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부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부르는 스위스 프리부르주의 도시로, 1157년 체링겐 가문에 의해 건설되었다. 사린강을 따라 위치하며, 1481년 스위스 연방에 가입했다. 가톨릭 세력이 강하며, 반종교개혁의 중심지였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에 걸쳐 도시의 문화와 물리적 특성에 큰 변화를 겪었다. 현재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주요 명소로는 생 니콜라 대성당과 역사적인 구시가지가 있다. 프리부르는 브라질의 노바 프리부르구, 프랑스의 뤼에유-말메종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부르주 - 무르텐
스위스 프리부르주에 있는 무르텐은 유서 깊은 도시로, 호숫가에 위치하며 중세 시대 건설되었고, 역사적인 전투의 승전지이자 구시가지와 선사시대 말뚝 주거지 유적이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프리부르주 - 마를리
마를리는 스위스 프리부르주에 위치한 도시로, 제린강에 면해 있으며, 신석기 시대부터 정착의 역사를 가지고 1055년에 처음 언급되었고, 1970년대에 인근 지역을 병합하여 규모가 확장되었으며, 프랑스어를 사용하고 가톨릭 신자가 많은 산업 도시다. - 스위스의 주도 - 제네바
제네바는 스위스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켈트족 정착지에서 시작하여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국제 기구 본부와 금융 중심지 역할을 하는 도시이다. - 스위스의 주도 - 취리히
취리히는 스위스 북부에 위치한 최대 도시이자 경제 중심지로, 풍부한 역사와 다양한 종교, 언어가 공존하며 금융, 서비스 산업이 발달하고 교육 기관과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춘 도시이다. - 자유제국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 자유제국도시 - 트리에스테
트리에스테는 이탈리아 북동부 아드리아해 연안의 도시로, 로마 시대 번성한 항구 도시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이탈리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과학 연구 및 문화 중심지이다.
프리부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
다른 이름 | 프랑스어: "" 독일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 또는 "" 이탈리아어: "" 또는 구식으로 "" 로망슈어: "" |
별칭 | フリブール 프라이부르크 |
시기 | 알 수 없음 |
![]() | |
![]() | |
국가 | 스위스 |
주 | 프리부르주 |
구 | 라 사린 |
면적 | 9.32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610 미터 |
최고 고도 | 702 미터 (쇤베르크) |
최저 고도 | 531 미터 (사네/사린강) |
인구 (2013년 기준) | 37,485 명 |
인구 밀도 | 4,022 명/제곱킬로미터 |
시장 | 티에리 슈타이에르 |
시장 임기 시작 | 2016년 |
시장 소속 정당 | PSS |
시장 직함 | 신디크/암만 |
의회 명칭 | " / " (프리부르 의회) |
의회 의원 수 | 80 명 |
집행 기관 명칭 | " / " (프리부르 정부) |
집행 기관 의원 수 | 5 명 |
지역 | 부르크 (Burg) 보르가르 쥐라 페롤 뇌브빌 (Neustadt) 오주 (Au) 쇤베르크 (Schönberg) 플라세스 (Plätze) 부르기용 (Bürglen) |
인접 자치체 | 뒤딩엔, 기비지에, 그랑주-파코, 마를리, 피에라포르차, 장크트 우르젠, 타페르스, 빌라르-쉬르-글란 |
자매 도시 | 뤼에유-말메종 (프랑스) |
우편 번호 | 1700-1709 |
공식 웹사이트 | 프리부르 공식 웹사이트 |
ISO 코드 | 알 수 없음 |
인구 정보 | |
2011년 인구 | 36,633 명 |
2013년 인구 | 37,485 명 |
인구 밀도 | 3,931 명/제곱킬로미터 (2011년) |
인구 밀도 | 4,022 명/제곱킬로미터 (2013년) |
2. 역사
체링겐 가문이 1157년에 건설한 요새에서 프리부르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과 사보이아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1481년 스위스 연방에 가입하여 스위스의 일원이 되었다. 가톨릭 세력이 강한 도시로, 16세기의 반종교개혁의 거점이 되었다.
프리부르 주변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정착이 이루어졌지만, 흑요석 도구, 석재 도끼, 청동 도구 등 유물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22] 로마 제국 시대에는 강을 건너는 곳이 있었지만, 로마 시대 유물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페롤 근처 평원에서 벽 기초 흔적이 발견된 정도이다.[22]
체링겐 공작 베르톨트 4세가 1157년에 프리부르를 설립했다. 도시 이름은 독일어 ''frei|프라이de''(자유)와 ''Burg|부르크de''(요새)에서 유래했다. 사린강 반도에 위치하여 방어에 유리한 지리적 이점을 가졌다.[22] 건국 당시부터 도시 국가였으며, 1218년 체링겐 가문이 단절되자 키부르크 가문에게 넘어갔다. 키부르크 가문은 도시에 이전의 특권을 부여하고 1249년에 시 헌장(Handfeste|한트페스테de)을 작성했다. 아방슈(1239년), 베른(1243년), 모라(1245년) 등과 조약을 체결했다.
1277년 합스부르크 왕가에 매각되었고, 1339년 라우펜 전투에서 합스부르크 가문 및 부르고뉴 백국과 함께 베른과 스위스 연방에 대항하여 참전했다. 1403년 베른과의 조약이 갱신되었고, 1442년까지 사린강 양쪽 약 20km 이내의 모든 토지를 통제했다.
15세기 중반 사보이 가문과의 전쟁으로 손실을 보았고, 1452년 사보이 가문에게 도시를 양도했다. 1477년 부르고뉴 전쟁에 베른의 동맹으로서 참여하여 더 많은 토지를 통제하게 되었다. 1478년 자유 제국 도시의 지위를 얻었고, 1481년 스위스 연방에 가입했다. 16세기에 보주 침공(1536년)과 그뤼예르 백작령 합병(1554년)을 통해 계속 성장했다.
