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헬헤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헤임은 노르드 신화에서 헬이 다스리는 죽음의 세계이다. 어원은 고대 노르드어 '헬'에서 유래되었으며, '가려진 장소' 또는 '지하 세계'를 의미한다. 《고 에다》와 《신 에다》에 헬헤임에 대한 묘사가 나타나며, 특히 《신 에다》에서는 헬의 위치와 헬로 가는 여정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제공된다. 헬은 악인이 죽어서 가는 곳으로 묘사되며, 발드르가 헬에 머물렀다가 돌아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후 세계 - 낙원
    낙원은 여러 종교와 문화에서 이상적인 장소를 의미하며, 고대 이란어에서 유래하여 에덴동산, 천국, 정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사후 세계 - 황천
    황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 신화에서 죽은 자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문화권에 따라 개념과 묘사가 다르며, 지하세계, 요미노쿠니(黄泉國), 요모츠쿠니(ヨモツクニ) 등으로 불리며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적 개념으로 해석되고 기독교 문헌에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한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세르클란드
    세르클란드는 관련 연구 문헌을 다루는 문서이며, 투레 요한손 아르네, 스벤 B. F. 얀손, 칼 L. 툰베리 등이 세르클란드와 관련된 연구를 발표했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아스가르드
    아스가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아스 신족의 거처이자 요새로, 문헌에서 다양하게 묘사되며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통해 접근 가능한 신들의 회의 장소와 여러 궁전이 있는 곳으로 묘사되지만, 아시아 지역의 실제 국가로 해석되기도 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헬헤임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유형장소
문화노르드 신화
위치니플헤임
주관자
신화적 의미
역할죽은 자들의 세계, 망자들의 세계
특징어둡고 추운 곳
아홉 세계 중 하나
니드호그 존재
맹세 파기자, 살인자, 범죄자 등이 감
관련 정보
다른 이름헬헤임르 (Helheimr)
관련 장소니플헬

2. 어원

고대 노르드어 여성 고유 명사 ‘헬’(''Hel'')은 헬헤임을 관장하는 존재의 이름인 고대 노르드어 ‘헬’(''Hel'')과 동일하다. 이 단어는 모든 게르만어파에서 동족어를 가지며, 고대 영어 hellang(그리고 현대 영어 ''hell'' (지옥)), 고대 프리지아어 ''helle'', 고대 작센어 ''hellia'', 고대 고지 독일어 hellagoh, 그리고 고트어 ''𐌷𐌰𐌻𐌾𐌰''가 포함된다. 모든 형태는 궁극적으로 재구성된 원시 게르만어 여성 명사 *''haljō'' (‘가려진 장소, 지하 세계’)에서 파생된다. 이어서 원시 게르만어 형태는 o-단계 형태의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kel-'', *''kol''-: ‘덮다, 감추다, 구하다’에서 파생된다.[1]

이 용어는 현대 영어 ''hall''(홀, 대저택)과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북유럽 신화에서 사후 세계의 ‘전사들의 홀’인 ''발할라''(Valhalla)와도 관련이 있다. ''Hall''과 그 많은 게르만어 동족어는 원시 인도유럽어 *''kol-''에서 파생된 원시 게르만어 *''hallō'' ‘덮인 장소, 홀’에서 파생된다.[2]

관련된 초기 게르만어 용어 및 개념에는 원시 게르만어 *''halja-rūnō(n)'' (여성 복합 명사) 및 *''halja-wītjan'' (중성 복합 명사)이 있다. 이 형태는 라틴화된 고트어 복수 명사 *''haliurunnae'' (요르다네스에 의해 증명됨, 언어학자 블라디미르 오렐에 따르면 ‘마녀’를 의미), 고대 영어 helle-rúneang (‘마법사, 강령술사’, 오렐에 따르면), 그리고 고대 고지 독일어 helli-rūnagoh ‘마법’에서 재구성된다. 이 복합어는 두 요소로 구성된다. *''haljō''와 *''rūnō''는 현대 영어 ''''의 원시 게르만어 전신이다.[3] 그러나 고트어 haliurunnaegot의 두 번째 요소는 동사 ''rinnan''("달리다, 가다")에서 파생된 행위자 명사일 수 있으며, 이는 문자 그대로 "저승으로 여행하는 사람"을 의미한다.[4][5]

