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달 착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달 착륙은 인류가 달 표면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1960년대 미국과 소련의 우주 경쟁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소련은 1959년 루나 2호를 통해 달에 최초로 충돌했고, 1966년 루나 9호로 최초의 연착륙을 달성했다. 미국은 1969년 아폴로 11호를 통해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달에 발을 디디며 인류 최초의 유인 달 착륙에 성공했다. 이후 1972년까지 총 6번의 유인 달 착륙이 이루어졌으며, 12명의 우주 비행사가 달 표면을 밟았다. 2013년 중국이 창어 3호를 통해 무인 달 착륙에 성공했고, 2023년에는 인도, 일본, 미국 민간 기업이 달 착륙에 성공하며 달 탐사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미국은 아르테미스 계획을 통해 유인 달 착륙을 재개하고, 중국은 2030년대 유인 달 착륙을 목표로 하며, 대한민국도 달 착륙선 개발을 추진하는 등 미래 달 탐사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 탐사 - 더 문
    더 문은 석유 위기 이후 달에서 헬륨-3를 채굴하는 기지에서 근무하는 우주 비행사 샘 벨이 자신의 복제인간을 만나 루나 인더스트리사의 비밀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2009년 SF 영화이다.
  • 달 탐사 - 달의 물
    달의 물은 달 표면과 지하에 존재하는 물을 의미하며, 혜성 충돌, 태양풍 작용 등으로 생성되어 극지방 영구 음영 지역에 얼음 형태로 존재하며, 달 기지 건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달 착륙
개요
달의 착륙 지점 지도
현재까지 연착륙에 성공한 모든 의 위치를 표시한 클릭 가능한 지도 (상단)
상세 정보
종류행성 표면 착륙
관련
우주 탐사
천체 착륙

2. 역사

달 착륙의 역사는 냉전 시대 미국소련 간의 치열한 우주 경쟁과 함께 시작되었다. 최초의 유인 달 착륙은 1969년 7월 20일 닐 암스트롱버즈 올드린이 탑승한 미국아폴로 11호에 의해 달성되었다.[53]

2. 1. 초기 무인 달 탐사 (1958년 ~ 1965년)

1959년 9월 13일 소련루나 2호가 최초로 달 표면에 충돌하였다.[19] 이는 우주선이 고속으로 달에 의도적으로 충돌하는 경착륙이었다. 미국은 1962년 레인저 4호를 통해 이와 같은 경착륙을 성공시켰다.[21]

최초의 연착륙 탐사선인 루나 9호의 그림과 탐사선이 촬영한 달 표면의 첫 번째 모습이 담긴 우표


이후 1966년 소련은 루나 9호와 루나 13호 임무를 통해 최초로 달 연착륙에 성공하고 달 표면에서 첫 번째 사진을 촬영했다.[48] 미국은 5번의 서베이어 연착륙으로 뒤를 이었다.

1958년부터 1964년까지 미국은 파이오니어와 레인저를 통해 달 탐사를 시도했으나, 15번의 연속된 무인 달 탐사 임무에서 주요 사진 촬영 임무에 실패했다.[20] 그러나 레인저 4호와 6호는 2차 임무의 일환으로 소련의 달 충돌을 성공적으로 재현했다.[22]

1962년의 3번의 미국 임무[13][21][23]는 레인저 우주선이 방출한 소형 지진계 패키지를 경착륙시키려 시도했다. 마지막 세 개의 레인저 탐사선은 2.62km/s에서 2.68km/s 사이의 고의적인 충돌 충격 동안 성공적인 고고도 달 정찰 사진 촬영 임무를 수행했다.[24][25][26]

임무발사체발사일목표결과
루나 1세묘르카 – 8K721959년 1월 2일충돌부분적 성공 – 탈출 속도에 도달한 최초의 우주선, 달 통과 비행, 태양 궤도; 달 빗나감
루나 2세묘르카 – 8K721959년 9월 12일충돌성공 – 최초의 달 충돌
루나 3세묘르카 – 8K721959년 10월 4일통과 비행성공 – 달 뒷면의 첫 번째 사진
루나 4세묘르카 – 8K781963년 4월 2일착륙실패 – 달 통과 비행
루나 5세묘르카 – 8K781965년 5월 9일착륙실패 – 달 충돌
루나 6세묘르카 – 8K781965년 6월 8일착륙실패 – 달 통과 비행
루나 7세묘르카 – 8K781965년 10월 4일착륙실패 – 달 충돌
루나 8세묘르카 – 8K781965년 12월 3일착륙실패 – 착륙 시도 중 달 충돌



충돌 직전의 레인저 우주선의 모습


충돌 직전 레인저 8호가 전송한 달 사진 중 하나


임무발사체발사일목표결과
파이오니어 4주노1959년 3월 3일근접 비행부분 성공 – 탈출 속도에 도달한 최초의 미국 우주선, 표적 오류로 인해 사진 촬영을 위한 달 근접 비행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음; 태양 궤도
레인저 4아틀라스 – 아게나1962년 4월 23일착륙부분 성공 – 다른 천체에 도달한 최초의 미국 우주선; 충돌 임팩트 – 사진 반환 없음
레인저 7아틀라스 – 아게나1964년 7월 28일충돌성공 – 4308장의 사진 반환, 충돌 임팩트
레인저 8아틀라스 – 아게나1965년 2월 17일충돌성공 – 7137장의 사진 반환, 충돌 임팩트
레인저 9아틀라스 – 아게나1965년 3월 21일충돌성공 – 5814장의 사진 반환, 충돌 임팩트


2. 2. 유인 달 착륙 시대 (1969년 ~ 1972년)

1969년 7월 20일, 미국아폴로 11호가 인류 최초로 유인 달 착륙에 성공했다. 닐 암스트롱버즈 올드린달 착륙선 ''이글''을 타고 고요의 바다에 착륙하여 달 표면을 걸었다.[53] 이 역사적인 순간은 전 세계 5억 명 이상이 텔레비전으로 시청했으며, 암스트롱이 남긴 "한 인간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다"라는 말은 명언으로 남았다.[53]

최초의 달 착륙 임무의 달 착륙선 조종사였던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에서 아폴로 11호의 선외 활동(EVA) 중에 게양된 미국 국기 옆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이후 미국은 1972년까지 총 6번의 유인 달 착륙 임무를 성공시켰다. 아폴로 11호를 시작으로 아폴로 17호까지, 41개월 동안 12명의 우주 비행사가 달에 착륙했다. 유진 서넌은 달 표면에서 마지막으로 발을 뗀 사람이었다. 모든 아폴로 달 탐사 임무에는 사령선에 남아 있는 세 번째 승무원이 있었다.