14세기부터 직물 및 가죽 무역으로 유력 가문이 생겨났고, 이들은 15세기의 귀족 계급을 형성했다. 1627년, 귀족들은 과두정치를 강화했다.[22]
종교개혁 기간 동안 프리부르는 가톨릭을 유지하여 반종교개혁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카푸친회 수도원 (1608), 비스엠베르크의 수도원 (1621), 우르술라회 수도원 (1634), 성모 방문회 수도원 (1635) 등 새로운 수도원이 설립되었다. 예수회 수도원은 도시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1582년에 설립된 성 미카엘 대학교의 신학부는 프리부르 대학교의 기초가 되었다.[22] 1613년 프리부르는 로잔, 제네바 및 프리부르 교구의 주교좌가 되었다.[22]
1781년 피에르-니콜라 셰노의 지도하에 반란이 일어났으나 베른 군대의 도움으로 진압되었다.[22] 1798년 프랑스군의 스위스 침공으로 구체제는 몰락했고, 1803년 나폴레옹 치하의 중재법이 도입되면서 프리부르는 자치주에서 분리되었다. 1803년에서 1809년 사이에는 스위스의 수도 중 하나였다.[22]
1814년 복고 시대에 귀족들이 도시의 지배권을 되찾아 1830년까지 통치했다. 프리부르는 1845년부터 1847년까지 존더분트에 속했다. 1847년 11월 14일 뒤푸르 장군의 지휘 하에 연방군에 항복했다. 1848년 이후, 새로운 국가 헌법과 칸톤 헌법 개정은 모든 시민에게 투표권을 보장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에 도시는 문화 및 물리적 특성에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1862년 미들랜드 철도 노선이 개통되어 도시의 "기차역 지구"가 개발되었다. 1900년경에는 페롤, 보레가르, 비네타 지역에 산업 시설이나 주택이 대규모로 개발되었다. 1889년 대학교 개교는 프리부르에서 중요한 사건이었다. 근처 A12 고속도로 개통 역시 도시에 또 다른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었다.[1]
2. 1. 선사시대
프리부르 주변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정착이 이루어졌지만, 유물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여기에는 부르기용 근처에서 발견된 일부 흑요석 도구, 석재 도끼와 청동 도구가 포함된다.[22] 로마 제국 시대에는 이 지역에 강을 건너는 곳이 있었다. 그러나 스위스 고원의 주요 활동은 이 지역을 북쪽으로 우회하여 브로예 강과 아벤티쿰 계곡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프리부르에서 로마 시대의 유물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여기에는 페롤 근처 평원에 있는 벽 기초의 흔적이 포함된다.[22]2. 2. 중세
체링겐 공작 베르톨트 4세가 1157년에 프리부르를 설립했다. 도시 이름은 독일어 ''frei|프라이de''(자유)와 ''Burg|부르크de''(요새)에서 유래했다. 도시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사린강의 반도에 위치해 있으며, 삼면이 가파른 절벽으로 보호되어 있어 방어에 유리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은 체링겐 공작이 아레강과 자네강 사이의 스위스고원에서 세력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22]프리부르는 건국 당시부터 도시 국가였다. 1218년 체링겐 가문이 단절되자, 도시는 키부르크 가문에게 넘어갔다. 키부르크 가문은 도시에 이전의 특권을 부여하고 1249년에 시 헌장(Handfeste|한트페스테de)을 작성하여 법률, 제도, 경제 조직을 확립했다. 이 시기에 아방슈(1239년), 베른(1243년), 모라(1245년) 등 이웃 도시 국가들과 여러 조약이 체결되었다.
1277년, 프리부르는 합스부르크 왕가에 매각되었다. 무역과 산업은 이미 13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다. 14세기에는 무역, 직물, 가죽 생산이 활발하여 중부 유럽에서 명성을 얻었다. 1339년, 프리부르는 라우펜 전투에서 베른과 스위스 연방에 대항하여 합스부르크 가문 및 부르고뉴 백국과 함께 참전했다.

1403년, 베른과의 조약이 갱신되었다. 도시 지도자들은 영토 확장을 통해 점차 더 많은 인근 토지를 통제하게 되었고, 1442년까지 사린강 양쪽 약 20km 이내의 모든 토지를 통제했다.
15세기 중반, 사보이 가문과의 전쟁으로 손실을 보았고, 1452년에는 사보이 가문에게 도시를 양도했다. 1477년 부르고뉴 전쟁까지 사보이의 통제를 받았으나, 베른의 동맹으로서 전쟁에 참여하여 더 많은 토지를 통제하게 되었다.
1478년, 자유 제국 도시의 지위를 얻었고, 1481년에는 스위스 연방에 가입했다. 프리부르는 오랫동안 스위스와 유럽의 가톨릭교에 영향을 미쳤다. 16세기에 프리부르는 보주 침공(1536년)과 그뤼예르 백작령 합병(1554년)을 통해 계속 성장했다.

14세기부터 직물 및 가죽 무역의 결과로 여러 유력 가문이 생겨났다. 이들은 지역 귀족과 함께 15세기의 귀족 계급을 형성했다. 1627년, 귀족들은 새로운 헌법을 작성하여 자신들만이 도시를 다스릴 수 있다고 선언하고 모든 투표권을 장악하여 과두정치를 강화했다.[22]
2. 3. 종교 개혁과 반종교개혁
1256년 야코프 폰 리기스베르크는 프란체스코회 수도원을 기증했다. 초창기에는 도시의 기록 보관소를 보관하고 수도원 교회가 1433년까지 도시 회의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시의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22]
13세기 중반에 설립된 어거스틴 수도원은 오랫동안 귀족 벨가 가문의 지원을 받았다. 라 마이그로주 수도원은 1255년부터 존재해 왔으며, 1262년부터 시토회에 속해 있다. 13세기 중반에 문을 연 공립 병원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했다.[22]
