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령 콩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령 콩고는 1880년 프랑스가 콩고강 북쪽의 바테케족을 보호령으로 삼으면서 시작되었으며, 현재의 콩고 공화국, 가봉,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역을 포함했다. 1882년 정식 식민지로 설립되었고, 베를린 회의에서 그 지위가 확정되었다. 식민지 개발은 주로 상아, 고무, 목재 추출에 집중되었으며, 극심한 잔혹 행위와 현지인 착취가 수반되었다. 프랑스령 콩고는 가봉 콩고, 중앙 콩고 등으로 불렸으며,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에 통합되기 전까지 가봉과 여러 차례 행정 구역이 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 - 중앙아프리카 제국
중앙아프리카 제국은 장베델 보카사가 나폴레옹을 모방하여 호화로운 대관식을 거행하며 시작되었으나, 숙청과 경제난으로 붕괴되어 프랑스군의 지원을 받은 쿠데타로 폐지되었다.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 - 우방기샤리
우방기샤리는 1889년 프랑스 식민 활동이 시작되어 여러 차례의 합병과 분리를 거쳐 1903년 식민지가 되었고, 1958년 자치권을 얻은 후 1960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 가봉의 역사 - 가봉 전투
가봉 전투는 1940년 10월에서 11월 사이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가봉에서 자유 프랑스군과 비시 프랑스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자유 프랑스군이 승리하여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서부 사막 전역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으나, 가봉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 주민들의 대규모 이주를 초래했다. - 가봉의 역사 - 서아프리카 전역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에서 벌어진 사건들을 통칭하는 서아프리카 전역은 프랑스 본토 함락 후 자유 프랑스와 비시 프랑스 간 갈등, 연합군의 군사 작전으로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으며, 자유 프랑스 입지 강화와 북아프리카 전역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프랑스령 콩고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프랑스령 콩고 |
프랑스어 명칭 | Congo français |
다른 표기 | 프랑스어: Moyen-Congo 프랑스어: 콩고 프랑세 |
역사 | |
존속 기간 | 1882년 – 1910년 |
건국 시기 | 1882년 |
멸망 시기 | 1910년 |
주요 사건 | 설립: 1882년 중콩고로 개명: 1903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에 편입: 1910년 |
이전 국가 | 콩고 왕국 로앙고 왕국 테케 왕국 |
이후 국가 |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
정치 | |
정치 체제 | 식민지 |
수도 | 브라자빌 |
통치 | |
총독 | 피에르 브라자 (1883년 1월 ~ 1897년) https://en.wikipedia.org/wiki/Albert_Grodet (1897년 ~ 1898년) https://fr.wikipedia.org/wiki/Henri-F%C3%A9lix_de_Lamothe (1898년 ~ 1901년) https://en.wikipedia.org/wiki/%C3%89mile_Gentil (1901년 ~ 1903년) |
언어 | |
공용어 | 프랑스어 |
사용 언어 | 콩고어 팡어 미에네어 링갈라어 |
종교 | |
종교 | 기독교 이슬람교 https://en.wikipedia.org/wiki/Bwiti 전통 종교 |
경제 | |
통화 | 프랑스 프랑 |
현재 국가 | |
현재 국가 | 콩고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가봉 |
기타 | |
2. 역사
1880년 9월 10일 브라자빌에서 프랑스령 콩고가 시작되었다. 콩고강 북쪽의 테케족에 대한 보호령에서 시작하여,[1] 1882년 11월 30일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1] 1884년부터 1885년까지 유럽 열강 사이에서 이루어진 베를린 회의에서 이 식민지는 정식으로 인정받았다.
카빈다(포르투갈의 식민지), 독일령 카메룬(독일 제국의 식민지), 콩고 자유국(벨기에의 식민지)과 마주하고 있던 프랑스령 콩고의 국경은 이후 수십년 간에 체결된 조약을 통해 이루어졌다. 식민지 개발을 위해 30개의 프랑스 회사가 지역 개발을 승인받았다. 고무, 목재, 상아가 주요 상품이었다. 개발이라는 이름하에 수많은 상품이 수탈되었고, 이러한 경영은 잔혹성과 노예화가 동반되었다.
프랑스령 콩고는 '''가봉 콩고'''로도 알려져 있다.[3] 1891년 프랑스령 가봉이 콩고에 공식적으로 편입되었고,[1] 1903년 중앙콩고(Moyen-Congo|중앙콩고프랑스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가봉은 1906년 프랑스령 콩고에서 분리되었고, 1910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에 통합되었다.
