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A11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젝트 A119는 1950년대 후반 미국이 소련과의 우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기획한 비밀 프로젝트로, 달에서 핵폭발을 일으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연구팀이 핵폭발의 영향과 가시성을 연구했으며, 칼 세이건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미 공군은 발사 실패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낙진 문제를 우려하여 1959년 1월 이 프로젝트를 취소했다. 이 계획은 1990년대에 칼 세이건의 전기 작가에 의해 공개되었으며, 핵무기 선정, 연구 내용, 취소 배경, 그리고 소련의 유사한 계획, 그 영향과 평가에 대한 내용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군사 계획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 미국의 군사 계획 - 크로스로드 작전
크로스로드 작전은 미국이 1946년 비키니 환초에서 핵무기 영향을 평가하고 군사적 활용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핵실험으로, 핵무기 경쟁 심화와 냉전 시대 긴장 고조, 비키니 환초 주민들의 환경 오염 및 건강 문제 야기, 핵무기 사용 윤리 논쟁을 초래했다. - 달 탐사 - 달 착륙
달 착륙은 지구 외 천체에 우주선을 착륙시키는 것으로, 여러 국가가 무인 및 유인 탐사를 통해 성공했으며 특히 1969년 아폴로 11호는 인류 최초의 유인 달 착륙을 이루었다. - 달 탐사 - 더 문
더 문은 석유 위기 이후 달에서 헬륨-3를 채굴하는 기지에서 근무하는 우주 비행사 샘 벨이 자신의 복제인간을 만나 루나 인더스트리사의 비밀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2009년 SF 영화이다. - 미국의 냉전사 - 트루먼 독트린
트루먼 독트린은 1947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 그리스와 터키를 지원하며 미국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세계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 미국의 냉전사 - 도미노 이론
도미노 이론은 한 국가의 정치 체제 변화가 주변 국가로 연쇄적으로 확산된다는 지정학적 이론이며, 냉전 시대 미국은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이 이론을 외교 정책에 활용했다.
프로젝트 A119 | |
---|---|
프로젝트 개요 | |
이름 | A119 계획 |
다른 이름 | 달 연구 비행 계획 |
목표 | 달 표면에서 핵무기 폭발 |
제안 | 1958년 |
국가 | 미국 |
주관 기관 | 미국 공군 |
참여 기관 |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아머 연구 재단 |
책임자 | 레너드 라이펠 |
이유 | 소련에 대한 미국의 위상 과시 우주 경쟁에서의 우위 확보 과학적 연구 |
취소 | 1959년 1월 |
취소 이유 | 핵폭발의 잠재적 위험성 달 표면 오염 우려 여론의 부정적 반응 가능성 |
과학적 목표 | |
목표 | 달 표면과 우주 공간에 대한 핵폭발의 영향 연구 지진학 연구 방사선 연구 |
기술적 세부 사항 | |
폭탄 | 수소 폭탄 |
폭발 예상 위력 | 히로시마형 폭탄의 위력 |
운반 수단 | 탄도 미사일 |
폭발 장소 | 달의 보이지 않는 면 (달의 뒷면) |
폭발 고도 | 달 표면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레너드 라이펠 (프로젝트 책임자) 칼 세이건 (당시 대학원생, 모델링 작업 참여) |
여파 및 논란 | |
논란 | 프로젝트의 윤리적 문제 환경 오염 가능성 군사적 목적의 우주 개발 |
기밀 해제 | 1990년대 후반 |
공개 | 2000년 |
2. 배경
냉전이 한창이던 1957년 10월 4일 소련은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며 우주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했다.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의 성공적 발사가 준 충격은 미국의 인공위성 계획인 프로젝트 뱅가드가 두 번 연달아 실패하면서 배가되었다. 매체들이 '스푸트니크 충격'이라고 이름 붙인 이 사건으로 우주 경쟁이 시작됐다. 미국은 설욕을 위해 일련의 연구와 프로젝트에 착수했고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 발사,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항공우주국(NASA) 설립 등의 성과를 얻었다.