닐 암스트롱버즈 올드린이 1969년 7월 20일 달에 최초의 아폴로 달 착륙선을 착륙시켜 고요의 기지를 건설했다. 아폴로 11호는 6번의 아폴로 계획 달 착륙 중 첫 번째였다.


다음은 유인 달 착륙 임무 목록이다.

임무명달 착륙선달 착륙일달 이륙일달 착륙 지점달 표면 체류 시간 (일:시:분)승무원우주 유영 횟수총 우주 유영 시간 (시:분)
아폴로 11호이글1969년 7월 20일1969년 7월 21일고요의 바다0:21:31닐 암스트롱, 에드윈 "버즈" 올드린12:31
아폴로 12호인트레피드1969년 11월 19일1969년 11월 21일폭풍의 바다1:07:31찰스 "피트" 콘래드, 앨런 빈27:45
아폴로 14호안타레스1971년 2월 5일1971년 2월 6일프라 마우로1:09:30앨런 B. 셰퍼드, 에드가 미첼29:21
아폴로 15호팔콘1971년 7월 30일1971년 8월 2일해들리 릴2:18:55데이비드 스콧, 제임스 어윈318:33
아폴로 16호오리온1972년 4월 21일1972년 4월 24일데카르트 고원2:23:02존 영, 찰스 듀크320:14
아폴로 17호챌린저1972년 12월 11일1972년 12월 14일토러스-리트로3:02:59유진 서넌, 해리슨 "잭" 슈미트322:04



아폴로 16호 착륙 직후 달 착륙선 ''오리온'' 창문으로 본 모습


과학자들은 우주 비행사들이 심은 6개의 미국 국기가 40년 이상 태양 방사선에 노출되어 하얗게 변색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57] LROC 이미지를 사용하여 6개의 미국 국기 중 5개가 아폴로 11호를 제외한 모든 장소에서 여전히 서 있고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음이 확인되었다.[58] 우주 비행사 버즈 올드린은 아폴로 11호 이륙 시 상승 엔진의 배기가스에 의해 국기가 날아갔다고 보고했다.[58]

2. 3. 무인 달 탐사의 재개와 발전 (1966년 ~ 현재)

1966년 2월 3일 소련루나 9호가 달 표면에 최초로 연착륙하면서 달 표면 탐사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121] 같은 해 6월 3일, 미국은 서베이어 1호를 폭풍의 대양에 연착륙시켰다. 소련은 루나 계획을 통해 달 표면 탐사 및 샘플 채취 임무를 수행하며 달 탐사 기술력을 발전시켰다.

20세기 후반부터는 일본, 유럽, 중국, 인도 등 여러 국가들이 달 탐사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1990년 1월 24일 발사된 일본의 히텐은 1993년 4월 11일 달 표면에 충돌했다.[59] 1998년 1월 7일 발사된 루나 프로스펙터1999년 7월 31일 달 남극 근처 크레이터에 의도적으로 충돌하며 임무를 종료했다.[60] 2003년 9월 27일 발사된 ESASMART-12006년 9월 3일 달에 의도적으로 충돌했다.[61]

인도 우주 연구 기구(ISRO)는 2008년 11월 14일 달 충돌 탐사선 (MIP)을 섀클턴 크레이터 근처에 충돌시켰다. 찬드라얀 1호2008년 10월 22일 발사되었다.[62] 중국의 창어 1호2007년 10월 24일 발사되어[63] 2009년 3월 1일 달 표면에 의도적인 충돌을 일으켰다. SELENE 또는 ''가구야''는 2007년 9월 14일에 발사되어 2009년 6월 10일 길 분화구 근처에 충돌했다.[64]

LCROSS2009년 6월 18일 달 정찰 궤도선 (LRO)과 함께 발사되어 2009년 10월 9일 달 표면에 충돌했다.[65][66] GRAIL 미션의 두 우주선은 2011년 9월 10일 발사되어[67][68] 2012년 12월 17일 달 표면에 충돌했다.[70] LADEE는 2013년 9월 7일 발사되어[71] 2014년 4월 18일 달의 뒷면에 충돌했다.[72][73]

2013년 12월 16일, 중화인민공화국창어 3호비의 바다에 연착륙하며 21세기 달 탐사 경쟁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122] 창어 3호는 위토 로버를 달에 착륙시켰다.[79]

''위토'' 로버 달 표면


2019년 1월 3일 창어 4호달의 뒷면에 착륙한 최초의 우주선이 되었다.[82] 위투 2호 로버를 배치하여 달의 뒷면을 탐사했다.