원시 게르만어 *''halja-wītjan''은 고대 노르드어 hel-vítinon ‘지옥’, 고대 영어 helle-wíteang ‘지옥 고통, 지옥’, 고대 작센어 ''helli-wīti'' ‘지옥’, 그리고 중고지 독일어 여성 명사 helle-wīzegmh에서 재구성된다. 이 복합어는 *''haljō'' (위에서 논의)와 *''wītjan'' (고대 영어 wittang ‘올바른 정신, 지성’, 고대 작센어 ''gewit'' ‘이해’, 그리고 고트어 un-witigot ‘어리석음, 이해’와 같은 형태에서 재구성)의 복합어이다.[6]

3. 신화 속 묘사

《고 에다》와 《신 에다》, 《데인인의 사적》에는 헬에 대한 다양한 묘사가 나타난다.

《데인인의 사적》 제1권에는 헬로의 여행으로 해석되는 이야기가 있다. 하딩구스 왕은 저녁 식사 중 독미나리 줄기를 든 여인을 만나 겨울에 그런 신선한 풀이 어디에서 자라는지 묻는다. 하딩구스는 궁금증을 느껴 여인과 함께 땅 속으로 들어간다. 삭소 그라마티쿠스는 신들이 하딩구스가 죽어서 갈 곳을 방문하도록 이끌었다고 추론한다.[13]

그들은 어둡고 안개가 자욱한 길을 따라가 화려한 옷을 입은 사람들을 지나 햇볕이 잘 드는 지역에 도착한다.[13] 하딩구스와 여인은 푸른 검은 강에 도착하고 다리를 건너 "강력하게 맞붙는" 두 군대를 만난다. 여인은 그들이 칼에 맞아 죽은 사람들이라고 설명한다.[13]

그들은 넘을 수 없는 벽을 만나고, 여자는 수탉의 머리를 잘라 벽 너머로 던져 새가 살아나게 한다. 하딩구스는 이후 아내에게 돌아간다.[13]

3. 1. 《고 에다》

''볼룬스파''에서 볼바는 헬이 라그나로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한다. 볼바는 "헬의 홀에서 나온 검붉은 수탉"의 울음소리가 라그나로크의 시작을 알리는 세 마리의 수탉 중 하나라고 말한다. 다른 두 마리는 요툰헤임의 퓔라르와 발할라의 굴린캄비이다.[7]

''그리니르마을'' 31절에서 헬은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세 뿌리 중 하나 아래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된다. 다른 두 뿌리 중 하나는 서리 요툰으로, 다른 하나는 인류로 이어진다. ''구드룬의 첫 번째 노래''에서 헤르보르가 자신의 가족, 아이들, 남편의 장례 준비를 하는 슬픔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들의 죽음을 "헬로의 여행을 준비하는 것"으로 묘사했다.[8]

짧은 시 ''브륀힐드의 헬 여행''에서, 헬은 제목에서 직접적으로 지명되어 "브륀힐드의 헬 여행"으로 번역된다. 그녀의 시신이 불태워진 호화로운 마차를 타고 헬의 경계에 있는 길을 따라가던 브륀힐드는 그녀의 분묘에 있는 죽은 귀그르와 마주친다. 이로 인해 격렬한 대화가 오가고, 브륀힐드는 자신의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발드르의 꿈''에서, 오딘발드르가 꾼 악몽을 조사하기 위해 헬의 가장자리로 간다. 그는 주문을 사용하여 볼바의 시체를 되살린다. 오딘은 가명과 변명을 사용하여 자신을 소개하고 발드르의 꿈과 관련된 정보를 볼바에게 묻는다. 볼바는 마지못해 라그나로크의 사건에 대한 예언을 내놓는다.