1911년 모로코-콩고 조약은 콩고강에 대한 출구를 위해 영토 일부를 독일에 양도했다. 노이카메룬으로 알려진 이 땅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에 의해 공식적으로 되찾아졌다.
1906년에는 《프랑스령 콩고의 확장》(L’Expansion coloniale au Congo français|프랑스령 콩고의 확장프랑스어)이라는 책이 마르세유에서 출판되었다.[4] 1925년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학자, 사회학자이자 범아프리카주의자인 W. E. B. Du Bois는 "바투알라에서 프랑스령 콩고의 깊은 곳에서 벨기에령 콩고 또는 영국령 서아프리카와 마찬가지로 흑인들을 착취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5][6]라고 언급했다.
프랑스령 콩고의 행정관은 다음과 같다:
직위 | 재임 기간 | 이름 | 비고 |
---|---|---|---|
최고 행정관 | 1889년 3월 12일 ~ 1895년 4월 27일 | 포르튀네 샤를 드 샤반 | |
1895년 4월 27일 ~ 1899년 1월 22일 | 루이 앙리 알베르 돌리시에 | 1856년 출생 ~ 1899년 사망 | |
1899년 5월 1일 ~ 1902년 7월 11일 | 장-밥티스트 필레마 르메르 | 1856년 출생 ~ 1932년 사망 | |
1902년 7월 11일 ~ 1906년 4월 5일 | 에밀 젠틸 | 1866년 출생 ~ 1914년 사망 | |
1906년부터 1909년까지는 아돌프 루이 큐로의 대리였던 에두아르 마리 베르트랑 외젠 뒤보스크-타레가 임시로 최고 행정관직을 수행했다. | |||
부총독 | 1909년 3월 12일 ~ 1910년 6월 27일 | 아돌프 루이 큐로 | |
1910년 6월 27일 ~ 1911년 7월 28일 | 에두아르 뒤보스크-타레 | 대리 | |
1911년 7월 28일 ~ 1916년 4월 16일 | 뤼시앙 루이 푸르노 | 1912년 10월 17일까지 대리 | |
1916년 4월 16일 ~ 1917년 7월 17일 | 쥘 가스통 앙리 카르드 | 1916년 10월 12일까지 대리 | |
1917년 7월 17일 ~ 1919년 4월 2일 | 쥘 기 르 프린스 | 대리 | |
1919년 4월 2일 ~ 1919년 5월 16일 | 에드몽 에밀리앙 카디에 | ||
1919년 5월 16일 ~ 1919년 8월 21일 | 장 앙리 마르샹 | 첫 번째, 대리 | |
1919년 8월 21일 ~ 1922년 8월 16일 | 마테오 마티유 모리스 알파사 | ||
1922년 8월 16일 ~ 1923년 4월 20일 | 조르주 토만 | 대리 | |
1923년 4월 24일 ~ 1925년 7월 21일 | 장 앙리 마르샹 | 두 번째, 대리 | |
1925년 7월 21일 ~ 1929년 12월 1일 | AEF 총독에 의한 행정 | ||
1929년 12월 1일 ~ 1930년 12월 4일 | 마르셀 알릭 장 마르셰수 | 대리 | |
1930년 12월 4일 ~ 1931년 5월 | 피에르 시몽 안토냉 본퐁 | 대리 | |
1931년 5월 ~ 1932년 | 막스 드 마송 드 생-펠릭스 | ||
1932년 ~ 1932년 11월 21일 | 에밀 뷔오-로네 | 대리 | |
1932년 11월 21일 ~ 1941년 2월 10일 | AEF 총독에 의한 행정 | ||
부총독 | 1941년 2월 10일 ~ 1945년 8월 20일 | 가브리엘 에밀 포르튀네 | |
1942년 2월 21일 ~ 1942년 7월 19일 | 장 샤를 앙드레 카파고리 | 가브리엘 에밀 포르튀네 대리 | |
1945년 8월 20일 ~ 1946년 4월 30일 | AEF 총독에 의한 행정 | ||
1946년 4월 30일 ~ 1946년 5월 16일 | 크리스티앙 로베르 로제 래그레 | 대리 | |
1946년 5월 16일 ~ 1946년 11월 6일 | AEF 총독에 의한 행정 | ||
1946년 11월 6일 ~ 1947년 12월 31일 | 뉘마 프랑수아 앙리 사둘 | ||
1947년 12월 31일 ~ 1950년 3월 1일 | 자크 조르주 푸르노 | ||
1950년 3월 1일 ~ 1952년 4월 25일 | 폴 쥘 마리 르 레예 | ||
1952년 4월 25일 ~ 1953년 7월 15일 | 장 조르주 샹봉 | ||
부총독 | 1953년 7월 15일 ~ 1956년 11월 2일 | 에르네스트 외젠 루이스 | 1954년 2월 19일까지 대리 |
1956년 11월 2일 ~ 1958년 1월 29일 | 장-미셸 마리 르네 수포 | ||
1958년 1월 29일 ~ 1959년 1월 7일 | 샤를 폴 데리아우 | 대리 | |
