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텍터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텍터》는 뉴욕 경찰 형사 빌리가 홍콩으로 납치된 패션쇼 주최자의 딸을 구출하는 과정을 그린 1985년 액션 영화이다. 제임스 그리켄하우스가 감독하고 성룡, 대니 아이엘로가 출연했다. 영화는 미국 버전과 홍콩 버전으로 나뉘며, 성룡은 홍콩 버전의 재편집과 추가 촬영을 통해 작품에 참여했다. 개봉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며, 북미에서는 제한적인 흥행을 거뒀지만, 홍콩과 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는 비교적 좋은 반응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 경찰을 소재로 한 작품 - 캅 아웃
《캅 아웃》은 브루스 윌리스와 트레이시 모건이 주연을 맡은 2010년 미국 버디 코미디 영화로, 뉴욕 경찰 형사들이 정직 처분 후 마약상과 얽히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케빈 스미스 감독이 연출했지만 비평가들의 혹평을 받았고 윌리스와 스미스 감독 간의 불화가 있었다. - 뉴욕 경찰을 소재로 한 작품 - 뉴욕경찰 24시
뉴욕경찰 24시는 1993년부터 2005년까지 방영된 미국의 경찰 드라마로, 뉴욕시 형사들의 일상을 다루며 시청률과 비평 모두에서 성공을 거두고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1985년 영화 - 공포의 휴가길 2
《공포의 휴가길 2》는 웨스 크레이븐이 각본과 감독을 맡고 타마라 스태퍼드 등이 출연한 1985년 미국 공포 영화로, 전편과 유사한 배경에서 살인마 집단에게 공격받는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제작비 대비 높은 수익을 올렸으나 비평가들에게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1985년 영화 - 코쿤
코쿤은 1985년 론 하워드 감독이 연출한 SF 영화로, 플로리다 요양원 노인들과 외계인 팀의 만남을 통해 노년의 삶과 외계 문명과의 조우를 그린다. - 홍콩을 배경으로 한 영화 - 007 두 번 산다
《007 두 번 산다》는 1967년 개봉한 제임스 본드 영화로, 일본을 배경으로 스펙터의 음모를 파헤치기 위해 제임스 본드가 활약하며, 흥행에 성공했으나 일부 비평가들은 스토리의 허술함을 지적하기도 한다. - 홍콩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는 마이클 베이 감독의 2014년 미국 SF 액션 영화이자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으로, 시카고 전투 후를 배경으로 발명가 케이드 예거가 옵티머스 프라임을 발견하면서 인간과 오토봇, 새로운 악당의 대결이 펼쳐지며 새로운 설정이 추가되어 세계관을 확장했으나 비평가로부터 혹평을 받았다.
프로텍터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제임스 글리켄하우스 |
제작 | 데이비드 챈, 셰크 홍-찬, 레이먼드 초우, 레너드 호 |
각본 | 제임스 글리켄하우스, 에드워드 탕 (홍콩 버전만 해당) |
출연 | 성룡, 대니 아이엘로, 교굉, 문리, 피터 양 |
음악 | 켄 손 |
촬영 | 창 야오-추, 마크 어윈, 조니 쿠, 지미 렁, 아디 람, 게리 호 |
편집 | 야오 충-창, 에반 A. 로트먼, 바바라 마이너, 피터 청 |
배급사 | 골든 하베스트 (홍콩), 워너 브라더스 (미국), 도호 도와 (일본) |
개봉일 | 1985년 7월 11일 (홍콩), 1985년 8월 23일 (미국), 1985년 6월 15일 (일본) |
상영 시간 | 91분 (홍콩), 95분 (미국), 96분 (개정판) |
제작 국가 | 홍콩, 미국 |
언어 | 광둥어, 영어 |
홍콩 흥행 수익 | HK$13,917,612 |
미국 흥행 수익 (제한적 개봉) | US$981,817 |
중국어 제목 | 威龍猛探 (위룡맹탐) |
스태프 (개정판) | |
감독 | 성룡 |
각본 | 제임스 글리켄하우스, 덩징성 |
2. 줄거리
배틀 크리크 브로에 이어 성룡이 주연을 맡은 두 번째 미국 영화로, 골든 하베스트와 워너 브라더스가 합작하여 제작하였다.
뉴욕 시 경찰 형사 빌리(성룡)는 강도단과의 싸움에서 파트너를 잃고 패션쇼 경비를 맡게 된다. 하지만 쇼 주최자의 딸 로라(소운 엘리스)가 정체불명의 사람들에게 납치되어 홍콩으로 끌려간다.
빌리는 새 파트너 가로니(대니 아이엘로)와 함께 홍콩으로 파견되지만, 홍콩 경찰 서장은 이들에게 협조적이지 않았다. 빌리 일행은 독자적으로 수사를 진행하여 로라를 납치한 자가 홍콩 마피아 보스 코우임을 밝혀낸다.
