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물치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물치과는 몸이 길고 머리가 뱀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 어류 과이다. 가물치과에는 가물치속, 아프리카가물치속, 멸종된 두 속을 포함하여 총 4개의 속이 존재하며,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주로 분포한다. 육식성 어종으로, 어류, 양서류, 갑각류, 곤충, 소형 포유류 등을 섭취하며, 일부 종은 침입종으로 생태계에 피해를 줄 수 있다. 한국에는 가물치, 타이완드죠우, 코우타이 3종이 서식하며, 식용, 낚시,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물치과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류
타이완드조우科 (Channidae)
상위 분류극기류
등목어목/키노보리우오목
아목타이완드조우亞目
본문 참조
형태
영명Snakehead
화석 범위에오세 부터 현재
분류 정보
학명Channidae
명명자파울러, 1934
상위 분류 권위베르크, 1940
하위 분류2속 31종 (본문 참조)
이미지
북방창꼬치 ''Channa argus''
북방창꼬치, Channa argus
한국어 정보
한국어 명칭라이기ョ (雷魚)

2. 하위 속

3. 계통 분류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등목어류 계통 분류이다.[30][31]

{| class="wikitable"

|-

! 등목어목

! 드렁허리목

|-

|

등목어아목가물치아목아시아낙엽고기아목



|

걸장어아목드렁허리아목인도스토무스아목



|}

4. 특징

몸은 앞뒤로 길쭉한 원통형이며, 머리는 뱀과 비슷하여 영어로는 "스네이크헤드(Snakehead)"라고 불린다.[26]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기저(지느러미를 지지하는 골격)가 길고 가시줄이 발달하지 않았다. 등지느러미는 몸통 대부분을, 뒷지느러미는 몸통 후반부에 이른다. 배지느러미는 작다. 입은 크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으로 나와 있으며, 날카로운 이빨이 있다.

아가미 근처 머리 부분 공간에 "상새기관"(上鰓器官, suprabranchial organ)이라는 혈관이 발달한 점막 주름이 있어 공기 호흡이 가능하다. 수면에 입을 내밀어 들이마신 공기를 상새기관으로 보내 산소를 직접 섭취한다. 오래된 공기는 기관 내부를 물로 채워 내보내고, 물을 배출한 후 새로운 공기를 들이쉰다. 이러한 공기 호흡 능력으로 용존산소량이 적은 물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는 주로 아가미에서 수중으로 배출하므로 상새기관만으로는 생존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아가미만으로도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얻을 수 없어, 그물에 걸리는 등 공기 호흡이 방해되면 익사한다.

플랑크톤, 수서곤충, 연체동물을 섭취하며, 성체가 되면 주로 다른 물고기(예: 잉어)나 개구리를 먹는다. 드물게 쥐와 같은 작은 설치류를 먹기도 한다.

5. 생태

물 흐름이 없거나 느리고, 연꽃(Nelumbo nucifera) 등의 수생식물이 무성한 수역에 서식하는 것을 선호한다. 호수, 늪, 연못, 강의 중하류에 많다.

아침이나 저녁의 어둑어둑한 시간대, 또는 물이 탁할 때 활발하게 활동한다.

식성은 기본적으로 육식성이지만, 갑각류, 곤충류, 개구리, 거북이 등 수생동물 외에도 때로는 물새의 새끼, 수변 주변에 서식하는 소동물(쥐나 뱀 등)과 같은 다양한 먹이를 포식한다. 수면에 잠복하여 물속이나 수면을 지나가는 먹이를 덮친다. 많은 문헌에서 그 모습으로부터 흉포하다는 이미지가 부여되고 있지만, 경계심이 강하고 소심한 면도 있다.

번식 시에는 부모가 알과 새끼를 보호한다. 종에 따라 산란 시에 수초 등을 모아 둥지를 짓는 것, 알과 새끼를 입속에서 보호하는 것도 있다(입으로 새끼를 기르는 종류). 수초로 둥지를 짓는 종류는 수초가 자라지 않으면 번식할 수 없기 때문에, 하천 정비 공사 등으로 개발이 진행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 지역도 있다.

6. 생태적 문제

뱀장어는 많은 지역에서 천적이 없어 생태계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침입종이 될 수 있다. 뱀장어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젖은 땅을 최대 400m까지 이동하여 다른 물웅덩이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7]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뱀장어를 "피시질라"라고 칭하며, 뱀장어 암컷은 한 번에 최대 15,0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고, 1년에 최대 5번까지 번식할 수 있어 2년 만에 최대 15만 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7]

2002년 이후 미국 많은 주에서는 뱀장어를 파괴적인 침입종으로 간주하여 살아있는 뱀장어의 소지를 불법으로 규정했다.[10] 버지니아주는 허가 없이 뱀장어를 주에 유입하는 것을 범죄로 규정하고 있다.[8] 인간은 100년 이상 뱀장어과 어류를 비토착 수역에 도입해 왔으며, 이는 양식업이나 우발적인 방류를 통해 이루어졌다.[9]