고등 판무관 | 1959년 1월 7일 ~ 1960년 8월 15일 | Guy Noël Georgy|기 노엘 조르지프랑스어 | 1918년 출생 - 2003년 사망 |
2. 1. 설립 배경
1880년 9월 10일 브라자빌에서 프랑스령 콩고가 시작되었다. 이는 콩고강 북쪽의 테케족에 대한 보호령에서 시작된 것으로,[10] 1882년 11월 30일 프랑스령 콩고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10] 1884년부터 1885년까지 유럽 열강 사이에서 이루어진 베를린 회의에서 이 식민지는 정식으로 인정받았다.드 브라자와 테케족의 왕 일루 1세 사이에 조약이 체결되었는데, 일루 1세는 조약 체결 해에 사망했지만 그의 여왕 응갈리푸루가 조약의 조건을 유지했다.[2]
카빈다(포르투갈의 식민지), 독일령 카메룬(독일 제국의 식민지), 콩고 자유국(벨기에의 식민지)과 마주하고 있던 프랑스령 콩고의 국경은 이후 수십년 간에 체결된 조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식민지 개발을 위해 30개의 프랑스 회사가 지역 개발을 승인받았다. 고무, 목재, 상아가 주요 상품이었다. 개발이라는 이름하에 수많은 상품이 수탈되었고, 이러한 경영은 잔혹성과 노예화가 동반되었다.
프랑스령 콩고는 '''가봉 콩고'''로도 알려져 있다.[11]
2. 2. 식민지 확장과 자원 수탈
1880년 9월 10일 브라자빌에서 프랑스령 콩고가 시작되었다. 콩고강 북쪽의 테케족에 대한 보호령에서 시작하여,[10] 1882년 11월 30일 프랑스령 콩고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10] 1884년부터 1885년까지 유럽 열강 사이에서 이루어진 베를린 회의에서 이 식민지는 정식으로 인정받았다.식민지 개발을 위해 30개의 프랑스 회사가 지역 개발을 승인받았다. 고무, 목재, 상아가 주요 상품이었다. 개발이라는 이름하에 수많은 상품이 수탈되었고, 이러한 경영은 잔혹성과 노예화가 동반되었다.
1906년에는 《프랑스령 콩고의 확장》(''L’Expansion coloniale au Congo français'')이라는 책이 마르세유에서 출판되었다.[12]
1925년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학자, 사회학자이자 범아프리카주의자인 W. E. B. Du Bois는 "'바투알라'에서 프랑스령 콩고의 깊은 곳에서 벨기에령 콩고 또는 영국령 서아프리카와 마찬가지로 흑인들을 착취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5][6]
2. 3. 명칭 변경과 행정 통합
프랑스령 콩고는 '''가봉 콩고'''로도 알려져 있다.[11] 1891년 가봉이 콩고에 공식적으로 편입되었고,[10] 1903년에는 중앙콩고(Moyen-Congo|중앙콩고프랑스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가봉은 1906년 프랑스령 콩고에서 분리되었고, 1910년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에 통합되었다. 1906년에는 《프랑스령 콩고의 확장》(L’Expansion coloniale au Congo français|프랑스령 콩고의 확장프랑스어)이라는 책이 마르세유에서 출판되었다.[12]2. 4. 식민 통치와 저항
프랑스령 콩고는 1880년 9월 10일 브라자빌에서 콩고강 북쪽 강변의 바테케족에 대한 보호령으로 시작되었다.[1] 피에르 사보르냥 드 브라자와 일루 1세 왕 사이에 조약이 체결되었으나, 일루 1세는 그 해에 사망했고 그의 여왕 응갈리푸루가 조약 조건을 유지했다.[2] 1882년 11월 30일 프랑스령 콩고로 정식 설립되었으며,[1] 1884~85년 베를린 회의에서 확정되었다. 카빈다, 카메룬, 콩고 자유국과의 경계는 이후 10년 동안 조약을 통해 설정되었다. 식민지 개발 계획은 30개 프랑스 회사에 대규모 특권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개발을 약속받고 거대한 토지를 부여받았으나, 개발은 제한적이었고 주로 상아, 고무, 목재 추출에 한정되었다. 이러한 작업은 종종 극심한 잔혹 행위와 현지인들의 노예화에 가까운 상황을 수반했다.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회사는 손실을 보았고, 약 10개 회사만이 이익을 얻었다. 많은 회사의 광대한 보유 자산은 아프리카 현장에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서류상으로만 존재했다.
