여러 겹의 천으로 만들어짐)와 더 뻣뻣하고 튼튼한 밑창이 포함되었다.[11][12] 레냐니가 사용한 토슈즈는 러시아 제실 발레단이 이탈리아에서 수입한 것으로, 흰색 암염소 피혁으로 만들어졌으며, 발톱 부분에는 코르크나 나무 부스러기를 굳힌 것이 사용되었다. 이 토슈즈는 1930년대까지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다. 1880년대에는 구두 제작자 살바토레 카페치오도 푸앵트 슈즈 수리 작업을 한 후 푸앵트 슈즈 제작을 개선했다.[11][12]
현대 푸앵트 슈즈의 탄생은 20세기 초 러시아 발레리나 안나 파블로바에게 기인하는데, 그녀는 당시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무용가 중 한 명이었다. 파블로바는 특히 높고 아치형의 발등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푸앵트로 춤을 출 때 부상에 취약하게 만들었다. 그녀는 또한 가늘고 좁은 발을 가지고 있어 엄지발가락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졌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녀는 추가적인 지지를 위해 튼튼한 가죽 밑창을 신발에 넣고 발가락 부위를 평평하게 하고 굳혀 상자를 만들었다.[10] 안나 파블로바를 포함한 20세기 초 전후의 무용수들은 튼튼한 토슈즈를 사용했지만, 기록 사진에서는 발톱이 실제보다 가늘게 보이도록 이미지 편집을 한 예가 많이 보인다.
발레 기술의 발전과 함께 토슈즈는 안정감과 강도가 높은 형태로 변화해 갔다. 플랫폼이 넓어지고, 발가락을 감싸는 토 박스(box)도 단단해졌다. 1950년경에는 토슈즈의 강도가 현재와 거의 변하지 않는 정도가 되었다. 또한, 20세기 이후 발레 무용수가 연기하는 역할이 다양해짐에 따라, 포앙트 기법에 의한 표현의 폭도 넓어졌다. 현대에는 포앙트 기법이 작품마다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로미오와 줄리엣』과 같은 작품에서는 여주인공의 생생한 감정을 표현하고, 윌리엄 포사이드의 작품에서는 바닥에 날카롭게 발끝을 찌르는 동작이 속도감과 불안정감을 나타내는 등, 현대에는 포앙트 기법이 작품마다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남성들은 역사적으로 코믹한 효과를 내기 위해 푸앵트 슈즈를 신는 것을 제외하고는 푸앵트 슈즈를 신고 공연하지 않았다.[13] 이러한 예로는 레 발레 트로카데로 드 몬테 카를로와 '한여름 밤의 꿈'의 보텀, '신데렐라'의 사악한 의붓자매와 같은 등장인물들이 있다.[8]
3. 토슈즈와 젠더
19세기 유럽에서 토슈즈가 생겨났을 때, 발끝으로 서는 것은 남성의 젠더에 어울리지 않는, 즉 남자답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푸앵트 기법은 여성만의 기술로 퍼져나갔다. 20세기에 만들어진 발레 중에는 남성이 토슈즈를 신고 연기하는 배역도 있지만, 그것들은 주로 희극적인 효과를 노린 것이다. 예를 들어, 프레데릭 애쉬튼 안무의 『한여름 밤의 꿈』의 보텀 역, 루돌프 누레예프 안무의 『신데렐라』의 계모 역, 알렉세이 라트만스키 안무의 『밝은 시냇물』의 발레 댄서 역 등은 남성이 푸앵트로 춤추는 드문 배역이다. 1974년에 설립된 트로카데로 드 몬테카를로 발레단에서는 남성 무용수가 튀튀와 토슈즈를 착용하고 여장하여, 전통적인 발레 작품의 패러디를 코믹하게 연기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코미디나 여장이라는 틀을 넘어 남성이 토슈즈를 사용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2020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설립된 발레단인 발레 22에서는 젠더에 얽매이지 않고 토슈즈를 신고 춤을 춘다. 2019년에는 러시아의 신발 메이커가 남성 전용으로 설계된 최초의 토슈즈를 출시했다.