달의 뒷면 표면에 있는 중국의 창어 4호 착륙선


창어 4호 착륙선에 의해 배치된 ''위투 2호'' 로버


2023년 8월 23일, 인도찬드라얀 3호는 달 남극 지역에 성공적으로 착륙하여, 달 남극 탐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123]

찬드라얀 3호의 ''비크람'' 착륙선


2024년 1월 20일, 일본SLIM은 술의 바다에 연착륙하여 달에 연착륙에 성공한 다섯 번째 국가가 되었다.[124]

2024년 2월 22일, 미국인튜이티브 머신스의 오디세우스는 달에 착륙한 최초의 민간 우주선이자 극저온 추진제를 사용한 최초의 착륙선이 되었다.[11][102]


3. 과학적 배경

달에 우주선을 보내려면 먼저 지구의 중력 우물을 벗어나야 한다. 현재로서는 로켓이 유일한 실용적인 수단이다. 풍선이나 제트 항공기와 같은 항공기와 달리 로켓은 대기 밖의 진공 상태에서도 가속을 계속할 수 있다.[15]

목표인 달에 접근하면 우주선은 중력으로 인해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달 표면에 가까워진다. 무사히 착륙하려면 속도를 줄여야 한다.[13] 1966년 소련은 튼튼한 카메라로 달에 강착륙하는 데 처음 성공했으며, 불과 몇 달 후 미국이 최초의 무인 연착륙을 달성했다.

달 표면에 충돌 착륙하는 속도는 일반적으로 목표 달의 탈출 속도의 70~100% 사이이며, 따라서 연착륙을 위해 목표 달의 중력 인력에서 벗어나야 하는 총 속도이다. 지구의 달의 경우 탈출 속도는 2.38km/s이다.[14] 델타-v라고 하는 속도 변화는 일반적으로 착륙 로켓이 제공한다.

1959년 소련은 달에 최초로 충돌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15] 충돌 착륙[16]은 우주선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온보드 착륙 로켓이 없는 차량의 경우 의도적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달 충돌은 많이 있었으며, 종종 달 표면의 정확한 위치에 충돌하도록 비행 경로를 제어했다. 예를 들어 아폴로 프로그램 동안 새턴 V 로켓의 S-IVB 3단계와 달 착륙선의 사용된 상승 단계는 달 표면에 남겨진 지진계에서 월진으로 기록되는 충격을 제공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여러 번 달에 추락했다. 이러한 충돌은 달의 내부 구조를 매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지구로 귀환하려면 우주선이 달의 중력 우물에서 탈출하기 위해 달의 탈출 속도를 극복해야 한다. 달을 떠나 우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로켓을 사용해야 한다. 지구에 도달하면 대기 진입 기술을 사용하여 귀환하는 우주선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고 안전한 착륙을 위해 속도를 줄인다.

4. 정치적 배경

냉전 시대에 미국소련의 우주 경쟁은 달 착륙을 위한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

초기 소련의 성공에 자극받은 미국은 아폴로 계획을 통해 소련과의 우주 경쟁에서 승리하고, 미국의 기술적 우위를 과시하고자 했다.

소련 역시 달 착륙을 위한 노력을 경주했다. 1959년 9월 13일 소련루나 2호는 최초로 무인 달 착륙에 성공하였다.[51] 이후 소련은 존드 프로그램과 N1 로켓 개발을 통해 유인 달 착륙을 시도했으나, 여러 기술적 문제와 N1 로켓의 연이은 발사 실패로 인해 결국 유인 달 착륙 계획은 좌절되고, 무인 달 탐사 계획에 집중하게 되었다.[50]

소련의 달 탐사 주요 실패 사례
임무발사일목표결과
(이름 없음)1958년 9월 23일충돌실패 - T+ 93초에 부스터 오작동
(이름 없음)1958년 10월 12일충돌실패 - T+ 104초에 부스터 오작동
(이름 없음)1958년 12월 4일충돌실패 - T+ 254초에 부스터 오작동
(이름 없음)1959년 6월 18일충돌실패 - T+ 153초에 부스터 오작동
(이름 없음)1960년 4월 15일통과 비행실패 - 부스터 오작동, 지구 궤도 도달 실패
(이름 없음)1960년 4월 16일통과 비행실패 - T+ 1초에 부스터 오작동
스푸트니크 251963년 1월 4일착륙실패 - 저지구 궤도에 갇힘
(이름 없음)1963년 2월 3일착륙실패 - T+ 105초에 부스터 오작동
루나 41963년 4월 2일착륙실패 - 달 통과 비행
(이름 없음)1964년 3월 21일착륙실패 - 부스터 오작동, 지구 궤도 도달 실패
(이름 없음)1964년 4월 20일착륙실패 - 부스터 오작동, 지구 궤도 도달 실패
코스모스-601965년 3월 12일착륙실패 - 저지구 궤도에 갇힘
(이름 없음)1965년 4월 10일착륙실패 - 부스터 오작동, 지구 궤도 도달 실패
루나 51965년 5월 9일착륙실패 - 달 충돌
루나 61965년 6월 8일착륙실패 - 달 통과 비행
루나 71965년 10월 4일착륙실패 - 달 충돌
루나 81965년 12월 3일착륙실패 - 착륙 시도 중 달 충돌


4. 1. 미국의 전략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소련과의 우주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유인 달 착륙을 목표로 설정하고 아폴로 계획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19][20]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케네디 대통령의 정책을 이어받아 아폴로 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1969년 유인 달 착륙 성공에 기여했다.[21][22]

유리 가가린을 필두로 한 소련의 세계 최초 유인 우주 비행 성공 이후, 케네디는 국민의 상상력을 사로잡는 우주 계획을 모색했다. 그는 존슨에게 미국의 세계적 리더십을 입증할 과학적 노력을 권고하도록 요청했다. 당시 소련은 미국보다 더 강력한 로켓을 보유하여 일부 우주 임무에서 유리했다.

미국은 유인 달 착륙 경쟁이 소련을 이길 수 있는 최고의 기회라고 판단했다. 케네디는 아폴로 계획을 우주 개발의 이상적인 초점으로 삼았다. 그는 지속적인 자금 지원을 보장하고, 1963년 감세에서 우주 지출을 보호했지만, 다른 NASA 과학 프로젝트에서 자금을 전용했다.

