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체스코 로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체스코 로시는 1922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태어나 2015년 사망한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이다. 그는 법학을 전공하고 라디오 기자로 활동하며 영화계에 입문, 루키노 비스콘티의 조감독을 거쳐 1958년 《도전》으로 장편 영화 감독으로 데뷔했다. 1960~70년대 이탈리아 정치 영화의 핵심 인물로, 《살바토레 쥴리아노》, 《도시 위에 군림하는 손》, 《마테이 사건》 등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시네-수사'의 거장으로 불리며 마틴 스코세지 등 여러 세대의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부패와 불평등 등 사회 문제를 다루며 관객에게 생각할 거리를 제시하고자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감독상 수상자 - 구로사와 아키라
구로사와 아키라는 권위 있는 미술상 수상 경력과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참여 이력을 가진 일본의 영화 감독으로, 다양한 장르의 걸작들을 통해 세계 영화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특한 시각적 연출과 휴머니즘, 유머가 돋보이는 작품들로 많은 감독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감독상 수상자 - 마리오 모니첼리
마리오 모니첼리는 100편 이상의 각본과 60편 이상의 영화를 감독하며 이탈리아식 코미디 장르를 개척하는 데 기여한 이탈리아 거장 영화감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사회 풍자와 해학을 곁들인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 이탈리아의 영화 각본가 - 마리오 모니첼리
마리오 모니첼리는 100편 이상의 각본과 60편 이상의 영화를 감독하며 이탈리아식 코미디 장르를 개척하는 데 기여한 이탈리아 거장 영화감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사회 풍자와 해학을 곁들인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 이탈리아의 영화 각본가 - 에토레 스콜라
에토레 스콜라는 사회 비판적 시각과 휴머니즘을 결합한 작품들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이탈리아의 영화감독이자 각본가로, 《우리는 서로를 너무나 사랑했네》, 《특별한 날》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말년에는 오페라 연출가로도 활동했다. - 황금사자상 수상 감독 - 구로사와 아키라
구로사와 아키라는 권위 있는 미술상 수상 경력과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참여 이력을 가진 일본의 영화 감독으로, 다양한 장르의 걸작들을 통해 세계 영화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특한 시각적 연출과 휴머니즘, 유머가 돋보이는 작품들로 많은 감독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황금사자상 수상 감독 - 마리오 모니첼리
마리오 모니첼리는 100편 이상의 각본과 60편 이상의 영화를 감독하며 이탈리아식 코미디 장르를 개척하는 데 기여한 이탈리아 거장 영화감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사회 풍자와 해학을 곁들인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프란체스코 로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Francesco Rosi |
출생일 | 1922년 11월 15일 |
출생지 | 나폴리, 캄파니아 주, 이탈리아 왕국 |
사망일 | 2015년 1월 10일 |
사망지 | 로마, 이탈리아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
활동 기간 | 1948년 - 1997년 |
배우자 | 잔카를라 만델리 |
자녀 | 1명 |
학력 | |
모교 | 나폴리 대학교 |
수상 |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황금사자상 (1963년) 명예 황금사자상 (2012년, 경력) |
칸 영화제 | 황금종려상 (1972년)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명예 황금곰상 (2008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외국어 영화상 (1983년) |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외국어 영화상 (1981년) |
주요 작품 | |
대표작 | 『코자 노스트라』 (1973년) |
기타 |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은곰상(감독상) 1962년 『시실리의 검은 안개』 명예 금곰상 2008년 |
칸 국제 영화제 | 그랑프리 1972년 『검은 사막』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황금사자상 1963년 『도시를 움직이는 손』 심사위원 특별상 1958년 『도전』 산 조르조 상 1958년 『도전』 명예 금사자상 2012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외국어 작품상 1983년 『에볼리』 |
그 외 수상 |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 영화상 1981년 『Tre fratelli』 |
2. 생애
1922년 나폴리에서 태어난 프란체스코 로시는 법학을 공부했지만, 영화감독을 지망하여 1948년경부터 루키노 비스콘티 감독 밑에서 조수로 일하며 1950년대 전반에 걸쳐 조감독을 맡았다.[28][31] 1958년 카모라 보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도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62년 전후 이탈리아의 붕괴를 다룬 영화 《시실리의 검은 안개》로 제1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 감독상을 수상했다.[31][29] 1963년에는 《도시를 움직이는 손》으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31][29] 1972년 《검은 사막》으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여 세계 3대 영화제에서 모두 상을 받는 쾌거를 이루었다.[28][31] 1979년에는 《에볼리》로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금상을 수상했으며, 1981년의 《세 형제》는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에 후보로 올랐다.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타비아니 형제, 발레리오 주를리니, 에토레 스콜라 등과 함께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이탈리아 영화의 포스트 네오리얼리즘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28][30] 초기와 중기 작품에서는 강한 정치적 주장이 나타났지만, 점차 문학적인 표현에 가까워졌다.