4. 토슈즈의 구조 및 제조 방법
모든 무용수는 발가락 길이와 모양, 아치 유연성, 그리고 기계적 강도를 포함한 다양한 특징을 가진 고유한 발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포인트 슈즈 제조업체는 각각 다른 핏을 제공하는 여러 모델과 맞춤형 슈즈를 생산한다. 그러나 제조업체나 모델에 관계없이 모든 포인트 슈즈는 무용수가 발가락 끝으로 춤을 출 수 있도록 하는 두 가지 중요한 구조적 특징을 공유한다.
- 무용수의 발가락을 감싸고 지지하는 슈즈 앞부분 내의 ''토 박스''.
- '' 생크''(shank)는 굳은 재료로 만들어져 발바닥을 뻣뻣하게 하여 en pointe 발의 아치를 지지한다.[10]
포인트 슈즈의 외부는 천으로 덮여 있어 토 박스 및 기타 내부 구조 요소를 가리고 슈즈에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포인트 슈즈는 새틴으로 덮여 있지만, 일부는 캔버스 외부로 사용할 수 있다. 포인트 슈즈는 대개 연한 분홍색으로 출시되며, 검은색과 흰색은 덜 흔하다. 최근 몇 년 동안 포인트 슈즈의 색상도 다양해졌다. 예를 들어, 블로흐(Bloch)와 같은 많은 포인트 슈즈 제조업체는 연한 핑크부터 더 깊은 갈색까지 다양한 피부 톤의 포인테 슈즈를 제공하여 어두운 피부색에 맞출 수 있다.
''뱀프''(vamp)는 플랫폼에서 드로우 스트링까지 측정되는 슈즈의 윗부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발가락이 길수록 뱀프가 더 길다. ''쓰로트''(throat)는 발 아치 위의 뱀프의 가장자리이며, 일반적으로 V자형 또는 둥근 모양이며, 각각 더 높거나 낮은 아치를 가진 발에 적합하다. ''드로우 스트링''(drawstring)은 쓰로트의 바인딩 안에 위치하며, 탄성 또는 레이스로 만들 수 있다.





4. 1. 각 부분의 명칭과 구조
푸앵트 슈즈는 발가락 길이와 모양, 아치 유연성, 기계적 강도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무용수들의 발에 맞춰, 대부분의 제조업체는 여러 모델과 맞춤형 슈즈를 생산한다.[10] 모든 푸앵트 슈즈는 무용수가 발가락 끝으로 춤을 출 수 있도록 두 가지 중요한 구조적 특징을 공유한다.[10]- 토 박스(toe box): 무용수의 발가락을 감싸고 지지하는 신발 앞부분 내부의 단단한 덮개이다. 발가락을 넣는 부분으로, 여러 겹의 천, 종이, 접착제 등으로 굳혀서 매우 튼튼하게 만든다. 토 박스 앞면은 무용수가 균형을 잡을 수 있는 플랫폼을 형성하도록 평평하며, 미관을 위해 박스 외부에 천이 덮여 있다.
- 생크(shank): 굳은 재료로 만들어져 발바닥을 뻣뻣하게 하여 앙 푸앵트(en pointe) 시 발의 아치를 지지한다.[10] 신발 밑창 아래에 들어가는 딱딱하고 가느다란 판으로, 가죽, 두꺼운 종이, 플라스틱, 또는 접착제로 굳힌 여러 겹의 삼베 등으로 만들어진다. 생크의 유연성은 두께와 사용된 재료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 플랫폼(platform): 토 박스 끝의 평평한 면으로, 푸앵트로 섰을 때 바닥과 닿는 부분이다.
- 솔(sole): 신발의 바깥 밑창으로, 주로 가죽으로 만든다. 밑창은 접착제로 신발에 부착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바느질로 보강된다.
- 뱀프(vamp): 플랫폼에서 드로스트링까지 측정되는 슈즈의 윗부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발가락이 길수록 뱀프가 더 길다.
- 스로트(throat): 발 아치 위 뱀프의 가장자리이며, 일반적으로 V자형 또는 둥근 모양이며, 각각 더 높거나 낮은 아치를 가진 발에 적합하다.