존슨은 스푸트니크 이후 미국 유인 우주 비행 프로그램을 옹호했으며, 상원 의원 시절에 NASA를 설립하는 법안을 후원했다. 1961년 케네디가 소련의 선두에 대응하기 위한 최선의 업적을 연구해 달라고 요청했을 때, 존슨은 유인 달 착륙에서 미국이 소련을 이길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프로그램이 성공하려면, 지지자들은 좌파와 우파 모두의 정치인들의 비판을 물리쳐야 했다. 과학적 성과를 강조하고 소련의 우주 지배에 대한 두려움을 이용하여, 케네디와 존슨은 여론을 바꿀 수 있었다. 1965년까지 미국의 58%가 아폴로 계획을 지지했는데, 이는 2년 전의 33%에서 증가한 수치였다. 존슨이 1963년 대통령이 된 후, 그의 지속적인 프로그램 방어는 케네디가 계획했던 대로 1969년에 성공할 수 있게 했다.

4. 2. 소련의 전략

소련은 미국과의 우주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유인 달 착륙 계획을 추진하였다. 세르게이 코롤료프의 주도하에 소유스 우주선과 N1 발사 로켓 개발에 착수했다. 1964년 새로운 소련 지도부가 들어서면서 유인 달 착륙 계획은 코롤료프의 지휘 아래 통합되었고, 1966년에는 프로톤 로켓과 존드 우주선을 이용한 유인 달 궤도 비행 계획이 추가되었다.[50]

그러나 코롤료프의 사망과 1967년 소유스 1호 비행 실패로 인해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되었다. 1969년 N1 로켓 발사가 연이어 실패하면서 유인 달 착륙 계획은 결국 취소되었다.[50]

소련은 유인 달 착륙 대신 무인 달 탐사선 루나 계획을 통해 달 표면 탐사 및 샘플 채취 임무를 수행했다. 1959년 루나 1호는 달 근접 통과에 성공했고, 루나 2호는 달 표면에 충돌했다. 1959년 루나 3호는 달 뒷면 사진을 촬영했으며, 1966년 루나 9호는 최초로 달 표면에 연착륙했다. 1966년 루나 10호는 달 궤도에 진입한 최초의 인공위성이 되었다. 1970년 루나 16은 달 암석 샘플을 지구로 가져오는 데 성공했지만, 이미 미국의 아폴로 11호아폴로 12호가 달 착륙 및 암석 채취에 성공한 뒤였다.[51]

5. 주요 달 착륙 임무

최초의 무인 달 착륙은 1959년 9월 13일 소련루나 2호가 달성했다. 최초의 유인 달 착륙은 1969년 7월 20일 닐 암스트롱버즈 올드린이 탑승한 미국아폴로 11호였다.

소련루나 9호는 1966년 2월 3일에 최초로 달 연착륙에 성공했다. 에어백을 사용하여 99kg의 캡슐을 보호했으며, 이 캡슐은 15m/s 이상의 충격 속도에서도 생존했다.[47] 루나 13호는 1966년 12월 24일에 비슷한 방식으로 달 착륙에 성공하여 이 업적을 재현했다. 두 우주선 모두 달 표면에서 처음으로 촬영된 파노라마 사진을 전송했다.[48]

루나 16호는 로봇 우주선으로 달에 착륙하여 달 토양 샘플을 지구로 가져온 최초의 우주선이다.[49] 이는 소련의 첫 번째 달 샘플 반환 임무였으며, 아폴로 11호아폴로 12호에 이은 세 번째 달 샘플 반환 임무였다. 이후 루나 20호(1972)와 루나 24호(1976)가 이 임무를 성공적으로 반복했다.

1970년과 1973년에는 두 대의 루노호트 ("문 워커") 로봇 달 탐사차가 달에 전달되어 각각 10개월과 4개월 동안 성공적으로 운영되었으며, 10.5km (루노호트 1호)와 37km (루노호트 2호)를 이동했다.

서베이어 1호 발사


소련 루노호드 자동 달 탐사차의 모형


루나 16호 달 토양 샘플 반환 착륙선의 모형


미국의 서베이어 계획은 유인 달 착륙에 적합한 장소를 찾고, 착륙에 필요한 레이더 및 착륙 시스템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었다. 7번의 임무 중 5번이 무인 달 착륙에 성공했다. 서베이어 3호는 달 착륙 2년 후 아폴로 12호 승무원들이 방문하여 부품을 지구로 가져와 달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의 영향을 조사했다.

아폴로 12호 사령관 피트 콘래드가 서베이어 3호 착륙선 옆에 서 있다. 배경에는 아폴로 12호 착륙선인 달 착륙선 ''인트레피드''가 있다.


2024년 2월 22일,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오디세우스''가 달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이 임무는 NASA, 스페이스X, 인튜이티브 머신스 간의 협력으로 이루어졌으며, 미국이 50년 만에 달에 무인 연착륙한 사건이자, 민간 소유 우주선의 첫 달 착륙 성공 사례이다.[11]

다음은 소련과 미국의 주요 무인 달 착륙 임무를 정리한 표이다.