결국 빌리는 로라를 구출하지만, 가로니가 인질로 잡히게 된다.
성룡의 홍콩 버전에는 메이퐁 호라는 여성이 새롭게 등장한다. 그녀는 코의 사업 파트너였던 아버지가 살해된 후 샐리라는 가명으로 댄서 생활을 하고 있다. 샐리는 웡과 아버지의 옛 동료인 힝 리를 연결해주지만, 코의 부하가 이들의 대화를 엿듣는다.
이후 코의 보디가드 다이웨이 호는 가로니와 웡의 수사에 대한 우려를 베니 가루치에게 전한다. 힝 리는 윙이라는 정보원을 통해 로라의 위치를 파악하지만 가루치 일당에게 살해당한다. 웡은 샐리의 위험을 감지하고 그녀를 찾아가, 대리 가정부로 일하는 여성이 설치한 폭탄을 제거한다. 샐리의 삼촌이자 안마소 매니저가 나타나 로라의 위치를 알려주고, 웡은 샐리와 삼촌이 미국에서 새 삶을 시작하도록 돕는다.
2. 1. 미국 버전 (제임스 글리켄하우스 감독)
NYPD 소속 경찰관 빌리 웡은 술집 강도 사건에서 범인들을 사살하지만 파트너 마이클을 잃고, 상관들의 분노를 사게 된다. 이후, 패션쇼 도중 가면을 쓴 갱들이 난입하여 악명 높은 갱스터 마틴 샤피로의 딸 로라 샤피로를 납치한다. 범죄 조직 보스 해롤드 코와 마틴 샤피로는 홍콩에서 뉴욕으로 마약을 밀수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샤피로의 보디가드 베니 가루치의 감시를 통해 코가 로라를 몸값으로 홍콩으로 데려갔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웡과 그의 새로운 파트너 대니 가로니는 홍콩으로 가서 현지 연락책 스탠 존스, 힝 리, 그리고 힝의 딸 시우 링을 만난다.[1]경찰들은 마사지 업소와 호텔에서 코가 보낸 자객들의 공격을 피하는 한편, 홍콩 경찰의 화이트헤드 경감은 코가 존경받는 시민이라고 주장하며 지원을 꺼린다. 가로니와 웡은 코가 주최하는 자선 행사에 참석하여 그를 공개적으로 심문한다. 다음 날, 웡, 가로니, 존스는 힝 리가 살해당한 것을 발견한다. 가로니는 가루치를 따라 코의 마약 연구실이 있는 조선소로 향하고, 그곳에서 로라 샤피로가 갇혀 있는 것을 발견한다. 코와 가루치의 만남에서 샤피로의 딸이 납치된 이유는 그녀의 아버지가 코의 마지막 선적 대금을 지불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1]
웡, 가로니, 존스는 마약 연구소를 급습하여 파괴하고 로라를 구출한다. 그러나 가로니는 가루치의 총에 맞고 인질로 잡히게 되며, 빌리가 로라를 코에게 돌려주지 않으면 죽이겠다고 협박한다. 웡은 로라를 화이트헤드 경감에게 넘기기로 결정한다. 웡은 조선소에서 코와 가루치를 만나 화이트헤드 경감이 처음부터 코의 돈을 받고 있었고, 로라를 그의 보스에게 넘겼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웡은 가루치와 코의 경호원들과 싸워 가루치를 죽인다. 스탠 존스와 시우 링이 도착하여 가로니와 로라를 구출하는 것을 돕는다. 코는 헬리콥터를 타고 도망치려 하지만, 웡은 크레인을 조종하여 헬리콥터에 짐을 떨어뜨려 격추시킨다. 코가 죽고 로라가 구출되자, 빌리와 대니는 NYPD 명예 훈장을 받는다.[1]
2. 2. 홍콩 버전 (성룡 감독)
뉴욕 시 경찰의 형사 빌리(성룡)는 강도단과의 싸움에서 파트너를 잃는다. 한 패션쇼의 경비를 담당하던 중, 쇼 주최자의 딸 로라(소운 엘리스)가 정체불명의 자들에게 유괴되어 홍콩으로 끌려간다.빌리는 새로운 파트너 가로니(대니 아이엘로)와 함께 홍콩으로 파견되지만, 홍콩의 서장은 둘에게 냉담하여 협력을 얻을 수 없었다. 마음대로 수사를 진행하는 빌리 일행은, 로라를 납치한 자가 홍콩 마피아의 보스 코우임을 밝혀낸다.
결국 빌리는 로라를 구출하지만, 대신 가로니가 적의 손에 넘어가 버린다.