- 드로스트링(drawstring): 스로트의 바인딩 안에 위치하며, 탄성 또는 레이스로 만들 수 있다.
푸앵트 슈즈의 외부는 천으로 덮여 있어 토 박스 및 기타 내부 구조 요소를 가리고 슈즈에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푸앵트 슈즈는 새틴으로 덮여 있지만, 일부는 캔버스 외부로 사용할 수 있다. 푸앵트 슈즈는 대개 연한 분홍색으로 출시되며, 검은색과 흰색은 덜 흔하다. 최근 몇 년 동안 포인트 슈즈의 색상도 다양해졌다. 예를 들어, 블로흐(Bloch)와 같은 많은 포인트 슈즈 제조업체는 연한 핑크부터 더 깊은 갈색까지 다양한 피부 톤의 포인테 슈즈를 제공하여 어두운 피부색에 맞출 수 있다.
토슈즈 제조사마다 생크의 강도가 다르다. 예를 들어, 러시아의 토슈즈 회사인 그리쉬코는 슈퍼 소프트, 소프트, 미디엄, 하드, 슈퍼 하드와 같은 다양한 생크 강도를 제공한다. 생크의 강도는 주로 무용수의 발 아치와 발의 강도에 따라 달라진다.[15]
푸앵트 슈즈는 발에 고정하기 위해 두 개의 천 리본과 탄성 밴드를 사용한다. 신발을 발에 고정하는 작업의 대부분은 리본에 의해 수행된다. 두 개의 리본은 무용수의 발목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싸고, 앞쪽에서 교차하도록 겹쳐진다.
토슈즈는 천·가죽·종이 등 다양한 소재를 조합하여 만들어진다. 토슈즈에는 좌우 구별이 없으며, 댄서에 따라 좌우를 정해서 신는 사람도 있고, 좌우를 바꿔가면서 신는 사람도 있다.
4. 2. 제조 방법
전통적인 푸앵트 슈즈는 '턴슈' 방식으로 제작되는데, 이는 신발을 안쪽이 바깥쪽으로 향하게 조립한 후 뒤집는 방식이다.[17] 이 과정은 라스트라고 불리는 신발 틀을 사용하여 진행되며, 표준 토슈즈의 경우 왼쪽과 오른쪽 신발이 동일하게 제작된다. 일부 발레리나는 자신의 발 모양을 복제한 맞춤 라스트를 사용하기도 한다.제조 과정은 먼저 겉감인 새틴과 안감인 캔버스를 재단하고 꿰매어 갑피(발 전체를 덮는 천)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후, 신발 틀에 솔을 놓고 압정으로 고정한 뒤 갑피를 씌운다. 이때 안감이 바깥쪽을 향하게 한다. 발가락 부분에는 접착제로 마포나 종이를 여러 겹 붙여 토 박스를 만든다. 접착제가 마르면 솔과 갑피를 꿰매고 신발을 뒤집어 새틴 겉감이 바깥쪽으로 나오게 한다. 그 후, 생크와 중창을 신발 안쪽에 넣는다. 마지막으로 형태를 다듬고 건조, 품질 검사를 거쳐 완성된다.
전통적인 제조 과정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지만, 재단이나 봉제 등 일부 공정은 자동화되기도 한다. 대량 생산을 위해 제조 방식을 변경하거나,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토슈즈 제조사는 러시아의 그리쉬코/Grishko영어, 영국의 프리드 오브 런던/Freed of London영어, 프랑스의 레페토/Repetto영어, 미국의 카페지오/Capezio영어, 오스트레일리아의 블로흐/Bloch (company)영어 등 세계 각국에 분포한다. 일본의 토슈즈 제조사로는 차코트, 아비뇽, 실비아, 종예, 봉쥬 발레리나가 있다.[27]
https://www.youtube.com/watch?v=-zExmSmO35Q 토 슈즈 제조 과정 (동영상) (프리드 오브 런던/Freed of London영어 공식 유튜브)
5. 토슈즈 사용 방법
5. 1. 사용 전 준비
무용수들은 발에 맞게 푸앵트 슈즈를 길들이는 과정을 거친다. 먼저, 리본과 고무 끈을 꿰매어 발에 신발을 고정한다.