국가임무질량 (kg)발사체발사일목표결과착륙 구역위도/경도
소련루나-91,580세미요르카 – 8K781966년 1월 31일착륙성공 – 최초의 달 연착륙, 다수의 사진폭풍의 대양7.13°N 64.37°W
루나-131,580세미요르카 – 8K781966년 12월 21일착륙성공 – 두 번째 달 연착륙, 다수의 사진폭풍의 대양18°52N 62°3W
프로톤1969년 2월 19일달 탐사차실패 – 부스터 오작동으로 지구 궤도 진입 실패
프로톤1969년 6월 14일샘플 반환실패 – 부스터 오작동으로 지구 궤도 진입 실패
루나-155,700프로톤1969년 7월 13일샘플 반환실패 – 달 충돌위기의 바다미상
코스모스-300프로톤1969년 9월 23일샘플 반환실패 – 지구 저궤도에 갇힘
코스모스-305프로톤1969년 10월 22일샘플 반환실패 – 지구 저궤도에 갇힘
프로톤1970년 2월 6일샘플 반환실패 – 부스터 오작동으로 지구 궤도 진입 실패
루나-165,600프로톤1970년 9월 12일샘플 반환성공 – 0.1kg의 달 토양을 지구로 반환다산의 바다000.68S 056.30E
루나-175,700프로톤1970년 11월 10일달 탐사차성공루노호트-1 탐사차, 달 표면 10.5km 이동비의 바다038.28N 325.00E
소련루나-185,750프로톤1971년 9월 2일샘플 반환실패 – 달 충돌다산의 바다003.57N 056.50E
루나-205,727프로톤1972년 2월 14일샘플 반환성공 – 0.05kg의 달 토양을 지구로 반환다산의 바다003.57N 056.50E
루나-215,950프로톤1973년 1월 8일달 탐사차성공루노호트-2 탐사차, 달 표면 37km 이동르 모니에 분화구025.85N 030.45E
루나-235,800프로톤1974년 10월 28일샘플 반환실패 – 달 착륙은 성공했지만, 오작동으로 샘플 반환 실패위기의 바다012.00N 062.00E
프로톤1975년 10월 16일샘플 반환실패 – 부스터 오작동으로 지구 궤도 진입 실패
루나-245,800프로톤1976년 8월 9일샘플 반환성공 – 0.17kg의 달 토양을 지구로 반환위기의 바다012.25N 062.20E
미국서베이어 1호292아틀라스 – 센타우르1966년 5월 30일착륙성공 – 11,000장의 사진 반환, 미국 최초의 달 착륙폭풍의 대양002.45S 043.22W
서베이어 2호292아틀라스 – 센타우르1966년 9월 20일착륙실패 – 중간 궤도 엔진 고장, 코페르니쿠스 분화구 남동쪽에 추락중앙의 만004.00S 011.00W
서베이어 3호302아틀라스 – 센타우르1967년 4월 20일착륙성공 – 6,000장의 사진 반환; 로봇 팔 사용폭풍의 바다002.94S 336.66E
서베이어 4호282아틀라스 – 센타우르1967년 7월 14일착륙실패 – 착륙 2.5분 전 무선 통신 두절중앙의 만unknown
서베이어 5호303아틀라스 – 센타우르1967년 9월 8일착륙성공 – 19,000장의 사진 반환, 알파 산란 토양 성분 모니터 첫 사용고요의 바다001.41N 023.18E
서베이어 6호300아틀라스 – 센타우르1967년 11월 7일착륙성공 – 30,000장의 사진 반환, 로봇 팔 및 알파 산란 과학, 엔진 재시동중앙의 만000.46N 358.63E
서베이어 7호306아틀라스 – 센타우르1968년 1월 7일착륙성공 – 21,000장의 사진 반환; 로봇 팔 및 알파 산란 과학티코 분화구041.01S 348.59E


5. 1. 유인 달 착륙 임무

1969년 7월 20일 닐 암스트롱버즈 올드린이 탑승한 미국아폴로 11호가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했다.[53] 이후 1972년 12월 14일 유진 서넌해리슨 슈미트가 탑승한 아폴로 17호까지 총 6번의 NASA 임무를 통해 12명의 우주 비행사가 달 착륙에 성공했다.

각 임무에는 달 착륙선에 탑승한 두 명의 우주 비행사 외에 사령선에 남아 임무를 지원하는 세 번째 승무원이 있었다. 다음은 유인 달 착륙 임무 목록이다.

임무명달 착륙선달 착륙일달 이륙일달 착륙 지점달 표면 체류 시간 (일:시:분)승무원우주 유영 횟수총 우주 유영 시간 (시:분)
아폴로 11호이글1969년 7월 20일1969년 7월 21일고요의 바다0:21:31닐 암스트롱, 에드윈 "버즈" 올드린12:31
아폴로 12호인트레피드1969년 11월 19일1969년 11월 21일폭풍의 바다1:07:31찰스 "피트" 콘래드, 앨런 빈27:45
아폴로 14호안타레스1971년 2월 5일1971년 2월 6일프라 마우로1:09:30앨런 B. 셰퍼드, 에드가 미첼29:21
아폴로 15호팔콘1971년 7월 30일1971년 8월 2일해들리 릴2:18:55데이비드 스콧, 제임스 어윈318:33
아폴로 16호오리온1972년 4월 21일1972년 4월 24일데카르트 고원2:23:02존 영, 찰스 듀크320:14
아폴로 17호챌린저1972년 12월 11일1972년 12월 14일토러스-리트로3:02:59유진 서넌, 해리슨 "잭" 슈미트322:04



; 미국



; 중국

5. 2. 주요 무인 달 착륙 임무

소련루나 9호는 1966년 2월 3일에 최초로 달에 연착륙한 우주선이다.[47] 에어백을 사용하여 99kg의 캡슐을 보호했으며, 이 캡슐은 15m/s 이상의 속도로 충돌해도 손상되지 않았다.[47]

미국의 서베이어 1호는 1966년 6월 3일에 달에 연착륙했다. 레이더 제어 방식의 조정 가능한 추력 역추진 로켓을 사용하여 3개의 착륙 다리에 부드럽게 착륙했다.

중국창어 3호는 2013년 12월 14일에 소프트 랜딩 방식으로 위토 로버를 달에 착륙시켰다.[79][80] 이는 1976년 8월 22일 루나 24호 이후 세계 최초의 달 연착륙이었다.[80]

인도찬드라얀 3호는 2023년 8월 23일에 달 남극 근처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96][97] ''프라그얀'' 로버를 탑재한 착륙선이 착륙했다.

일본의 달 탐사 스마트 착륙선(SLIM) 임무는 2024년 1월 19일에 달에 착륙했다.[98] 이로써 일본은 달에 연착륙한 다섯 번째 국가가 되었다.

미국 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의 ''오디세우스''는 2024년 2월 22일에 달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11] 이 임무는 민간 소유 우주선의 첫 달 착륙 성공 사례이다.[11]

각국의 최초 무인 착륙
연도국가탐사선비고
1966년 2월 3일소련루나 9호[121]
1966년 6월 3일미국서베이어 1호
2013년 12월 16일중화인민공화국창어 3호[122]
2023년 8월 23일인도찬드라얀 3호[123]
2024년 1월 20일일본SLIM[124]


6. 미래의 달 착륙

아르테미스 협정 (파란색) 및 국제 달 연구 기지 (빨간색) 서명국.