비토착 수역에 뱀장어과 어류가 도입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도입 지역도입 시기 및 경위
찬나 마쿨라타마다가스카르, 하와이19세기 말
찬나 스트리아타월리스선 동쪽 섬들20세기 후반, 정부 프로그램 (피지에서는 실패)
찬나 아시아티카대만, 일본 남부기원 및 이유 불명
찬나 아르구스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일본, 체코슬로바키아(실패)약 100년 전 한국에서 일본으로 어업적 동기로 도입, 1960년대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에 의한 도입은 실패



2002년 메릴랜드주 크로프턴의 연못에서 북방 뱀장어(*Channa argus*)가 산란하는 것이 발견되면서 뱀장어는 미국 전역의 뉴스 주제가 되었다.[10] 북방 뱀장어는 2004년경 포토맥강에 영구적으로 정착했고,[11] 플로리다에도 정착했을 가능성이 있다.[10] 약 190km에 달하는 강에서 개체 수는 2만 1천 마리를 넘어섰다.[12]

미국 환경보호청에 따르면, 뱀장어는 캘리포니아주, 델라웨어주, 플로리다주, 조지아주, 하와이주, 메인주, 메릴랜드주, 매사추세츠주, 버지니아주, 루이지애나주[13] 및 로드아일랜드주에서도 발견되었다.[14] 뉴욕주와 뉴저지주에서도 뱀장어가 발견되었으며, 뉴저지주에서는 뱀장어 개체수가 증가하고 서식 범위도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델라웨어강의 광대한 서식지와 엄청난 크기 때문에 이 종의 완전한 퇴치는 실현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16]

7. 인간과의 관계

가물치는 식용, 낚시, 관상어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인간과 관계를 맺고 있다.

가물치는 담백한 흰 살을 가지고 있어 여러 지역에서 식재료로 활용되며 양식도 이루어진다. 그러나 조충류라는 기생충의 중간 숙주이므로, 등으로 날것으로 먹으면 조충증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18] 낚시 대상 어종으로도 인기가 많으며, 굵고 강한 낚싯대와 개구리, 지렁이등 다양한 미끼가 사용된다.[1]

열대산 가물치는 화려한 색깔 덕분에 관상어로 인기가 높다. 반면 북미 지역에서는 유해 생물로 인식되어 '프랑켄피시'[21] 또는 '괴물 물고기'[22]라는 별명과 함께 공포 영화나 드라마의 소재로 등장하기도 한다.

7. 1. 식용

가물치는 담백한 흰 살을 가지고 있어 튀김이나 냄비 요리 등 여러 방식으로 조리되며, 서식 지역 곳곳에서 식용으로 이용되고 양식도 이루어진다. 하지만 조충류라는 기생충의 중간 숙주이므로, 등으로 날것으로 먹으면 조충증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18]

인도네시아에서는 ''ikan gabus''라 불리는 가물치가 전통 요리의 주재료로 사용된다. 일례로 베타위족의 ''pucung gabus''가 있으며, 야생과 양식 모두에서 희귀하기 때문에 별미로 여겨진다. 필리핀에서는 "Haluan" (타갈로그족은 "Dalag"이라고 부름)이라고 불리며, 마긴다나오족과 이라눈족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

''C. pleurophthalma''

7. 2. 낚시

가물치는 힘이 세고 공격적인 습성을 가지고 있어 루어 낚시 대상 어종으로 인기가 많다.[1] 각 낚시 용품 제조사에서는 가물치 낚시를 위한 굵고 강한 낚싯대를 판매하고 있다.[1]

가물치 낚시에는 다양한 미끼가 사용된다.[1]

  • 소프트 플라스틱 재질의 모조 미끼나 웜
  • 살아있는 물고기, 개구리, 가재
  • 지렁이인 붉은 지렁이 (한 마리 또는 여러 마리)
  • 여치, 귀뚜라미와 같은 곤충
  • 정어리, 고등어 등을 이용한 데드베이트(Deadbait) (전용 오일을 적셔 사용)


일본에서는 개구리를 바늘에 꿰어 낚는 개구리 낚시라는 방법도 있다.[1]

7. 3. 관상어

열대산 뱀장어류는 종류와 서식지에 따라 다채로운 체색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관상어로서 인기가 높다.

7. 4. 문화

북미 지역에서는 뱀장어가 유해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공포 영화나 드라마의 소재로 등장하기도 한다. 공격적이고 포식자가 없는 뱀장어는 '프랑켄피시'[21] 또는 '괴물 물고기'라는 별명을 얻으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주었다.[22] ''소프라노스'',[23] ''오피스'',[24] ''CSI:NY'' 에피소드 "Sangre por Sangre", 센트럴 파크 에피소드 "A Fish Called Snakehead"와 같은 TV 프로그램에서 언급되었다. 또한 ''뱀장어 테러'', ''프랑켄피시'', ''뱀장어 떼'', ''뱀장어 늪''과 같은 공상과학 채널 오리지널 영화에도 등장했다.