[44][45]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면서 우주 경쟁에서 미국은 뒤처지게 되었다.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의 성공적인 발사는 미국에 큰 충격을 주었고, 프로젝트 뱅가드의 연이은 실패는 이러한 충격을 더욱 가중시켰다. 언론은 이를 '스푸트니크 충격'이라 칭하며, 미국이 우주 경쟁에서 소련에 뒤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에 미국은 설욕을 위해 다양한 연구와 프로젝트에 착수했고, 익스플로러 1호 발사,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항공우주국(NASA) 설립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44][45]
3. 프로젝트
1958년 5월, 일리노이 공과대학교의 아머 연구재단은 미국 공군의 지원을 받아 달에서 핵폭발을 일으켰을 때 예상되는 결과에 대한 비밀 연구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지구에서 볼 수 있는 핵폭발을 일으켜 미국 국민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것이었다.[47]
프로젝트 구상 당시, 신문들은 소련이 달에서 수소폭탄을 터뜨릴 계획이라는 소문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소련은 1957년 11월 7일 월식에 맞춰 달에서 핵폭발을 일으켜 10월 혁명일을 기념할 계획이었다. 프로젝트 A119 역시 이와 유사하게 달의 명암 경계선의 어두운 쪽을 폭발 목표로 고려했다.[48]
'수소폭탄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드워드 텔러도 이와 비슷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그는 1957년 2월, 폭발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달 표면과 달 표면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서 핵폭발을 일으킬 것을 제안했다.
3. 1. 연구
레너드 레이펠이 이끄는 10명의 연구팀이 일리노이 공과대학 아머 연구 재단(IIT 연구소)에서 핵폭발의 잠재적 가시성, 과학적 의의, 월면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했다. 연구팀에는 천문학자 제러드 카이퍼와 그의 박사 과정 학생 칼 세이건이 포함되었다. 세이건은 달 주위 먼지 구름의 팽창을 수학적으로 예측하여 지구에서 이 광경을 볼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중요한 임무를 맡았다.[47][49]
과학자들은 처음에는 수소폭탄 사용을 고려했으나, 사용될 미사일의 추진력에 비해 무게가 너무 무거워 미 공군이 반대했다.[50] 대신 작고 가벼우며 상대적으로 낮은 1.7 킬로톤의 위력을 가진 W25 탄두가 채택됐다. 이는 1945년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리틀 보이의 위력 13~18 킬로톤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치였다.[50] W25가 로켓에 실려 달의 어두운 면에서 폭발하면 먼지 구름이 햇빛을 반사하여 지구에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49] 레이펠에 따르면, 미 공군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개발이 진전되어 1959년이면 발사가 가능했을 것이다.[51]
3. 2. 핵무기 선정
과학자들은 처음에 이 프로젝트에 수소 폭탄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미국 공군은 해당 장치의 무게 때문에 이러한 아이디어를 거부했다. 사용될 미사일에 의해 추진되기에는 너무 무거웠기 때문이다.[7] 이후 비교적 낮은 1.7 킬로톤의 위력을 가진 작고 가벼운 탄두인 W25 탄두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5] 1945년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리틀 보이 폭탄은 13~18 킬로톤의 위력을 가지고 있었다. W25는 로켓에 실려 달의 그림자진 쪽으로 향해 충돌 시 폭발할 예정이었다. 폭발로 인한 먼지 구름은 태양에 의해 빛을 받아 지구에서 볼 수 있게 될 것이었다.[5]
3. 3. 취소
1959년 1월, 미 공군은 프로젝트 A119를 취소했다. 발사 실패 시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 위험과 더불어, 방사성 낙진이 이후 달 탐사 및 달 거주 프로젝트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었다.[6][7][50][51] 프로젝트 리더였던 레너드 라이펠(Leonard Reiffel)은 이러한 요인을 언급했다.