여러 국가들이 달 기지 건설, 달 자원 탐사 등을 목표로 새로운 달 탐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아르테미스 계획은 2026년 9월 이후 유인 달 착륙을 재개하고, 달 궤도 관문의 지원을 받아 2028년까지 달에서의 지속적인 활동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8][119] 이 임무에는 최초의 여성 달 탐사 우주 비행사가 포함될 예정이다.[117]

중국은 중국 달 탐사 프로그램을 통해 2025년에서 2028년 사이에 3개의 추가적인 창어 무인 임무를 계획하고 있으며, 중국 유인 우주국은 2029년 또는 2030년까지 유인 달 착륙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창정 10호, 차세대 유인 우주선, 중국 유인 달 착륙선을 개발하고 있다.[120] 또한 2030년대에 러시아, 베네수엘라, 파키스탄, 아랍 에미리트 연합과 함께 국제 달 연구 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인도 우주 연구 기구(ISRO)와 일본 우주 항공 연구 개발 기구(JAXA)는 2025년에 달 탐사 로버와 달 착륙선을 달 남극 지역에 보내는 달 극지 탐사 임무를 공동으로 추진한다.[113][114] JAXA는 H3 로켓을 이용한 발사 서비스와 로버 개발을, ISRO는 착륙선 개발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다. 찬드라얀 3의 성공에 이어 ISRO는 찬드라얀 4를 발사하여 의 남극 에이킨 분지에서 토양을 회수하는 샘플 반환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며, 이는 2028년 말로 예정되어 있다. 두 나라는 모두 아르테미스 계획에도 참여하고 있다.[112][115]

러시아로스코스모스는 2027년에 루나 26으로 달 극지 궤도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참조