프랑스령 콩고는 때때로 '''가봉-콩고'''로 알려졌다.[3] 1891년 가봉을 정식으로 병합했으며,[1] 1903년에는 '''중앙 콩고'''(Moyen-Congo|중앙 콩고프랑스어)로 개칭되었다. 1906년 가봉과 일시적으로 분리되었다가 1910년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상대적 성공을 모방하여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로 재통합되었다.
1911년 모로코-콩고 조약으로 콩고강 출구를 확보하기 위해 영토 일부가 독일에 양도되었다. 노이카메룬으로 알려진 이 땅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에 의해 공식적으로 반환되었다.
1906년 마르세유에서 프랑스 식민 박람회와 함께 L'Expansion coloniale au Congo français|프랑스령 콩고의 식민지 확장프랑스어 연구가 출판되었다.[4] 1925년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학자이자 사회학자, 범아프리카주의자인 W. E. B. Du Bois는 "'바투알라'가 그것을 이야기한다. 프랑스령 콩고 깊은 곳에서 벨기에령 콩고나 영국령 서아프리카와 마찬가지로 흑인 착취가 이루어지고 있다"라고 언급했다.[5][6]
2. 5. 역대 총독
프랑스령 콩고의 총독은 콩고 공화국이 되기 전까지 4명이 역임했다.[9]재임 기간 | 이름 | 비고 |
---|---|---|
1883년 1월 ~ 1897년 | 피에르 사보르냥 드 브라자 | |
1897년 ~ 1898년 | Albert Grodet|루이 알베르 그로데프랑스어 | |
1898년 ~ 1901년 | Henri-Félix de Lamothe|앙리 펠릭스 드 라모트프랑스어 | |
1901년 ~ 1903년 | Émile Gentil|에밀 장티영어 | |
1908년 1월 17일 ~ 1908년 11월 17일 | Édouard Marie Bertrand Eugène Dubosc-Tarret|에두아르 마리 베르트랑 외젠 뒤보스크-타레프랑스어 | 1857년 출생 ~ 19..년 사망, 아돌프 루이 큐로 대리, 최고 행정관 (대리) |
1906년부터 1909년까지는 아돌프 루이 큐로의 대리였던 에두아르 마리 베르트랑 외젠 뒤보스크-타레가 임시로 최고 행정관직을 수행했다.
2. 5. 1. 최고 행정관 (1889년 ~ 1906년)
재임 기간 | 이름 | 비고 |
---|---|---|
1889년 3월 12일 ~ 1895년 4월 27일 | 포르튀네 샤를 드 샤반 | |
1895년 4월 27일 ~ 1899년 1월 22일 | 루이 앙리 알베르 돌리시에 | 1856년 출생 ~ 1899년 사망 |
1899년 5월 1일 ~ 1902년 7월 11일 | 장-밥티스트 필레마 르메르 | 1856년 출생 ~ 1932년 사망 |
1902년 7월 11일 ~ 1906년 4월 5일 | 에밀 젠틸 | 1866년 출생 ~ 1914년 사망 |
2. 5. 2. 부총독 (1909년 ~ 1959년)
재임 기간 | 이름 | 비고 |
---|---|---|
1909년 3월 12일 ~ 1910년 6월 27일 | 아돌프 루이 큐로 | |
1910년 6월 27일 ~ 1911년 7월 28일 | 에두아르 뒤보스크-타레 | 대리 |
1911년 7월 28일 ~ 1916년 4월 16일 | 뤼시앙 루이 푸르노 | 1912년 10월 17일까지 대리 |
1916년 4월 16일 ~ 1917년 7월 17일 | 쥘 가스통 앙리 카르드 | 1916년 10월 12일까지 대리 |
1917년 7월 17일 ~ 1919년 4월 2일 | 쥘 기 르 프린스 | 대리 |
1919년 4월 2일 ~ 1919년 5월 16일 | 에드몽 에밀리앙 카디에 | |
1919년 5월 16일 ~ 1919년 8월 21일 | 장 앙리 마르샹 | 첫 번째, 대리 |
1919년 8월 21일 ~ 1922년 8월 16일 | 마테오 마티유 모리스 알파사 | |
1922년 8월 16일 ~ 1923년 4월 20일 | 조르주 토만 | 대리 |
1923년 4월 24일 ~ 1925년 7월 21일 | 장 앙리 마르샹 | 두 번째, 대리 |
1925년 7월 21일 ~ 1929년 12월 1일 | AEF 총독에 의한 행정 | |
1929년 12월 1일 ~ 1930년 12월 4일 | 마르셀 알릭 장 마르셰수 | 대리 |