이 시는 헬의 지리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는 《산문 에다》의 묘사와 유사하며, 코덱스 레기우스에 포함되지 않고 나중에 추가된 사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8] 니플헬은 헬 바로 바깥에 있는 것으로 언급된다. 피투성이 가름이 등장하여, 오딘이 헬로 가는 길에 오딘과 마주친다. 오딘은 길을 따라 헬에 접근하며, 헬은 "헬의 높은 홀"로 묘사된다.[8] 그곳에서 그는 헬에 대한 묘사가 끝나는 동쪽 문 근처에 있는 볼바의 무덤으로 향한다.

3. 2. 《신 에다》

산문 에다에는 신 발드르의 죽음 이후 이 지역으로의 모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포함하여, 헬의 위치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가 제공된다.[9] 스노리의 ''산문 에다''에 나오는 헬에 대한 설명은, 원본 코덱스 레기우스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현대의 ''고대 에다'' 판본에 자주 포함되는 후대 추가본인 ''발드르의 꿈'' 밖에서는 뒷받침되지 않는다.

책 ''길피가닝''에서 헬은 3장에서 "악인"이 죽어서 가는 장소이자 니플헬로 소개된다. 이 장은 헬이 아홉 세계 중 아홉 번째에 위치해 있다고 더 자세히 설명한다.

34장에서 헬, 존재가 소개된다. 스노리는 헬이 오딘에 의해 헬로 던져졌고, 오딘이 "그녀를 아홉 세계의 지배자로 만들었다"고 적고 있다. 스노리는 헬이 니플헤임에 위치해 있다고 덧붙인다. 여기서 헬은 질병이나 노령으로 죽은 사람들에게 숙소와 물건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된다. 거대한 벽과 문이 있는 헬이 소유한 니플헤임에 거대한 저택이 존재한다고 묘사된다. 이 장소의 내부는 엘리우드니르라고 불리며, 헬은 하인, 노예, 다양한 소유물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된다.[10]

49장 끝부분에서 발드르와 난나의 죽음에 대한 묘사가 나온다. 이 자료에서 발드르의 형제로 묘사된 헤르모드르는 죽은 발드르를 데려오기 위해 말을 타고 헬로 향한다.[11] 헬로 들어가기 위해 헤르모드르는 "아무것도 볼 수 없는" "매우 깊고 어두운 계곡"을 아홉 밤 동안 달려 굘("시끄러운") 강과 굘 다리에 도착한다. 다리는 빛나는 금으로 만들어진 지붕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된다. 헤르모드르는 다리를 건너간다. 헤르모드르는 다리의 경비병인 모드구드("사나운 전사")를 만난다.

모드구드는 헤르모드르에게 말을 걸며, 다리가 방금 지나간 다섯 명의 전체 일행보다 그 아래에서 더 많이 울린다고 말한다. 이것은 죽음에 대한 장례 화장으로 다리를 건너는 발드르, 난나, 그리고 그들을 가리킨다. 모드구드는 또한 헬의 죽은 자들이 살아있는 자들과 다른 색깔로 나타난다고 말하며, 헬로 가려면 "아래로 북쪽으로" 가서 헬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11]

헬의 길을 따라 계속 가면 헤르모드르는 헬의 문을 만난다. 헤르모드르는 다시 말에 올라 슬레이프니르를 재촉하고, 그 둘은 멀리 뛰어넘는다. 헤르모드르는 문을 지나 조금 더 나아가 홀에 도착하여 하차하여 들어간다. 그곳에서 헤르모드르는 발드르가 "명예의 자리"에 앉아 있는 것을 보고, 헤르모드르는 헬에서 밤을 보낸다. 다음 날, 헤르모드르는 헬에게 발드르를 떠나게 해달라고 간청한다. 헬은 그에게 제안을 하고 발드르는 그를 홀에서 이끈다. 발드르는 난나와 자신으로부터 헤르모드르에게 다양한 선물을 주어 살아있는 에시르에게 헬에서 가져오도록 한다. 그런 다음 헤르모드르는 살아있는 땅으로 돌아가는 길을 되짚어간다. 헬의 제안은 실패하고, 50장에서 로키가 발드르가 헬에 남게 된 것에 대해 비난받는다.[11]

53장에서 헬은 ''산문 에다''에서 마지막으로 언급된다.[12] 여기에서 호드르와 발드르는 라그나로크 이후의 세상에서 헬로부터 돌아온 것으로 언급된다.