4. 소련의 동일 프로젝트
2010년대에 이르러 소련에도 1958년에 미국과 동일한, 달에서 핵무기를 폭발시키는 계획이 있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다.[52] 1958년 1월 시작된 소련의 계획은 코드명 'E'로 명명되었다. 프로젝트 E-1은 달 탐사 계획이었고, E-2와 E-3는 달의 뒷면에 탐사선을 보내 사진을 찍는 것이었다. 마지막 단계인 E-4는 달에 핵폭발을 일으켜 무력을 과시하는 것이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발사체의 안전성과 신뢰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계획 단계에서 취소되었다.[53][54]
5. 결과 및 영향
1963년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과 1967년 우주 조약 체결로 달에서 핵무기를 터뜨리는 것은 금지되었다. 당시 미국과 소련은 고고도 핵폭발 실험을 여러 번 진행했는데, 미국의 하드택 I 작전, 아거스 작전, 피쉬볼 작전과 소련의 프로젝트 K가 대표적이다.[47]
1969년, 미국은 아폴로 11호를 성공적으로 달에 착륙시켜 인류 최초로 달에 사람을 보냈다.[55] 아폴로 계획에 참여했던 과학자 게리 레이텀은 지질학적 구성 연구를 위해 달에서 '아주 작은' 핵 장치를 폭발시킬 것을 제안했지만, 달의 자연 배경 방사선 측정 계획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기각되었다.[56]
아폴로 11호의 성공적인 달 착륙은 냉전 시대 자유 진영 국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민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 과학 기술 발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5. 1. 폭로와 평가
프로젝트 A119는 1990년대까지 대부분 비밀로 유지되었다. 작가 키이 데이비슨이 칼 세이건의 전기를 쓰기 위한 조사를 하던 중 이 프로젝트를 발견했다. 세이건은 1959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밀러 연구소에 제출한 장학금 신청서에서 프로젝트의 세부사항을 언급했는데, 데이비슨은 이것이 국가 기밀 유출이라고 생각했다.[46] 세이건은 A119와 관련된 두 개의 비밀 문서를 유출했는데, 하나는 1958년에 작성한 〈행성천문학의 일부 의문 해소에 달에서의 핵무기 폭발의 가능한 기여〉였고, 다른 하나는 1959년에 작성한 〈핵무기 폭발로 인한 달의 방사선 오염〉이었다.[46] 1958년 I. Filosofo 작성으로 표기된 〈우주 방사선과 달 방사능〉도 1961년 미국 국가연구위원회(NRC)에 제출된 문서에는 칼 세이건의 이름이 있었다.[57] 이 문서들은 프로젝트 A119에서 만든 8개의 보고서 중 일부이며 1987년 모두 폐기되었다.[47]1999년 세이건의 전기 《칼 세이건: 한 인생》이 출간된 직후 《네이처》에 실린 리뷰는 유출 정보의 발견을 강조했다.[58] 리뷰를 본 레너드 레이펠은 《네이처》에 편지를 보내 당시 세이건의 활동이 프로젝트 기밀 유지 위반으로 간주됐음을 확인했다. 레이펠은 이 기회를 통해 프로젝트의 세부사항을 공개했고, 이는 매체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49][59] 그는 "여론을 흔들기 위해 이런 행동까지 고려한다는 사실에 경악했다"고 말하며 사업을 비난했다.[47]
편지가 대중에 알려지자 프로젝트 A119에 대한 정보공개 요청이 접수됐고, 《달 탐사 비행의 연구 - 1권》이 40여 년 만에 공개됐다.[60] 1980년대에 일리노이 공과대학교가 다른 문서들을 폐기했다는 것도 드러났다.