과거에는 옅은 분홍색 토슈즈가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흑인 무용수들은 파운데이션 등을 칠해 직접 염색해야 했다.[28][29] 하지만 2017년 이후 en과 프리드 오브 런던 등 주요 신발 메이커에서 다양한 피부색에 맞는 브라운 계열 토슈즈를 출시하면서 이러한 불편함이 해소되고 있다.[29][30]
5. 2. 착용 시 주의사항
무용수는 발레 슈즈를 신은 후에도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장치들이 사용된다:[18]- 토 패드(toe pads): 굳은 토 박스(box)로부터 발가락을 감싸고 보호하며 물집을 유발할 수 있는 마찰을 방지하는 주머니이다. 일반적으로 얇은 천으로 덮인 젤 시트로 만들어진다.

-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젤 토 스페이서(toe spacers) 는 발가락 사이에 삽입되어 발가락 간의 간격과 정렬을 조정하여 엄지발가락과 첫 번째 발가락 사이의 건막류 관절의 통증을 완화한다.
- 양모(Lambswool): 발가락 주위에 늘여 감아 쓸림과 물집의 가능성을 줄인다. 여러 번 사용한 후 양모는 촘촘하게 압축되어 무용수의 발에 맞게 맞춤화된다.
- 테이프는 발가락 주위에 감아 쓸림과 물집을 줄인다.
- 물집 패드는 마찰로부터 손상을 방지하는 작은 젤 사각형이다.
토슈즈를 착용할 때, 무용가에 따라 토 패드라고 불리는 전용 쿠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토 패드는 천이나 젤, 고무, 실리콘 고무 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발가락에 착용함으로써 바닥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시판되는 토 패드 대신에, 종이 타월이나 낡은 타이츠, 스타킹 등을 신발에 채워 사용하는 무용가도 있다. 또한, 러시아 제국에서는 신발에 얇게 썬 쇠고기를 채워 넣었던 무용가도 있었다고 한다.
6. 푸앵트 기법
6. 1. 기본적인 푸앵트 자세
푸앵트에 서는 방법에는 피케, 르르베, 소테 3가지가 있다.피케는 한쪽 다리를 뻗어 직접 푸앵트에 서는 방법이다.르르베는 바닥에 발바닥을 댄 상태에서 발가락으로 바닥을 눌러 뒤꿈치를 들고, 드미-푸앵트(발가락의 융기를 바닥에 댄 상태)를 거쳐 푸앵트로 이동하는 방법이다.소테는 점프를 하여 푸앵트에 서는 방법이지만, 피케나 르르베에 비해 일반적이지 않다.푸앵트에서 안정적으로 서려면 발등을 완전히 펴고, 플랫폼(슈즈의 앞쪽 평평한 면)을 모두 바닥에 대고, 발끝과 바닥이 직각이 되도록 해야 한다.또한, 이때 발끝의 좁은 면적에 전체 체중이 실리므로, 발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몸 전체를 똑바로 위로 끌어올려야 한다.
6. 2. 토슈즈 착용 조건
토슈즈를 신고 춤을 추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발레 훈련을 통해 신체 균형을 유지하는 기술을 익혀야 한다. 여기에는 발과 발목 주변 관절 조절, 고관절 턴 아웃 자세 유지, 몸통 안정성 등이 포함된다. 듀미-포앙트 자세에서 한 발로 서기, 벽 없이 그랑 플리에하기 등이 토슈즈 착용 전제 조건이 될 수 있다.
또한 뼈가 충분히 굳어지는 시기에 토슈즈를 착용해야 한다. 어린이는 연골이 많고 성장에 따라 단단한 뼈로 완성되는데, 일반적으로 10~12세 무렵에 뼈가 굳어지기 시작한다. 너무 어린 나이에 토슈즈를 신으면 발 성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토슈즈 착용 연령은 여러 설이 있지만, 보통 10세 이하는 너무 이르다고 여겨진다. 유스 아메리카 그랑프리에서는 10세 이하 토슈즈 착용을 금지하고 11세 착용도 최대한 피하도록 규정한다. 바가노바 발레 아카데미에서는 입학 시험에서 신체 조건이 좋은 여학생을 선발하여 10~11세에 토슈즈를 신기 시작한다. 토슈즈 착용 시기는 학생 개개인의 신체 조건과 훈련 내용에 따라 지도자가 결정해야 한다.