2008년 제5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그의 업적을 기려 13편의 작품이 특별 상영되었고, 명예 황금곰상이 수여되었다.[29] 2012년에는 제69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명예 황금사자상을 받았다.[29]
2015년 1월 10일 로마에서 기관지염으로 인해 향년 92세로 사망했다.[28][31] 사망하기 몇 주 전부터 병상에 누워 있었다고 한다.[31]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로시는 1922년 나폴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해운업에 종사했지만, 만화가이기도 했으며 한때 베니토 무솔리니와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풍자한 그림 때문에 징계를 받기도 했다.[2]제2차 세계 대전 중 로시는 훗날 이탈리아 대통령이 된 조르지오 나폴리타노와 함께 대학에 다녔다.[1] 그는 법학을 공부한 후 어린이 책 삽화가로 경력을 시작했다.[2] 동시에 Radio Napoli|라디오 나폴리it의 기자로 일하기 시작했다.[3] 그곳에서 그는 라파엘레 라 카프리아, 알도 주프레, 주세페 파트로니 그리피와 친분을 맺었고, 이후 종종 그들과 협력하게 된다.[4]
그의 연예계 경력은 1946년 살바토레 디 자코모의 작품을 무대화한 에토레 지아니니의 조감독으로 시작되었다.[5] 그 후 그는 영화계에 입문하여 루키노 비스콘티의 조감독으로 ''라 테라 트레마''(지구가 흔들린다, 1948)와 ''센소''(감각, 1954)에 참여했다. 그는 여러 편의 시나리오를 썼는데, 그 중에는 ''벨리시마''(아름다운, 1951)와 ''그 도시는 재판을 받는다''(Processo alla città, 1952)가 있으며, 고프레도 알레산드리니의 영화 ''붉은 셔츠''(Camicie rosse, 1952)의 몇몇 장면을 촬영했다. 1956년에는 비토리오 가스만과 함께 셰익스피어 배우 에드먼드 킨을 다룬 영화 ''Kean – Genio e sregolatezza''(Kean – 천재와 무모함)을 공동 연출했다.[12]
2. 2. 감독 데뷔와 초기 작품 (1950년대)
1948년경부터 루키노 비스콘티 감독 밑에서 조수로 일하며 영화 경력을 시작했고, 1950년대 전반에 걸쳐 조감독을 맡았다.[28][31] 1952년 영화 《붉은 셔츠》의 일부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1958년 카모라 보스의 이야기를 다룬 《도전》으로 감독 데뷔하여 주목받았다. 이 작품은 사실주의적 묘사로 호평을 받았다.
1959년에는 《더 마글리아리》를 감독했다. 이 영화는 독일로 이주한 이탈리아 이민자들과 나폴리 카모라 마피아 간의 갈등을 다루었다.
2. 3. 네오리얼리즘 이후의 정치 영화 (1960년대)
지오르지오 폰테코르보,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파올로 타비아니와 비토리오 타비아니 형제, 에토레 스콜라, 발레리오 주를리니와 함께 로시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스트 이후 정치 영화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7]1962년 제1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 감독상을 수상한 살바토레 줄리아노는 시칠리아 갱스터 살바토레 줄리아노의 삶을 일련의 긴 플래시백 기법을 사용하여 탐구한 논쟁적인 영화였다.[7] 이 영화는 시칠리아의 풍경과 사람들의 뛰어난 통일성을 가지고 있으며 로시의 국제적 명성을 만들었다.
1963년에는 로드 스테이거 주연의 도시는 살아있다를 연출하여 나폴리의 도시 재건 프로그램과 다양한 정부 부처 간의 공모를 비난했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이 영화는 《살바토레 줄리아노》와 함께 그의 정치적 문제를 다룬 첫 영화로 여겨진다.
1965년에는 《진실의 순간》을 통해 투우사 미겔 마르코 미겔린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었다. 이후 1967년에는 소피아 로렌과 오마 샤리프 주연의 영화 우화 《기적을 넘어서》를 선보였다.