3. 출연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
후지 TV판 | 소프트판 | ||
빌리 웡 | 성룡 | 이시마루 히로야 | |
대니 가로니 | 대니 아이엘로 | 아오노 타케시 | 겐다 텟쇼 |
로라 샤피로 | 손 엘리스 | 타츠이 쿠미코 | 혼다 타카코 |
해롤드 코 | 로이 차오 | 사사오카 시게조 | 이케다 마사루 |
샐리 | 살리 엽 | 한 메구미 | |
소 린 | 문 리 | 히로나카 쿠미코 | 사카키바라 나오코 |
스탠 존스 | 킴 바스 | 타케무라 타쿠 | |
베니 가루치 | 빌 월레스 | 토쿠마루 칸 | 타나카 마사히코 |
화이트헤드 서장 | 리처드 클라크 | 오오키 타미오 | 타하라 아르노 |
리 힌 | 피터 양 | 후지모토 조 | 나카노 유타카 |
본부장 | 로난 오케이시 | 키타무라 코이치 | 히로세 마사시 |
밥 칸트렐 | 론 파라디 | 나카키 류지 | 아이자와 마사키 |
마이클 알렉산더 | 패트릭 제임스 클라크 | 오오타키 신야 | |
코의 측근 | 데이비드 호 | 진실 일로 | |
서장 | 빅터 아놀드 | 반 슈 |
- 소프트판 성우: DVD, BD 수록, NETFLIX 배포
- * 연출: 이치키 미츠루
- * 제작: 테라다 고 (아우라), 쿠리바야시 히데토 (크립프로)
- * 더빙 제작 스튜디오: 스튜디오 자우루스
- * 그리켄하우스판으로 제작.
- 후지 TV판 성우: 첫 방송 1987년 4월 11일 『골든 외화 극장』, 익스트림 에디션 BD 수록
- * 번역: 누카다 야에코
- * 효과: 쓰리 사운드
- * 조정: 타카하시 히사요시
- * 연출: 츠보이 타다시
- * 성룡판으로 제작.
3. 1. 주연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
후지 TV판 | 소프트판 | ||
빌리 웡 | 성룡 | 이시마루 히로야 | |
대니 가로니 | 대니 아이엘로 | 아오노 타케시 | 겐다 텟쇼 |
로라 샤피로 | 손 엘리스 | 타츠이 쿠미코 | 혼다 타카코 |
해롤드 코 | 로이 차오 | 사사오카 시게조 | 이케다 마사루 |
샐리 | 살리 엽 | 한 메구미 | |
소 린 | 문 리 | 히로나카 쿠미코 | 사카키바라 나오코 |
스탠 존스 | 킴 바스 | 타케무라 타쿠 | |
베니 가루치 | 빌 월레스 | 토쿠마루 칸 | 타나카 마사히코 |
화이트헤드 서장 | 리처드 클라크 | 오오키 타미오 | 타하라 아르노 |
리 힌 | 피터 양 | 후지모토 조 | 나카노 유타카 |
본부장 | 로난 오케이시 | 키타무라 코이치 | 히로세 마사시 |
밥 칸트렐 | 론 파라디 | 나카키 류지 | 아이자와 마사키 |
마이클 알렉산더 | 패트릭 제임스 클라크 | 오오타키 신야 | |
코의 측근 | 데이비드 호 | 진실 일로 | |
서장 | 빅터 아놀드 | 반 슈 |
- 성룡과 대니 에일로는 주연 배우이다.[1][2]
3. 2. 조연
예첸원 (샐리 역)이새봉 (소 린 역)
빅터 아놀드 (서장 역)
선웨이
양췬
리하이성
풍극안
킴 베스 (스탠 존스 역)
제스 캐머런-글리켄호스
알 세룰로
교굉
리처드 클락 (화이트헤드 서장 역)
진실 일로 (코의 측근 역)
3. 3. 한국어 더빙 성우진(KBS, 2002년 2월 13일)
4. 제작 과정
《배틀 크리크 브로》로 미국에 처음 진출한 성룡이 연이어 주연을 맡은 미국 영화 제2탄으로, 홍콩의 골든 하베스트사와 워너 브라더스의 합작으로 제작되었다.[1]
항목 | 내용 |
---|---|
감독·원안 | 제임스 그리켄하우스 |
각본 | 에드워드 탕 |
액션 감수 | 성가반 |
음악 | 켄 손 |
제작 총지휘 | 추 레이몬드 |
제작 | 데이비드 창, 레너드 호 |
제작 회사 | 골든 하베스트, 워너 브라더스 |
초창기 《프로텍터》는 로버트 클루즈 감독이 쓴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었으며, 골든 하베스트의 미국 파트너인 프레드 와인트라웁이 제작을 맡아 1982년 크리스마스에 촬영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 버전은 《프로젝트 A》의 촬영 지연으로 연기된 후 보류되었다.[1] 이후 이 영화는 스튜디오의 다음 계약 스타인 신시아 로스록을 위한 미국 진출작인 《차이나 O'브라이언》으로 재포장되었다.[2] 골든 하베스트의 제작 책임자 톰 그레이가 《터미네이터》의 성공에 힘입어 제임스 그리켄하우스 감독에게 연락하면서 영화는 리부트되었다. 그리켄하우스와 성룡은 1984년 칸 영화 시장을 방문하여 이 영화에 대해 논의했으며, 당시 "넘버원 액션 감독이 넘버원 액션 스타를 만났을 때... 조심해!"라는 슬로건으로 홍보되었다.[2][3]