[1] 웹사이트 Manned Space Chronology: Apollo_11 http://www.spaceline[...] spaceline.org 2008-02-06
[2] 웹사이트 Apollo Anniversary: Moon Landing "Inspired World" http://news.national[...] 2008-02-06
[3] 웹사이트 Luna 2 https://nssdc.gsfc.n[...] NASA–NSSDC
[4] 뉴스 NASA Apollo 11 40th anniversary http://www.nasa.gov/[...]
[5] 웹사이트 Chinese spacecraft makes first landing on moon's far side https://apnews.com/c[...] 2019-01-03
[6] 뉴스 India Moon Landing: In Latest Moon Race, India Lands First in Southern Polar Region https://www.nytimes.[...] 2023-08-25
[7] 뉴스 Japan announces successful SLIM lunar landing, fifth country to reach moon's surface https://www.cnbc.com[...] 2024-01-19
[8] 뉴스 India lands spacecraft near south pole of moon in world first https://www.theguard[...] 2023-08-23
[9] 웹사이트 Chandrayaan 3 Landing Live: ISRO's Chandrayaan-3 Vikram lander makes successful soft-landing on Moon https://timesofindia[...] 2023-08-23
[10] 뉴스 Japan's Slim spacecraft lands on moon but struggles to generate power https://www.theguard[...] 2024-01-19
[11] Space.com SpaceX gearing up to launch Intuitive Machines private moon lander in February https://www.space.co[...] Space.com 2024-01-31
[12] 웹사이트 Odysseus achieves the first US Moon landing since 1972 https://www.theverge[...] 2024-02-23
[13]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Ranger 3 Details https://nssdc.gsfc.n[...] 2011-02-17
[14] 웹사이트 Escape from the Moon! http://www.googlelun[...] 2011-02-17
[15]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Lun 2 Details https://nssdc.gsfc.n[...] 2011-02-17
[16] 웹사이트 Homepage of V.V Pustynski for students of YFT0060 http://www.aai.ee/~v[...] Tartu Observatory 2011-02-17
[17] 웹사이트 The start of the Space Race (article) https://www.khanacad[...] 2023-11-27
[18] 웹사이트 4 October 1957 – Sputnik 1 https://explainingsc[...] 2023-11-27
[19] JPL Pioneer Mission JPL Pioneer Mission https://web.archive.[...] 2009-09-28
[20] 웹사이트 Lunar Missions 1958 through 1965 https://ntrs.nasa.go[...] Nasa History Series 2009-09-09
[21]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Ranger 4 Details https://nssdc.gsfc.n[...] 2011-02-17
[22]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Ranger 6 Details https://nssdc.gsfc.n[...] 2011-02-17
[23]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Ranger 5 Details https://nssdc.gsfc.n[...] 2011-02-17
[24]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Ranger 7 Details https://nssdc.gsfc.n[...]
[25]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Ranger 8 Details https://nssdc.gsfc.n[...]
[26]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Ranger 9 Details https://nssdc.gsfc.n[...]
[27] 웹사이트 Able 1 (Pioneer 0)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3-11-27
[28] 웹사이트 Able 2 (Pioneer 1)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3-11-27
[29] 웹사이트 Pioneer 2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3-11-27
[30] 웹사이트 Pioneer 3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3-11-27
[31] 웹사이트 Pioneer 4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3-11-27
[32] 웹사이트 Pioneer P-1, P-3, P-30, P-31 https://space.skyroc[...] 2023-11-29
[33] 웹사이트 NASA - NSSDCA - Spacecraft - Details https://nssdc.gsfc.n[...] 2023-11-29
[34] 웹사이트 NASA - NSSDCA - Spacecraft - Details https://nssdc.gsfc.n[...] 2023-11-29
[35] 웹사이트 NASA - NSSDCA - Spacecraft - Details https://nssdc.gsfc.n[...] 2023-11-29
[36] 웹사이트 Mariner Spacecraft https://www.jpl.nasa[...] 2023-11-29
[37] 웹사이트 Ranger Block I Design (Rangers 1 and 2)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3-11-29
[38] 웹사이트 Ranger Block II Design (Rangers 3, 4 and 5)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3-11-29
[39] 웹사이트 Ranger 6, 7, 8, 9 (Block 3) https://space.skyroc[...] 2023-11-29
[40]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Ranger 1 Details https://nssdc.gsfc.n[...] 2011-02-17
[41]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Ranger 2 Details https://nssdc.gsfc.n[...] 2011-02-17
[42] 웹사이트 Ranger 3-4-5 http://www.astronaut[...] 2023-11-30
[43] Youtube Listening In: JFK on Getting to the Moon https://www.youtube.[...] JFK Library
[44] 웹사이트 ch8 https://history.nasa[...] 1985-06-01
[45] 웹사이트 Ranger 3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3-11-30
[46] 웹사이트 Ranger 4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3-11-30
[47] 웹사이트 Astronautix Luna E-6 http://www.astronaut[...] 2022-04-11
[48] 웹사이트 Moon Exploration http://science.natio[...] 2009-09-17
[49] 서적 This New Ocean: The Story of the First Space Age Modern Library
[50] 논문 First Moon landing was nearly a US–Soviet mission 2019-07-10
[51] 문서 The Mission of Luna 16 http://www.zarya.inf[...]
[52] 웹사이트 In the Shadow of the Moon https://www.comingso[...] comingsoon.net 2008-02-07
[53] 서적 In Event of Moon Disaster https://en.wikisourc[...]
[54] 웹사이트 Sir Arthur C. Clarke http://www.arthurccl[...]
[55] 웹사이트 Apollo TV Tapes: The Search Continues http://www.space.com[...] space.com 2008-02-08
[56] 웹사이트 3 original NASA moon landing videos sell for $1.82 million at auction https://www.cnn.com/[...] 2019-07-22
[57] 웹사이트 The American Flags On The Moon Have All Turned White http://www.businessi[...] 2014-07-28
[58] 문서 Apollo Moon Landing Flags Still Standing, Photos Reveal http://www.space.com[...] Space.com 2014-10-10
[59] 문서 Hiten https://nssdc.gsfc.n[...] NSSDC, NASA 2010-10-18
[60] 웹사이트 Eureka! Ice Found At Lunar Poles http://lunar.arc.nas[...] NASA 2012-12-29
[61] 문서 SMART 1 https://nssdc.gsfc.n[...] NSSDC, NASA 2010-10-18
[62] 뉴스 Chandrayaan-I Impact Probe lands on the Moon https://timesofindia[...] 2008-11-15
[63] 뉴스 Chinese probe crashes into mo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3-01
[64] 웹사이트 KAGUYA Lunar Impact http://www.kaguya.ja[...] JAXA 2009-06-24
[65] 웹사이트 NASA's LCROSS Mission Changes Impact Crater http://www.nasa.gov/[...] NASA 2009-11-21
[66] 뉴스 NASA crashes rocket into moon TheStar.com
[67] 웹사이트 Moon-bound twin GRAIL spacecraft launch success EarthSky.org 2011-09-10
[68] 웹사이트 Spaceflight101 http://www.spaceflig[...] 2015-02-11
[69] 웹사이트 First of NASA's GRAIL Spacecraft Enters Moon Orbit http://www.nasa.gov/[...] NASA 2012-01-01
[70] 웹사이트 GRAIL Twins crash into the Moon to complete highly successful Mission http://www.spaceflig[...] 2015-02-11
[71] 웹사이트 Lunar Atmosphere and Dust Environment Explorer (LADEE) http://nssdc.gsfc.na[...] NASA
[72] 뉴스 With Planned Crash, NASA Lunar Mission Comes to End https://www.nytimes.[...] 2014-04-18