2. 4. 1970년대의 대표작
로시는 1970년대에 여러 대표작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1970년 작 《머나먼 전쟁》(Uomini contro)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전선의 아시아고 전투를 배경으로, 전쟁의 무의미함과 비인간성을 고발한 작품으로, 에밀리오 루수의 소설을 원작으로 했다.[28]1972년에는 《마테이 사건(Il caso Mattei)》을 통해 석유 재벌 엔리코 마테이의 의문사를 다루며, 권력과 자본의 어두운 관계를 파헤쳤다. 이 작품은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29]
1973년 작 《럭키 루치아노(Lucky Luciano)》에서는 전설적인 갱스터 럭키 루치아노의 삶을 통해 정치와 범죄 조직 간의 유착 관계를 묘사했다.[28]
1976년에는 레오나르도 시아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고귀한 희생》(Cadaveri eccellenti)을 통해 사법부의 부패와 권력 남용을 비판했다.[28]
1979년 작 《그리스도는 에볼리에서 멈추었다(Cristo si è fermato a Eboli)》는 카를로 레비의 회고록을 원작으로, 파시즘 치하 이탈리아 남부의 소외된 지역을 배경으로 가난과 억압을 다루었다. 이 작품은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금상[28]과 영국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28]
2. 5. 1980년대와 1990년대
1981년 필립 느와레, 미켈레 플라치도, 비토리오 메초조르노가 주연으로 출연한 《세 형제》는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28] 1984년에는 플라시도 도밍고 주연의 《카르멘》을 제작했다. 1987년에는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소설을 각색한 《죽음의 연대기》를 만들었다. 1990년에는 《자스민의 함정》을, 1992년에는 《나폴리 일기》를 제작했다. 1997년에는 프리모 레비의 회고록을 원작으로 하고 존 터투로가 주연한 《휴전》을 만들었다.[3]2. 6. 수상 및 영예
연도 | 상 | 영화제 | 작품 |
---|---|---|---|
1959년 | 최우수 작품상 | 은곰상 | 《도전》 |
1962년 | 은곰상 감독상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시실리의 검은 안개》 [7] |
1963년 | 최우수 감독상 | 은곰상 | 《시실리의 검은 안개》 |
1963년 | 황금사자상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도시의 손》 [21] |
1965년 | 감독상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진실의 순간》 |
1972년 | 황금종려상 | 칸 영화제 | 《마테이 사건》 [12] |
1976년 | 감독상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화려한 시체들》 |
작품상 | |||
1979년 | 감독상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에볼리에서 멈춰선 그리스도》 |
작품상 | |||
1979년 | 그랑프리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에볼리에서 멈춘 그리스도》 [13] |
1981년 | 감독상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세 형제》 |
각본상 | |||
1981년 | 최우수 감독상 | 은곰상 | 《세 형제》 |
1981년 |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후보 | 아카데미 시상식 | 《세 형제》 |
1983년 | BAFTA 외국어 영화상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에볼리에서 멈춘 그리스도》 [14] |
1985년 | 감독상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카르멘》 |
작품상 | |||
촬영상 | |||
1986년 | 외국어 영화상 후보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카르멘》 [15] |
1987년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그랜드 오피체[32] | 이탈리아 | |
1997년 | 작품상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휴전》 |
감독상 | |||
1995년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대십자 기사[33] | 이탈리아 | |
2008년 | 명예 황금곰상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7] |
2009년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장교[34] | 프랑스 | |
2010년 | "페데리코 펠리니" 상 | ||
2012년 | 평생 공로 황금사자상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21] |
2014년 | 평생 공로상 | 은곰상 |
2. 7. 사망
2015년 1월 10일, 로마에서 기관지염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향년 92세였다.[28][31] 수 주 전부터 병상에 누워 있었다고 전해진다.[31]3. 작품 세계
프란체스코 로시는 지오르지오 폰테코르보,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타비아니 형제, 에토레 스콜라, 발레리오 주를리니와 함께 1960년대와 1970년대 이탈리아 영화계를 이끈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네오리얼리스트 이후 정치 영화를 대표한다.[7]
1962년 제1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 감독상을 받은 《살바토레 쥴리아노》는 시칠리아 갱스터 쥴리아노의 삶을 통해 전후 이탈리아의 부패를 비판하며 논쟁을 일으켰다.[7] 이 영화는 긴 플래시백 기법을 사용하여 "시칠리아의 풍경과 사람들의 뛰어난 통일성"을 보여주며 로시에게 국제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
1963년 로드 스테이거 주연의 《도시는 살아있다》는 나폴리의 도시 재건 사업을 둘러싼 정부 부처 간의 유착 의혹을 제기하며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진실의 순간(1965)》은 투우사 미겔 마르코 미겔린을 다룬 영화로, 투우 장면을 와이드 스크린과 컬러 영상으로 생생하게 담아냈다. 이후 로시는 《기적보다 더한 것》(《신데렐라 이탈리아 스타일》, 《그 후 행복하게》라고도 불림)과 같은 우화 영화를 만들기도 했다. 이 영화에는 소피아 로렌과 오마 샤리프가 출연했다.