1984년 10월 뉴욕에서 촬영이 시작되었다.[3] 뉴욕 촬영은 영화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외부 장면으로만 구성되었다. 이스트강 추격 장면에 등장하는 "맨해튼 익스프레스" 파워보트는 모터스포츠의 열렬한 팬이었던 감독 그리켄하우스가 소유했지만, 결말 부분에서는 복제품이 폭파되었다. 이 스턴트는 성룡이 아닌 그의 친구이자 대역인 장영발이 수행했다.[4] 내부 장면을 포함한 나머지 촬영은 두 달 뒤 홍콩에서 진행되었다.[5] 성룡은 촬영 중 손 부상을 입었다.[9]
영화 《프로텍터》 제작은 감독과 주연 배우 모두에게 만족스럽지 못했다. 성룡은 서양 영화 제작자들이 액션 안무에 같은 비중을 두지 않는다고 불평했다. 그는 홍콩에서는 한 달이나 걸릴 수 있는 싸움 장면을 불과 이틀 만에 촬영해야 했다고 말했다.[6] 감독은 성룡이 일본에서 음악 활동을 홍보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방문하여 촬영에 차질이 생겼다고 불만을 표했다.[7] 홍콩에서는 이미 싸움 장면을 짧은 세그먼트로 나누어 카메라 앵글을 잡았지만, 그리켄하우스는 전통적인 마스터 샷 사용을 고집했다. 또한, 거친 분위기를 선호하는 미국 감독은 언더크랭킹과 같이 홍콩 동료들이 액션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각적 기교를 거부했다.[2]
빌 월리스의 목소리는 그리켄하우스가 그의 연기가 기준 미달이라고 판단한 후 다시 녹음되었다.[2] MPAA는 영화가 R 등급을 받도록 하기 위해, 원래 술집 총격전 장면에서 몇 군데를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11]
그리켄하우스의 작업에 불만을 품은 성룡은 영화를 광범위하게 재편집하고, 일부 장면을 다시 촬영했으며, 자신의 기존 팬들을 만족시키고 미국 감독의 착취적인 스타일을 완화하기 위해 에드워드 탕이 쓴 새로운 자료를 추가했다.[9]
4. 1. 개발
초창기 《프로텍터》는 로버트 클루즈 감독이 쓴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었으며, 골든 하베스트의 미국 파트너인 프레드 와인트라웁이 제작을 맡아 1982년 크리스마스에 촬영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 버전은 《프로젝트 A》의 촬영 지연으로 연기된 후 보류되었다.[1] 이후 이 영화는 스튜디오의 다음 계약 스타인 신시아 로스록을 위한 미국 진출작인 《차이나 O'브라이언》으로 재포장되었다.[2] 골든 하베스트의 제작 책임자 톰 그레이가 《터미네이터》의 성공에 힘입어 제임스 글리켄하우스 감독에게 연락하면서 영화는 리부트되었다. 글리켄하우스와 성룡은 1984년 칸 영화 시장을 방문하여 이 영화에 대해 논의했으며, 당시 "넘버원 액션 감독이 넘버원 액션 스타를 만났을 때... 조심해!"라는 슬로건으로 홍보되었다.[2][3]4. 2. 촬영
1984년 10월 뉴욕에서 촬영이 시작되었다.[3] 뉴욕 촬영은 영화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외부 장면으로만 구성되었다. 이스트강 추격 장면에 등장하는 "맨해튼 익스프레스" 파워보트는 모터스포츠의 열렬한 팬이었던 감독 글리켄하우스가 소유했지만, 결말 부분에서는 복제품이 폭파되었다. 이 스턴트는 성룡이 아닌 그의 친구이자 대역인 장영발이 수행했다.[4] 내부 장면을 포함한 나머지 촬영은 두 달 뒤 홍콩에서 진행되었다.[5] 성룡은 촬영 중 손 부상을 입었다.[9]영화 《프로텍터》 제작은 감독과 주연 배우 모두에게 만족스럽지 못했다. 성룡은 서양 영화 제작자들이 액션 안무에 같은 비중을 두지 않는다고 불평했다. 그는 홍콩에서는 한 달이나 걸릴 수 있는 싸움 장면을 불과 이틀 만에 촬영해야 했다고 말했다.[6] 감독은 성룡이 일본에서 음악 활동을 홍보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방문하여 촬영에 차질이 생겼다고 불만을 표했다.[7] 홍콩에서는 이미 싸움 장면을 짧은 세그먼트로 나누어 카메라 앵글을 잡았지만, 글리켄하우스는 전통적인 마스터 샷 사용을 고집했다. 또한, 거친 분위기를 선호하는 미국 감독은 언더크랭킹과 같이 홍콩 동료들이 액션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각적 기교를 거부했다.[2]