1930년 12월 4일 ~ 1931년 5월 | 피에르 시몽 안토냉 본퐁 | 대리 |
1931년 5월 ~ 1932년 | 막스 드 마송 드 생-펠릭스 | |
1932년 ~ 1932년 11월 21일 | 에밀 뷔오-로네 | 대리 |
1932년 11월 21일 ~ 1941년 2월 10일 | AEF 총독에 의한 행정 | |
1941년 2월 10일 ~ 1945년 8월 20일 | 가브리엘 에밀 포르튀네 | |
1942년 2월 21일 ~ 1942년 7월 19일 | 장 샤를 앙드레 카파고리 | 가브리엘 에밀 포르튀네 대리 |
1945년 8월 20일 ~ 1946년 4월 30일 | AEF 총독에 의한 행정 | |
1946년 4월 30일 ~ 1946년 5월 16일 | 크리스티앙 로베르 로제 래그레 | 대리 |
1946년 5월 16일 ~ 1946년 11월 6일 | AEF 총독에 의한 행정 | |
1946년 11월 6일 ~ 1947년 12월 31일 | 뉘마 프랑수아 앙리 사둘 | |
1947년 12월 31일 ~ 1950년 3월 1일 | 자크 조르주 푸르노 | |
1950년 3월 1일 ~ 1952년 4월 25일 | 폴 쥘 마리 르 레예 | |
1952년 4월 25일 ~ 1953년 7월 15일 | 장 조르주 샹봉 | |
1953년 7월 15일 ~ 1956년 11월 2일 | 에르네스트 외젠 루이스 | 1954년 2월 19일까지 대리 |
1956년 11월 2일 ~ 1958년 1월 29일 | 장-미셸 마리 르네 수포 | |
1958년 1월 29일 ~ 1959년 1월 7일 | 샤를 폴 데리아우 | 대리 |
2. 5. 3. 고등 판무관 (1959년 ~ 1960년)
Guy Noël Georgy|기 노엘 조르지프랑스어 (1918년 출생 - 2003년 사망)가 1959년 1월 7일부터 1960년 8월 15일까지 고등 판무관을 역임했다.[9]참조
[1]
간행물
Histoire militaire de l'Afrique Équatoriale française
http://gallica.bnf.f[...]
2011-10-09
[2]
서적
Ngalifourou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1-16
[3]
간행물
Gabon – Colonie française du Gabon-Congo, 1/3,700,000
http://gallica.bnf.f[...]
Payeur-Didelot
1894
[4]
서적
The Colonial Expansion of French Congo
http://www.wdl.org/e[...]
Émile Larose - via World Digital Library
2014-06-19
[5]
간행물
Worlds of Color
https://www.foreigna[...]
Foreign Affairs
1925-04-01
[6]
서적
The New Negro: An Interpretation
Albert and Charles Boni
[7]
간행물
Gabon. - Colonie française du Gabon-Congo, 1/3,700,000
http://gallica.bnf.f[...]
Payeur-Didelot
1894
[8]
서적
The Colonial Expansion of French Congo
http://www.wdl.org/e[...]
Émile Larose - via World Digital Library
2014-06-19
[9]
간행물
Histoire militaire de l'Afrique Équatoriale française
http://gallica.bnf.f[...]
2011-10-09
[10]
간행물
Histoire militaire de l'Afrique Équatoriale française
2011-10-09
[11]
간행물
Gabon. - Colonie française du Gabon-Congo, 1/3,700,000
http://gallica.bnf.f[...]
Payeur-Didelot
1894
[12]
서적
The Colonial Expansion of French Congo
http://www.wdl.org/e[...]
Émile Larose - via World Digital Library
2014-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