3. 1. 주제와 스타일
로시는 지오르지오 폰테코르보,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타비아니 형제, 에토레 스콜라, 발레리오 주를리니와 함께 1960년대와 1970년대 이탈리아 영화계를 이끈 핵심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네오리얼리스트 이후 정치 영화를 대표한다.[7]로시의 영화는 권력, 부패, 불의 등 이탈리아 사회와 정치의 어두운 면을 깊이 있게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2년 제1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 감독상을 받은 《살바토레 쥴리아노》는 시칠리아 갱스터 쥴리아노의 삶을 통해 전후 이탈리아의 부패를 비판하며 큰 논쟁을 일으켰다.[7] 이 영화는 "시칠리아의 풍경과 사람들의 뛰어난 통일성"을 보여주며 로시에게 국제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
1963년 작 《도시는 살아있다》는 나폴리의 도시 재건 사업을 둘러싼 정부 부처 간의 유착 의혹을 제기하며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이 영화는 《살바토레 쥴리아노》와 더불어 로시의 정치 영화의 서막을 알리는 작품으로, 잔 마리아 볼론테의 인상적인 연기가 돋보인다. 로시는 자신의 영화에 대해 "나는 인물 연구가 아닌 사회 연구를 한다. 한 개인이 사적인 드라마에서 어떤 사람인지 알려면, 그의 공적인 삶에서 그를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진실의 순간(1965)》은 투우사 미겔 마르코 미겔린을 다룬 영화로, 투우 장면을 와이드 스크린과 컬러 영상으로 생생하게 담아냈다. 이후 로시는 《기적보다 더한 것》과 같은 우화 영화, 필립 느와레, 미켈레 플라치도, 비토리오 메초조르노가 출연한 《세 형제(1981)》, 플라시도 도밍고[15] 주연의 《카르멘(1984)》,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소설을 영화화한 《예고된 죽음의 연대기(1987)》, 《팔레르모 커넥션(1990)》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만들었다.
로시의 마지막 작품은 홀로코스트 생존자 프리모 레비의 회고록을 원작으로 한 《휴전(1997)》이며, 존 터투로가 주연을 맡았다. 로시는 이 영화를 "삶으로의 복귀"라고 표현했다.[21]
버라이어티 영화 가이드는 로시의 영화에 대해 "인물과 사건의 표면 아래를 깊숙이 파고들어, 합법적인 권력 행사와 불법적인 권력 행사 간의 끊임없는 연관성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27] 영국 영화 협회는 로시를 '시네-수사(cinematic inquiry)'의 대가이자, 마틴 스코세지,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로베르토 사비아노, 파올로 소렌티노 등 여러 세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준 인물로 꼽았다.[2]
4. 작품 목록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1952 | 붉은 셔츠 | Camicie rosseit | |
1956 | 킨 | Kean – Genio e sregolatezzait | 비토리오 가스만과 공동 연출 |
1958 | 도전 | La sfidait | |
1959 | 마글리아리 | I magliariit | |
1962 | 살바토레 줄리아노 | Salvatore Giulianoit | |
1963 | 도시에 손을 뻗다 | Le mani sulla cittàit | |
1965 | 진실의 순간 | Il momento della veritàit | |
1967 | 기적 그 이상 | C'era una volta...it | |
1970 | 머나먼 전쟁 | Uomini controit | |
1972 | 마테이 사건 | Il caso Matteiit | |
1973 | 럭키 루치아노 | Lucky Lucianoit | |
1976 | 탁월한 시체들 | Cadaveri eccellentiit | |
1979 | 에볼리에서 멈춘 그리스도 | Cristo si è fermato a Eboliit | |
1981 | 세 형제 | Tre fratelliit | |
1984 | 카르멘 | Carmenit | |
1987 | 예고된 죽음의 연대기 | Cronaca di una morte annunciatait | |
1989 | 12명의 감독과 12개의 도시 | 다른 11명의 감독들과 공동 작업 | |
1989 | 팔레르모 커넥션 | Dimenticare Palermoit | |
1992 | 나폴리 일기 | Diario napoletanoit | |
1997 | 휴전 | La treguait |
5. 연극 연출
참조
[1]
웹사이트
Morto Francesco Rosi, addio al grande regista di Mani sulla citt. Aveva 92 anni
http://www.ilmattino[...]
ilmattino.it
2015-01-12
[2]
웹사이트
Francesco Rosi, 1922–2015
https://www2.bfi.org[...]