성룡은 제한적인 영어 실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인 캐릭터를 연기해야 하는 것을 싫어했다. 대사 코치가 현장에 있었지만, 성룡이 블로킹을 따라갈 수 있도록 시각적 신호에 의존해야 했고, 이는 그의 연기를 더욱 방해했다.[5] 그는 글리켄하우스가 자신에게 "클린트 이스트우드처럼 연기해야 해. 넌 뉴욕 경찰이야."라고 말했던 것을 회상했다. "난 뉴욕 경찰이라고?! 내 영어는 어쩌고? 촬영장에서 매일 '뉴 욕. 아임 프롬 뉴 욕. 뉴 욕'이라고 연습했지."[8] 그러나 성룡은 자서전에서 그를 이스트우드 스타일의 집행관으로 재창조하려는 결정은, 성룡의 아시아 스타일을 유지했던 《배틀 크레이지》가 실망스러운 반응을 얻은 것에 대한 골든 하베스트의 미국 지부 임원인 앙드레 모건이 주도했다고 말했다.[9]
성룡은 골든 하베스트 임원 하관창에게 전화하여 감독을 해임해 달라고 위협하며 계약을 파기하려고 했지만, 그의 계약은 철통같다는 답변만 들었다고 회상했다.[9] 글리켄하우스는 촬영 기간 동안 성룡과의 관계가 원만하게 유지되었으며, 어떤 종류의 영화를 만들고 있는지 미리 그에게 분명히 설명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자신이 성룡의 팀으로부터 감독 제안을 받았으며, 그들의 고용이 나타내는 급격한 변화를 무시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2][10]
4. 3. 후반 작업
빌 월리스의 목소리는 글리켄하우스가 그의 연기가 기준 미달이라고 판단한 후 다시 녹음되었다.[2] MPAA는 영화가 R 등급을 받도록 하기 위해, 원래 술집 총격전 장면에서 몇 군데를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11]글리켄하우스의 작업에 불만을 품은 성룡은 영화를 광범위하게 재편집하고, 일부 장면을 다시 촬영했으며, 자신의 기존 팬들을 만족시키고 미국 감독의 착취적인 스타일을 완화하기 위해 에드워드 탕이 쓴 새로운 자료를 추가했다.[9] 1996년 인터뷰에서 글리켄하우스는 홍콩 버전에 대해 알지 못하지만, 자신이 최종 편집 권한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골든 하베스트는 영화를 변경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다.[2] 그러나 2012년에 그는 추문회 골든 하베스트 사장이 성룡이 영화를 재편집하기 전에 자신의 허락을 구했으며, 새로운 버전에 대한 수수료까지 지급했다고 언급했다.[10]
5. 버전 차이
제임스 그리켄하우스 감독은 영화 《더티 해리》와 같은 작품을 의도했으나, 재키 찬(성룡)과는 촬영 초기부터 상당히 반목했으며, 특히 액션 연출에 대해 두 사람은 결정적으로 의견 차이를 보였다.[46] 이 때문에 작품의 완성도에 불만을 품은 재키 찬(성룡)이 제작사인 워너 브라더스에 항의했고, 결국 아시아 지역에서 공개되는 버전은 재키 찬(성룡)이 감독으로서 수정 작업을 하는 것을 승인받았다. 이 행동에 대해 골든 하베스트 측의 레이먼드 초우 사장은 워너 브라더스와의 계약 위반을 우려했지만, 최종적으로 수정에 필요한 비용을 모두 재키 찬(성룡)이 개인적으로 부담하고, 재키 찬(성룡)의 책임하에 진행하는 조건으로 눈감아주었다.
작품의 수정 권한을 얻은 재키 찬(성룡)은 각본을 수정하고, 새로운 등장인물을 추가했으며, 대부분의 액션 장면을 다시 촬영했다. 그리켄하우스가 완성한 장면과 교체하고, 새로운 장면들을 추가하였다. 재키 찬(성룡)은 "자신의 작품에 어울리지 않는다"라며 욕설을 하는 대사 장면 등을 모두 삭제하고, 적의 비밀 공장에서 일하는 인물을 전라 여성에서 흰 가운을 입은 남자로 변경하여 다시 촬영했다. 이처럼 본 작품에는 서구권에서 공개된 오리지널 버전(그리켄하우스 버전)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공개된 재키 찬(성룡) 버전의 두 종류가 존재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오리지널 버전은 재키 찬(성룡) 본인에게는 매우 불만족스러운 완성도로 제작되었지만, 미국 영화로 본다면 통일성 있는 작품으로 완성되었으며, 재키 찬(성룡) 버전은 액션 장면은 훌륭하게 다시 촬영되었지만, 그리켄하우스와 재키 찬(성룡)의 연출이 혼합되어, 짜깁기한 듯한 인상이 강하다.
