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풀라 (노르드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라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이름은 '풍요로운'을 의미한다. 풀라는 프리그의 시녀로 묘사되며,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등장한다. 풀라는 프리그의 심부름을 하거나 비밀을 공유하며, 프리가에게 손가락 반지를 선물받기도 한다. 메르제부르크 주문에서는 발두르의 말을 치료하는 데 참여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학자들은 풀라가 비옥함과 관련이 있거나, 독립적인 여신이라기보다는 프레이야 또는 프리그의 측면일 수 있다고 추측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그 - 금요일
    금요일은 한 주의 다섯째 날로, 문화권에 따라 금성 관련 이름, 모임, 준비일 등의 다양한 어원을 가지며, 서양에서는 불운, 이슬람에서는 중요, 기독교에서는 성금요일, 힌두교에서는 금성의 날로 여겨지는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주말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다.
  • 프리그 -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은 《고 에다》에 수록된 서사시로, 오딘이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와 지혜를 겨루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지혜, 권력, 운명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 처녀신 -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님프들과 함께 사냥을 즐겼고,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처녀신 - 쿠마리
    쿠마리는 네팔에서 숭배되는 살아있는 여신으로, 초경 전의 어린 소녀가 선발되어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며, 엄격한 선발 과정을 거쳐 왕실에서 의례적인 삶을 살다가 퇴임 후 평범한 삶으로 돌아간다.
  • 아쉬냐 - 이둔
    이둔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젊음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젊음을 유지하는 사과를 관리하며, 로키에게 납치당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아쉬냐 - 요르드
    요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대지의 여신으로 신격화되었으며 토르의 어머니이자 오딘의 아내 중 하나로, 흐로딘, 피요르귄 등으로도 불리는 "땅, 대지"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풀라 (노르드 신화)
풀라 정보
다른 이름Volla (고대 고지 독일어)
문화권노르드 신화
성별여성
역할프리그의 시녀, 신발 관리, 비밀 관리
어원"가득 참"(Full)
이름
고대 노르드어Fulla
고대 고지 독일어Volla

2. 어원

고대 노르드어 이름 '풀라'(Fulla)는 '풍요로운'으로 번역되어 왔다.[1] 이는 게르만 조어 '*fullōn*'('충만, 풍부'; 고트어의 ''fullo'' '충만', 고대 고지 독일어의 ''folla'' '풍부' 참조)에서 유래했으며, 형용사 '*fullaz*'('가득 찬'; 고대 노르드어의 ''fullr'', 고트어의 ''fulls'', 고대 고지 독일어의 ''foll'' 모두 '가득 찬'을 의미)의 형태론적 파생이다. 후자는 인도유럽 조어 *''plh₁-nó-''('채워진, 가득 찬'; 산스크리트어의 ''pūrṇá'' '가득 찬', 리투아니아어의 ''pìlnas'',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plьnь'' '채워진, 가득 찬' 참조)에서 파생되었으며, 동사어근 ''*pelh₁-''('채우다')의 과거 분사이다.[2]

3. 신화적 기록

프리그의 에스키를 들고 있는 풀라 (왼쪽 아래), 에밀 됴플러 삽화 (1882).


풀라는 여러 신화 기록에서 프리그와 관련된 인물로 등장한다.

고대 고지 독일어로 기록된 메르제부르크 마법 주문 중 "말 치료" 주문은 폴과 오딘이 숲에서 발두르의 망아지가 발을 삐끗하자 신트군트, 선나, 프리가, 풀라, 오딘이 차례로 주문을 외워 고치는 과정을 묘사한다.[20][21]

3. 1. 《고 에다》

시가 에다의 시 ''그림니르의 말''에 대한 산문 서두에서 프리그는 남편인 신 오딘과 인간 후원자들의 환대에 대해 내기를 한다. 프리그는 자신의 하녀 풀라를 보내 왕 게이로드—프리그의 후원자—에게 마법사(사실은 변장한 오딘)가 그를 방문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풀라는 게이로드를 만나 경고를 하고, 그 마법사를 탐지하는 방법을 조언한다.[1]

H.A. 벨로우스의 영문 번역B. 소프의 영문 번역
프리그는 시녀 풀라를 게이로드에게 보냈다. 풀라는 왕에게 당신의 나라를 방문할 마법사에게 매료되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말했다. 어떤 맹렬한 개도 달려들지 않는 자가 그의 징표라고 말했다.프리그는 시녀 풀라를 게이로드에게 감시하도록 보냈고, 트롤이 와서 그를 해치려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그리고, 어떤 맹렬한 개도 공격하지 않을 자가 그 사람이라고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3. 2. 《신 에다》



『스노리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35장에서는 높으신 분이 16명의 아스 여신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한다. 높으신 분은 풀라를 다섯 번째로 언급하며, 게피온과 마찬가지로 처녀이며, 머리를 풀고 금색 띠를 머리에 두르고 있다고 한다. 높으신 분은 풀라가 프리그의 상자를 옮기고 프리그의 신발을 손질하며, 프리그는 풀라에게 비밀을 털어놓는다고 말한다.[13]

「길피의 속임수」 49장에서는 높으신 분이 발드르와 난나 부부의 죽음과 그들의 귀환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언급한다. 헤르모드는 헬이 다스리는 로 가서 발드르의 부활을 요청한다. 헬은 발드르를 되살리는 방법을 알려주지만, 그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는 발드르와 난나가 헬을 떠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헬은 발드르와 난나가 산 자들에게 선물을 보내는 것은 허락한다. 발드르는 오딘에게 드라우프니르 팔찌를, 난나는 프리그에게 아마 의상과 "다른 선물"을 보냈는데, 여기서 "다른 선물" 중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은 풀라에게 준 반지뿐이다.[14]