종교개혁 기간 동안 프리부르는 개신교 세력이 강한 베른에 둘러싸여 있었음에도 가톨릭을 유지했다. 이로 인해 국경 지역과 프리부르와 베른이 공동으로 통제하는 지역에서 종교 분쟁이 반복적으로 발생했다. 프리부르는 반종교개혁의 주요 중심지였다.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카푸친회 수도원 (1608), 비스엠베르크의 수도원 (1621), 우르술라회 수도원 (1634), 성모 방문회 수도원 (1635) 등 새로운 수도원이 도시에 설립되었다. 가장 영향력 있는 수도원은 예수회 수도원이었으며, 도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582년에 설립된 성 미카엘 대학교의 신학부는 프리부르 대학교의 기초가 되었다. 객관적인 언론의 개념 또한 예수회에 의해 시작되었다.[22]
1613년 프리부르는 종교개혁 이후 에비앙을 거쳐 부르고뉴로 망명한 로잔 주교의 주교좌가 되었다. 오늘날 이 도시는 로잔, 제네바 및 프리부르 교구의 주교좌이다.[22]
2. 4. 1780년 ~ 1809년
60개 가구에 불과한 강력한 귀족 정권은 도시의 모든 영향력 있는 자리를 차지했고, 프리부르의 모든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분야를 지배했다. 불만을 품은 시민들은 여러 차례 반란을 시도했고, 1781년에는 피에르-니콜라 셰노의 지도하에 반란이 일어났다. 이러한 반란은 베른 군대의 도움으로 진압되었다.[22] 1798년 프랑스군의 스위스 침공으로 이 구체제는 몰락했다. 프리부르는 3월 2일 프랑스에 항복했고, 영토에 대한 지도력을 포기했다. 이로 인해 장 드 몽테나크가 초대 시장으로 선출된 최초의 시정 선거가 열렸다. 1803년 나폴레옹 치하의 중재법이 도입되면서 프리부르 시는 마침내 자치주에서 분리되었다. 프리부르는 해당 지역과 자치주의 수도가 되었고, 1803년에서 1809년 사이에는 스위스의 수도 중 하나였다.[22]2. 5. 존더분트 전쟁과 그 이후
1814년 복고 시대에 귀족들이 도시의 지배권을 되찾아 1830년까지 통치했다. 그 뒤를 이어 새롭고 더 자유주의적인 헌법이 제정되었다. 프리부르는 1845년부터 1847년까지 스위스에서 분리하려는 가톨릭 칸톤들의 "별도 동맹"인 존더분트에 속했다. 1847년 11월 14일 뒤푸르 장군의 지휘 하에 연방군에 항복했는데, 이는 짧고 거의 무혈로 끝난 스위스 내전과 같았다. 1848년 이후, 새로운 국가 헌법과 칸톤 헌법 개정은 모든 시민에게 투표권을 보장했다.2. 6. 현대
19세기 후반과 20세기에 도시는 문화 및 물리적 특성에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1848년에는 도시 성벽이 부분적으로 헐리고 자르네/라 사린 강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다리가 건설되었다. 1862년에는 도시를 관통하는 미들랜드 철도 노선이 개통되어 도시의 "기차역 지구"가 개발되었다. 교통의 발달로 프리부르는 산업화를 겪게 되었다. 도심은 구시가지에서 새로운 기차역 지구로 이동했다. 1900년경에는 페롤, 보레가르, 비네타 지역에 산업 시설이나 주택이 대규모로 개발되었다. 1889년 대학교 개교는 프리부르에서 중요한 사건이었다. 근처 A12 고속도로 개통 역시 도시에 또 다른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었다.[1]3. 지리
프리부르는 스위스고원에 위치하며, 사린강(자네강) 양쪽에 걸쳐 있다. 구시가지는 강에서 약 40m 높이의 언덕에 위치하며, 도시 대부분은 평균 고도 620m의 고지대와 주변 언덕에 있다.
프리부르의 면적은 9.3km2이다. 이 중 13.4%는 농업 용도로, 17.0%는 삼림으로 사용된다. 나머지 토지 중 63.3%는 건물이나 도로 등의 정착지, 5.7%는 강이나 호수, 0.8%는 불모지이다.[2]
건축 면적 중 공업용 건물은 4.5%, 주택 및 건물은 34.5%, 교통 기반 시설은 15.2%를 차지한다. 전력 및 수자원 기반 시설과 기타 특별 개발 지역이 1.6%, 공원, 녹지대 및 스포츠 경기장이 7.5%를 구성한다. 숲이 우거진 토지 중 14.4%는 숲이 우거져 있고, 2.6%는 과수원이나 작은 나무 군락으로 덮여 있다. 농경지 중 6.9%는 작물 재배에, 6.0%는 목초지로 사용된다. 시정촌의 물 중 1.7%는 호수에, 4.0%는 강과 시내에 있다.[2]
이 지역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굽이치는 자르네/라 자린 강에 의해 관통되며, 이 강은 계곡을 침식하여 주변 고원 아래로 100m 깊이까지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계곡 바닥의 폭은 200m 에서 500m 사이이다. 1872년에 유럽 최초의 중력 댐인 마이그로주 댐에 의해 저수지로 형성된 페롤 호는 도시 남쪽에 위치해 있다. 쉬페넨제의 상류는 도시에서 1km 북쪽에 위치해 있다. 이 두 인공 호수에서 라 자린 강은 거의 전체 계곡 바닥을 덮고 있다.
언덕은 양쪽으로 가파르고, 대부분 숲이 우거진 경사로 둘러싸여 있다. 동쪽으로 지자체는 해발 702m의 프리부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쇤베르크 산의 경사면까지 뻗어 있다. 갈테라 강 역시 고원을 깊게 깎아내어 산과 강 사이를 흐르며 구시가지 근처에서 자르네/라 자린 강으로 흘러든다.
이전 마을인 부르기용은 지자체 내에 위치해 있다. 프리부르는 동쪽으로 뒤딩겐과 타페르스, 남동쪽으로 피에라포르차, 남쪽으로 마를리, 서쪽으로 빌라르-쉬르-글란과 지비지에, 북쪽으로 그랑주-파코와 접한다.
프리부르의 기후는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관측 자료를 기준으로, 평균 기온은 8.9°C이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를 보면, 평균 기온은 9.1°C로 상승했다.[3][4] 상세한 기후 자료는 아래 표와 같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14°C) | 3.7°C | 5.4°C | 9.9°C | 13.6°C | 18.5°C | 21.8°C | 24.6°C | 24.1°C | 19.6°C | 14.5°C | 8°C | 4.3°C | 14°C |
평균 기온 (8.9°C) | -0.1°C | 0.9°C | 4.7°C | 8°C | 12.7°C | 16°C | 18.4°C | 17.7°C | 13.7°C | 9.5°C | 3.9°C | 0.9°C | 8.9°C |
평균 최저 기온 (4.5°C) | -3.2°C | -2.8°C | 0.4°C | 2.9°C | 7.4°C | 10.6°C | 12.7°C | 12.3°C | 9°C | 5.7°C | 0.8°C | -1.9°C | 4.5°C |
강수량 (mm) | 57 | 55 | 72 | 84 | 126 | 115 | 113 | 117 | 100 | 91 | 74 | 72 | 1075 |