본 작품의 비디오 및 DVD 소프트웨어에 관해, 오리지널 버전은 미국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화되었지만, 그 외의 국가에서는 주로 재키 찬(성룡) 버전을 출시하고 있다.
엔딩의 NG 장면도 일본 독자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 본 작품은 1981년에 기획되었으며 1982년에 촬영 시작 예정이었으나 《프로젝트 A》 제작을 위해 일단 기획이 중단되었다. 1984년에 촬영이 시작되었으며, 재키 찬(성룡)은 9월 17일에 뉴욕으로 갔다. 약 1개월 반 후인 10월 16일에 촬영을 마치고 홍콩으로 돌아와, 다시 홍콩에서 12월까지 추가 촬영을 했다.
- 헬리콥터 장면에서는 약 1219.20m의 필름이 소모되었으며, 이 장면만으로 약 500000USD의 제작비가 투입되었다.
- 미국 로케이션에서는 뉴욕시가 전면 협조했으며, 사우스 브롱크스 로케이션 시에는 "펑크스"라고 불리는 거리의 불량배들이 맥주만 받고 우정 출연했다.
- 홍콩 로케이션에서도 皇家香港警察(황가홍콩경찰)가 전면 협조하여, 수백 명의 경찰이 협력했다. 클라이맥스의 무장 헬리콥터 장면에서는 3대의 헬리콥터가 완전히 파괴되었다.
5. 1. 홍콩 버전 (성룡)
홍콩 관객을 위해 새로운 하위 줄거리가 추가되어 현지 음악 스타 샐리 예가 등장한다.[9] 모든 욕설이 삭제되었고, 미국식 속어도 대체되었다. 홍콩 편집본은 욕설을 제대로 번역하지 않고 모든 영어 대사를 더빙하여, 때로는 대사의 전체 맥락을 바꾸기도 한다.모든 여성 누드가 삭제되었으며, 약물 실험실은 옷을 완전히 갖춰 입은 실험실 직원들을 보여주도록 다시 촬영되었고, 누드 마사지 장면은 잘려나갔다.[9] 특정 장면의 음악이 약간 다르며, 칩 테일러의 엔딩 크레딧 곡은 반복되는 스코어 큐로 대체되었다.
제임스 그리켄하우스 감독은 영화 《더티 해리》와 같은 작품을 의도했으나, 재키 찬(성룡)과는 촬영 초기부터 상당히 반목했으며, 특히 액션 연출에 대해 두 사람은 결정적으로 의견 차이를 보였다.[46] 이 때문에 작품의 완성도에 불만을 품은 재키 찬(성룡)이 제작사인 워너 브라더스에 항의했고, 결국 아시아 지역에서 공개되는 버전은 재키 찬(성룡)이 감독으로서 수정 작업을 하는 것을 승인받았다.
작품의 수정 권한을 얻은 재키 찬(성룡)은 즉시 각본을 수정하고, 출연자들을 다시 모아 새로운 등장인물(샐리 등)을 추가했으며, 대부분의 액션 장면을 재키 찬(성룡)이 감독하여 다시 촬영하고, 그리켄하우스가 완성한 장면과 교체했다. 또한 수정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샐리를 찾아간 스포츠 체육관에서의 액션이나, 리가 습격당했을 때의 전투 장면 등 새로운 장면들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재키 찬(성룡)은 "자신의 작품에 어울리지 않는다"라며 《더티 해리》 스타일로 욕설을 하는 대사 장면 등을 모두 삭제하고, 적의 비밀 공장에서 일하는 장면에서는, 일하는 인물을 전라 여성에서 흰 가운을 입은 남자로 변경하여 다시 촬영했다.
5. 2. 일본 확장 버전
일본어 버전은 성룡 편집본의 "확장판"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오프닝 크레딧은 영어로 되어 있지만 엽천문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다.
- 나중에 TV용으로 일본어 더빙이 제작되었지만, 표준 일본어 버전에서는 미국에서 촬영된 모든 장면은 영어 오디오 트랙을 사용하고, 홍콩에서 촬영된 모든 장면은 광둥어 더빙을 사용한다. 그러나 영어 장면의 사운드 믹스는 광둥어 버전과 더 유사하다.
- 홍콩 버전에서 삭제된 몇몇 장면이 복원되었으며, 해당 배경에 맞춰 광둥어로 음성이 입혀졌다. 반면, 복원된 장면과의 일관성을 위해 기존 광둥어 더빙의 몇몇 대사가 수정되었다. 홍콩 컷에 처음 등장했던 일부 장면은 홍콩 버전과 달리 장소에 따라 광둥어가 아닌 영어로 음성이 입혀졌다.