애니멀 플래닛의 ''리버 몬스터''에서는 제레미 웨이드가 뱀장어를 '지옥에서 온 물고기'라고 묘사하며 아기와 치와와를 공격하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뱀장어는 물 밖에서 생존 가능하고 육지 이동도 가능하지만, 가슴지느러미 근육이 약해 육지에서 추격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마다가스카의 펭귄에서는 뱀장어가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사나운 물고기로 묘사되어 오리 가족을 쫓아내기도 한다. 펭귄들은 뱀장어를 사냥하기 위해 잠수함을 만들고, 결국 킹 줄리언이 흔들어 놓은 소다 병을 이용해 뱀장어를 죽이고 스시로 먹는다.[25]

8. 한국 서식 종


  • 가물치 (''Channa argus'')
  • 타이완드죠우 (''Channa maculata'')
  • 코우타이 (''Channa asiatica'')

9. 분포

가물치과에는 2개의 속(屬)이 포함된다. 가물치속(Channa)은 일본에 정착한 3종을 포함하여 극동 러시아(연해주)에서 인도까지 총 28종이 알려져 있다.[2] 파라찬나속(''Parachanna'')은 열대 아프리카에 3종이 분포한다.[2]

가물치과의 분포. 노란색은 가물치속, 주황색은 파라찬나속의 분포를 나타낸다.

참조

[1] 서적 Labyrinth Fish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2] FishBase
[3] 논문 Eocene actinopterygian fishes from Pakistan,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genus and species of channid (channiformes)
[4] 논문 Phylogenetic and Ecological Significance of Channidae (Osteichthyes Teleostei) from the Early Eocene Kuldana Formation of Kohat, Pakistan
[5] 논문 Migration history of air-breathing fishes reveals Neogene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ns
[6] 웹사이트 Snakehead Frenzy!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Channel 2007-12-03
[7] 웹사이트 Fishzilla: Snakehead Invasion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Channel
[8] 법률 Code of Virginia § 18.2-313.2 http://law.lis.virgi[...]
[9] 잡지 Invasion of the Snakeheads https://www.smithson[...] 2005-02-00
[10] 간행물 USGS Circular 1251: Snakeheads (Pisces, Chinnidae) - A Biological Synopsis and Risk Assessment https://pubs.er.usg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2004-04-01
[11] 뉴스 Potomac snakeheads not related to others http://www.baltimore[...] Associated Press, Baltimore Sun 2007-04-27
[12] 웹사이트 Fishermen Battle Invasive 'Frankenfish' Snakeheads https://web.archive.[...] 2016-03-17
[13] 웹사이트 The snakehead is here: Aggressive, air-breathing fish makes first appearance in Louisiana https://www.nola.com[...] 2023-06-09
[14] 간행물 Injurious Wildlife Species; Snakeheads http://www.epa.gov/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8-02-17
[15] 웹사이트 Invasive Northern Snakehead - NYS Dep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https://www.dec.ny.g[...] New York State
[16] 웹사이트 Snakehead Management Activities: 2010 https://www.state.nj[...]
[17] 웹사이트 Snakehead, giant (Channa micropeltes) https://igfa.org/mem[...]
[18] 웹사이트 Chefs' solution for invading 'Frankenfish'? Eat 'em https://web.archive.[...] News.msn.com
[19] 논문 Eocene actinopterygian fishes from Pakistan,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genus and species of channid (channiformes)
[20] 논문 Aenigmachannidae, a new family of snakehead fishes (Teleostei: Channoidei) from subterranean waters of South India 2020-09-30
[21] 웹사이트 B.C.'s snakehead caught after Burnaby pond drained. CBC News (Posted: June 8, 2012) https://www.cbc.ca/n[...] Cbc.ca 2012-06-08
[22] 웹사이트 The Ultimate Monster Fish: The Frankenfish Snakehead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4-07-28
[23] TV The Sopranos HBO 2007-04-08
[24] Youtube Blackmail - The Office US https://www.youtube.[...] 2018-02-24
[25] 웹사이트 GIANT SNAKEHEAD http://animal.discov[...]
[26] 서적 A Dictionary of Zoology https://www.google.c[...] OUP Oxford
[27] 사전 臺灣閩南語常用詞辭典 http://twblg.dict.ed[...] 中華民國教育部
[28] 서적 海南島淡水魚類譜 海南海軍特務部政務局
[29] 서적 日本魚名集覧 角川書店
[30] 논문 The Tree of Lif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http://currents.plos[...] 2013-04-18
[31] 웹사이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3 http://www.deepfi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