강수일수 (≥ 1.0 mm) | 10.2 | 9.5 | 10.6 | 10.7 | 13.4 | 11.4 | 10.6 | 10.5 | 8.9 | 10.4 | 10.6 | 10.3 | 127.1 |
적설량 (cm) | 13.7cm | 16.2cm | 11cm | 2.4cm | 0 | 0 | 0 | 0 | 0 | 0.2cm | 6.4cm | 12.8cm | 62.7cm |
적설일수 (≥ 1.0 cm) | 3.8 | 4.1 | 2.5 | 0.9 | 0 | 0 | 0 | 0 | 0 | 0.1 | 1.5 | 3.1 | 16 |
평균 상대 습도 (%) | 86.7 | 81.6 | 75.2 | 72.5 | 72.8 | 71.5 | 68.5 | 72.4 | 78.1 | 84.3 | 86.2 | 86.9 | 78.1 |
3. 1. 지형
프리부르는 베른에서 남서쪽으로 떨어진 스위스고원에 위치하며, 사린강(자네강) 양쪽에 걸쳐 있다. 프리부르 인근에는 몰라세가 깊숙이 침식되어 있다. 구시가지는 폭이 약 100m 정도인 언덕에 위치하며, 계곡 바닥에서 약 40m 높이로 솟아 있다. 도시의 대부분은 평균 고도가 620m인 고지대와 주변 언덕에 위치해 있다. 계곡 바닥은 구시가지 바로 주변 지역에만 정착이 이루어졌다.프리부르의 면적은 기준으로 9.3km2이다. 이 중 1.25km2(13.4%)는 농업 용도로, 1.58km2(17.0%)는 삼림으로 사용된다. 나머지 토지 중 5.89km2(63.3%)는 건물이나 도로 등의 정착지, 0.53km2(5.7%)는 강이나 호수, 0.07km2(0.8%)는 불모지이다.[2]
건축 면적 중 공업용 건물은 전체 면적의 4.5%, 주택 및 건물은 34.5%, 교통 기반 시설은 15.2%를 차지한다. 전력 및 수자원 기반 시설과 기타 특별 개발 지역이 1.6%, 공원, 녹지대 및 스포츠 경기장이 7.5%를 구성한다. 숲이 우거진 토지 중 14.4%는 숲이 우거져 있고, 2.6%는 과수원이나 작은 나무 군락으로 덮여 있다. 농경지 중 6.9%는 작물 재배에, 6.0%는 목초지로 사용된다. 시정촌의 물 중 1.7%는 호수에, 4.0%는 강과 시내에 있다.[2]
도시 치고는 비교적 작은 지자체의 면적은 프리부르 주 중부에 있는 몰라스 지역을 포함한다. 이 지역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굽이치는 자르네/라 자린 강에 의해 관통되며, 이 강은 계곡을 침식하여 주변 고원 아래로 100m 깊이까지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계곡 바닥의 폭은 200m 에서 500m 사이이다. 1872년에 유럽 최초의 중력 댐인 마이그로주 댐에 의해 저수지로 형성된 페롤 호는 도시 남쪽에 위치해 있다. 쉬페넨제의 상류는 도시에서 1km 북쪽에 위치해 있다. 이 두 인공 호수에서 라 자린 강은 거의 전체 계곡 바닥을 덮고 있다.
언덕은 양쪽으로 가파르고, 대부분 숲이 우거진 경사로 둘러싸여 있다. 동쪽으로 지자체는 해발 702m의 프리부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쇤베르크 산의 경사면까지 뻗어 있다. 갈테라 강 역시 고원을 깊게 깎아내어 산과 강 사이를 흐르며 구시가지 근처에서 자르네/라 자린 강으로 흘러든다.
이전 마을인 부르기용은 지자체 내에 위치해 있다. 프리부르는 동쪽으로 뒤딩겐과 타페르스, 남동쪽으로 피에라포르차, 남쪽으로 마를리, 서쪽으로 빌라르-쉬르-글란과 지비지에, 북쪽으로 그랑주-파코와 접한다.
3. 2. 기후
프리부르의 기후는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관측 자료를 기준으로, 평균 기온은 8.9°C이다. 가장 더운 달은 7월로 평균 최고 기온은 24.6°C이며,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최저 기온은 -3.2°C이다. 연간 강수량은 1075mm이며, 강수일수는 127.1일이다. 눈이 오는 날은 연간 16일이며, 연간 적설량은 62.7cm이다. 습도는 연평균 78.1%로, 12월에 86.9%로 가장 높고 7월에 68.5%로 가장 낮다.[46]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를 보면, 평균 기온은 9.1°C로 상승했다. 가장 더운 달은 7월로 평균 최고 기온은 24°C이며,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최저 기온은 -2.6°C이다. 연간 강수량은 962.2mm이며, 강수일수는 120.5일이다. 눈이 오는 날은 연간 12.6일이며, 연간 적설량은 49.7cm이다. 습도는 연평균 77%로, 12월과 1월에 85%로 가장 높고 4월에 71%로 가장 낮다.[3][4]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14°C) | 3.7°C | 5.4°C | 9.9°C | 13.6°C | 18.5°C | 21.8°C | 24.6°C | 24.1°C | 19.6°C | 14.5°C | 8°C | 4.3°C | 14°C |
평균 기온 (8.9°C) | -0.1°C | 0.9°C | 4.7°C | 8°C | 12.7°C | 16°C | 18.4°C | 17.7°C | 13.7°C | 9.5°C | 3.9°C | 0.9°C | 8.9°C |
평균 최저 기온 (4.5°C) | -3.2°C | -2.8°C | 0.4°C | 2.9°C | 7.4°C | 10.6°C | 12.7°C | 12.3°C | 9°C | 5.7°C | 0.8°C | -1.9°C | 4.5°C |
강수량 (mm) | 57 | 55 | 72 | 84 | 126 | 115 | 113 | 117 | 100 | 91 | 74 | 72 | 1075 |
강수일수 (≥ 1.0 mm) | 10.2 | 9.5 | 10.6 | 10.7 | 13.4 | 11.4 | 10.6 | 10.5 | 8.9 | 10.4 | 10.6 | 10.3 | 127.1 |
적설량 (cm) | 13.7cm | 16.2cm | 11cm | 2.4cm | 0 | 0 | 0 | 0 | 0 | 0.2cm | 6.4cm | 12.8cm | 62.7cm |
적설일수 (≥ 1.0 cm) | 3.8 | 4.1 | 2.5 | 0.9 | 0 | 0 | 0 | 0 | 0 | 0.1 | 1.5 | 3.1 | 16 |
평균 상대 습도 (%) | 86.7 | 81.6 | 75.2 | 72.5 | 72.8 | 71.5 | 68.5 | 72.4 | 78.1 | 84.3 | 86.2 | 86.9 | 78.1 |
4. 인구 통계
살린 강은 스위스 내 독일어와 프랑스어 사용 지역의 경계선이다. 프리부르에서는 프랑스어와 독일어 두 언어가 공용어이다.