- 일본어 버전에는 아웃테이크 크레딧이 독점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6. 평가
시카고 트리뷴의 릭 코건은 이 영화를 "모험 영화의 진부함과 즐거운 놀라움의 흥미로운 조합"이라 칭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액션 장면의 "스타일과 창의성"과 제임스 글리켄하우스 감독의 "신선하고 깔끔한" 연출을 언급하며, 성룡을 "매우 호감 가는 배우", 대니 아이엘로를 "완벽한 파트너"라고 평가했다.[34] 버라이어티 또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오프닝 보트 추격 장면이 "제임스 본드 영화와 견줄 만하다"고 평했고, "전반적으로 흐르는 유머"와 성룡의 "초인적인 곡예"를 칭찬했다.[35] ''비디오 리뷰''는 성룡을 척 노리스의 침묵의 코드처럼 주류로 끌어들이기 위한 "뛰어난 무술 중심의 모험"이라 칭찬했지만, 엉망인 영어 때문에 보기가 더 어려웠다고 평했다.[36]
반면, 뉴욕 타임스의 존 파렐스는 "이 영화는 적절한 예산을 가지고 있지만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 그는 성룡의 이전 작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정통 격투 장면"을 지적했지만, "성룡과 왈라스 씨의 마지막 격투 장면"은 좋았다고 인정했다.[37] 뉴욕 데일리 뉴스의 얀 허먼은 "사우스 브롱스와 맨해튼의 생생한 장면과 이스트 강에서 보트와 헬리콥터가 결합된 추격 장면으로 시작하지만 그 다음부터는 상당히 지루해진다"고 썼으며, "무술 액션의 부족"과 성룡의 "거의 이해할 수 없는" 영어를 단점으로 꼽았다.[38]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의 데스몬드 라이언은 성룡이 ''익스터미네이터''의 감독과 함께 작업한 결정에 대해 비판하며, 글리켄하우스가 행동을 다소 깨끗하게 정리했지만 여전히 관객의 "버니 고츠 판타지"에 영합했다고 지적했다.[39] 볼티모어 이브닝 선의 루 세드론은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성룡에게 "그의 재능을 보여줄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영화는 스턴트로 가득하지만, 그것이 전부다"라고 불평했고, "이 시점에서 영화 역사상 즉시 하품을 유발하는 추격"이라고 평했다. 그는 악당들이 "늘상 마약 거래에 연루"되고 "체인톱으로 무장한 미치광이"와 같은 진부한 설정에 대해 불만을 표하며, "''프로텍터''는 때로는 뻔뻔하고 때로는 당황스럽다"고 결론을 내렸다.[40]
7. 흥행
''프로텍터''는 1985년 8월 23일 뉴욕 대도시권에서 개봉했다.[12] 이후 9개월에 걸쳐 여러 지역을 돌며 개봉했으나, 애틀랜타와 같은 주요 시장은 건너뛰었다.[13] 1985년 11월 22일부터 연휴 전 한산한 기간 동안 센트럴 밸리에서 몇 차례 상영되었으며,[14][15][16] 1986년 5월 23일에는 로스앤젤레스와 베이 에어리어의 드라이브 인 극장에서 상영되었다.[17][18] 이후에는 워너에서 같은 시기에 개봉한 영화 ''코브라''와 함께 더블 피처로 상영되기도 했다.[18] 또한 1985년 10월 7일 토론토에서 시작하여 캐나다에서도 순회 개봉했다.[19]
유럽에서는 미지근한 반응을 보였지만, 《배틀 크레이지》가 예상외의 흥행을 거둔 프랑스에서는 다른 지역보다 관대했다.[30][31][32] 사무엘 하다이다(Samuel Hadida)의 메트로폴리탄 필름익스포트(Metropolitan Filmexport)는 성룡의 옛 코미디 영화 《용소야》의 판권을 사들여 그의 새로운 영화 개봉에 맞춰 《르 프로텍터》(Le Protecteur)로 빠르게 제목을 변경했다.[33]
7. 1. 북미
박스 오피스 모조(Box Office Mojo)는 《프로텍터》(The Protector)가 제한적인 상영 기간 동안 981,817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으며,[25] 이는 2024년 인플레이션을 감안할 때 약 300만달러에 해당한다.[26]7. 2. 홍콩
성룡이 재편집한 버전은 홍콩에서 13917612HKD를 벌어들였는데,[27] 이는 상당한 금액이지만 당시 성룡의 국내 영화들보다는 훨씬 적었다.7. 3. 대한민국
는 일본과 대한민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괜찮은 반응을 얻었다.[28][29] 1986년 5월 24일에 개봉하여 서울에서 9만 9천 명의 관객을 기록했다.8. 기타
진가신이 조감독을 맡았다.
참조
[1]
서적
Dying for Action: The Life and Films of Jackie Chan
https://archive.org/[...]
Warner Books
1997-10-01
[2]
서적
Hong Kong Action Cinema
https://archive.org/[...]