『스노리 에다』의 「시어법」 제1장에서는 풀라가 에기르를 위해 열린 밤 연회에 참석하는 8명의 아스 여신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15] 「시어법」 19장에서는 프리그를 나타내는 시적인 방법으로 "풀라의 여왕"[16], 32장에서는 금을 나타내는 표현 중 하나로 "풀라의 머리 그물"[17]가 포함된다. 36장에서는 스칼드 시인 표절 시인 에이빈드가 쓴 풀라의 금빛 머리띠에 대한 표현("평원(이마)에 떨어지는 태양(금)에 풀라의 속눈썹이 빛난다…")을 인용한다.[18] 풀라에 대한 마지막 언급은 「스노리 에다」 75장에 등장하며, 풀라는 27명의 아스 여신 이름 중에 등장한다.[19]

3. 3. 메르제부르크 주문

에밀 됩플러의 "보단이 발데르의 말을 치료하다"(1905)


고대 고지 독일어로 기록된 두 개의 메르제부르크 마법 주문("말 치료") 중 하나는 풀라라는 신을 언급한다. 이 주문은 폴과 오딘이 숲으로 가서 발두르의 망아지가 발을 삐끗하게 된 과정을 묘사한다. 신트군트가 주문을 외우고, 그녀의 여동생 선나가 주문을 외우고, 프리가가 주문을 외우고, 그녀의 여동생 풀라가 주문을 외우고, 마지막으로 오딘이 주문을 외운 다음 망아지의 뼈가 치유되는 과정을 묘사하는 구절이 이어진다.[20][21]

원문 (고대 고지 독일어)번역 (한국어)
|


4. 학설

앤디 오차드는 메르제부르크 주술 시에서 발드르가 볼라와 함께 등장하는 것이 "흥미롭다"고 언급했는데, 그 이유는 풀라가 죽은 발드르가 헬에서 선물을 보낸 세 여신(나머지 둘은 발드르의 어머니 프리그와 아내 난나)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6] 존 린도우는 ''풀라''라는 이름이 충만함과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비옥함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22]

루돌프 지메크스노리 스투를루손이 《길피의 속임수》에서 발드르가 헬에서 풀라에게 황금 반지를 보낸다고 언급하지만, 풀라가 금과 관련된 케닝을 사용했기 때문에 "그녀가 발드르 신화에서 어떤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며, 스노리가 그녀를 금과 연관시켰다는 것을 보여줄 뿐"이라고 말한다.[23] 지메크는 풀라가 10세기 초부터 음유 시인들의 시에 등장하기 때문에 "풍요의 늦은 의인화가 아닐 것"이며, 메르제부르크 주술 시에 나오는 볼라와 동일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한다. 지메크는 풀라가 실제로 누구인지 불분명하며, 그녀가 독립적인 여신이거나 단순히 여신 프레이야 또는 프리그와 동일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3]

존 나이트 보스톡은 풀라가 한때 프리그의 측면이었을 것이라는 이론이 제기되었다고 말한다. 그 결과, 여신 신트군트와 순나의 관계에서도 두 사람이 완전히 별개의 인물이라기보다는 서로의 측면으로 이해되었을 수 있다는 유사한 상황이 존재했을 수 있다는 이론이 나왔다.[3]

힐다 엘리스 데이비슨은 게피온, 게르드, 풀라, 스카디 여신이 "초창기 북유럽의 중요한 여신을 나타낼 수 있지만, 스노리가 자료를 수집할 즈음에는 그들에 대해 거의 기억하지 못했다"고 진술한다. 반면에 데이비슨은 이러한 여신들을 단일 위대한 여신의 측면으로 볼 수도 있다고 언급한다.[4] 데이비슨은 풀라와 볼라를 "스노리가 시인들에게서 언급한 여신에 대한 특이한 언급에서 나타나는 모호하고 불확실한 인물"이라고 부르며, "그들은 한때 스칸디나비아의 비옥함과 수확의 여신들 사이에 세 개의 세대가 대표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한다.[5]

참조

[1] 서적 Bellows 1923
[2] 서적 Thorpe 1866
[3] 서적 Bostock 1976
[4] 서적 Davidson 1998
[5] 서적 Davidson 1998
[6] 서적 Orchard 1997
[7] 간행물 ユリイカ 2007年10月号 特集=北欧神話の世界 青土社 2007-10
[8] 서적 願いを叶える77の扉: 大天使とマスターを呼ぶ JMA Associates Inc
[9] 서적 菅原
[10] 서적 山室
[11] 서적 Bellows 1923
[12] 서적 Thorpe 1866
[13] 서적 Faulkes 1995
[14] 서적 Faulkes 1995
[15] 서적 Faulkes 1995
[16] 서적 Faulkes 1995
[17] 서적 Faulkes 1995
[18] 서적 Faulkes 1995
[19] 서적 Faulkes 1995
[20] 서적 Lindow 2001
[21] 서적 唐澤訳
[22] 서적 Lindow 2001
[23] 서적 Simek 2007
[24] 서적 Bostock 1976
[25] 서적 Davidson 1998
[26] 서적 Davidson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