1157년 자치체 건설 초기에는 독일어계 주민이 다수였지만, 13세기 후반 주변 프랑스어권에서 프랑스어계 주민이 유입되어 14세기에는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되었다.[38] 1481년 스위스 동맹 가입 후 독일어계 주민의 세력이 증가했고, 1572년에는 프랑스어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했다.[38] 18세기 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독일어가 공적인 장소에서 추방되면서 프랑스어가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1831년 자유주의 헌법에 의해 포고와 법률 제정을 양 언어로 하는 것이 정해졌다.[38] 1990년에는 양 언어가 평등한 공용어임을 규정하는 법률이 성립되어 양 언어계 주민 간의 상호 교류 촉진을 꾀하고 있다.[38]
2000년 기준, 인구의 63.6% (22,603명)가 프랑스어를, 21.2% (7,520명)가 독일어를, 3.8% (1,359명)가 이탈리아어를 각각 제1 언어로 사용하며, 55명이 로만슈어를 사용한다.[39]
4. 1. 인구
2020년 12월 기준, 프리부르의 인구는 38,039명이다.[47] 2008년 기준으로 인구의 31.9%가 외국인이었다.[47]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인구는 8.3% 변화했다. 이민은 8.1%, 출생 및 사망은 0.9%를 차지했다.[48]프리부르는 프리부르주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20세기 초와 1930년에서 1970년 사이에 인구가 크게 증가하여, 1974년에 최대 42,000명에 달했다. 이후 약 14%의 인구 감소가 있었으나, 최근 다시 증가했을 수 있다.
프리부르 주변 광역권 인구는 110,000명, 가장 가까운 교외만 계산하면 75,000명(2015년)이다. 여기에는 아브리, 벨포, 코흐민버프, 지비지, 그라쥬-빠꼬, 마흘리, 마뜨헝 및 빌라르-수르-글란느가 포함된다. 주변 지자체로는 지비지, 그랑쥬-빠꼬, 빌라르-수르-글란느, 마흘리, 코흐민버프, 벨포, 그홀리가 있으며, 자린강 우안의 뒤딩엔(프랑스어: Guin) 및 타페르스(프랑스어: Tavel)까지 뻗어 있다.
프리부르 광역권이 커지면서 빌라르-수르-글란느, 지비지, 그랑쥬-빠꼬와 같은 이웃 마을과 융합되었다. 타페르스 소속 클라인-쇤베르크 마을과 뒤딩엔 소속 위베빌(Uebewil) 마을은 도시 동쪽 가장자리에 있다. 이 정착지 자체 인구는 60,000명(2015년)이다.
2008년 기준 인구는 남성 48.8%, 여성 51.2%이다. 스위스 남성 12,080명(31.8%), 비스위스 남성 6,475명(17.0%), 스위스 여성 13,855명(36.4%), 비스위스 여성 5,636명(14.8%)이었다.[47] 2000년 기준, 프리부르 출생 및 거주 인구는 10,756명(30.3%), 같은 주 출생 6,394명(18.0%), 스위스 타 지역 출생 7,164명(20.2%), 스위스 외 지역 출생 8,981명(25.3%)이었다.[49]
2000년 기준, 아동·청소년(0~19세) 19.3%, 성인(20~64세) 65.8%, 노인(64세 이상) 14.9%이다.[49] 2000년 기준 미혼 17,825명, 기혼 13,581명, 미망인 2,146명, 이혼 1,995명이었다.[49]
2000년 기준 시정촌 개인가구는 15,839세대, 가구당 평균 2명이다. 1인 가구 7342가구, 5인 이상 가구 687가구였다. 상시 분양 아파트 15,409세대(87.0%), 비수기 분양 아파트 1,757세대(9.9%), 공실 549세대(3.1%)였다.[50] 2009년 기준 신규 주택 건설 비율은 인구 1000명당 5.5세대였다.[48]
2003년 프리부르 평균 아파트 임대료는 월 1062.05CHF였다. 원룸 평균 623.40CHF, 2룸 약 792.47CHF, 3룸 약 993.14CHF, 6개 이상 방은 평균 1870.76CHF였다. 프리부르 평균 아파트 가격은 전국 평균 1,116CHF의 95.2%였다.[51] 2010년 시정촌 공실률은 1.45%였다.[48]

4. 2. 언어
2000년 기준, 인구 대부분인 22,603명(63.6%)이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독일어가 7,520명(21.2%)으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며, 이탈리아어가 1,359명(3.8%)으로 세 번째로 사용된다. 로만슈어를 구사하는 사람은 55명이다.[49] Basse-Ville 마을의 주민 중 프랑스어와 스위스 독일어가 혼합된 혼성어인 볼츠어(Bolze)를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53] 도시와 주인 프리부르에는 두 개의 공식 언어가 있으며, 프랑스어는 지방 정부의 언어이자 주에서 공공 담론과 비즈니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로서 독일어보다 중요하다.프리부르는 항상 스위스 언어 경계에 위치했지만, 12세기에 도시가 건설될 당시에는 독일어가 지배적인 언어였다. 1800년까지 독일어가 이 도시의 공식 언어였지만, 프랑스어는 점차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이것은 산업화의 도움을 받아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이민자의 유입으로 이어졌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반의 정치적 변화 이후로 독일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소수였다. 독일어에서도 이 도시는 표준 독일어 ‘''Freiburg''’ 대신 ‘프리부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이는 독일 검은 숲 가장자리에 있는 프라이부르크 임 브라이스가우(''Freiburg im Breisgau'')와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다른 설명은 지역 알레만어 사투리로 도시는 ''Frybùrg'' 또는 ''Friburg'' (발음: [ˈfrib̥ʊrɡ])라고 하며, 이 도시에서 프랑스어 이름 ‘프리부르’가 파생되었을 것이다.
살린 강을 언어 경계선이 통과하며, 스위스 영내에서 독일어와 프랑스어의 경계가 된다. 프리부르에서는 프랑스어와 독일어 두 언어가 공용어이다.
1157년 자치체 건설 초기에는 독일어계 주민이 다수였지만, 13세기 후반에 주변 프랑스어권에서 프랑스어계 주민이 유입되어 14세기에는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되었다.[38] 1481년에는 스위스 동맹에 가입하여 독일어계 주민의 세력이 증가했고, 1572년에는 프랑스어 금지령이 내려졌다.[38] 18세기 말에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독일어를 공적인 장소에서 추방하고 프랑스어가 우위를 점하게 되었으며, 1831년에는 자유주의 헌법에 의해 포고와 법률 제정을 양 언어로 하는 것이 정해졌다.[38] 1990년에는 양 언어가 평등한 공용어임을 규정하는 법률이 성립되어 양 언어계 주민의 상호 교류 촉진이 꾀해지고 있다.[38]
4. 3. 종교
2000년 인구 조사에서 로마 가톨릭 신자는 24,614명(69.2%)으로 가장 많았고, 스위스 개혁 교회는 2,763명(7.8%)이었다. 나머지 인구 중 정교회 교인은 443명(인구의 약 1.25%), 크리스찬 가톨릭 교회 교인은 13명(인구의 약 0.04%)이었다.[49] 다른 기독교 교회에 속한 개인은 668명(인구의 약 1.88%)이었다. 유대교인은 62명(인구의 약 0.17%)이었고 이슬람교도는 1,676명(인구의 약 4.71%)이었다. 불교도는 161명, 힌두교도는 71명, 그리고 다른 교회에 속한 개인이 668명(1.88%)가 있었고, 2,843명(인구의 약 8.00%)은 무교, 불가지론 또는 무신론자였으며, 2,509명(인구의 약 7.06%)이 질문에 대답하지 않았다.[49]프리부르는 종교개혁 기간 동안에도 가톨릭 도시로 남았으며, 그 이후로 가톨릭의 중심지가 되었다. 도시에는 평균보다 많은 수의 교회와 수도원이 있다. 프리부르는 1613년부터 로잔, 제네바, 프리부르 교구의 주교좌가 되었다.