[73] 뉴스 NASA's Moon-Orbiting Robot Crashes Down as Planned https://abcnews.go.c[...] 2014-04-18
[74] 웹사이트 NASA's LRO Spacecraft Captures Images of LADEE's Impact Crater http://www.nasa.gov/[...] 2014-10-28
[75] 뉴스 NASA Completes LADEE Mission with Planned Impact on Moon's Surface http://www.nasa.gov/[...] 2014-04-18
[76] 웹사이트 Chinese rocket, not Falcon 9, linked to upper stage on lunar impact trajectory https://spacenews.co[...] 2022-02-13
[77] 웹사이트 A rogue 3-ton piece rocket debris just collided with the moon https://www.space.co[...] 2022-03-03
[78] 뉴스 Abandoned rocket 'hits the Moon' - scientists https://www.bbc.com/[...] 2022-03-04
[79] 뉴스 China lands Jade Rabbit robot rover on Moon https://www.bbc.co.u[...] BBC 2013-12-14
[80] 뉴스 China carries out first soft landing on moon in 37 years https://www.washingt[...] 2013-12-14
[81] 뉴스 China's Yutu rover dies on the moon http://spaceflightno[...] Spaceflight Now 2016-08-04
[82] 뉴스 Chang'e 4: China probe lands on far side of the moon https://www.theguard[...] 2019-01-03
[83] 웹사이트 China launches Chang'e-4 spacecraft for pioneering lunar far side landing mission https://spacenews.co[...] 2018-12-07
[84] 웹사이트 1,000 days on the moon! China's Chang'e 4 lunar far side mission hits big milestone https://www.space.co[...] 2021-10-05
[85] 웹사이트 嫦娥四号完成第44月昼工作 进入第44月夜休眠 http://finance.peopl[...] 2022-07-07
[86] 웹사이트 First privately funded lunar landing https://www.nbcnews.[...] NBC News 2019-02-14
[87] 웹사이트 First privately funded moon lander crash-lands https://www.national[...] 2019-04-11
[88] 뉴스 India announces new date for space launch https://www.bbc.com/[...] 2019-07-18
[89] 뉴스 India moon mission set to launch a week after it was aborted https://www.washingt[...] 2019-07-22
[90] 뉴스 'Chandrayaan 2 will carry NASA's laser instruments to Moon' https://www.thehindu[...] 2019-03-26
[91] 뉴스 ISRO lose contact with Chandrayaan-2 lander during final descent https://www.nasaspac[...] NASA Spaceflight.com 2019-09-06
[92] 웹사이트 Chinese spacecraft sets off on Moon sample quest https://www.bbc.com/[...] 2020-11-23
[93] 웹사이트 China's Chang'e 5 aces lunar orbit docking needed to bring moon samples home https://www.space.co[...] 2020-12-06
[94] 웹사이트 China recovers Chang'e-5 moon samples after complex 23-day mission https://spacenews.co[...] 2020-12-16
[95] 웹사이트 Russia's Luna 25 spacecraft has crashed into the Moon https://arstechnica.[...] 2023-08-19
[96] 웹사이트 Chandrayaan-3 Details https://www.isro.gov[...]
[97] 웹사이트 Chandrayaan-3 https://www.bbc.com/[...] 2023-08-23
[98] 뉴스 Japan Becomes Fifth Country to Land on the Moon https://www.nytimes.[...] 2024-01-19
[99] 뉴스 Japan Explains How It Made an Upside-Down Moon Landing https://www.nytimes.[...] 2024-01-25
[100] 뉴스 Japan's Slim spacecraft lands on moon but struggles to generate power https://www.theguard[...] 2024-01-19
[101] 뉴스 Japan: Moon lander Slim comes back to life and resumes mission https://www.bbc.com/[...] 2024-01-29
[102] 웹사이트 Odysseus achieves the first US Moon landing since 1972 https://www.theverge[...] 2024-02-22
[103] 웹사이트 NASA, Intuitive Machines Share Images from the Moon, Provide Science Updates – Artemis https://blogs.nasa.g[...] 2024-02-28
[104] 문서 2/3 mission plans and procedures in order to deploy its CubeSat camera system. Despite the team's strong effort, the technical complications ultimately resulted in an inability to capture images of the Odysseus lander. https://x.com/SpaceT[...]
[105] Tweet China's Chang'e-6 sample return mission (a first ever lunar far side sample-return) is scheduled to launch in May 2024, and expected to take 53 days from launch to return module touchdown. Targeting southern area of Apollo basin (~43º S, 154º W) 2023-04-25
[106] 웹사이트 China's Chang'e-6 probe arrives at spaceport for first-ever lunar far side sample mission https://spacenews.co[...] 2024-01-10
[107] 웹사이트 China's Chang'e-6 is carrying a surprise rover to the moon https://spacenews.co[...] 2024-05-08
[108] 웹사이트 Chang'e-6 lands on far side of the moon to collect unique lunar samples https://spacenews.co[...] 2024-06-01
[109] tweet 落月时刻 2024-06-02 06:23:15.861
[110] 웹사이트 Future spacecraft landing on Jupiter's moon Europa may have to navigate jagged blades of ice https://www.theverge[...] 2018-10-08
[111] 웹사이트 India's next Moon shot will be bigger, in pact with Japan https://timesofindia[...] 2019-06-21
[112] 웹사이트 Episode 82: Jaxa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ith Professor Fujimoto Masaki https://astrotalkuk.[...] 2019-06-21
[113] 뉴스 After Reaching Mars, India's Date With Venus In 2023 Confirmed, Says ISRO. https://www.indiatim[...] India Times 2019-05-18
[114] 웹사이트 Japan, India to team up in race to discover water on moon https://the-japan-ne[...] 2019-07-30
[115] 웹사이트 Current status of a Japanese lunar polar exploration mission https://confit.atlas[...] 2019-07-25
[116] 뉴스 Text of Remarks at Signing of Trump Space Policy Directive 1 and List of Attendees https://spacepolicyo[...] Space Policy Online 2017-12-11
[117] 웹사이트 Pence Tells NASA to Put Americans on the Moon in 5 Years https://www.usnews.c[...] 2021-02-20
[118] 문서 White House endorses Artemis program https://spacenews.co[...]
[119] 웹사이트 NASA delays Artemis 2 and 3 missions https://spacenews.co[...] 2024-01-09
[120] 뉴스 China sets out preliminary crewed lunar landing plan https://spacenews.co[...] 2023-07-24
[121] 문서 月惑星表面への着陸ダイナミクス https://www.isas.jax[...]
[122] 문서 嫦娥3号の月面着陸成功を国際社会が高く評価 https://spc.jst.go.j[...]
[123] 문서 インドの無人月面探査機、着陸に成功 史上4カ国目 https://www.nikkei.c[...]
[124] 웹사이트 JAXA{{!}}小型月着陸実証機(SLIM)の月面着陸の結果・成果等について https://www.jaxa.jp/[...] JAXA 2024-01-26
[125] 문서 "(参考)「宇宙ロケットは不可能だ」という主張として有名なものに、「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紙が1920年1月に記事にしたものがあるが、それは、自身が持つ推進剤の一部を吐き出すことで反動を得る、というロケットの力学に関係する単純な誤解によるものであり、それを「専門家が月への到達は不可能と言った」と表現するのは誇大化である。なお、2020年現在でもロケットの力学は誰でも正しく把握しているものではないようであり、単純ではあるが当時のNYT紙の誤解はバカにしてよいものではない。"
[126] 웹사이트 中国、2030年までに月面着陸を実現へ https://spc.jst.go.j[...] Science Portal China 2024-10-07
[127] 뉴스 有人月面着陸機は「攬月」 中国、30年までに実現 https://news.yahoo.c[...] 共同通信 2024-10-07
[128] 웹사이트 中国で月面着陸用宇宙服のデザイン公開 2030年までの有人月面着陸目指す https://sorae.info/s[...] sorae 2024-10-07
[129] 문서 Project proposal http://www.history.a[...]
[130] 웹사이트 5 very very strange objects aboard the US Moon probe landing today https://www.sciencef[...] 2024-02-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