2015-01-12
[3]
뉴스
Francesco Rosi, Italian Filmmaker With Political Bent, Dies at 92
https://www.nytimes.[...]
2015-01-13
[4]
웹사이트
La scheda di Francesco Rosi. Biografia e filmografia – Trovacinema
http://trovacinema.r[...]
2015-01-13
[5]
서적
I Film Di Francesco Rosi
Gremese Editore, 1986
[6]
웹사이트
Una Donna, la Camorra e Napoli. Reccontati dal cinema e dalla stampa
http://gradworks.umi[...]
2015-01-13
[7]
웹사이트
Berlinale: Prize Winners
http://www.berlinale[...]
2010-02-12
[8]
웹사이트
Morto Francesco Rosi, addio al grande regista di Mani sulla citt. Aveva 92 anni
http://www.ilmattino[...]
2015-01-13
[9]
서적
Dizionario del cinema italiano – I film
Gremese Editore
[10]
서적
La Storia sullo schermo: il Novecento
Pellegrini Editore, 2004
[11]
웹사이트
UOMINI CONTRO di FRANCESCO ROSI
http://digilander.li[...]
digilander.libero.it
2015-01-11
[12]
뉴스
Made in Ital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2-14
[13]
웹사이트
11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79)
http://www.moscowfil[...]
2013-01-19
[14]
웹사이트
Francesco Rosi, Palme d'Or Winner, Dies At 92
http://www.hollywood[...]
2015-01-13
[15]
뉴스
BBC News – Italian director Francesco Rosi dies at 92
https://www.bbc.co.u[...]
2015-01-13
[16]
웹사이트
Teatro: Filumena Marturano
http://www.comune.ma[...]
2015-01-13
[17]
웹사이트
Ecco i cento film italiani da salvare Corriere della Sera
https://www.corriere[...]
2021-03-11
[18]
웹사이트
Dialogue: Francesco Rosi
https://www.hollywoo[...]
2008-02-14
[19]
웹사이트
Francesco Rosi Photos – World Restoration Premiere Of "The Mattei Affair" At The 69th 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Zimbio
http://www.zimbio.co[...]
2015-01-13
[20]
뉴스
E' morto Francesco Rosi
http://www.ansa.it/s[...]
[21]
웹사이트
Francesco Rosi Dead: Italian Director Was 92 – Variety
https://variety.com/[...]
2015-01-11
[22]
웹사이트
Italian directors pay homage at Rosi memorial service
http://www.ansa.it/e[...]
2015-01-18
[23]
웹사이트
Berlino e Bari ricordano Francesco Rosi – Cinema News – PRIMISSIMA
http://www.primissim[...]
2015-01-13
[24]
뉴스
Morto il regista Francesco Rosi, ecco la sua filmografia
http://spettacoliecu[...]
2015-01-12
[25]
웹사이트
Nota bio-bibliografica di Giuseppe Patroni Griffi
http://www.bibliocam[...]
2015-01-13
[26]
서적
The Story of Cinema: Volume Two – from ''Citizen Kane'' to the Present Day
Hodder & Stoughton
[27]
서적
Variety Movie Guide
Hamlyn Publishing Group
[28]
웹사이트
Francesco Rosi, Italian Filmmaker With Political Bent, Dies at 92
http://www.nytimes.c[...]
NYTimes
2015-02-05
[29]
웹사이트
Italian director Francesco Rosi dies at 92
http://www.bbc.com/n[...]
BBC News
2015-02-05
[30]
웹사이트
伊監督フランチェスコ・ロージ氏、死去 『黒い砂漠』でパルムドールを受賞
https://www.cinemato[...]
シネマトゥデイ
2015-02-06
[31]
웹사이트
映画監督のフランチェスコ・ロージ氏死去=三大映画祭で受賞-伊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5-01-10
[32]
웹사이트
Grande Ufficiale Ordine al Merito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www.quirinale[...]
2015-02-06
[33]
웹사이트
Cavaliere di Gran Croce Ordine al Merito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www.quirinale[...]
2015-02-06
[34]
웹사이트
Francia prima dell'Italia: il regista Rosi insignito della Legion d'onore
http://corrieredelme[...]
Corriere del Mezzogiorno
2015-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