5. 정치
프리부르 시의회(프랑스어: '''Conseil général''', 독일어: '''Generalrat''')는 입법권을 가진 도시 의회이다. 시의회는 5년마다 선거로 선출되는 8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시정부와 행정부가 집행할 규정과 조례를 제정한다. 의원들은 비례대표제 방식으로 선출된다.
시의회 회의는 공개되며, 의원들은 전문 정치인이 아니고 출석에 따라 수당을 받는다. 투표 자격이 있는 프리부르의 모든 거주자는 시의회 의원으로 선출될 수 있다. 스위스 시민권자뿐 아니라 C형 거주 허가를 받고 최소 5년 동안 프리부르 주에 거주한 외국인도 지방 선거에서 투표하고 후보로 나설 수 있다.[6] 의회는 구시가지 ''rue des Chanoines 1''에 있는 ''Grande salle de la Maison de Justice''에서 회의를 개최한다.[11]
2021년 3월 7일 마지막 정기 선거가 2021년 6월 1일부터 2026년 5월 31일까지의 임기(프랑스어: ''la législature'')를 위해 실시되었다. 현재 시의회는 사회당(PS/SP) 23명(-7), 녹색당(PES/GPS) 21명(+13), 기독교민주인민당(PDC/CVP) 1명(-1), 자유민주당(PLR/FDP) 8명(-2), 좌파 센터(PCS/CSP) 7명(+2), 스위스 국민당 (UDC/SVP) 6명(-2), ''예술가당''(PA/KP) 1명(-)으로 구성되어 좌파 정당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12]
5. 1. 정부
프리부르 시의 행정부는 합의제로 운영되는 프리부르 시의 행정부(프리부르 시 코뮌 위원회|link=no프랑스어, 게마인데라트|link=node)이다. 5명의 시의원(코뮌 시의원 / 코뮌 시의원|link=no프랑스어, 게마인데라트 / 게마인데라틴|link=node)으로 구성되며, 각 시의원은 여러 부서와 관련 위원회로 구성된 국을 맡고 있다. 행정 부서의 위원장은 시장(''시디크'') 역할을 한다. 시의회는 일반 의회(의회)가 제정한 법률의 부서별 임무, 조정 조치 및 시행을 수행한다. 투표 자격이 있는 모든 거주자가 시의원을 정기적으로 선출하는 선거는 5년마다 열린다. 투표 자격이 있는 프리부르의 모든 거주자는 시의회 위원으로 선출될 수 있다. 스위스 시민권자뿐만 아니라 C형 거주 허가를 받고 최소 5년 이상 프리부르주에 거주하는 외국인도 시 차원에서 투표하고 선출될 권리가 있다.[6] 대표는 비례대표제를 통해 선출된다. 시장은 공개 선거로 선출되고, 다른 국의 장은 합의제로 배정된다. 행정 기관은 구시가지 ''Place de l'Hôtel-de-Ville''에 있는 시청(''L'Hôtel de Ville'')에서 회의를 개최한다.[7]2021년 현재 프리부르 시의회는 사회민주당(PS/SP, 이 중 한 명이 시장이기도 함) 소속 2명, 기독교 민주당(PDC/CVP), 기독교 사회당(PCS/CSP), 녹색당(PES/GPS)에서 각각 1명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파 정당이 5석 중 4석을 차지하고 있다.
5. 2. 의회
프리부르 시의회(프랑스어: '''Conseil général''', 독일어: '''Generalrat''')는 도시 의회로서 입법권을 갖는다. 시의회는 5년마다 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8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시의회는 시정부와 행정부가 집행할 규정과 조례를 제정하며, 대표는 비례대표제 시스템으로 선출된다.시의회 회의는 공개적으로 진행된다. 시의회 구성원은 전문 정치인이 아니며, 출석에 따라 수당을 받는다. 투표 자격이 있는 프리부르의 모든 거주자는 시의회 구성원으로 선출될 수 있다. 프리부르 주 헌법에 따라 스위스 시민권자뿐만 아니라, C형 거주 허가를 받고 최소 5년 동안 프리부르 주에 거주한 외국인도 지방 선거에서 투표하고 피선거권을 갖는다.[6] 의회는 구시가지의 ''rue des Chanoines 1''에 있는 ''Grande salle de la Maison de Justice''에서 회의를 개최한다.[11]
2021년 3월 7일에 실시된 마지막 정기 선거는 2021년 6월 1일부터 2026년 5월 31일까지의 임기(프랑스어: ''la législature'')를 위한 것이었다. 현재 시의회는 사회당(PS/SP) 23명(-7), 녹색당(PES/GPS) 21명(+13), 기독교민주인민당(PDC/CVP) 1명(-1), 자유민주당(PLR/FDP) 8명(-2), 좌파 센터(PCS/CSP) 7명(+2), 스위스 국민당 (UDC/SVP) 6명(-2), ''예술가당''(PA/KP) 1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파 정당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12]
6. 경제
프리부르는 13세기와 14세기에 이미 여러 산업이 발전했다. 자네강 동쪽 강둑을 따라 도시가 확장되면서 경제가 크게 성장했다. 갈테른탈에서는 여러 공장에 수력을 공급했다. 자네강을 따라 아우, 노이슈타트, 마텐 등의 마을과 함께 새로운 무역 지구가 개발되었다.