Því næst koma þar Baldr ok Höðr frá Heljar, setjask þá allir samt ok talask við ok minnask á rúnar sínar ok rœða of tíðindi þau er fyrrum höfðu verit, of Miðgarðsorm ok um Fenrisúlf.
"그 후에 발드르와 호드르가 헬에서 올 것이다. 그러면 모두 함께 앉아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그들의 비밀 지혜를 떠올리고, 전에 있었던 사건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즉, 미드가르드 뱀과 펜리스 늑대에 대해."


3. 3. 《데인인의 사적》

《데인인의 사적》 제1권에는 헬로의 여행으로 해석되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하딩구스 왕은 저녁 식사를 하던 중 독미나리 줄기를 들고 있는 여인이 찾아와 겨울에 그런 신선한 풀이 어디에서 자라는지 아느냐고 묻는다. 하딩구스는 알고 싶어했고, 여인은 그의 망토로 그를 가리고 땅 속으로 끌고 들어가 사라진다. 삭소 그라마티쿠스는 신들이 하딩구스가 죽어서 갈 곳을 육신으로 방문하기를 바랐다고 추론한다.[13]

그들은 어둡고 안개가 자욱한 구름 속으로 들어가서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이 많이 다녀서 닳아진 길을 따라 계속 나아간다. 그들은 화려한 옷을 입은 남자들과 자주색 옷을 입은 귀족들을 본다. 그들을 지나 그들은 마침내 여자가 하딩구스에게 건넨 풀이 자라는 햇볕이 잘 드는 지역에 도착한다.[13]

하딩구스와 여인은 굽이치는 급류로 가득하고 다양한 무기로 채워진, 빠르게 흐르는 푸른 검은 강에 도착할 때까지 계속 나아간다. 그들은 다리를 건너 "강력하게 맞붙는" 두 군대가 만나는 것을 본다. 하딩구스가 그들의 정체성에 대해 묻자, 그녀는 그들이 칼에 맞아 죽은 사람들이며, 과거의 삶의 활동과 같아지려고 하면서 영원히 파괴를 보여준다고 대답한다.[13]

앞으로 나아가면서 그들은 넘을 수 없는 벽을 만난다. 여자는 그것을 뛰어넘으려 하지만, 그녀의 가늘고 주름진 몸에도 불구하고 할 수 없다. 여자는 그녀가 가지고 있던 수탉의 머리를 잘라 벽 너머로 던진다. 새는 즉시 울고, 살아 돌아온다. 하딩구스는 아내에게 돌아가 해적들의 위협을 막는다.[13]

4. 이론

힐다 엘리스 데이비슨은 스노리의 《산문 에다》에서 헬에 대한 독특한 묘사에 관해 글을 쓰면서 "스노리가 지하 세계에 대해 설명한 것은 주로 그의 창작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늙거나 병들어 죽은 자들이 헬에 들어간다는 생각은 전통과 발할라에 대한 그의 묘사를 조화시키려는 스노리의 시도였을 수 있다고 말한다. 데이비슨은 스노리가 헬에 들어간 발드르에 대한 유일한 상세한 묘사가 늙거나 병들어 죽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한다. 데이비슨은 스노리가 헬에 대한 묘사에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풍부한 자료"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 자료는 헬이 단지 홀이라는 것 외에는 그 장소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을 수 있으며, 스노리의 헬에 대한 묘사가 때로는 기독교의 사후 세계에 대한 가르침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썼다.[14]

참조

[1] 논문 Orel (2003:156) and Watkins (2000:38)
[2] 논문 Watkins (2000:38)
[3] 논문 Orel (2003:155-156 & 310)
[4] 서적 Die Goten: Sprache und Kultur 1973
[5] 서적 A Gothic Etymological Dictionary 1986
[6] 논문 Orel (2003:156 & 464)
[7] 문서 sooty-red cock in the halls of Hel
[8] 서적 1996
[9] 논문 2006
[10] 논문 2006
[11] 논문 2006
[12] 논문 2006
[13] 논문 1998
[14] 서적 1968
[1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