영국의 핵 역사학자 데이비드 로리는 프로젝트 제안을 "저속"하다고 평가하면서, "만약 프로젝트가 진행됐다면 우리는 닐 암스트롱이 "인류의 거대한 도약"을 하는 낭만적인 그림을 갖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47]
6. 한국의 관점
프로젝트 A119가 구상되던 시기, 한국은 미국의 핵우산 아래에서 소련의 위협에 맞서고 있었다. 미국의 핵실험 계획은 한반도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민감한 문제였다. 한국은 미국의 우주 개발 노력을 지지하면서도, 핵무기 사용의 위험성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우려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3] 이는 과학 기술 발전과 국가 안보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당시 한국은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 위협에 직면하고 있었기에, 미국의 핵 능력 과시는 한국 안보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핵전쟁 발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기도 했다.[4]
6. 1. 한국의 과학 기술 발전
주어진 원본 소스와 요약, 그리고 섹션 제목("한국의 과학 기술 발전")을 고려했을 때, 해당 섹션에 맞는 내용을 원본 소스에서 추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마찬가지로, 섹션 내용을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참조
[1]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of the Space Age
http://www.nasa.gov/[...]
NASA
2011-09-08
[2]
웹사이트
Space Exploration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21-03-24
[3]
웹사이트
US planned one big nuclear blast for mankind
https://www.theguard[...]
2000-05-14
[4]
뉴스
Latest Red Rumor: They'll Bomb Moon
https://news.google.[...]
1957-11-01
[5]
웹사이트
U.S. Planned Nuclear Blast on the Moon, Physicist Says
https://select.nytim[...]
2000-05-16
[6]
뉴스
U.S. considered lunar a-bomb blast
https://news.google.[...]
2000-05-18
[7]
웹사이트
U.S. Weighed A-Blast on Moon in 1950s
https://www.latimes.[...]
2000-05-18
[8]
웹사이트
Secret Documents Reveal the Soviet Union Planned a Nuclear Blast on the Moon
https://www.novinite[...]
2021-01-18
[9]
웹사이트
The original E-3 project – exploding a nuclear bomb on the Moon
http://www.svengrahn[...]
Sven Grahn
2011-09-09
[10]
웹사이트
Russia wanted nuclear bomb on moon
http://www.iol.co.za[...]
Independent Online (South Africa)
1999-07-09
[11]
뉴스
Moon madness
https://news.google.[...]
1969-12-21
[12]
뉴스
Scientist Withdraws Plans for Nuclear Blast on Moon
https://news.google.[...]
1970-01-07
[13]
간행물
The Politics of Atmospheric Sciences: "Nuclear Winter" and Global Climate Chang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n behalf of The History of Science Society
2011
[14]
서적
Organic Matter and the Moon
United States National Research Council
1961
[15]
간행물
An exobiologist's life search
1999-10-28
[16]
간행물
Sagan breached security by revealing US work on a lunar bomb project
2000-05-04
[17]
웹사이트
A Study of Lunar Research Flights, Volume I
http://oai.dtic.mil/[...]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11-09-09
[18]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of the Space Age
http://www.nasa.gov/[...]
NASA
2011-09-08
[19]
웹사이트
Space Exploration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21-03-24
[20]
간행물
The Politics of Atmospheric Sciences: "Nuclear Winter" and Global Climate Chang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n behalf of The History of Science Society
2011
[21]
웹사이트
US planned one big nuclear blast for mankind
https://www.theguard[...]
2000-05-14
[22]
뉴스
Latest Red Rumor: They'll Bomb Moon
https://news.google.[...]
1957-11-01
[23]
웹사이트
US planned one big nuclear blast for mankind
https://www.theguard[...]
2000-05-14
[24]
웹사이트
U.S. Planned Nuclear Blast on the Moon, Physicist Says
https://select.nytim[...]
2000-05-16
[25]
웹사이트
U.S. Weighed A-Blast on Moon in 1950s
http://articles.lati[...]
2000-05-18
[26]
웹사이트
U.S. Planned Nuclear Blast on the Moon, Physicist Says
https://select.nytim[...]