7. 부상 및 질환
푸앵트 슈즈를 신고 춤을 추는 것은 발과 발목에 큰 부담을 주어 무용수는 부상이나 질환을 겪을 위험이 있다.[14] 푸앵트 슈즈 디자인은 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지 못하는데, 이는 푸앵트 자세에서 무용수의 체중이 발을 슈즈 아래로 밀어 넣어 엄지발가락이 토 박스 끝에 닿게 되는 현상이다. 측정 결과에 따르면, 두 번째 발가락의 길이에 관계없이 푸앵트 자세에서 무용수 체중의 대부분은 엄지발가락에 의해 지탱된다.[14]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은 신발과 발이 마찰되면서 생기는 물집, 굳은살, 사마귀이다. 경미한 물집이나 굳은살은 스스로 처치할 수 있지만, 감염의 우려가 있는 혈종이나 증상이 악화된 사마귀는 의료기관에서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흔한 부상 및 질환으로는 내성 발톱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발톱 주변의 염증, 발톱 아래에 피가 고이는 조갑하 혈종, 무지 외반증, 염좌 등이 있으며, 이 모두 의료기관에서 적절한 처치를 받아야 한다.
8. 토슈즈의 수명
일반적인 사용 과정에서 푸앵트 슈즈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의 마모를 겪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생크 마모이다. 생크는 신발의 몸체가 반복적으로 구부러지면서 점차 약해지고 지지력을 잃게 된다. 생크가 부러지거나 너무 부드러워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없게 되면 푸앵트 슈즈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다른 주요 마모 유형은 토 박스의 연화, 특히 무용수가 균형을 잡는 플랫폼 부분의 연화이다. 푸앵트 슈즈가 더 이상 착용하기에 안전하지 않을 정도로 마모되면, 일반적으로 "수명이 다했다"라고 한다. 토슈즈는 사용하면서 점차 망가지며, 박스와 생크가 부드러워져 발을 지탱할 수 없게 된다. 망가진 토슈즈는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또 다른 주요 유형의 마모는 외부 직물과 관련이 있다. 푸앵트 작업에서 토 박스의 앞면과 밑면 가장자리는 공연 표면과의 마찰을 받는다. 이 마찰은 결국 신발의 외부 직물 덮개를 닳게 하여 토 박스를 노출시키고 느슨하고 닳은 직물 가장자리를 만든다. 약해진 생크와 달리 손상된 외부 직물은 신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전문적이지 않은 외관으로 인해 비공식적인 연습이나 리허설 이외의 상황에서는 착용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
적당한 사용 시, 한 켤레의 푸앵트 슈즈는 일반적으로 10~20시간 동안 착용할 수 있다. 무용 학생의 경우, 이는 종종 한 켤레의 푸앵트 슈즈로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전문 무용수들은 일반적으로 푸앵트 슈즈를 더 빨리 닳게 한다. 새 신발 한 켤레가 단 한 번의 공연에서 닳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013년 뉴욕 시티 발레단은 8,500켤레를,[19][20] 로열 발레단은 약 12,000켤레의 푸앵트 슈즈를 사용했다.[21][22]
토슈즈의 수명은 사용량, 댄스 기술, 착용감, 체중, 제조 방식, 생크 재료, 길들이기 방법, 공연 표면, 발 근력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무용가에 따라서는 한 번의 공연에서 토슈즈가 다 닳아 없어지기도 한다.
9. 한국 발레와 토슈즈
참조
[1]
웹사이트
Process of making a ballet toe shoe
https://www.freepate[...]
2022-12-19
[2]
웹사이트
Celebrity Invention: Bill Nye's Ballet Slipper
https://www.theatlan[...]
2022-12-19
[3]
서적
The Contemporary Thesaurus of Search Terms and Synonyms: A Guide for Natural Language Computer Searching
https://books.google[...]