The Overlook Press
1995-01-01
[3]
promotional material
'The Protector' Cannes Film Market advertisement
https://www.ebay.com[...]
Golden Harvest Group
2024-09-26
[4]
뉴스
Hanging around the N.Y. harbor
https://www.newspape[...]
2024-09-26
[5]
서적
The Essential Jackie Chan Sourcebook
https://archive.org/[...]
Pocket Books
1997-01-01
[6]
뉴스
Pow crash bang! It's Jackie Chan
https://www.newspape[...]
2024-09-26
[7]
웹사이트
The Deuce Notebook: The United States of Glickenhaus
https://mubi.com/en/[...]
2024-09-26
[8]
뉴스
Chan's land of chop-portunity
https://www.newspape[...]
2024-09-26
[9]
서적
I am Jackie Chan: My Life in Action
Ballantine Books
1999-01-01
[10]
웹사이트
Out of Control: James Glickenhaus
https://www.flashbac[...]
2024-09-26
[11]
웹사이트
Protector, The (Comparison: Old R-rated Version – New R-Rated DVD)
https://www.movie-ce[...]
2021-03-31
[12]
뉴스
New on Long Island
https://www.newspape[...]
2024-09-26
[13]
뉴스
Odds 'n' Ends
https://www.newspape[...]
2024-09-26
[14]
뉴스
'The Protector' advertisement
https://www.newspape[...]
2024-09-26
[15]
뉴스
Film capsules
https://www.newspape[...]
2024-09-26
[16]
뉴스
'The Protector' advertisement
https://www.newspape[...]
2024-09-26
[17]
뉴스
Drive-in theatres
https://www.newspape[...]
2024-09-26
[18]
뉴스
Bay Area Movie Guide: Drive-in Movies
https://www.newspape[...]
2024-09-26
[19]
뉴스
Opening
https://www.newspape[...]
2024-09-26
[20]
뉴스
New Warner Releases
https://www.newspape[...]
2024-09-26
[21]
웹사이트
Protector, The (1985) [11538 LV]
https://www.lddb.com[...]
2024-04-28
[22]
웹사이트
The Protector DVD
https://www.blu-ray.[...]
2024-04-28
[23]
웹사이트
Jackie Chan: Crime Story / The Protector Blu-ray
https://www.blu-ray.[...]
2024-04-28
[24]
웹사이트
Protector (The) aka Wei long meng tan (Blu-ray) (1985)
https://www.dvdcompa[...]
2024-04-28
[25]
웹사이트
The Protector (1985) – Box Office Mojo
https://www.boxoffic[...]
2019-02-27
[26]
웹사이트
The Protector (1985) – United States
http://www.jpbox-off[...]
2022-04-19
[27]
HKMDB
The Protector
[28]
웹사이트
【ジャッキーチェン興行成績】 第12回:日本での興行収入
http://kungfutube.in[...]
2018-12-07
[29]
웹사이트
KOFIC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
http://www.kobis.or.[...]
한국영화진흥위원회
2018-11-08
[30]
웹사이트
Top 100 Deutschland 1986
https://www.insideki[...]
2023-04-02
[31]
웹사이트
Protector, El
https://sede.mcu.gob[...]
Instituto de la Cinematografía y de las Artes Audiovisuales
2023-04-02
[32]
웹사이트
Le Retour Du Chinois (The Protector)
http://www.jpbox-off[...]
2021-11-11
[33]
아카이브
Immatriculation
https://rca.cnc.fr/r[...]
1985-03-28
[34]
뉴스
The Protector
https://www.newspape[...]
2024-09-26
[35]
뉴스
The Protector
https://www.variety.[...]
2010-11-03
[36]
잡지
Movie Guide
https://archive.org/[...]
Viare Publishing
1986-06-01
[37]
뉴스
Screen: 'The Protector,' featuring Jackie Chan
https://www.nytimes.[...]
1985-08-24
[38]
뉴스
Bruce Lee, where are you?
https://www.newspape[...]
1985-08-24
[39]
뉴스
Film: Counting on kung fu to dispatch world criminals
https://www.newspape[...]
1985-05-13
[40]
뉴스
'Macaroni' is cold, disjointed; 'Protector' is embarrassing
https://www.newspape[...]
1985-12-24
[41]
AV미디어
Audio commentary
Hong Kong Legends; Medusa Communications
2001-01-01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임의로 설정
[42]
웹사이트
Ken Thorne – The Protector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https://www.discogs.[...]
[43]
웹사이트
Ken Thorne – The Protector
https://customers.mv[...]
[44]
잡지
Country Column
https://www.worldrad[...]
Cash Box Publishing
1985-05-11
[45]
문서
데어고스티니 (2014년) 목차 페이지
[46]
서적
I AM JACKIE CHAN―僕はジャッキー・チェン 初めて語られる香港帝王の素顔
近代映画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