14세기와 15세기에는 양 사육을 기반으로 한 가죽 가공업과 직물 제조업이 발달하여 경제 호황을 이끌었다. 이는 프리부르의 무역이 중앙 유럽 전역에 알려지는 데 기여했다. 15세기 후반, 지역 농부들이 양 대신 소를 기르면서 직물 제조는 점차 쇠퇴했다. 16세기 직물 산업 붕괴의 다른 이유로는 길드가 새로운 재료나 현대적인 스타일을 거부하고, 귀족 계급의 부상으로 도시의 사회 구조가 변화한 점 등이 있다.[17]
이후 프리부르는 소규모 무역이 중심이 되었고, 1870년대 스위스 철도와 연결되기 전까지는 산업화가 더뎠다. 1872년 페롤 호수가 건설되면서 도시 남쪽과 서쪽 고원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에는 마차 공장과 제재소가 주를 이루는 산업 지역이 개발되었고, 이후 이 지역에 두 개의 양조장이 세워졌다. 1901년 빌라르쉬르글란에 초콜릿 공장이 설립되었지만, 1906년 국경 변경으로 프리부르 관할이 되었다.[17]
20세기에 고원은 도시의 산업 구역이 되었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인근 자치구의 새로운 산업 지역 개발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가능하게 했다. 2010년 기준 프리부르의 실업률은 4.9%였다. 2008년 기준 1차 경제 부문에는 18명, 2차 경제 부문에는 3,821명, 3차 경제 부문에는 21,614명이 고용되었다.[17]
2008년 기준 풀타임 환산 일자리 수는 총 20,099개였다. 1차 부문에는 14개, 2차 부문에는 3,530개, 3차 부문에는 16,555개의 일자리가 있었다. 프리부르는 노동자보다 일자리가 더 많아 주변 농업 지역에서 많은 통근자들이 유입된다. 지역 산업으로는 식품 및 고급 제품, 음료(양조장은 덴마크 회사 칼스버그 그룹 소유), 금속 및 기계 건설, 전자 제품 및 컴퓨터 기술 등이 있다.[24]
대부분의 근로자는 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며, 이들 중 다수는 정부 행정직이다. 다른 중요한 부문은 교육(대학교), 은행 및 보험 회사, 관광 및 레스토랑, 의료 서비스이다. 프리부르는 여러 국제 회사의 행정 사무소 소재지이며, 칸톤 병원은 빌라르쉬르글란과의 경계에 있다.[24]
2000년 기준, 시로 통근하는 근로자는 16,572명, 시에서 통근하는 근로자는 6,505명으로, 순수 노동력 유입 지역이다.[25] 근로 인구의 35%는 대중교통을, 37.8%는 자가용을 이용해 출근한다.[17]
7. 교육
프리부르의 의무 교육 과정과 대학교육 이전 과정의 학교는 프랑스어와 독일어로 운영된다. 프리부르 대학교는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 사용을 하며, 학생들은 두 언어 모두에 대한 수동적인 지식을 갖추어야 하지만, 하나의 언어나 두 언어 모두로 학위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법학 및 신학 연구로도 해외에서 명성이 높다.[26]
2000년 기준으로 프리부르에는 다른 지자체에서 온 8,234명의 학생이 있었고, 305명의 주민들은 지자체 이외의 학교에 다녔다.[25]
프리부르의 학교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과정 | 내용 |
---|---|
유치원 | 1년 (의무 아님) |
초등학교 | 6년 |
중학교 | 3년 (의무) |
고등학교 | 3~4년 (선택) |
직업학교 | 상위 중등 과정, 견습 과정 |
2010-11학년도에는 프리부르에서 총 14,170명의 학생들이 974개의 수업에 참여했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18]
구분 | 학급 수 | 학생 수 |
---|---|---|
유치원 | 25 | 385 |
초등학교 | 117 | 2,037 |
중학교 | 117 | 2,313 |
직업 고등학교 | 470 | 4,840 |
일반 고등학교 | 186 | 4,012 |
특수 고등 교육 | 46 | - |
비대학 고등 교육 | 13 | 273 |
전문대학 | - | 310 |
프리부르에는 다음과 같은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 프리부르 대학교
- 프리부르 응용과학대학교 : 기술 및 경영 분야에서 응용 고등 교육을 제공한다. UAS 서부 스위스/HES-SO의 일부이다.
- 프리부르 멀티미디어 및 예술 학교 :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이미지 및 기술에 대한 전문 학교이다.
프리부르 대학교는 다양한 언어와 강좌를 제공하여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곳이다.[18] 또한 스위스 내 가톨릭 신학의 중심지이며, 철학, 법학, 신학, 경제·사회학, 수학·자연과학의 5개 학부에는 1만 명이 넘는 학생(스위스 국외 유학생 다수 포함)이 있다. 기본적으로 프랑스어와 독일어의 2개 언어로 강의가 진행되며, 영어로 수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빌라 생 장 국제학교도 프리부르에 있었다.
프리부르에는 5개의 도서관이 있다.
도서관 |
---|
BCU 프리부르 |
도이체 도서관 프리부르 |
빌 도서관 |
프리부르 보건 고등 학교 |
엔지니어 및 건축 학교 (EIA-FR) |
2008년 기준으로 도서관에는 총 3,531,605권의 도서 또는 기타 매체가 있었고, 같은 해에 총 611,405건의 대출이 이루어졌다.[26]
프리부르에서는 약 11,649명(32.8%)의 인구가 비의무 상위 중등 교육을 마쳤으며, 5,671명(16.0%)이 추가 고등 교육(대학교 또는 Fachhochschule)을 마쳤다. 고등 교육을 마친 5,671명 중 47.7%가 스위스 남성이었고, 31.2%가 스위스 여성이었으며, 12.4%가 스위스 남성이 아니었고 8.7%가 스위스 여성이 아니었다.[19]
8. 문화 관광
프리부르는 유제프 메호페르가 디자인한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으로 유명한 고딕 양식의 성 니콜라스 대성당이 있는 유서 깊은 구시가지와 여러 박물관이 있어, 당일치기 여행지로 인기가 많다. 1873년에 설립된 자연사 박물관, 1920년부터 라트체호프에 위치한 예술 및 역사박물관 등이 대표적이다.
자매 도시인 베른처럼 프리부르는 중세 시대 중심지를 잘 보존하고 있으며, 이는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이다. 구시가지의 건축은 주로 고딕 시대에 지어졌으며, 대부분 16세기 이전에 건설되었다. 건물은 대부분 현지 몰라세 석재로 지어졌다. 12세기부터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분수와 교회가 많으며, 높이 76m의 대성당은 1283년에서 1490년 사이에 지어졌다. 프리부르 요새는 스위스에서 가장 중요한 중세 군사 건축물 중 하나로, 2km의 방어벽, 14개의 탑, 그리고 하나의 큰 보루로 구성되어 있다.[42]
8. 1. 주요 명소
프리부르는 도시의 명소를 방문하려는 관광객들이 당일 여행으로 방문하는 곳이다. 요제프 메호퍼가 디자인한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으로 유명한 국제 고딕 양식의 생 니콜라 대성당을 비롯하여 역사적인 구시가지와 박물관들이 있다.1873년에 설립된 자연사 박물관은 현재 대학교 자연과학 건물에 위치해 있다. 1920년부터 라체호프에 위치한 예술 역사 박물관에는 고대 및 초기 역사, 조각 및 회화, 전통 주석 인물, 예술 및 공예품, 돈 및 그래픽 컬렉션이 전시되어 있다. 대성당에는 1992년부터 보물 전시실이 전시되어 있다.
