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는 키클라과의 아과로,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 서식하는 시클리드 물고기들을 포함한다. 이 아과는 여러 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Bathybatini, Benthochromini, Boulengerochromini, Chromidotilapiini, Cyphotilapiini, Haplochromini, Lamprologini, Oreochromini, Perissodini, Tilapiini, Tropheini 등을 포함한 25개의 족이 존재한다. 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에 속하는 속으로는 Bathybatini, Benthochromini, Boulengerochromini, Chromidotilapiini, Coelotilapiini, Coptodonini, Cyphotilapiini, Cyprichromini, Ectodini, Eretmodini, Etiini, Gobiocichlini, Haplochromini, Hemichromini, Heterochromidini, Heterotilapiini, Lamprologini, Limnochromini, Oreochromini, Pelmatochromini, Pelmatolapiini, Perissodini, Steatocranini, Tilapiini, Tropheini, Tylochromini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 - 키포틸라피아 프론토사
키포틸라피아 프론토사는 동아프리카 탕가니카호의 고유종으로, 최대 33cm까지 성장하며 흰색 또는 파란색 몸통과 검은색 줄무늬, 머리의 혹이 특징인 시클리드과의 물고기이다. - 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 - 틸라피아
틸라피아는 아프리카와 중동이 원산지인 시클리드과 민물고기 총칭으로, 빠른 성장 속도와 환경 적응력으로 전 세계에서 양식되며 식량 자원, 생태학적 방제, 의료용으로 활용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한다. - 헨리 위드 파울러가 명명한 분류군 - 가물치과
가물치과는 몸이 길고 원통형이며 긴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아가미 외 상새기관을 통한 공기 호흡이 특징인 농어목 민물고기 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일부 종은 육식성으로 1m 이상 자라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하고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 헨리 위드 파울러가 명명한 분류군 - 전기가오리과
전기가오리과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기관을 가진 가오리목의 한 과로, 둥근 가슴지느러미와 매끈한 피부를 특징으로 하며, 저서 생활을 하면서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고 살고, 강력한 전기 충격으로 포식자를 방어하며, 기후 변화와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난태생으로 번식한다.
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seudocrenilabrinae |
명명자 | 파울러, 1934년 |
하위 분류군 | 족 |
하위 분류 | 크로미도틸라피니족 키프리크로미니족 엑토디니족 하플로크로미니족 헤미크로미니족 람프로롤로기니족 림노크로미니족 틸라피니족 트로페이니족 틸로크로미니족 기타 (본문 참조) |
2. 하위 족
하위 족 |
---|
다음은 2004년 스파크스(Sparks)와 스미스(Smith)의 연구에 기초한 시클리드과의 계통 분류이다.[3][4]
[1]
학술지
Fishes Obtained by Mr. H. W. Bell-Marley Chiefly in Natal and Zululand in 1929 to 1932
1934
위에 언급된 족 외에도, 바티바티니(Bathybatini), 벤토크로미니(Benthochromini), 불렌게로크로미니(Boulengerochromini), 코엘로틸라피니(Coelotilapiini), 콥토도노니(Coptodonini), 키포틸라피니(Cyphotilapiini), 에레트모디니(Eretmodini), 에티니(Etiini), 그린우드크로미니(Greenwoodochromini), 헤테로틸라피니(Heterotilapiini), 림노크로미니(Limnochromini), 오레오크로미니(Oreochromini), 펠마토라피니(Pelmatolapiini), 페리소디니(Perissodini), 스테아토크라니니(Steatocranini), 트레마토카리니(Trematocarini)도 때때로 인정된다.[3][4] 멸종된 속 ''마헹게크로미스''(Mahengechromis)는 기존의 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 부족과 구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계통 분류
키클라과 키클라과 Etroplinae영어 (인도 및 마다가스카르 섬) Ptychochrominae영어 (마다가스카르 섬) 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 (아프리카 및 중동) 키클라아과 (중남미)
위 표에 언급된 부족 외에도, 바티바티니(Bathybatini), 벤토크로미니(Benthochromini), 불렌게로크로미니(Boulengerochromini), 코엘로틸라피니(Coelotilapiini), 콥토도노니(Coptodonini), 키포틸라피니(Cyphotilapiini), 에레트모디니(Eretmodini), 에티니(Etiini), 그린우드크로미니(Greenwoodochromini), 헤테로틸라피니(Heterotilapiini), 림노크로미니(Limnochromini), 오레오크로미니(Oreochromini), 펠마토라피니(Pelmatolapiini), 페리소디니(Perissodini), 스테아토크라니니(Steatocranini), 트레마토카리니(Trematocarini)도 때때로 인정된다.[3][4] 멸종된 속 ''마헹게크로미스''(Mahengechromis)는 기존의 프세우도크레닐라브루스아과 부족과 구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속 목록
족 속 바티바티니 벤토크로미니 벤토크로미스 (폴, 1986) 불렌제로크로미니 불렌제로크로미스 (펠르그랭, 1904) 크로미도틸라피아니 코엘로틸라피아니 코엘로틸라피아 (마이랜드, 1995) 콥토도니니 콥토돈 (제르베, 1848) 키포틸라피아니 키포틸라피아 (리건, 1920) 키프리크로미니 에크토디니 에레트모디니 에티니 에티아 (슐리벤 & 스타시, 2003) 고비오키클리니 고비오키클라 (카나자와, 1951) 그린우도크로미니 그린우도크로미스 (폴, 1983) 할로크로미니 헤미크로미니 헤테로틸라피아니 헤테로틸라피아 (리건, 1920) 람프로로기니 림노크로미니 오레오크로미니 펠마토크로미니 펠마토크로미스 (슈타인드하흐너, 1894) 펠마톨라피아니 펠마톨라피아 (티스 반 덴 아우데나르데, 1969) 페리소디니 스테아토크라니니 스테아토크라누스 (불렌저 1899) 틸라피니 트로페이니 틸로크로미니 틸로크로미스 (리건, 1920)
참조
[2]
기타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cichlid fishes (Teleostei: Perciformes: Cichlidae).
2004
[3]
학술지
A tribal level phylogeny of Lake Tanganyika cichlid fishes based on a genomic multi-marker approach
[4]
기타
Molecular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haplotilapiine cichlid fishes formerly referred to as Tilapia.
2013
[5]
웹사이트
Pseudocrenilabrinae
https://www.ncbi.nlm[...]
NCBI
2019-01-18
[6]
기타
Wallaceochromis gen. nov, a new chromidotilapiine cichlid genus (Pisces: Perciformes) from West Africa.
2016
[7]
웹인용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Based mostly on Molecular Data — Version 3
https://web.archive.[...]
2015-09-30
[8]
기타
Phylogeny and age of chromidotilapiine cichlids (Teleostei: Cichlidae).
201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