Oryx Press
2022-12-28
[4]
서적
Jeanne Devereaux, Prima Ballerina of Vaudeville and Broadway: "She Ran Between the Raindrops"
https://books.google[...]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2022-12-28
[5]
웹사이트
Dance Talk Article {{!}} Miller's Dance Studio
https://millersdance[...]
2023-12-17
[6]
웹사이트
History of Pointe Shoes: Their Invention, Construction & Use {{!}} DanceUs.org
https://www.danceus.[...]
2023-12-17
[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ointe shoe
https://www.brown.ed[...]
2021-02-15
[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ointe Shoes: The Landmark Moments That Made Ballet's Signature Shoe What It Is Today
https://www.pointema[...]
Pointe Magazine
2020-10-20
[9]
웹사이트
When the Shoe Fits, Dance In It
https://www.arts.gov[...]
2021-02-15
[10]
웹사이트
Pointe Shoe Evolution
https://dancer.com/b[...]
2021-02-15
[11]
웹사이트
Fashion Archives: The History of the Ballet Flat
https://startupfashi[...]
2020-05-18
[12]
웹사이트
Shoe Glossary: Ballerina Flats
https://www.liveabou[...]
2020-05-18
[13]
간행물
Why Ballet Men Do Not Stand on Their Toes (but Georgian Men Do)
https://www.jstor.or[...]
2020-10-19
[14]
문서
Selinah Shah “Pointe shoes complicate the biomechanics of ballet” LER April 2010. R.G.Torba & D.A.Rice “Pressure analysis of the ballet shoe while en pointe.” Proceedings of the Twelfth Southern Biomedical Engineering Conference, New Orleans. LA, USA 1993, pp48-50.
[15]
간행물
Determining a Young Dancer's Readiness for Dancing on Pointe
2009-11
[16]
웹사이트
10 Burning questions about Pointe Shoes
https://www.dancewor[...]
2021-02-15
[17]
웹사이트
Dancing Shoes
http://www.theballet[...]
The Ballet Bag
2013-03-22
[1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ointe Shoes: The Landmark Moments That Made Ballet's Signature Shoe What It Is Today
https://pointemagazi[...]
2024-02-22
[19]
웹사이트
Why It Takes 8,500 Pairs Of Pointe Shoes To Put On 'The Nutcracker'
http://www.huffingto[...]
2013-12-18
[20]
웹사이트
Meet Our Dancers
http://www.nycballet[...]
New York City Ballet
[21]
웹사이트
Watch: See The Royal Ballet from the perspective of a pointe shoe
http://www.roh.org.u[...]
Royal Opera House
2013-12-13
[22]
웹사이트
Dancers
http://www.roh.org.u[...]
Royal Opera House
[23]
웹사이트
Men en pointe: ballet dancers kick against gender stereotypes
https://www.theguard[...]
2021-06-05
[24]
웹사이트
Have Any Point Shoes In a Man’s Size 9?
https://www.nytimes.[...]
2021-06-05
[25]
웹사이트
The New Company Ballet22 Spotlights Men on Pointe
https://www.pointema[...]
2021-06-05
[26]
웹사이트
Slowly, more men are dancing on pointe, including in Seattle
https://www.seattlet[...]
2021-06-05
[27]
웹사이트
ボンジュバレリーナ 会社概要
https://www.bonju-ba[...]
2021-06-06
[28]
웹사이트
This Photo Says Everything About Being A Ballerina Of Color Today
https://www.huffpost[...]
2021-06-05
[29]
웹사이트
"バレエ史に残る歴史的瞬間だ"老舗メーカーが茶色のトウシューズを開発したわけ。
https://www.huffingt[...]
2021-06-05
[30]
웹사이트
6 Major Dancewear Brands Announce Plans to Release Pointe Shoes in Diverse Shades
https://www.pointema[...]
2021-06-05
[31]
웹사이트
第47回ローザンヌ国際バレエコンクール出場者とYAGP2019日本予選結果
https://www.chacott-[...]
2021-06-12
[32]
웹사이트
How Young Is Too Young For Pointe Work?
https://www.dancemag[...]
2021-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