다른 박물관으로는 스위스 마리오네트 박물관, 스위스 재봉틀 박물관, 구텐베르크 박물관, 성경 및 오리엔트 박물관과 맥주 박물관 등이 있다.
8. 2. 문화 행사
프리부르에서는 종교 음악 축제, 국제 민속 축제, 재즈 퍼레이드, 국제 영화제, 시네플러스(1972년 이후)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1]9. 자매 도시
참조
[1]
사전
Fribourg
Merriam-Webster
[2]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Land Use Statistics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0-03-25
[3]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12-11
[4]
PDF
Climate normals Fribourg / Posieux (Reference period 1991–2020)
https://web.archive.[...]
Swiss Federal Office of Meteorology and Climatology, MeteoSwiss
2022-01-14
[5]
웹사이트
Flags of the World.com
http://www.crwflags.[...]
2011-12-01
[6]
official site
Loi du 6 avril 2001 sur l'exercice des droits politiques (LEDP)
État de Fribourg
2001-04-06
[7]
official site
Conseil communal de la Ville de Fribourg
http://www.ville-fri[...]
Ville de Fribourg
2015-09-20
[8]
웹사이트
Élection du Conseil communal du 7 mars 2021
https://www.ville-fr[...]
2021-03-07
[9]
문서
Mayor (Syndic, Ammann)
[10]
문서
Vice-Mayor (Vice-Syndic, Vizeammann)
[11]
official site
Conseil général
http://www.ville-fri[...]
Secrétariat du Conseil général
2015-10-26
[12]
official site
Ville de Fribourg Prop. statistique répartition des siéges et pourcentage de la commune
https://www.ville-fr[...]
Etat de Fribourg
2021-03-07
[13]
official statistics
Nationalratswahlen 2019: erhaltene Stimmen, Parteistärke sowie Veränderung zu den letzten Wahlen, stärkste Partei (Gemeinden)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FSO
2019-10-20
[14]
official statistics
Nationalratswahlen 2019: erhaltene Stimmen, Parteistärke sowie Veränderung zu den letzten Wahlen, stärkste Partei (Gemeinden)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FSO
2019-10-20
[15]
official statistics
Nationalratswahlen 2015: Stärke der Parteien und Wahlbeteiligung nach Gemeinden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FSO
2016-03-09
[16]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Superweb database – Gemeinde Statistics 1981–2008
http://www.bfs.admin[...]
2010-06-19
[17]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http://www.bfs.admin[...]
2011-12-01
[18]
웹사이트
Canton of Fribourg Statistics
http://appl.fr.ch/st[...]
2011-11-03
[19]
웹사이트
STAT-TAB Datenwürfel für Thema 40.3 – 2000
http://www.pxweb.bfs[...]
2011-02-02
[20]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STAT-TAB – Datenwürfel für Thema 09.2 – Gebäude und Wohnungen
http://www.pxweb.bfs[...]
2011-01-28
[21]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Rental prices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0-05-26
[22]
사전
Fribourg
Historisches Lexikon der Schweiz
[23]
뉴스
The Swiss language that few know
http://www.bbc.com/t[...]
BBC
[24]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STAT-TAB Betriebszählung: Arbeitsstätten nach Gemeinde und NOGA 2008 (Abschnitte), Sektoren 1-3
http://www.pxweb.bfs[...]
2011-01-28
[25]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Statweb
http://www.media-sta[...]
2010-06-24
[26]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list of libraries
http://www.bfs.admin[...]
2010-05-14
[27]
웹사이트
Schulen – Die Bildung im Kanton Freiburg
https://www.fr.ch/de[...]
[28]
뉴스
A Lasting Stink: Fribourg's Sewage-Powered Funicular
http://www.citylab.c[...]
2016-06-16
[29]
웹사이트
Fribourg Access
https://web.archive.[...]
fribourgtourisme.ch
[30]
웹사이트
Kantonsliste A-Objekte
https://web.archive.[...]
Federal Office of Civil Protection
[31]
저널
Céline Leuenberger/Ramona Fritschi, ""On trouve chez Eggendorffer...": Compte rendu des recherches sur la famille de libraires Eggendorffer et sur le copie-lettres de Joseph Eggendorffer"
https://www.academia[...]
2015-01-01
[32]
백과사전
Girard,_Jean_Baptiste
Encyclopædia Britannica
[33]
서적
Who Was Who in America, Historical Volume, 1607–1896
Marquis Who's Who
[34]
백과사전
Agassiz,_Jean_Louis_Rodolphe
Encyclopædia Britannica
[35]
백과사전
John_Bapst
Catholic Encyclopedia
[36]
웹사이트
IMDb Database
https://www.imdb.com[...]
2018-11-24
[37]
웹사이트
UFC profile
http://www.ufc.com/f[...]
2017-05-31
[38]
서적
スイス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4
[39]
웹사이트
STAT-TAB Datenwürfel für Thema 40.3 - 2000
http://www.pxweb.bfs[...]
2011-02-02
[40]
서적
スイス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4
[41]
웹사이트
Climate Norm Value Tables
https://web.archive.[...]
Federal Office of Meteorology and Climatology (MeteoSwiss)
2013-01-31
[42]
서적
地球の歩き方 2016〜17 スイス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6
[43]
서적
地球の歩き方 2016〜17 スイス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6
[44]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s://web.archive.[...]
2014-10-29
[45]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Land Use Statistics
https://www.bfs.admi[...]
2010-03-25
[46]
웹인용
Climate normals Fribourg / Posieux (Reference period 1981–2010)
http://www.meteoswis[...]
Swiss Federal Office of Meteorology and Climatology, MeteoSwiss
2014-07-02
[47]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 Superweb database – Gemeinde Statistics 1981–2008
http://www.bfs.admin[...]
2010-06-19
[48]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http://www.bfs.admin[...]
2011-12-01
[49]
웹사이트
STAT-TAB Datenwürfel für Thema 40.3 – 2000
http://www.pxweb.bfs[...]
2011-02-02
[50]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STAT-TAB – Datenwürfel für Thema 09.2 – Gebäude und Wohnungen
http://www.pxweb.bfs[...]
2011-01-28
[51]
웹사이트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Rental prices
https://www.bfs.admi[...]
2010-05-26
[52]
문서
Fribourg
[53]
뉴스
The Swiss language that few know
http://www.bbc.com/t[...]
2019-04-23
[54]
뉴스
A Lasting Stink: Fribourg's Sewage-Powered Funicular
http://www.citylab.c[...]
2016-06-19
[55]
웹인용
Fribourg Access
https://web.archive.[...]
fribourgtourisme.ch
2008-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