2000-05-16
[27]
뉴스
U.S. considered lunar a-bomb blast
https://news.google.[...]
2000-05-18
[28]
웹사이트
U.S. Weighed A-Blast on Moon in 1950s
http://articles.lati[...]
2000-05-18
[29]
뉴스
U.S. considered lunar a-bomb blast
https://news.google.[...]
2000-05-18
[30]
웹사이트
Secret Documents Reveal the Soviet Union Planned a Nuclear Blast on the Moon
https://www.novinite[...]
2021-01-18
[31]
웹사이트
The original E-3 project – exploding a nuclear bomb on the Moon
http://www.svengrahn[...]
Sven Grahn
2011-09-09
[32]
웹사이트
Russia wanted nuclear bomb on moon
http://www.iol.co.za[...]
Independent Online (South Africa)
1999-07-09
[33]
뉴스
Moon madness
https://news.google.[...]
1969-12-21
[34]
뉴스
Scientist Withdraws Plans for Nuclear Blast on Moon
https://news.google.[...]
1970-01-07
[35]
간행물
The Politics of Atmospheric Sciences: "Nuclear Winter" and Global Climate Chang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n behalf of The History of Science Society
2011
[36]
간행물
Organic Matter and the Moon
United States National Research Council
1961
[37]
웹사이트
US planned one big nuclear blast for mankind
https://www.theguard[...]
2011-09-08
[38]
논문
An exobiologist's life search
1999-10-28
[39]
웹사이트
U.S. Planned Nuclear Blast on the Moon, Physicist Says
https://select.nytim[...]
2011-09-09
[40]
논문
Sagan breached security by revealing US work on a lunar bomb project
2000-05-04
[41]
웹사이트
US planned one big nuclear blast for mankind
https://www.theguard[...]
2011-09-08
[42]
웹사이트
A Study of Lunar Research Flights, Volume I
http://oai.dtic.mil/[...]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11-09-09
[43]
웹사이트
US planned one big nuclear blast for mankind
https://www.theguard[...]
2011-09-08
[44]
웹인용
50th Anniversary of the Space Age
http://www.nasa.gov/[...]
NASA
2011-09-08
[45]
웹인용
Space Exploration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21-03-24
[46]
저널
The Politics of Atmospheric Sciences: "Nuclear Winter" and Global Climate Change
2011
[47]
웹인용
US planned one big nuclear blast for mankind
https://www.theguard[...]
2011-09-08
[48]
뉴스
Latest Red Rumor: They'll Bomb Moon
https://news.google.[...]
2011-09-09
[49]
웹인용
U.S. Planned Nuclear Blast on the Moon, Physicist Says
https://select.nytim[...]
2011-09-09
[50]
뉴스
U.S. Weighed A-Blast on Moon in 1950s
http://articles.lati[...]
2011-09-09
[51]
뉴스
U.S. considered lunar a-bomb blast
https://books.google[...]
2024-04-06
[52]
뉴스
Secret Documents Reveal the Soviet Union Planned a Nuclear Blast on the Moon
https://www.novinite[...]
2021-01-18
[53]
웹인용
The original E-3 project – exploding a nuclear bomb on the Moon
http://www.svengrahn[...]
Sven Grahn
2011-09-09
[54]
뉴스
Russia wanted nuclear bomb on moon
http://www.iol.co.za[...]
2011-09-09
[55]
뉴스
Moon madness
https://news.google.[...]
2011-09-09
[56]
뉴스
Scientist Withdraws Plans for Nuclear Blast on Moon
https://books.google[...]
2024-04-06
[57]
서적
Organic Matter and the Moon
1961
[58]
저널
An exobiologist's life search
https://archive.org/[...]
1999-10-28
[59]
저널
Sagan breached security by revealing US work on a lunar bomb project
https://archive.org/[...]
2000-05-04
[60]
웹인용
A Study of Lunar Research Flights, Volume I
http://oai.dtic.mil/[...]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11-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